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하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원(水源)은 하천, 호수, 지하수 등 물이 발생하는 근원을 의미한다. 수원은 천수, 지표수, 지하수로 분류되며, 지표수는 하천수, 호소수, 저수지 수로 나뉜다. 수원의 위치는 강의 상류 지역에 해당하며, 수원 선정 시 수량, 수질, 위치 등을 고려해야 한다. 국제적으로는 강의 가장 먼 발원지를 수원으로 간주하며, 일본에서는 부표를 설치할 때 수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 - 유역
유역은 분수계를 경계로 빗물이 모여 하천을 이루는 지역으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홍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다. - 강 - 급류
급류는 얕은 수심과 암석 노출로 특징지어지는 지형으로, 물이 바위를 넘으며 흰색 물보라를 일으키고 수질을 개선하며, 경사, 유량, 수축 등 물리적 요인에 따라 난이도 등급이 나뉘어 래프팅과 같은 스포츠 활동에 이용된다. - 상하수도 공학 - 저수지
저수지는 수력 발전, 수자원 관리, 농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공 시설로,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다양한 수위 기준과 용량 산정 방법을 가지고 건설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환경영향, 댐 붕괴 위험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운영 및 관리된다. - 상하수도 공학 - 펌프
펌프는 공기나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기계이며, 진공과 고압을 이용해 작동하고, 원심 펌프, 기어 펌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효율, 양정, 유량 등으로 성능을 평가하여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수원 (하천) | |
---|---|
개요 | |
정의 | 강의 시작점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본류, 지류 |
2. 수원의 종류
- 천수(天水): 빗물이 주를 이룬다.
- 지표수: 하천수, 호소수, 저수지 수를 말한다.
- 지하수: 천층수, 심층수, 복류수, 용천수를 말한다.[2] 지표수에 비해 부유물질, 유기물 등에 의한 오염이 적지만, 광물질 함량은 높다.[3]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강의 길이를 "하구에서 가장 먼 발원지(하천 이름과 관계없이)까지의 거리 또는 하구에서 흔히 수원이라고 알려진 하천의 발원지까지의 거리"로 정의한다.[1]

대부분의 강은 여러 지류를 가지며 이름이 자주 바뀌므로, 가장 긴 지류 또는 줄기를 수원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강의 수원은 강어귀에서 유역까지 물이 일 년 내내 흐르는 가장 먼 지점(영속 하천)이거나, 일시적으로 흐르는 가장 먼 지점(단속 하천)을 기준으로 한다.[2] 스미소니언 협회의 앤드루 존스턴은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가 아마존 강이나 나일 강의 수원을 찾을 때 이 정의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몬태나 주는 강 수원이 합류점이 아닌, "해당 강이 끝나는 지점에서 물의 거리로 가장 먼 위치"라고 정의한다.[3]
호수나 지류 합류점은 강의 수원일 수 없지만, 강의 시작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은 나일 강의 수원을 빅토리아 호수 출구가 아닌, 카게라 강의 수원으로 본다.[4]

습지가 가장 먼 지류의 발원지인 경우, 습지의 가장 위쪽 또는 가장 먼 부분이 진정한 발원지가 된다.
지류는 그늘, 최근 녹은 얼음이나 눈으로 인해 차가운 작은 개울인 경우가 많고, 빙하가 녹아 형성된 빙하 지류일 수도 있다.
지류 지역은 유역 출구와 반대되는 유역 상류 지역이다. 강의 발원지는 종종 유역 가장자리나 유역 분기점이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콜로라도 강 발원지는 북아메리카 대륙 분기점(Continental Divide)에 있다.
