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루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루 왕국은 고대 인도에 존재했던 국가로, 현재의 타네사르, 델리, 갠지스 도압 상류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에 위치했다. 베다 시대에 형성되어 갠지스-야무나 도압 지역을 지배했으며, 아산디바트, 인드라프라스타(델리), 하스티나푸라가 주요 도시였다. 쿠루족은 베다 문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파리크시트와 자나메자야 왕 시기에 번성했다. 이후 살바족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쇠퇴하고, 수도를 카우샴비로 옮기면서 여러 소국으로 분열되었다. 불교 경전에서는 16대국 중 하나로 언급되며, 붓다가 쿠루국에서 가르침을 전파했다는 기록이 있다. 서사시 마하바라타는 쿠루 왕국의 두 분파 간의 갈등을 다루고 있으며, 쿠루 왕조 가계도를 묘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리아나주의 역사 - 아비라족
아비라족은 1세기에 언급된 고대 인도 아대륙의 부족으로, 다양한 기원과 직업으로 묘사되었으며, 데칸 고원을 지배하고 굽타 제국 시대에는 라자스탄과 말와 지역에 거주했으며, 현대의 아히르족과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 하리아나주의 역사 - 1996년 차르키다드리 공중 충돌 사고
1996년 차르키다드리 공중 충돌 사고는 1996년 11월 12일 인도 차르키다드리 상공에서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763편과 카자흐스탄 항공 1907편이 충돌하여 349명이 사망했으며, 카자흐스탄 항공 조종사의 관제 지시 불이행과 열악한 관제 시스템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 남아시아의 철기 문화 - 베다 시대
베다 시대는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전 1500년에서 기원전 600년까지 이어진 시기로, 베다 문헌 편찬, 초기 카스트 제도 형성, 농경 사회 발전, 베다 종교(브라만교)의 성립을 특징으로 한다. - 남아시아의 철기 문화 - 십육대국
십육대국은 베다 시대 후기 북인도에서 강력한 자나파다 국가들이 주변 소국들을 합병하여 형성된 16개의 주요 국가들을 지칭하며, 인도 서사시의 배경이자 불교 경전에도 언급되지만 마우리아 제국에 의해 막을 내렸다. - 바라타족 - 수다스
수다스는 리그베다에 등장하는 바라타족의 족장으로, 십왕 연합군을 정복했으며, 제사장을 비슈바미트라에서 바시슈타로 교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바라타족 - 십왕 전투
리그베다 시대에 수다스 왕이 이끄는 바라타족이 10개 부족 연합군을 격파한 십왕 전투는 바라타족의 펀자브 지역 지배를 확립하고 쿠루족의 등장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 전투가 쿠룩셰트라 전쟁의 원형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쿠루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현지 이름 | 쿠루 (कुरुः) |
다른 표기 | कुरुः |
국가 | 인도 |
민족 | 인도아리아인 |
데모님 | 쿠루족 |
통용어 | 베다 산스크리트어 |
종교 | 베다 힌두교 |
존속 기간 | 기원전 12세기 ~ 기원전 5세기 |
시대 | 베다 시대 |
지도 | |
![]() | |
수도 | |
수도 | 아산디바트 하스티나푸라 인드라프라스타 |
위치 | 북인도 중서부 |
정치 | |
정치 체제 | 선거군주제 |
지도자 칭호 | 라자 |
입법부 | 사바 |
주요 사건 | |
건국 | 기원전 12세기 |
바라타 전투? | 기원전 950년? |
멸망 | 기원전 5세기 |
이전 | |
이전 국가 | 바라타족 트리추족 푸루족 |
이후 국가 | 밧사 판찰라 |
통화 | |
통화 | 파나 |
2. 위치
쿠루국은 남아시아 중앙에 위치했으며, 동쪽으로는 갠지스강과 판찰라국 경계, 서쪽으로는 사라스바티강과 로슈타카의 국경, 북쪽으로는 쿨린다스강, 남쪽으로는 수라세나와 마츠야에 접해 있었다. 쿠루 왕국이 이전에 점령했던 지역은 현재의 타네사르, 델리, 그리고 갠지스 도압 상류 대부분을 차지했다.[1]
쿠루국은 쿠루장갈라("쿠루 숲"), 쿠루 고유 영토, 쿠루크셰트라("쿠루 들판")로 나뉜다.[2]
- 쿠루 장갈라는 사라스바티강 둑의 카미야카 숲에서 카샤바 숲까지 뻗어있는 야생 지역이었다.
