소소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소문은 남제의 제6대 황제이다. 494년 형 소소업이 폐위된 후 소란에 의해 14세의 나이로 즉위했지만, 소란에게 정권을 빼앗겨 허수아비 황제나 다름없었다. 즉위 4개월 만에 소란에 의해 폐위되어 해릉왕으로 강등되었고, 곧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94년 사망 - 소소업
소소업은 남조 제나라의 황제였으나, 사치와 패륜적인 행위로 인해 1년 만에 폐위되어 살해당하고 유림왕으로 강등되었다. - 480년 출생 - 유스티니아누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527년부터 38년간 동로마 제국을 통치하며 로마법 대전 편찬,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 건설 등의 업적을 남겼고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통한 정복 전쟁, 교회 정책 추진 등으로 제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결코 잠들지 않는 황제"였다. - 480년 출생 - 보이티우스
보이티우스는 로마 귀족 출신으로 동고트 왕국에서 활동하다 반역죄로 처형되었으며, 옥중에서 저술한 《철학의 위안》을 통해 스콜라 철학에 영향을 미쳤고, 중세 시대에 큰 영향을 준 기독교 순교자이다. - 제 (남조)의 황제 - 소보권
소보권은 남제의 제6대 황제로서, 즉위 후 폭정을 일삼고 사치스러운 생활로 민심을 잃어 결국 살해당하고 남제를 멸망하게 한 인물이다. - 제 (남조)의 황제 - 남제 화제
남제 화제는 남제의 마지막 황제로, 명제의 아들이며 동혼후 소보권이 살해된 후 옹립되었으나, 재위 기간 동안 실권은 소영주에게 있었고, 소연에게 선양 후 살해되었다.
소소문 | |
---|---|
기본 정보 | |
휘 | 샤오자오원 (蕭昭文) |
자 | 계상 (季尚) |
씨 | 샤오 (蕭) |
출생 | 480년 |
사망 | 494년 |
부친 | 소장무 |
모친 | 서씨 |
배우자 | 왕소명 (낭야) |
시호 | 공왕 (恭王) |
정치 | |
왕조 | 남제 |
즉위 | 494년 9월 10일 |
퇴위 | 494년 12월 5일 |
선대 황제 | 소조업 |
후대 황제 | 명제 |
연호 | 연흥 (延興) |
연호 기간 | 494년 |
2. 생애
494년에 형인 울림왕이 폐위되어 살해되자 소란에 의해서 제위에 올랐다. 그러나 정치의 실권은 소란이 갖고 있어서 소란의 허락 없이는 황제는 마음대로 식사 반찬을 고를 수 없게 되고 자유롭게 행동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소란은 소소문의 이름으로 고제와 무제의 아들들을 숙청하여 자신의 권력을 강화했다.
소란은 자신의 아들들이 어렸기 때문에 조카인 소요광, 소요흔, 소요창을 요직에 앉혔다.
그리고 즉위한 후에 불과 4개월 만인 연흥 원년(494년) 10월, 소란이 황태후 왕보명을 이용하여 황태후의 조서에 의해서 폐위되었고 해릉왕으로 격하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해릉왕 소소문은 소란에 의해 살해당하였다. 소란은 스스로 황제(명제)로 즉위했다.
2. 1. 초기 생애와 배경 (480년 ~ 494년)
소소문(蕭昭文)은 480년, 남제(南齊) 소장무 남군왕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소장무는 무제(소자업)의 맏아들이었고, 어머니는 소장무의 첩인 서씨(徐氏) 부인이었다.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486년, 6세의 나이에 임여공(臨汝公)으로 봉해졌다. 490년, 관료 왕자(王慈)의 딸인 왕소명과 결혼하여 공작부인이 되었다.493년 초, 아버지 소장무가 사망하고 형 소소업이 황태자가 되었다. 같은 해, 할아버지 무제가 사망하고 형 소소업이 황제로 즉위하면서 소소문은 신안왕(新安王)으로 봉해졌다. 소소업은 즉위 후 중군장군이 되었고, 융창 원년(494년)에는 양주 자사가 되었다.
소소업은 사치와 향락을 일삼는 폭군으로, 494년 가을 재상 소란 서창후는 소소업을 폐위시키고 소소문을 황제로 옹립했다.
2. 2. 즉위와 폐위 (494년)
소소문은 494년에 형인 울림왕이 폐위되어 살해된 뒤, 소란에 의해 14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하였다. 그러나 정치의 실권은 소란에게 있었고, 소란의 허락 없이는 식사 메뉴조차 마음대로 정할 수 없었다. 소란은 소소문의 이름으로 고제와 무제의 아들들을 숙청하여 자신의 권력을 강화했다.소란은 자신의 아들들이 어렸기 때문에 조카인 소요광, 소요흔, 소요창을 요직에 앉혔다.
즉위 4개월 만인 연흥 원년(494년) 10월, 소란은 황태후 왕보명의 명을 빌려 소소문을 폐위시키고 해릉왕으로 강등시켰다. 소란은 스스로 황제(명제)로 즉위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소소문은 소란에 의해 살해당했다.
2. 3. 죽음 (494년)
494년 형인 울림왕이 폐위되어 살해된 후, 소란에 의해 황제로 즉위했으나, 정치 실권은 소란에게 있었다. 소란의 허락 없이는 식사 메뉴조차 자유롭게 정할 수 없었다. 즉위 4개월 만인 연흥 원년(494년) 10월, 소소문은 황태후 왕보명의 조서에 의해 폐위되어 해릉왕으로 강등되었고, 그 뒤를 이어 소란이 스스로 즉위하여 명제가 되었다.폐위된 지 한 달 후, 소란은 소소문을 병을 치료한다는 명목으로 어의를 보내 독살했다. 소소문은 공(恭)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황제의 예는 아니지만 성대한 장례가 치러졌다.
3. 가족 관계
배우자는 낭야 왕씨(琅琊 王氏) 출신 왕소명(王韶明)이다.
4. 연호
5. 가계도
증조부는 고제(高帝) 소도성(蕭道成)이고, 조부는 남제 무제(武帝) 소색(蕭賾)이다. 부친은 소장무(蕭長懋)이고, 모친은 서씨(徐氏) 부인이다.
참조
[1]
문서
ding'you day of the 7th month of the 1st year of the Yan'xing era, per Xiao Zhaowen's biography in Nan Qi Shu
[2]
문서
Xiao Luan (Emperor Ming) crowned himself emperor on this day.
[3]
문서
11th month of the 1st year of the Yan'xing era, per Xiao Zhaowen's biography in Nan Qi Shu. The month corresponds to 13 Dec 494 to 11 Jan 495 in the Julian calendar. The same biography indicate that he was 15 (by East Asian reckoning) when he di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