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질은 물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이다. 수질은 용도에 따라 기준이 다르며, 오염된 물은 수인성 질병과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수질 측정 및 평가는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며, 측정 결과는 수질 기준과 비교하여 상태를 판단한다. 한국의 경우 환경기초시설 확충으로 수질이 개선되었지만, 개선 정도는 둔화되었으며, 상수원, 하천, 호소, 먹는 물 등 각기 다른 수질 관리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다른 국가들도 각자의 수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는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 관리 - 수자원
수자원은 인간과 생태계에 필수적인 담수를 포함하며 표층수, 지하수, 빙하 등의 형태로 존재하고, 물 부족, 수질 오염 등의 문제로 인해 통합 물 관리와 지속 가능한 물 관리를 통해 물 사용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진다. - 물 관리 - 상수도
상수도는 음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적합하게 정화된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취수, 도수, 정수, 송수, 배수, 급수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한국에서는 높은 보급률을 달성했지만 노후관 교체 및 수질 관리 강화 등의 과제를 안고 있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 수질 지표 - 마이크로시스틴
마이크로시스틴은 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는 독소로, 간독성을 유발하여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식수 오염과 농작물 전이 등을 통해 노출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 수질 지표 - 녹조
녹조는 하천이나 호수에서 영양분 과다, 수온 상승, 일조량 증가 등의 조건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예방을 위해 영양염류 유입 감소, 유속 유지, 수온 조절이 중요하며, 발생 시 응급 처치로 황산 구리나 황토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 환경과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환경과학 - 소수성
소수성은 물을 기피하는 성질로, 생물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미셀 형성, 단백질 구조 형성, 초소수성 현상 등과 관련되어 자가 세척, 랩온어칩, 제약 분야 등에 응용된다.
수질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물의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특성을 설명하는 용어 |
중요성 | 인간의 건강, 생태계 기능, 경제 활동에 중요한 영향 |
평가 기준 | 다양한 목적(음용, 관개, 산업 등)에 따라 평가 기준이 다름 |
수질 평가 지표 | |
물리적 지표 | 온도 탁도 색도 냄새 |
화학적 지표 | pH 용존 산소 (DO)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영양염류 (질소, 인) 중금속 유기 오염 물질 농약 |
생물학적 지표 | 총 대장균군 분원성 대장균군 기타 미생물 생물학적 지수 (예: 생물다양성 지수) |
수질 표준 | |
국제 표준 | 세계 보건 기구 (WHO) 음용수 수질 가이드라인 |
국가별 표준 | 각국 환경 법규 및 규정에 따른 수질 기준 |
용도별 표준 | 음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환경 보호 등 용도에 따른 수질 기준 |
수질 오염 | |
오염원 | 점오염원 (하수 처리장, 공장 폐수) 비점오염원 (농경지 유출수, 도시 빗물) |
주요 오염 물질 | 유기물 영양염류 중금속 독성 화학 물질 미생물 플라스틱 |
오염 영향 | 인간 건강 문제 (수인성 질병) 생태계 파괴 (생물 다양성 감소) 수자원 이용 제한 |
수질 관리 | |
정책 및 법규 | 수질 환경 기준 설정 및 관리 오염 물질 배출 규제 환경 영향 평가 |
수처리 기술 | 정수 처리 (응집, 침전, 여과, 소독) 하수 처리 (생물학적 처리, 화학적 처리) 고도 처리 |
모니터링 및 평가 | 정기적인 수질 측정 및 분석 오염원 추적 및 관리 수질 개선 계획 수립 및 시행 |
수질 관련 용어 | |
용존 산소 (DO) |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 |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BOD) |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산소량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 화학적 산화제가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데 필요한 산소량 |
부영양화 | 영양염류 과다로 인한 조류 증식 및 수질 악화 현상 |
총 대장균군 |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에 서식하는 세균의 지표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미국 지질 조사국(USGS)의 물 품질 입문서 세계 보건 기구(WHO) 음용수 품질 가이드라인 일본 육수학회 |
2. 수질의 정의 및 중요성
수질은 물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맑고 깨끗한 물은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먹는 물 수질의 중요성과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이는 수질 보호 및 관리 강화로 이어졌다.[4] 미세 플라스틱, 과불화화합물, 항생제 내성과 같은 새로운 수질 문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4]
수질 기준은 물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주로 식수, 산업 및 생활 용수, 또는 환경 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준으로 나뉜다.[5]
수질을 평가하는 구체적인 지표로는 물에 용해된 물질의 농도 외에도 수온, pH, 전기전도도 등이 있다.