- 고유한 쿠루 영토는 하스티나푸라 주변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 쿠루크셰트라는 남쪽의 카이자바 숲, 북쪽의 투르냐 숲, 서쪽의 파르지나 숲 사이에 위치했으며, 사라스바티강과 디르샤바티강 사이에 있었다.
쿠루국 내를 흐르는 강으로는 아루샤강, 암슈마티강, 히라슈바티강, 아파야강, 카우시키강, 사라스바티강, 디르샤바티강 또는 라크시강이 있다.[3]
3. 역사
쿠루 왕국에 대한 주요 사료는 베다이다. 베다에는 이 시기의 삶에 대한 세부 사항과 역사적 인물 및 사건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1] 아타르바 베다에는 Parikshit|파리크시트영어 왕에 대한 내용이, 『Aitareya Brahmana|아이타레야 브라흐마나영어』와 『샤타파타 브라흐마나』에는 그의 아들 Janamejaya|자나메자야영어 왕에 대한 언급이 있다.[7]
후기 베다 시대 문헌에는 쿠루국이 판찰라국과 함께 자주 묘사되며, 두 나라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하바라타』에는 쿠루 얀갈라, 쿠루 라슈트라, 쿠루크셰트라의 세 영역이 언급된다.
영역 | 위치 |
---|---|
쿠루 얀갈라 | 현재 하리아나주 중부에서 서부에 걸쳐 있는 지역 (Hisar district|히사르 구영어, Hansi|한시영어, Rohtak district|로탁 구영어 부근) |
쿠루 라슈트라(Kururashtra영어) | 갠지스 강과 야무나 강 사이 지역. 하스티나푸라가 중심 도시. |
쿠루크셰트라(Kurukshetra영어) | 현재 하리아나주 북부 지역 (Karnal district|카르날 구영어, Thanesar|타네사르영어, Kurukshetra district|쿠루크셰트라 구영어, Kaithal district|카이탈 구영어 부근) |
『마하바라타』에 포함된 『바가바드 기타』는 '''쿠루크셰트라'''에서 판다바 5왕자와 카우라바 100왕자 간의 Kurukshetra War|쿠루크셰트라 전쟁영어을 배경으로 한다.
쿠루국은 불교 경전인 『앙굿타라 니까야』에서 16대국 중 하나로 꼽히지만, 붓다 시대에는 영역이 축소되고 정치적 세력도 작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수도 인드라프라스타|산스크리트어=इन्द्रप्रस्त, 팔리어=इन्दपत्त 인다팟타영어와 하스티나푸라(산스크리트어: हस्तिनापुर, 팔리어: हत्थिनीपुर 핫티니푸라) 등 발달된 도시들을 가지고 있었다.
유디슈티라의 후손이라 칭하는 다난자야 왕이 불전에 언급되며, 왕족 일부는 불교를 신봉했다. 붓다는 쿠루국에서 가르침을 전파했으며, 『마하사티팟타나 숫타』, 『마하니다나 숫타』, 『아넨자삿파야 숫타』, 『마간디야 숫타』, 『라타파라 숫타』, 『산마사 숫타』, 『두티야 아리야바사 숫타』 등은 쿠루국에서의 설법 기록으로 여겨진다.
쿠루 왕국에서는 구전되던 베다를 성전으로 편찬하는 사업이 시작되었다. 고고학적으로는 기원전 12세기부터 기원전 9세기경 흑색 토기와 적색 토기를 사용한 문화를 가졌다고 여겨진다.
