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다스는 "잘 주는 자"라는 뜻을 가진 인물로, 디보다사의 아들로 여겨진다. 그의 조상으로는 피자바나, 디보다사 아티티그바, 데바반트가 있으며, 학자들은 이들의 계보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리그베다에서는 바라타족의 족장으로 등장하며, 십왕 연합을 정복한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사제 비슈바미트라를 바시슈타로 교체하면서 경쟁 관계를 형성했으며, 푸루족, 야두족 등 10개의 부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라타족 - 쿠루 왕국
쿠루 왕국은 고대 인도에 존재했던 국가로, 갠지스-야무나 도압 지역을 지배했으며, 마하바라타 서사시의 배경이 되었고, 붓다가 가르침을 전파한 곳으로 기록되어 있다. - 바라타족 - 십왕 전투
리그베다 시대에 수다스 왕이 이끄는 바라타족이 10개 부족 연합군을 격파한 십왕 전투는 바라타족의 펀자브 지역 지배를 확립하고 쿠루족의 등장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 전투가 쿠룩셰트라 전쟁의 원형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 리그베다 - 가야트리 만트라
가야트리 만트라는 태양신 사비트리에게 바쳐지는 리그베다의 중요한 기도문으로, 물질, 마음, 영혼의 근원이신 신성한 존재를 명상하고 지혜를 구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힌두교와 불교 문헌, 다양한 의식과 수행,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리그베다 - 십왕 전투
리그베다 시대에 수다스 왕이 이끄는 바라타족이 10개 부족 연합군을 격파한 십왕 전투는 바라타족의 펀자브 지역 지배를 확립하고 쿠루족의 등장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 전투가 쿠룩셰트라 전쟁의 원형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수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바라타족과 트리츠족의 라자 |
재위 | 기원전 14세기 |
선임자 | 디보다사? |
배우자 | 수데비 |
가문 | 바라타 |
가문 유형 | 왕조 |
아버지 | 피자바나 또는 디보다사 |
종교 | 역사적 베다 종교 |
2. 가족
수다스는 디보다사의 아들로 알려져 있으며, 조상으로는 피자바나, 데바반트 등이 있다. 학자들마다 이들의 연대기적 순서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7][8] 수다스는 아슈빈이 주었다고 전해지는 수데비와 결혼했다.[9]
2. 1. 가계도
수다스의 조상으로는 피자바나, 디보다사 아티티그바, 데바반트가 있지만, 학자들은 이 조상들의 연대기적 순서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3][4] 비첼에 따르면, 디보다사가 수다스의 아버지였지만, 그는 바라타 가계도에서 디보다사와 수다스 사이의 가능한 조상으로 피자바나를 포함시켰다. 팔리하와다나 역시 바라타 가계도에서 디보다사와 수다스 사이에 피자바나를 위치시키지만, 수다스가 피자바나의 후손이라고만 언급한다.그는 아슈빈이 수다스에게 주었다고 언급된 수데비와 결혼했다.[5]
수다스 가계도 | ||||||
---|---|---|---|---|---|---|
데바바타 | - | 스린자야 | - | 디보다사 | - | 수다스 |
리그베다에서 수다스는 십왕 연합을 정복한 바라타족의 족장으로 언급된다.[1] 수다스 왕이 비슈바미트라를 대신하여 바시슈타를 제사장으로 임명함으로써 둘 사이에 경쟁 관계가 형성되었다고도 한다. 십왕 연합에는 푸루족, 야두족, 투르바사족, 아두족, 드루유족, 알리나족, 팍타족, 발라나족, 시바족, 비샤닌족 등이 속해 있었으나 수다스에게 패배했다.[2]
3. 리그베다에서의 언급
3. 1. 다사라즈나 전투 (십왕 전투)
리그베다에 따르면, 수다스는 십왕 연합을 상대로 승리한 바라타족의 족장이다.[1] 수다스 왕이 비슈바미트라를 대신하여 바시슈타를 제사장으로 임명하면서 둘 사이에 경쟁 관계가 형성되었다고도 한다. 푸루족, 야두족, 투르바사족, 아두족, 드루유족, 알리나족, 팍타족, 발라나족, 시바족, 비샤닌족 등 10대 부족은 수다스에게 대항했으나 패배했다. 그는 또한 아자족, 시그루족, 야크슈족과도 싸워 이겼다.[2]
참조
[1]
간행물
The Languages of Harappa
[2]
간행물
Early Sanskritization: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Kuru state
[3]
서적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De Gruyter
[4]
논문
The Indra Cult as Ideology: A Clue to Power Struggle in an Ancient Society
2017
[5]
서적
Vedic Index of Names and Subjects
John Murray
[6]
간행물
The Languages of Harappa
[7]
서적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De Gruyter
[8]
논문
The Indra Cult as Ideology: A Clue to Power Struggle in an Ancient Society
2017
[9]
서적
Vedic Index of Names and Subjects
John Murra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