'발원하다'는 동사는 강의 기원 지역을 표현할 때 장소 부사구와 함께 사용된다. '발원지'는 강, 하천이 아닌 호수의 유입을 의미한다.[7][8]
2. 1. 천수
천수는 빗물이 주를 이룬다.[1]2. 2. 지표수
지표수는 하천수, 호소수, 저수지 수를 말한다.[1] 하천수는 계절에 따른 수질 변화가 가장 큰 수원이다.[2] 하천에서 취수하는 것은 용이하며, 대량으로 취수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3]하천의 수질은 상류일수록 양호하며, 하류일수록 인위적으로 오탁을 받는 경우가 많다.[3] 상류에 저수지나 호소가 있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직접 받기 쉽다.[3] 수질이나 수량이 변하기 쉽고, 강우 시에는 탁도 등 수질이 악화되기 쉽다.[3] 용존 산소는 비교적 많고, 경도는 일반적으로 낮은 경향이 있다.[3]
취수는 하천과 마찬가지로 용이하지만, 수량은 하천 이상으로 안정적이다.[4] 일반적으로 하천보다 수질이 좋은 경향이 있는데, 이는 정수(靜水)에서 자정 작용의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5] 다만, 일단 수질이 악화되면 회복에 시간이 걸린다.[4] 호안(湖岸)보다 호심(湖心) 쪽이 수질이 더 좋다.[5] 호소(湖沼) 내부에서는 물의 순환이 있으며, 춘추는 물이 탁해지기 쉽고, 하동(夏冬)은 물이 투명해지기 쉽다.[5] 유입 하천이나 바람에 의해 수질이 변하기 쉽고,[5] 영양염류가 유입될 경우 부영양화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4]
2. 3. 지하수
지하수는 천층수, 심층수, 복류수, 용천수를 말한다.[1] 부유물질, 유기물 등에 의해 오염된 정도가 지표수에 비해 작다. 단, 광물질은 많이 포함되어있다.[2]지하수는 자유 지하수(얕은 층의 물), 피압 지하수(깊은 층의 물), 용수, 복류수로 크게 분류된다.[3]
2. 4. 해수
지구상 물의 97%는 해수가 차지하고 있지만, 공업 기술을 사용하여 담수를 얻을 수 있다.[1]3. 수원의 위치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강의 길이를 "하구에서 가장 먼 발원지(하천 이름과 관계없이)까지의 거리 또는 하구에서 흔히 수원이라고 알려진 하천의 발원지까지의 거리"로 정의한다.[1] 대부분의 강은 수많은 지류를 가지고 있으며 이름을 자주 바꾸는데, 이 경우 가장 긴 지류 또는 줄기를 수원으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해당 수로가 지역 지도 및 현지에서 어떤 이름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적용된다.
이러한 수원 정의는 강어귀에서 유역까지 수로를 따라 일 년 내내 물이 흐르는 가장 먼 지점(영속 하천)을 사용하거나, 물이 일시적으로 흐를 수 있는 가장 먼 지점을 사용한다.[2] 스미소니언 협회의 지리학자 앤드루 존스턴이 제시한 이 정의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가 아마존 강이나 나일 강과 같은 강의 수원을 찾을 때 사용된다.
이 정의에 따르면 호수(유입이 없는 호수 제외)나 지류의 합류점은 강의 진정한 수원이 될 수 없지만, 이 둘은 종종 단일 이름을 가진 강의 시작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은 나일 강의 수원을 빅토리아 호수의 출구가 아닌, 호수로 흐르는 가장 큰 강인 카게라 강의 수원으로 본다.[4] 아마존 강의 수원 역시 강의 흐름에 따라 이름이 여러 번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이 방식으로 결정되었다.[4] 반면, 영국의 템스 강의 수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더 긴 지류인 천 강이 아닌 템스 강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 전통적이다.[5]
가장 먼 지류의 발원지가 습지와 같은 지역에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습지의 가장 위쪽 또는 가장 먼 부분이 진정한 발원지가 된다. 티스 강의 발원지가 바로 습지이다.
가장 먼 지류를 지류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류는 그늘과 최근에 녹은 얼음이나 눈으로 인해 물이 차갑고 작은 개울인 경우가 많으며, 빙하 얼음이 녹아 형성된 물인 빙하 지류일 수도 있다.
지류 지역은 유역의 유출구와 반대되는 유역의 상류 지역이다. 강의 발원지는 종종 유역의 가장자리 또는 유역 분기점에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콜로라도 강의 발원지는 북아메리카의 대서양과 태평양 유역을 나누는 대륙 분기점에 있다.
4. 수원 선정 시 고려 사항
- 수량이 풍부해야 한다. 최대 갈수기에도 계획 취수량만큼의 취수가 가능해야 한다.
- 수질이 양호하고 잠재적인 오염원이 없거나 적어야 한다.
- 수도 소비자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야 한다.
- 수도 소비자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한다. 자연 유하식의 취수, 배수가 가능한 곳이 좋다.[7]
5. 대한민국의 상수원
대한민국의 하천은 상수원으로 사용될 때 BOD, pH, SS, DO, 대장균 군수 등 여러 수질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하천의 수질은 상류일수록 양호하며, 하류일수록 인위적인 오탁을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류에 저수지나 호수가 있으면 그 영향을 직접 받기 쉽고, 강우 시에는 탁도 등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용존 산소는 비교적 많고, 경도는 일반적으로 낮다.[1]
5. 1. 수질 기준
수질 기준을 따지는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BOD는 1급의 경우 1mg/L 이하, 2급의 경우 3mg/L 이하, 3급의 경우 5mg/L 이하이어야 각각의 수질 기준을 만족한다. 그 외에 pH, SS, DO, 대장균 군수를 지표로 사용한다.하천의 수질은 상류일수록 양호하며, 하류일수록 인위적으로 오탁을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류에 저수지나 호소가 있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직접 받기 쉽다.
