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상전은 바둑에서 상대 돌의 활로를 막아 잡는 기술을 의미한다. 기본 원칙은 바깥쪽부터 활로를 메우는 것이며, 내부 다메는 마지막에 메운다. 수상전에는 활로, 자충, 양자충 등의 개념이 존재하며, 유가무가, 대궁소궁과 같은 특수한 형태도 나타난다. 고급 기술로는 버림돌 활용, 귀의 특수성 활용, 나카데 등이 있으며, 공격해서 잡는 방법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 용어 - 컴퓨터 바둑
컴퓨터 바둑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바둑을 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의미하며, 딥러닝 기술 발전으로 프로 기사를 이기고 바둑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바둑 용어 - 신포석
신포석은 기타니 미노루와 우칭위안이 1933년 창안하여 중앙을 중시하는 파격적인 바둑 포석 방법으로, 바둑계에 큰 영향을 주어 현대 바둑 포석 발전에 기여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수상전 | |
---|---|
개요 | |
종류 | 보드 게임의 한 종류인 바둑의 용어 |
설명 | 돌을 잡기 위한 싸움 |
관련 용어 | 패 빅 사활 |
2. 수상전의 기본 원칙
수상전에서 상대 돌의 활로를 막을 때에는 대개 바깥쪽부터 메우는 것이 원칙이다. 안쪽부터 메우면 자신의 활로를 함께 막는 꼴이 되어 불리해진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에서 흑 Δ와 백 Δ가 모두 완생하지 못한 상태에서 서로 잡으려고 할 때, 흑이 바깥쪽부터 메우면 이길 수 있다. 하지만 안쪽부터 메우면 자신의 활로를 함께 막는 꼴이 된다.
아래 그림에서 왼쪽 그림과 같이 흑 1로 안쪽의 '다메'를 먼저 메우면, 백 4까지 백이 이긴다. 그러나 오른쪽 그림과 같이 흑 1로 바깥쪽부터 공격하면, 흑 5까지 흑이 이긴다. 이 A와 같은 점을 '''내부 다메'''라고 한다. 내부 다메는 쌍방 공통의 '다메'이므로, 메우면 자신의 목을 조르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공배'에서는 먼저 외부 '다메'를 메운 다음, 내부 '다메'를 마지막에 두는 것이 옳다.
2. 1. 활로
돌이 살기 위해 필요한 빈 점을 의미한다. 수상전에서 상대 돌의 활로를 막을 때에는 대개 바깥쪽부터 메우는 것이 원칙이다.2. 2. 자충
자충은 자신의 활로를 스스로 메우는 수를 말하며, 보통 좋지 않은 수로 여겨진다.양자충은 활로가 양쪽에 있을 때, 상대방이 어느 쪽을 막아도 자충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자신의 수가 부족할 때 이 방법으로 상대방의 돌을 잡을 수 있다.
2. 3. 양자충
양자충(兩自充)은 양쪽 활로가 모두 막혀 자충수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활로가 양쪽에 있을 때 상대방이 어느 쪽을 막더라도 자충수에 몰리는 형태이다. 자신의 수가 부족할 때 이 방법으로 상대방의 돌을 잡을 수 있다.예를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이 흑 Δ가 귀에 몰려 죽기 직전인 상황을 생각해 보자. 흑은 백 Δ를 잡아서 살고 싶지만, 흑의 수가 부족하다.
이때, 아래 그림과 같이 흑이 두면 흑 Δ를 살릴 수 있다. 백은 흑을 잡기 위해 a 또는 b에 두어야 하지만, 양쪽 모두 백 자신도 단수에 몰리게 된다.
백이 흑 Δ를 잡으려면 c에 두어 꽉 이은 후 a로 들어가 단수를 쳐야 한다. 하지만 그 전에 흑이 백 Δ를 단수 칠 수 있으므로 흑 Δ는 잡히지 않는다.
3. 수상전의 특수 형태
수상전에서는 보통 집이 있는 쪽(유가)이 유리하고, 집이 없는 쪽(무가)은 불리하다. 이를 유가무가(有家無家)라고 한다. 하지만 양자충처럼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유가무가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양쪽 모두 집이 있는 경우에는 궁도(집의 크기)가 넓은 쪽이 유리하다는 대궁소궁 원칙이 적용된다. 하지만 궁도 밖의 활로가 메워지지 않았거나, 귀나 변의 특수한 상황에서는 이 원칙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3궁 이상 차이가 나야 대궁소궁이 효과를 발휘한다.
3. 1. 유가무가
수상전에서는 집이 있는 쪽(유가)이 집이 없는 쪽(무가)보다 유리하다. 이를 유가무가(有家無家)라고 한다. 집이 있는 쪽은 안쪽 활로를 상대방이 메워야 하므로, 보통 수상전에서 승리한다.하지만 예외적인 상황도 있다. 안쪽 활로가 없거나, 양자충 등의 특수한 형태에서는 유가무가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흑에게 한 집이 있고 백에게는 집이 없지만, 백에게도 집을 만들 공간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흑이 백이 집을 만들지 못하게 해야 하지만, 백이 먼저 집을 만들면 오히려 흑이 몰리게 된다. 흑이 바깥쪽 활로를 봉쇄하더라도 빅이 되어 백을 잡을 수 없다.
또한, 흑이 유가무가로 이길 것 같지만, 흑선이어도 백이 이기는 경우가 있다. 흑이 백의 바깥쪽 활로를 모두 막기 전에, 백이 안쪽 활로를 먼저 차단하러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양자충으로 인해 유가무가의 효과를 볼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흑은 양쪽에 집이 있지만, 백은 집이 없는 두 개의 돌만 고립되어 있다. 하지만 흑은 백을 잡을 수 없다. 흑이 먼저 공격하면 자충이 되어 백에게 잡히고, 백이 먼저 공격하면 흑이 반대쪽을 공격하여 백을 잡고 두 집을 내고 산다. 따라서 이 모양은 빅이 된다.