- '''수온'''은 물에 포함된 기체와 고체의 용해도, 그리고 식물과 미생물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한 요소이다.
- '''pH'''는 물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 여부를 나타내며, 물속 물질의 용존 상태에 큰 영향을 준다.
- '''전기전도도'''는 물속에 녹아 있는 이온 물질의 총량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순수한 물은 전기전도성이 낮지만, 용존 물질(특히 이온 물질)이 많아지면 전기전도성이 높아진다.
이 외에도 호소나 오염된 하천에서는 용존산소량 측정이 중요하며, 투명도, 시정거리, 물의 색깔 등도 수질 측정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물에 녹아 있는 이온 중 칼슘(Ca2+)과 마그네슘(Mg2+)은 물의 세기에 영향을 주어 비누의 세척 작용을 방해하거나 보일러 등에 침전물을 형성할 수 있다.[13]
2. 1.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먹는 물 수질의 중요성과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이는 수질 보호 및 관리 강화로 이어졌다.[4]수질과 건강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는 계속해서 깊어지고 있다. 감염병의 만성적 영향으로 인한 아동의 발육부전 문제부터, 망간과 같이 잘 알려진 오염 물질이 아동의 신경독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증거가 늘어나는 등 새로운 건강 위협이 부각되고 있다.[4] 또한, 미세 플라스틱, 과불화화합물, 항생제 내성과 같은 새로운 수질 문제도 다수 등장했다.[4]

정수되지 않은 물에는 바이러스, 원생동물, 세균과 같은 미생물, 염이나 금속과 같은 무기 화합물, 산업 공정 및 석유 사용으로 인한 유기 화합물, 살충제 및 제초제, 그리고 방사성 오염 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질은 지역의 지질 및 생태계뿐만 아니라, 하수 배출, 산업 오염, 수역의 과도한 사용(수위 저하 가능성)과 같은 인간 활동에 따라 달라진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미국 상수도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수돗물 내 특정 오염 물질의 양을 제한한다.[6] 안전한 식수법에 따라 EPA는 두 가지 기준을 설정한다. '일차 기준'은 인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을 규제하며[7][8], '이차 기준'은 맛, 냄새, 외관 등 심미적 특성을 규정한다.[9] 미국 식품의약국(FDA) 역시 생수 내 오염 물질 한계를 설정한다.[10] 일반적으로 식수에는 소량의 오염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것이 반드시 건강상의 위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 세계의 도시화된 지역에서는 정수 기술을 이용해 지표수나 지하수에서 오염 물질을 제거한 후 가정, 사업체 등에 공급한다. 하지만 개울, 호수, 대수층에서 직접 얻은 물은 처리되지 않으면 음용 적합성을 보장하기 어렵다.[3]
오염된 식수로 인한 부담은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취약한 인구에게 불균형적으로 집중된다.[11] 깨끗한 식수 접근성이 낮은 지역 사회는 콜레라, 설사, 이질, A형 간염, 장티푸스, 소아마비와 같은 수인성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12] 이러한 지역은 주로 저소득 지역에 위치하며, 처리되지 않은 인간의 폐수가 인근 배수로나 지표수로 흘러 들어가거나 농업용수로 사용되기도 한다.

