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안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수안군은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성천군에서 분리되어 12개 면으로 구성되었다. 수안면, 공포면, 대성면, 대오면, 도소면, 수구면, 연암면, 율계면, 천곡면 등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은 여러 개의 리(里)를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연백군 (대한민국 황해도)
연백군은 1945년 미소 분할 점령 후 경기도에 편입되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고, 해방 당시 38선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뉘었다가 북한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어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속한다. - 황해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옹진군 (대한민국 황해도)
옹진군(대한민국 황해도)은 한반도 분단으로 경기도에 편입된 황해도 군으로, 한국 전쟁 후 일부 섬 지역만 대한민국 관할로 남고 나머지는 북한 관할이 되어 남북으로 분단되었으며, 1945년 당시 옹진읍과 10개 면, 그리고 벽성군에서 편입된 3개 면으로 구성되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수안군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수안군 | |
| 유형 | 군 |
| 국가 | 대한민국 |
| 지역 | 황해도 |
| 지방관청 | 이북5도위원회 |
| 군수 | 최영배 |
| 지리 | |
| 면적 | 1,215 |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
| UTC | +09:00 |
| 인구 | |
| 인구 | 알 수 없음 |
| 세대 | 알 수 없음 |
| 인구 밀도 | 알 수 없음 |
| 언어 | |
| 공용어 | 한국어 |
| 지역어 | 황해 방언 |
2. 행정 구역 (1914년 ~ 현재)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성천군은 아래와 같이 12개 면으로 구성되었다.
- 수안면(遂安面)에는 창후(倉後), 석교(石橋), 용담(龍潭), 수촌(秀村), 자의(慈儀), 옥현(玉峴), 용정(龍亭), 수류(水柳), 괴엽(槐葉), 소촌(蘇村), 갈치(葛峙), 하유(下有), 하오(下烏), 외암(外岩)의 14개 리가 있다.
- 공포면(公浦面)은 마산(馬山), 대달(大達), 방화(芳花), 비정(飛井), 영천(永川), 하회(下回), 기내(岐內), 육잠(六岑), 반천(飯泉), 송전(松田), 송산(松山) 등 11개 리를 관할한다.
- 대성면(大城面)에는 도하(陶河), 좌도(佐桃), 건상(件上), 재동(齋洞), 내덕(內德), 월연(月淵), 광수(廣水), 덕문(德文), 위라(位羅), 철령(鐵嶺), 대촌(大村), 미산(眉山) 등 12개 리가 있다.
- 대오면(大梧面)은 남정(楠亭), 사창(社倉), 동산(銅山), 낙현(樂峴), 원신(遠新), 경도(敬道), 시리원(柴里院), 수치(秀峙), 하조양(下朝陽), 상조양(上朝陽), 옥원(玉原) 등 11개 리를 관할한다.
- 도소면(道所面)에는 옥검(玉儉), 금화(金花), 생검(生儉), 대두(大斗), 송촌(松村), 용두(龍頭), 용천(龍川), 흥덕(興德) 등 8개 리가 있다.
- 수구면(水口面)은 석달(石達), 보광(寶光), 사치(沙峙), 석현(石峴), 신현(新峴), 덕암(德岩), 임강(臨江), 대강(大江), 군치(軍峙), 유현(楡峴) 등 10개 리를 관할한다.
- 연암면(延岩面)에는 율(栗), 상암(祥岩), 보전(寶田), 봉곡(鳳谷), 소채(所彩), 연금(延金), 양곡(暘谷), 하대(下大), 상대(上大) 등 9개 리가 있다.
- 율계면(栗界面)에는 지석(芝石), 회석(檜石), 당치(堂峙), 시래(時來), 웅동(雄洞), 수동(守洞), 심적(深寂), 신평(薪坪), 금촌(金村) 등 9개 리가 있다.
- 천곡면(泉谷面)에는 평원(坪原), 성교(星橋), 내금(內金), 유촌(柳村), 대정(大靜), 용현(龍峴), 총막(葱幕), 달촌(達村), 조전(鳥田), 주암(舟岩), 상구(上九), 옥련(玉蓮) 등 12개 리가 있다.
2. 1. 수안면 (遂安面)
수안면(遂安面)에는 창후(倉後), 석교(石橋), 용담(龍潭), 수촌(秀村), 자의(慈儀), 옥현(玉峴), 용정(龍亭), 수류(水柳), 괴엽(槐葉), 소촌(蘇村), 갈치(葛峙), 하유(下有), 하오(下烏), 외암(外岩)의 14개 리가 있다.2. 2. 공포면 (公浦面)
공포면(公浦面)은 마산(馬山), 대달(大達), 방화(芳花), 비정(飛井), 영천(永川), 하회(下回), 기내(岐內), 육잠(六岑), 반천(飯泉), 송전(松田), 송산(松山) 등 11개 리를 관할한다.2. 3. 대성면 (大城面)
도하(陶河), 좌도(佐桃), 건상(件上), 재동(齋洞), 내덕(內德), 월연(月淵), 광수(廣水), 덕문(德文), 위라(位羅), 철령(鐵嶺), 대촌(大村), 미산(眉山) 등 12개 리가 있다.2. 4. 대오면 (大梧面)
대오면(大梧面)은 남정(楠亭), 사창(社倉), 동산(銅山), 낙현(樂峴), 원신(遠新), 경도(敬道), 시리원(柴里院), 수치(秀峙), 하조양(下朝陽), 상조양(上朝陽), 옥원(玉原) 등 11개 리를 관할한다.2. 5. 도소면 (道所面)
도소면(道所面)에는 옥검(玉儉), 금화(金花), 생검(生儉), 대두(大斗), 송촌(松村), 용두(龍頭), 용천(龍川), 흥덕(興德) 등 8개 리가 있다.2. 6. 수구면 (水口面)
수구면(水口面)은 석달(石達), 보광(寶光), 사치(沙峙), 석현(石峴), 신현(新峴), 덕암(德岩), 임강(臨江), 대강(大江), 군치(軍峙), 유현(楡峴) 등 10개 리를 관할한다.2. 7. 연암면 (延岩面)
연암면(延岩)에는 율(栗), 상암(祥岩), 보전(寶田), 봉곡(鳳谷), 소채(所彩), 연금(延金), 양곡(暘谷), 하대(下大), 상대(上大) 등 9개 리가 있다.2. 8. 율계면 (栗界面)
율계면(栗界面)에는 지석(芝石), 회석(檜石), 당치(堂峙), 시래(時來), 웅동(雄洞), 수동(守洞), 심적(深寂), 신평(薪坪), 금촌(金村) 등 9개 리가 있다.2. 9. 천곡면 (泉谷面)
천곡면(泉谷面)에는 평원(坪原), 성교(星橋), 내금(內金), 유촌(柳村), 대정(大靜), 용현(龍峴), 총막(葱幕), 달촌(達村), 조전(鳥田), 주암(舟岩), 상구(上九), 옥련(玉蓮) 등 12개 리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