3. 1. 형성과 발전
쿠루족은 다사라즈나 전투로 인한 바라타족과 다른 푸루 씨족들 간의 동맹과 합병의 결과로 중기 베다 시대(c. 1200–c. 900 BCE)에 형성되었다.[1] 쿠루크셰트라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형성한 쿠루족은 기원전 1200년에서 800년 사이에 베다 시대의 첫 번째 정치적 중심지를 형성했다. 최초의 쿠루 수도는 오늘날 하리아나주의 아산드로 비정되는 아산디바트에 있었다.[2][3] 후기 문헌에서는 인드라프라스타(오늘날 델리)와 하스티나푸라를 쿠루의 주요 도시로 언급한다.[4]쿠루족은 리그베다 시대 이후 베다 문학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시기 쿠루족은 초기 인도아리아인의 분파로 나타나 갠지스-야무나 도압과 오늘날의 하리아나주를 지배했다. 후기 베다 시대의 중심지는 펀자브에서 하리아나와 도압, 즉 쿠루족의 영역으로 이동했다.[5]
이러한 경향은 하리아나와 도압 지역에서 채문회색토기(Painted Grey Ware, PGW) 정착지의 수와 규모가 증가하는 것과 일치한다. 대부분의 PGW 지역은 작은 농촌 마을이었지만, 일부는 비교적 큰 정착지로 성장하여 마을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들 중 가장 큰 곳은 도랑이나 해자, 목책과 흙으로 만든 제방 등으로 요새화되었는데, 이는 기원전 600년 이후 대도시에 등장한 정교한 요새보다는 작고 단순했지만, 당대에는 상당한 규모의 방어 시설이었다.[6]

아타르바베다(XX.127)는 "쿠루족의 왕" 파리크시트를 번성하고 번영하는 왕국의 위대한 통치자로 칭송한다. 다른 후기 베다 문헌인 샤타파타 브라마나는 파리크시트의 아들 자나메자야를 아슈바메다(마사제)를 수행한 위대한 정복자로 기념한다.[7] 이 두 쿠루 왕은 쿠루 왕국의 안정화와 슈라우타 의식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후대의 전설과 전통(예: 마하바라타)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3. 2. 쇠퇴
쿠루족은 비베다계 살바족에게 패배한 후 쇠퇴하였고, 그 후 베다 문화의 중심은 동쪽으로, 오늘날 우타르프라데시 주에 위치한 판찰라로 이동하였다(케신 다르비야 왕은 쿠루 왕의 조카였다).[8] 후기 베다 산스크리트 문학에 따르면, 쿠루족의 수도인 하스티나푸라가 홍수[9]뿐만 아니라 쿠루 가문 자체의 격변으로 파괴되자 쿠루족은 훗날 하부 도압의 카우샴비로 천도했다.[10] 후기 베다 시대에 쿠루 왕조는 쿠루와 밧사로 분할되어 상부 도압/델리/하리아나와 하부 도압을 각각 지배했다. 쿠루 왕조의 밧사 분파는 카우샴비와 마투라에 분파했다.불교 자료에 따르면, 후기 베다 시대부터 쿠루는 유디슈티라 고트라에 속한 코라비야라는 족장에 의해 통치되는 소국이 되었다고 한다.[11] 쿠루의 주요 통치 왕조가 카우샴비로 옮겨간 후, 쿠루국은 여러 개의 소국들로 나뉘었는데, 인드라프라스타와 이슈카라에 있는 소국들이 가장 눈에 띄었다. 부처 시대에 이 소국들은 쿠루 가나상가(공화국)으로 대체되었다.
4. 사회
쿠루 왕국을 이해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사료는 베다이다. 베다에는 이 기간 동안의 삶에 대한 세부 사항과 역사적 인물 및 사건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12]
쿠루 왕국 또는 '쿠루프라데시'로 통합된 부족들은 대체로 반유목적, 목축적 부족들이었다. 그러나 정착지가 서부 갠지스 평원으로 이동하면서 쌀과 보리의 정착적 농업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 시기의 베다 문헌은 잉여 생산의 성장과 전문화된 장인의 출현을 나타낸다. 철은 이 시대의 문헌인 아타르바베다에서 스야마 아야사(श्याम आयस, 문자 그대로 "검은 금속")로 처음 언급되었다.
또 다른 중요한 발전은 리그베다 시대의 아리아인과 다사의 2중 체제를 대체한 4중 바르나(계급) 체계였다. 쿠루크셰트라구의 고고학적 조사는 기원전 1000년에서 600년 사이의 기간 동안 더 복잡한(아직 완전히 도시화되지는 않았지만) 3층 계층 구조를 밝혀냈는데, 이는 갠지스 계곡의 나머지 부분에 있는 2층 정착 패턴(일부 "보통의 중심지"와 대조적으로)으로 초기 국가의 출현을 시사한다.[12]
아리아 평민(바이샤)과 다사 노동자(수드라)를 지배했던 브라만 사제단과 크샤트리야 귀족은 별도의 계급으로 지정되었다.[13]
5. 종교
쿠루 왕국을 이해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사료는 베다이다. 베다에는 이 기간 동안의 삶에 대한 세부 사항과 역사적 인물 및 사건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1]
쿠루 왕국은 초기 베다 시대의 종교적 유산을 결정적으로 변화시켜 의식 찬가들을 베다라는 모음집으로 정리하고 새로운 의식을 개발하여 인도 문화에서 슈라우타 의식으로 자리 잡았다.[1] 베다 종교를 브라만교로 변형시켰고, 이는 결국 아대륙 전역으로 퍼져 지역 전통과 결합하여 힌두교를 형성했다.[2] 또한, 쿠루 왕국에서는 구전되던 베다를 성전으로 편찬하는 사업이 시작되었다.