지진이나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 발생 후에는 구호 단체들이 기본적인 기반 시설 복구와 필수품 제공을 위해 즉각적인 구호 활동을 시작한다.[26]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많은 사람이 밀집하여 생활하게 되면서 질병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27] 재난 상황에서는 대변 오염의 세균 지표, 유리 염소 잔류량, pH, 탁도, 전기 전도도/총 용존 고형물 등이 주요 수질 검사 지표가 된다.[28][29]
자연재해 이후 수질이 재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이후 국제 물 관리 연구소(IWMI)의 조사 결과, 염수로 오염된 우물이 해일 이전의 식수 수질로 회복되는 데 1년 반이 걸렸다.[30] IWMI는 염수에 오염된 우물을 정화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이는 이후 세계보건기구(WHO)의 비상 지침으로 채택되었다.[31]
2. 2.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환경 수질'''은 '''주변 수질'''이라고도 하며, 호수, 강, 바다와 같은 수역의 수질 상태를 의미한다.[16] 지표수의 수질 기준은 해당 수역의 환경 조건, 서식하는 생태계, 그리고 인간의 이용 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수질 오염은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물속에 유독 물질이나 특정 미생물이 과도하게 존재할 경우, 이는 관개, 수영, 낚시, 래프팅, 보트 타기, 산업 용수 사용 등 인간 활동에 건강상 위험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17] 해당 물을 마시거나 서식지로 삼는 야생 동물에게도 심각한 위협이 된다. 이러한 오염된 조건은 수생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생태계의 건강성을 해칠 수 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과 같은 기관의 수질 관련 법규는 일반적으로 어업 및 레크리에이션 용도의 보호를 명시하며, 최소한 현재의 수질 기준을 유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18] 건강한 수생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바람직한 수질 조건으로는 높은 용존 산소 농도, 낮은 엽록소 a 농도(부영양화 방지), 높은 수질 투명도 등이 목표로 제시되기도 한다.[19]
일부에서는 수역을 과거의 깨끗했던 상태, 즉 산업화 이전의 원시 상태로 되돌리기를 바라기도 한다.[20] 그러나 많은 담수 유역에서 토지 개발, 도시화, 산림 지역의 벌채와 같은 광범위한 경관 변화가 이미 진행되었거나 계속되고 있어, 완전한 원상 복구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러한 현실적인 제약 속에서 환경 과학자들은 종종 과거 상태로의 회귀보다는 현재 조건에서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멸종 위기종 개체군을 보호하며, 인간의 건강을 지키는 것을 현실적인 목표로 삼는다. 이는 수질 관리가 단순히 오염을 제거하는 것을 넘어, 변화된 환경 속에서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3. 수질 측정 및 평가
수질 기준은 물의 사용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주로 식수, 산업/생활 용수, 또는 생태계 복원을 위한 처리된 물의 품질 관리에 초점을 맞춘다.[5]
'''환경 수질''' 또는 '''주변 수질'''은 호수, 강, 바다와 같은 자연 상태의 수역 수질을 의미한다.[16] 지표수의 수질 기준은 환경 조건, 생태계, 그리고 인간의 이용 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유독 물질이나 특정 미생물 농도가 높으면 관개, 수영, 낚시, 산업 용수 등 비음용 목적에도 건강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17] 해당 수역을 서식지로 이용하거나 물을 마시는 야생 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수질 관련 법규는 어업 및 레크리에이션 용도의 보호를 명시하고 최소한 현재의 수질 기준을 유지하도록 요구한다.[18] 특정 지역에서는 높은 용존 산소 농도, 낮은 엽록소 a 농도, 높은 수질 투명도 등을 바람직한 수질 조건으로 설정하기도 한다.[19]
일부에서는 수역을 산업화 이전의 원시 상태로 되돌리기를 원하지만,[20] 토지 개발, 도시화, 산림 벌채 등 유역의 경관 변화를 고려할 때 이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따라서 환경 과학자들은 건강한 생태계 유지, 멸종 위기종 보호, 인간 건강 보호와 같은 현실적인 목표 달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수질 측정은 그 복잡성만큼 다양한 지표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부 지표는 물이 주변 환경과 평형 상태에 있는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대표적인 현장 측정 항목으로는 온도, pH, 용존 산소, 전도도, 산소 환원 전위(ORP), 탁도, 세키 디스크 깊이 등이 있다.
물리적 또는 화학적 분석을 위한 물 시료 채취는 필요한 정확도와 오염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단순 무작위 표본 추출, 층화 표본 추출, 체계적 및 격자 표본 추출, 적응형 군집 표본 추출, 단일 시료 채취, 반연속 및 연속 모니터링, 수동 시료 채취, 원격 감시, 원격 탐사, 생물 모니터링 등이 있다. 수동 채수기를 사용하면 시료 채취 지점의 기반 시설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강우와 같이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오염 사건의 경우, 단일 시료만으로는 오염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21] 따라서 시간 또는 유량 간격으로 자동으로 물 시료를 채취하는 자동 시료 채취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더 복잡한 분석은 채취한 물 시료를 보존 처리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두 가지 중요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채취한 시료가 원래 수원의 수질을 얼마나 잘 대표하는가의 문제이다. 수질은 시간(계절, 주야)과 장소(수심, 위치), 그리고 인간 활동이나 수생 식물 및 동물의 활동에 따라 끊임없이 변한다.[22] 따라서 조사 목적에 따라 단일 시료로 충분한지, 시간과 장소에 따른 평균값이 필요한지, 혹은 중요한 최대값과 최소값을 파악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평균값을 구해야 할 경우, 각 시료 채취 시간과 장소에 대한 가중치를 정확하게 부여해야 하며,[23] 최대/최소값을 파악해야 할 경우에는 관찰된 변동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충분한 수의 시료를 확보해야 한다.[24]