3. 2. 대궁소궁
양쪽 모두 집이 있는 경우, 궁도(집의 크기)가 넓은 쪽이 수상전에서 유리하다는 원칙이다. 단, 궁도 밖의 활로가 다 메워지지 않았거나, 귀나 변의 특수한 상황에서는 대궁소궁의 효과가 없을 수 있다. 3궁 이상 차이가 있어야 대궁소궁이 제대로 효과를 본다.아래는 대궁소궁의 다른 예이다.
- - 귀곡사와 비슷하다.
- - 흑 3으로 응수할 때, 백 4로 단수를 침과 동시에 3궁 모양을 만든다. 흑 5로 따내도, 백은 치중하여 2궁 모양을 만들어 흑을 잡을 수 있다.
4. 수상전의 고급 기술
수상전에서는 기본적인 수읽기 외에도 다양한 고급 기술들이 활용된다.
- 내부 다메: 쌍방 공통의 활로 중 안쪽에 있는 활로를 의미하며, 마지막에 메워야 한다. 안쪽 다메를 먼저 메우면 자신의 활로가 줄어들어 불리해진다.
- 버림돌 활용: 불리한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돌을 버려 상대방의 수를 줄이고 자신의 수를 늘리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수상전에서 역전을 노릴 수 있다.
- 귀의 특수성 활용: 귀는 변에 비해 활로가 제한적이므로, 젖힘 등의 수단을 활용하면 수상전에서 유리하게 이끌 수 있다.
- 나카데(中手): 상대방의 집 안에 돌을 놓아 활로를 줄이는 기술이다. "삼·3, 사·5, 오·8, 육·12"로 외워두면 편리하다.
4. 1. 내부 다메
쌍방 공통의 활로 중 안쪽에 있는 활로를 의미하며, 마지막에 메워야 한다.왼쪽 그림에서 흑 1로 안쪽의 '다메'를 먼저 메우면, 백 4까지 백의 '공배' 승리가 된다. 그러나 오른쪽 그림과 같이 흑 1로 바깥쪽부터 공격하면, 흑 5까지 흑의 승리가 된다. 이 A와 같은 점을 "'''내부 다메'''"라고 한다. 내부 다메는 쌍방 공통의 '다메'이므로, 메우면 자신의 목을 조르는 결과가 된다. '공배'에서는 먼저 외부 '다메'를 메운 다음, 내부 '다메'를 마지막에 두는 것이 옳다.
4. 2. 버림돌 활용
수상전에서 불리한 상황일 때, 의도적으로 돌을 버려 상대방의 수를 줄이고, 자신의 수를 늘리는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이 백 차례일 경우, 아무런 노력 없이 흑의 수를 메우면 한 수 차이로 지게 된다.
그러나 백은 위의 그림 1의 호리코미가 수읽기이다. 흑2로 따내게 하고 백3으로 붙여서, 이 다음에 역전하여 한 수 이기게 된다.
흑4 쓰기 (1의 점)
이와 같이 희생타를 이용함으로써, 수순을 빠르게 메울 수 있는 경우가 있다.
4. 3. 귀의 특수성 활용
좌측 그림에서는 △가 붙은 돌끼리 공격하지만, 흑 2수에 백 3수이므로 평범하게 두면 백이 이긴다. 그러나 우측 그림의 흑 1로 젖힘이 좋은 수로, 백 2·흑 3으로 메웠을 때 백은 A도 B도 두면 바로 잡히므로 흑이 이기게 된다.4. 4. 나카데(中手)
상대방의 집 안에 돌을 놓아 활로를 줄이는 기술이다. 나카데의 수 계산법은 "삼·3, 사·5, 오·8, 육·12"로 외워두면 편리하다.예를 들어 흑1로 놓고 수상전에 돌입하는 경우, 흑의 외부 댐은 5수이다.
댐을 메우고, 흑5가 된 시점에서 아타리이므로 백6으로 일단 따낸다.
다시 흑7로 나카데하고, 흑9로 메워 한 수 이기게 된다. 즉, 네 수 나카데의 수는 나카데하는 수를 포함하여 5수가 된다.
마찬가지로, 세 수 나카데는 3수, 다섯 수 나카데는 8수, 여섯 수 나카데는 12수가 걸린다. 묶어서 "삼·3, 사·5, 오·8, 육·12"로 외워두면 편리하다.
5. 수상전과 관련된 기타 개념
수상전은 상대방 돌을 먼저 잡기 위한 일종의 '경주'와 같은 형태이다.
5. 1. 공격해서 잡기
수상전은 상대방을 먼저 잡기 위한 "경주"와 같은 형태의 문제이다. 이 문제에서 흑과 백 모두 넉 점의 활로를 가지고 있으며, 흑의 차례이다. 흑의 최선의 응수에도 불구하고, 백의 다섯 수의 돌은 흑보다 한 개의 활로가 더 많다. 결국 흑이 코 협박을 하더라도, 백은 흑의 네 개의 돌을 잡을 수 있다.그림의 상태에서 △의 백돌은 그대로 잡히지만, 백이 a의 자리에 겯침을 하면 사활의 형태가 된다. 따라서 흑은 b에 수를 두어 이 돌을 띄워야 한다. 즉, 자신의 땅에 3수를 넣게 되어 3집 손해가 된다. 이처럼 활로를 메워 잡아야 하는 상태를 "공격해서 잡기"라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