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보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보권은 남제의 제6대 황제로, 명제의 아들이다. 494년 황태자가 되었고, 498년 명제 사후 황위에 올랐으나, 즉위 후 6명의 중신을 살해하고 폭정을 일삼았다. 간신을 가까이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며 국가 재정을 파탄시키고, 후궁 반옥아를 위해 황금 연꽃 길을 만드는 등 비상식적인 행동으로 민심을 잃었다. 결국 501년 왕진국과 장직에게 살해당했으며, 동혼후로 강등되고 남제는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01년 사망 - 동성왕
동성왕은 백제 제22대 왕으로 왕권 강화, 활발한 외교, 탐라 정벌 등 국력 신장에 기여했으나 말년의 폭정으로 암살당했으며, 무령왕과의 관계는 기록이 엇갈려 논쟁거리가 된다. - 483년 출생 - 북위 선무제
북위 선무제는 남북조 시대 북위의 황제로, 양나라와의 전쟁과 유연에 대한 군사 정책을 펼쳤으며 불교를 숭상하고 후기에는 황족 숙청으로 정치적 불안을 야기했다. - 남제 명제의 황자 - 남제 화제
남제 화제는 남제의 마지막 황제로, 명제의 아들이며 동혼후 소보권이 살해된 후 옹립되었으나, 재위 기간 동안 실권은 소영주에게 있었고, 소연에게 선양 후 살해되었다.
소보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소보권 (蕭寶卷) |
출생명 | 소명현 (蕭明賢) |
자 | 지장 (智藏) |
시대 이름 | 영원 (永元) |
시대 기간 | 499-501년 |
출생 | 483년 |
사망 | 501년 |
아버지 | 명제 |
어머니 | 명경황후 유씨 |
배우자 | 저령거 반숙비 반옥노 오비 유비 황경휘 |
재위 기간 | 498년 9월 - 501년 12월 31일 |
전임자 | 명제 |
후임자 | 화제 |
2. 생애
494년 황태자가 되었다. 498년 명제가 사망하자 소보권은 황제로 즉위했다. 즉위 후, 소보권은 명제의 유언에 따라 자신을 보좌하던 6명의 중신들을 살해하고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소보권은 간신들을 가까이하고 백성들에게 가혹한 세금을 걷는 등 폭정을 일삼았다.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기고, 많은 궁전을 건설하여 국가 재정을 파탄시켰다. 특히 후궁 반옥아(潘玉兒)를 총애하여 그녀를 위해 황금 연꽃으로 장식된 길을 만드는 등 비상식적인 행동을 일삼았다. 이는 "보보생연화(步步生蓮華)" 고사의 기원이 되었다.
이런 폭정으로 인해 민심은 이반되었고, 진현달, 배숙업, 최혜경, 소보현, 장흔태 등 각지에서 반란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501년 소보권은 왕진국, 장직등에게 살해당했다.
2. 1. 초기 생애
소보권은 483년 서창후(西昌侯) 소란(蕭鸞)과 유혜단(劉惠端)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소란은 훗날 명제가 되었으며, 무제의 사촌이었다. 소보권의 본명은 소명현(蕭明賢)이었고, 어머니 유혜단은 소란의 정실 부인이었다. 유혜단은 489년에 사망하기 전까지 소보현(蕭寶玄), 소보인, 소보융을 낳았다.494년, 소란이 쿠데타를 일으켜 소소업을 폐위시키고, 소소문을 황제로 옹립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스스로 황제(명제)가 되었다. 소보권은 형 소보의가 심각한 장애로 말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황태자 시절, 소보권은 학문을 싫어하고 사냥과 오락을 즐겼으며, 말수가 적고 내성적인 성격이었다고 전해진다. 495년, 저징(褚澄중국어)의 딸 저령거와 혼인하여 황태자비로 맞이하였다. 496년에는 성년식을 치렀다. 498년, 왕경칙의 반란 당시, 소보권은 왕경칙의 군대가 수도 근처에 있다는 오해로 도주하려 했으나, 곧 반란은 진압되었다.
영명 원년(483년)에 태어났다. 영태 원년(498년)에 명제가 사망하면서 즉위했다. 명제의 장례식에서 태중대부 양천이 통곡하다 대머리가 드러난 것을 보고 크게 웃었다는 일화가 『남사』에 전해진다.