6. 행정
쿠루 왕국을 이해하는 데 주요 사용되는 사료는 베다이다. 베다에는 이 시기 삶의 세부 사항과 역사적 인물 및 사건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2]
쿠루 왕들은 푸로히타(사제), 촌장, 세나파티(장군), 식량 배급자, 사절, 전령, 첩보원 등의 도움을 받아 통치했다. 이들은 약한 이웃 부족이나 평민들에게 의무적인 공물(발리)을 부과하고, 동쪽과 남쪽의 이웃들에 대한 빈번한 급습과 정복을 이끌었다. 왕들과 브라만 사제들은 베다의 찬송가를 모음집으로 정리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며 계급 질서를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의식(슈라우타 의식)을 개발했다. 높은 지위의 귀족들은 매우 정교한 희생제를 행할 수 있었고, 많은 푸자(제의)들은 왕의 지위를 백성들보다 높이는 역할을 했다. 아슈바메다는 강력한 왕이 북인도에서 자신의 지배를 주장하는 방법이었다.[2]
6. 1. 입법
쿠루에는 두 가지 유형의 입법부가 있었다.7. 마하바라타와의 관계
마하바라타는 기원전 1000년경 쿠루족의 두 분파 간의 충돌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러나 마하바라타에 기술된 구체적인 사건들이 역사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고고학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현존하는 마하바라타 텍스트는 대부분 기원전 400년에서 기원후 400년 사이에 만들어졌으며, 여러 층위의 발전을 거쳤다.[14] 마하바라타의 틀 이야기 내에서 역사적인 왕 파리크시트와 자나메자야는 쿠루족의 후손으로 등장한다.
야주르베다의 카타카 삼히타(기원전 1200년경-900년경)에는 리그베다 시대의 왕 수다스의 후손으로 드리타라슈트라 바이치트라비리야라는 역사적인 쿠루 왕이 언급되어 있다. 그의 소는 브라티야 고행자들과의 충돌로 인해 파괴되었다고 전해지지만, 이 베다 언급은 마하바라타가 그의 치세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한 것에 대해 확증을 제공하지 않는다.
『마하바라타』에는 '''쿠루 얀갈라''', '''쿠루 라슈트라''', '''쿠루크셰트라'''라는 세 개의 영역이 언급되어 있다.
- '''쿠루 얀갈라'''는 현재 하리아나 주 중부에서 서부에 걸쳐 있는 지역 (히사르 구·한시·로탁 구 부근)을 가리킨다.
- '''쿠루 라슈트라'''는 갠지스 강과 야무나 강 사이에 위치한 지역을 가리키며, 하스티나푸라를 중심 도시로 한다.
- '''쿠루크셰트라'''는 현재 하리아나 주 북부 지역 (카르날 구·타네사르·쿠루크셰트라 구·카이탈 구 부근)을 가리킨다.
『마하바라타』에 포함된 성전 『바가바드 기타』는 '''쿠루크셰트라'''에서의 판다바 5왕자와 카우라바 100왕자 사이의 쿠루크셰트라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쿠루 왕조 가계도는 "쿠루 왕조 가계도"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7. 1. 쿠루 왕조 가계도
다음은 마하바라타에 묘사된 쿠루 왕조의 신화적 가계도로, 혈통이 아닌 왕실과 가족 계승의 선을 보여준다. 신화적 가계도를 묘사한 것이기에 실제 역사와는 차이가 있다.[1]
'''심볼 키'''
'''주해'''
- '''a''': 샨타누는 쿠루 왕조 및 쿠루 왕국의 라자였으며, 일부 세대는 쿠루 왕국의 가계도에서 제거되었다. 그는 사티아바티와 결혼하기 이전에 강가와 결혼하였다.
- '''b''': 판두와 드리타라스트라는 비야사를 아버지로 두었는데, 비치트라비르야의 죽음 이후 비야사의 니요가 전통에 의해 드리타라스트라, 판두 및 비두라는 각각 암비카, 암발리카 및 하녀를 어머니로 두었다.
