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의 홍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의 홍씨는 조선 광해군의 후궁으로, 간택을 통해 입궁했다. 1617년 숙의에 봉해졌으며, 이듬해 소의로 진봉되었다. 아버지 홍매는 고양군수와 연안부사를 역임했으나 가렴주구로 비판받기도 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유배되었으며,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조반정 - 오윤겸
오윤겸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외교관으로, 선조, 광해군, 인조 시대에 내외직을 역임하며 임진왜란 군량미 확보, 대동법 시행 건의, 조선-일본 외교 관계 회복에 기여했고, 인조반정 이후에는 서인의 영수로서 당쟁 해소와 민심 수습에 힘썼다. - 인조반정 - 숙의 허씨
조선 광해군의 후궁인 숙의 허씨는 양천 허씨로, 1613년 숙의로 입궁하여 총애를 받았고 빈으로 승격되어 수빈에 봉해졌으나, 인조반정 이후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으며, 그녀의 입궁으로 일족이 득세하는 폐단이 있었다. - 풍산 홍씨 - 홍명희
홍명희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소설가, 정치인으로, 장편소설 《임꺽정》으로 유명하며, 독립운동 참여, 언론 및 교육계 활동 후 해방 후 남북협상 참여, 월북하여 북한에서 요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역할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풍산 홍씨 - 홍진
홍진은 대한제국 시기 법관, 변호사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법무총장, 내무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광복 후 비상국민회의 의장을 지낸 독립운동가이다. - 조선 광해군 - 인조반정
인조반정은 1623년 서인 세력이 광해군의 폭정을 명분으로 일으킨 쿠데타이며, 광해군 폐위 후 인조가 즉위했으나 서인 세력 간의 갈등과 외침으로 조선 사회에 혼란을 가져왔다. - 조선 광해군 - 별에서 온 그대
1609년 조선에 떨어진 외계인 도민준과 톱스타 천송이의 로맨스를 그린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는 초능력, 미스터리, 갈등, 그리고 한류 확산과 사회문화적 현상까지 일으킨 작품이다.
| 소의 홍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소의 홍씨 |
| 작위 | 후궁 (소의) |
| 별칭 | 숙의 홍씨 |
| 배우자 | 광해군 |
| 자녀 | 없음 |
| 왕조 | 조선 |
| 가문 | 풍산 홍씨 |
| 아버지 | 홍매 |
| 어머니 | 이천 서씨 |
| 출생일 | 미상 |
| 출생지 | 조선 |
| 사망지 | 조선 |
| 사망일 | 1623년 이후 |
2. 생애
소의 홍씨는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의 후궁으로, 정식으로 간택을 받은 간택 후궁이다. 아버지는 풍산 홍씨 홍매이며, 어머니는 이천 서씨이다.[1][2]
1617년(광해군 9년) 음력 8월 8일, 윤홍업의 딸(소의 윤씨)과 함께 종2품 숙의에 간택되었다.[3] 1618년(광해군 10년) 음력 7월 8일, 함께 간택됐던 윤씨와 함께 정2품 소의에 봉해졌다.[7]
홍씨의 아버지 홍매는 고양군수였다가 1617년(광해군 9년) 음력 12월 24일 연안부사가 되었는데,[4] 1619년(광해군 11년) 음력 11월 14일 한명욱이 홍매를 가렴주구만을 일삼는다 하여 탄핵하였으나 광해군은 그냥 넘어갔다. 《광해군일기》에는 "홍매가 그 세력만을 믿고 권세를 탐하여 관고가 텅 비었다."라고 비판하는 내용이 있다.[5] 이외에도 홍씨를 비롯한 광해군의 여러 후궁들의 일족이 높은 관직을 제수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6]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이 일어나 광해군이 폐위되자, 홍씨는 그 해 음력 9월 14일 중도부처되었다.[8]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2. 1. 간택과 후궁 생활
소의 홍씨는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의 후궁으로, 정식으로 간택을 받은 간택 후궁이다.[1][2] 아버지는 풍산 홍씨 홍매이며, 어머니는 이천 서씨이다.[1][2]1617년(광해군 9년) 음력 8월 8일, 윤홍업의 딸(소의 윤씨)과 함께 종2품 숙의에 간택되었다.[3] 1618년(광해군 10년) 음력 7월 8일, 함께 간택됐던 윤씨와 함께 정2품 소의에 봉해졌다.[7]
홍씨의 아버지 홍매는 고양군수였다가 1617년(광해군 9년) 음력 12월 24일 연안부사가 되었는데,[4] 1619년(광해군 11년) 음력 11월 14일 한명욱이 홍매를 가렴주구만을 일삼는다 하여 탄핵하였으나 광해군은 그냥 넘어갔다. 《광해군일기》에는 "홍매가 그 세력만을 믿고 권세를 탐하여 관고가 텅 비었다."라고 비판하는 내용이 있다.[5] 이외에도 홍씨를 비롯한 광해군의 여러 후궁들의 일족이 높은 관직을 제수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6]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이 일어나 광해군이 폐위되자, 홍씨는 그 해 음력 9월 14일 중도부처되었다.[8]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2. 2. 인조반정 이후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소의 홍씨는 그 해 음력 9월 14일 중도부처되었다.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3. 가족 관계
부친은 홍매(생몰년 미상)이며, 모친은 이천 서씨이다. 시아버지는 조선 제14대 왕 선조(1552~1608, 재위:1567~1608)이고, 시어머니는 공빈 김씨(1553~1575)이다. 남편은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1575~1641, 재위:1608~1623)이다.
참조
[1]
서적
조선왕실 왕비와 후궁의 생활
국립고궁박물관
2017-07-06
[2]
서적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https://web.archive.[...]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11-18
[3]
간행물
광해군일기 정초본 118권, 광해 9년 8월 8일 경자 1번째기사
[4]
간행물
광해군일기 정초본 122권, 광해 9년 12월 25일 병진 3번째기사
[5]
간행물
광해군일기 정초본 136권, 광해 11년 1월 14일 무술 3번째기사
[6]
간행물
광해군일기 정초본 73권, 광해 5년 12월 30일 계축 2번째기사
[7]
간행물
광해군일기 정초본 130권, 광해 10년 7월 8일 갑오 6번째기사
[8]
간행물
인조실록 3권, 인조 1년 9월 14일 신축 1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