2. 2. 즉위와 폭정
494년 황태자가 되었다. 498년 명제가 사망하자 소보권은 황제로 즉위했다. 즉위 후, 소보권은 명제의 유언에 따라 자신을 보좌하던 6명의 중신들을 살해하고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소보권은 간신들을 가까이하고 백성들에게 가혹한 세금을 걷는 등 폭정을 일삼았다.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기고, 많은 궁전을 건설하여 국가 재정을 파탄시켰다. 특히 후궁 반옥아(潘玉兒)를 총애하여 그녀를 위해 황금 연꽃으로 장식된 길을 만드는 등 비상식적인 행동을 일삼았다. 이는 "보보생연화(步步生蓮華)" 고사의 기원이 되었다.
이런 폭정으로 인해 민심은 이반되었고, 진현달, 배숙업, 최혜경, 소보현, 장흔태 등 각지에서 반란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501년 소보권은 왕진국, 장직등에게 살해당했다.
2. 3. 최후
소보권의 폭정에 반발한 옹주 자사 소연(蕭衍, 훗날 양 무제)은 소보권의 동생 소보융(蕭寶融, 화제)을 황제로 추대하고 거병했다.[6] 소연과 샤오잉저우(蕭穎冑)는 소보권을 전복하고 소보융을 황제로 세우겠다고 선언했다. 소연의 군대가 수도 건강(建康)을 포위하자, 소보권은 자신의 측근들에게 살해당했다.[7]501년 새해 무렵, 소보권의 측근들은 왕전국(王珍國)과 장직(張稷)이 전심전력하지 않아 샤오옌의 군대를 격파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두려움을 느낀 왕전국과 장직은 소보권을 암살하고 샤오옌에게 그의 머리를 바쳤다.
사후 전한의 해혼후 유하를 따라 "어리석은 동쪽의 제후"라는 의미로 '''동혼후(東昏侯)'''로 강등되었으며,[7] 그의 죽음은 남제의 멸망으로 이어졌다. 반비(潘妃)와 그의 다른 측근들은 처형되었고, 황후 추(Chu)씨와 태자 소송은 모두 평민으로 강등되었다.
3. 가족
황후 추씨는 하남 출신이며, 이름은 령거(령거/令璩중국어)이다. 귀비 반씨는 501년에 사망했으며, 이름은 옥아(옥아/玉儿중국어) 또는 옥유(옥유/玉奴중국어)이다. 귀빈 황씨(귀빈 황씨/貴嬪 黃氏중국어)는 소생으로 태자를 낳았으나, 소생은 501년에 사망했다. 비 오씨는 경휘(경휘/景暉중국어)라는 이름으로, 소찬을 낳았으며, 소찬은 501년 혹은 502년에 태어나 531년에 사망했다. 소찬은 소보권의 둘째 아들로 추정된다.
3. 1. 황후
황후 추씨는 하남 출신이며, 이름은 령거이다. 귀비 반씨는 501년에 사망했으며, 이름은 옥아 또는 옥유이다. 귀빈 황씨는 소생으로 태자를 낳았으나, 소생은 501년에 사망했다. 비 오씨는 경휘라는 이름으로, 소찬을 낳았으며, 소찬은 501년 혹은 502년에 태어나 531년에 사망했다. 소찬은 소보권의 둘째 아들로 추정된다.3. 2. 후궁
반옥노의 배우자는 다음과 같다.- 황후 추씨 (황후 하남 추씨/皇后 河南褚氏중국어): 이름은 령거 (령거/令璩중국어)이다.
- 귀비 반씨 (귀비 반씨/貴妃 潘氏중국어; 사망 501): 이름은 옥아(玉儿) 또는 (옥노/玉奴중국어)이다.
- 귀빈 황씨 (귀빈 황씨/貴嬪 黃氏중국어)
- 비 오씨(吳妃): 이름은 경휘(景暉)이다.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4. 3. 한국 역사학계의 평가
5. 기년
wikitable
6. 가계도
소보권(483년 ~ 501년)은 남제의 제6대 황제이다. 남제 명제(452년 ~ 498년)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명경황후(489년 사망)이다. 소보권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
아버지 | 남제 명제 |
어머니 | 명경황후 |
정실 | 저령구 |
측실 | 귀비 반옥아 |
측실 | 여비 (왕무와 재혼) |
측실 | 황숙의 |
측실 | 미인 오경휘 (소연이 측실로 삼음) |
장남 | 황태자 소송 (499년 ~ 501년) |
차남 | 소종 (소보권의 유자임을 자인) |
황녀 | 요절 |
참조
[1]
서적
Nan Qi Shu
501-12-31
[2]
서적
Nan Qi Shu
[3]
문서
[4]
문서
[5]
문서
금련보(美人のあでやかな歩み)の由来。
[6]
서적
資治通鑑
[7]
서적
南斉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