- '''c''': 카르나는 판두와 결혼하기 이전의 쿤티가 수리야에 의해 카르나를 잉태하며 태어났다.
- '''d''': 유디슈티라, 비마, 아르주나, 나쿨라와 사하데바는 판두의 아들로 인정받았지만 쿤티와 마드리의 다양한 신들의 부름으로 태어났으며, 모두 드라우파디와 결혼하였다.(가계도에 표시되지 않음).
- '''e''': 두료다나와 그의 형제자매는 동시에 태어났으며, 사촌인 판다바들과 같은 세대였다.
- '''f''' : 판다바들 이후의 계승자는 아르주나와 수바드라의 후손이었지만, 쿠루크셰트라 전투 이후 쿠루 왕국의 왕좌를 차지한 것은 유디슈티라와 드라우파디였다.
형제자매의 출생 순서는 출생 순서가 설명되지 않은 비야사 및 비슈마와 그 뒤에 태어난 비치트라비르야와 치트랑가다를 제외하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계도에 올바르게 표시된다. 암비카와 암발리카가 자매라는 사실은 가계도에 표시되지 않았으며, 두료다나의 탄생은 카르나, 유디슈티라 및 비마의 탄생 이후 나머지 판다바 형제가 태어나기 전에 이루어졌다.
여기에 표시된 캐릭터들 중 치트랑가다(비치트라비르야의 맏형)와 비두라(드리타라스트라와 판두의 이복형제)를 포함한 일부 형제는 명확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8. 초기 불교 문헌과의 관계
쿠루 왕국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사료는 베다이다. 베다에는 이 기간 동안의 삶에 대한 세부 사항과 역사적 인물 및 사건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
불교 자료에 따르면, 후기 베다 시대부터 쿠루는 유디슈티라 고트라에 속한 코라비야라는 족장에 의해 통치되는 소국이 되었다고 한다.[11] 쿠루의 주요 통치 왕조가 카우샴비로 옮겨간 후, 쿠루국은 여러 개의 소국들로 나뉘었는데, 인드라프라스타와 이슈카라에 있는 소국들이 가장 눈에 띄었다. 붓다 시대에 이 소국들은 쿠루 가나상가(공화국)으로 대체되었다.
쿠루국은 불교 경전인 『앙굿타라 니까야』에서 16대국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나 붓다가 생존했던 시대에는 영역이 상당히 축소되었고 정치적인 세력도 작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수도로 여겨지는 इन्द्रप्रस्त|인드라프라스타sa(팔리어: इन्दपत्त|인다팟타pi)와 하스티나푸르(산스크리트어: हस्तिनापुर|하스티나푸라sa, 팔리어: हत्थिनीपुर|핫티니푸라pi) 등 발달된 큰 도시들을 가지고 있었다.
유디슈티라의 후손이라고 칭하는 국왕 다난자야가 불전에 언급되어 있다. 왕족의 일부는 불교를 신봉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붓다는 쿠루국에서도 가르침을 전파했으며, 『마하사티팟타나 숫타』, 『마하니다나 숫타』, 『아넨자삿파야 숫타』, 『마간디야 숫타』, 『라타파라 숫타』, 『산마사 숫타』, 『두티야 아리야바사 숫타』 등은 쿠루국에서의 설법 기록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History Text Book, Part 1, India
National Council of Educational Research and Training
[2]
서적
Prāci-jyotī: Digest of Indological Studies
https://books.google[...]
Kurukshetra University.
1967-01-01
[3]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Penguin Books India
2010-01-01
[4]
서적
The Ganges In Myth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5]
서적
Settlements in the Yamuna-Hindon Doab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B.R. Publishing Corporation
2024-05-08
[6]
서적
The City in South Asia
https://archive.org/[...]
Routledge
[7]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From the Accession of Parikshit to the Extinction of the Gupta Dynasty
University of Calcutta
[8]
웹인용
About the District
http://kaushambhi.ni[...]
District Kaushambi, Uttar Pradesh, India
2016-05-08
[9]
웹인용
History of Art: Visual History of the World
http://www.all-art.o[...]
2016-05-08
[10]
웹인용
Political History of Uttar Pradesh
http://upgov.nic.in/[...]
[1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Pearson Education India
[12]
서적
Religion in Human Evolu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3]
인용
Śūdras in Ancient India: A Social History of the Lower Order Down to Circa A.D. 600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4]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Media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Longm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