수질이나 수량이 변하기 쉽고, 일반적으로 강우 시에는 탁도 등 수질이 악화되기 쉽다. 용존 산소는 비교적 많고, 경도는 일반적으로 낮은 경향이 있다.
5. 2. 수질 관리
하천의 수질은 상류로 갈수록 좋고, 하류로 갈수록 인위적인 오탁을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류에 저수지나 호수가 있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직접 받기 쉽다. 수질이나 수량이 변하기 쉽고, 일반적으로 비가 올 때는 탁도 등 수질이 나빠지기 쉽다. 용존 산소는 비교적 많고, 경도는 일반적으로 낮은 경향이 있다.[1]6. 국제적 수원 정의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강의 길이를 "하구에서 가장 먼 발원지(하천 이름과 관계없이)까지의 거리 또는 하구에서 흔히 수원이라고 알려진 하천의 발원지까지의 거리"로 정의한다.[1] 대부분의 강은 수많은 지류를 가지고 있으며 이름을 자주 바꾸는데, 이 경우 가장 긴 지류 또는 줄기를 수원으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해당 수로가 지역 지도 및 현지에서 어떤 이름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적용된다.
강의 수원은 강어귀에서 유역까지 수로를 따라 일년 내내 물이 흐르는 가장 먼 지점(연중 하천)을 사용하거나, 물이 일시적으로 흐르는 가장 먼 지점을 사용한다.[2] 스미소니언 협회의 지리학자 앤드루 존스턴은 이 정의를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가 아마존 강 또는 나일 강과 같은 강의 수원을 찾을 때 사용한다고 언급했다. 몬태나 주는 강 수원이 절대 합류점이 될 수 없으며, "해당 강이 끝나는 지점에서 물의 거리로 가장 먼 위치"라고 정의한다.[3]
이 정의에 따르면 호수나 지류의 합류점은 강의 진정한 수원이 될 수 없지만, 이들은 종종 단일 이름을 가진 강의 시작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나일 강의 수원을 빅토리아 호수의 출구가 아닌, 호수로 흐르는 가장 큰 강인 카게라 강의 수원으로 간주한다.[4] 반면, 영국의 템스 강의 수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더 긴 지류인 천 강이 아닌 템스 강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 전통적이다.[5]
강 길이를 고려하지 않을 때는 다른 정의가 사용될 수 있다. 미주리 강의 수원은 일부 USGS 및 기타 연방/주 정부 기관에 의해 매디슨 강과 제퍼슨 강의 합류점으로 정의된다.[3] 그러나 미국 육군 공병대의 USGS 사이트 관리자는 "[지리학자]는 일반적으로 강과 하천의 수원을 식별하기 위해 가장 긴 지류를 따른다"고 언급하며, 이는 일반적인 정의와 모순된다.[6]
7. 일본의 수원 정의
국제항로표지협회는 1980년 부표 특별 회의에서 부표 색깔을 "수원을 향해 왼쪽은 녹색", "수원을 향해 오른쪽은 빨간색"으로 정했다.[1] 여기서 "수원"은 강의 경우 가장 상류의 물이 나오는 곳을, 항구나 만 등에서는 바다에서 가장 안쪽으로 들어간 곳을 뜻한다.[1] 일본 열도 연안과 섬에서는 부표 색깔을 정하기 위해 특정 지점을 "수원"으로 정해야 하는데, 일본에서는 편의상 요나구니 섬을 "일본 열도 연안부의 수원"으로 정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Water Fact Sheet {{!}} Largest Rivers in the United States
https://pubs.usgs.go[...]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4-10-12
[2]
웹사이트
Explorers Pinpoint Source of the Amazon
https://web.archive.[...]
2000-12-21
[3]
간행물
The True Utmost Reaches of the Missouri
https://fwp.mt.gov/b[...]
Montana Department of Fish, Wildlife and Parks
2024-10-12
[4]
뉴스
IBGE joins group in search of the true source of the Amazon River
https://web.archive.[...]
Brazilian Institute of Geography and Statistics
2007-05-22
[5]
뉴스
Could the River Thames be longer than the River Severn?
https://www.bbc.co.u[...]
2024-10-12
[6]
웹사이트
Rediscovering Missouri River Connections {{!}} Program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7]
웹사이트
Pacific Southwest, Region 9 {{!}} Air Actions, California {{!}} Owens Valley Particulate Matter Plan Q & A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8]
논문
Limnological investigations in Lake San Pablo
https://web.archive.[...]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2005-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