둘째, 시료가 원래 수원 환경에서 벗어나 시료 용기라는 새로운 환경과 화학적 평형을 이루기 시작하면서 변질될 수 있다는 문제이다. 시료 용기는 분석 대상 물질과 최소한으로 반응하는 재료로 만들어야 하며, 사용 전 철저한 세척이 필수적이다. 시료 용기 자체에서 물질이 용출되거나, 시료 내 화학 물질이 용기 벽에 흡착될 수 있다.[23] 시료 채취에 사용되는 펌프, 배관 등에서도 유사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시료 채취 후 압력이나 온도 변화는 물속 용존 기체의 양이나 화학 반응 평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현탁되었던 입자가 가라앉거나, 미생물 활동으로 인해 산소, 이산화탄소, 유기 화합물 등의 농도가 변할 수도 있다. 특히 미량의 화학 물질을 분석할 때 이러한 변질 문제는 더욱 중요해진다.[22]
시료 보존은 이러한 변질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료를 차갑게 유지하여 화학 반응 속도와 상 변화를 늦추고 가능한 한 빨리 분석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는 변화를 완전히 막는 것이 아니라 최소화하는 방법이다.[23] 시료 채취부터 분석까지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 대상 물질이 없는 깨끗한 물로 채운 "블랭크" 시료(음성 대조군)와 분석 대상 물질을 일부러 첨가한 "첨가 시료"(양성 대조군)를 실제 시료와 동일한 조건으로 처리하고 분석하여, 과정 중 오염이나 손실이 발생했는지 평가하기도 한다.[25]
지진이나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 발생 후에는 수질 관리가 더욱 중요해진다. 재해 복구 과정에서 비위생적인 환경과 밀집된 생활 조건으로 인해 수인성 질병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26][27] 응급 상황에서는 주로 분변 오염을 나타내는 세균 지표, 유리 염소 잔류량, pH, 탁도, 그리고 전도도/총 용존 고형물 등을 신속하게 검사하여 식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휴대용 수질 검사 키트와 오염 제거 방법들이 활용된다.[28][29] 자연재해로 오염된 수질이 재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이후 국제 물 관리 연구소(IWMI)의 조사 결과, 염수로 오염된 우물의 수질이 식수 수준으로 회복되는 데 약 1년 반이 걸렸다.[30] IWMI는 염수 오염 우물 정화 절차를 개발했으며,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비상 지침으로 채택되었다.[31]
3. 1. 물리적 지표
수질의 물리적 지표는 물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특성들을 의미하며, 물의 사용 목적 적합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물리적 지표는 다음과 같다.- '''수온''' (Water Temperature): 물의 온도는 물에 녹아있는 기체나 고체의 양(용해도) 및 물속 식물이나 미생물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물이 어디서 왔는지(수원)나 어떤 경로(수로)를 거쳐왔는지 파악하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수질 검사 시 현장에서 측정하는 기본적인 항목이다.[22]
- '''탁도''' (Turbidity): 물이 흐린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로 부유물질(TSS)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현장에서 측정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이다.[22]
- '''투명도''' (Transparency): 물이 얼마나 맑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호수나 강 등에서 세키 디스크(Secchi disk)를 사용하여 측정하기도 한다.[22]
- '''색도''' (Color): 물 자체의 색깔을 의미하며, 물에 녹아있는 용존 유기물(특히 착색 용존 유기물, CDOM)이나 철, 망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Pt/Co 척도나 포렐-울레 척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 '''냄새''' (Odor)와 '''맛''' (Taste): 물의 냄새와 맛은 물에 포함된 다양한 유기 및 무기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특정 조류가 번식할 때 발생하는 지오스민이나 2-메틸이소보르네올(MIB)은 흙냄새나 곰팡이 냄새를 유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부유물질(TSS), 총용존고형물(TDS) 등이 물리적 특성과 관련된 지표로 측정될 수 있다. pH(수소이온농도)와 전기전도도(EC)는 화학적, 전기적 지표이지만, 수온과 함께 현장에서 기본적으로 측정되는 중요한 항목이다. pH는 물의 산성도를 나타내며 용존 물질의 상태에 영향을 주고[22], 전기전도도는 물에 녹아있는 이온 물질의 총량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22]
3. 2. 화학적 지표
수질을 판단하는 데에는 다양한 화학적 지표가 사용된다. 이 지표들은 물의 상태와 사용 목적에 맞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주요 화학적 지표는 다음과 같다.
- pH: 물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H는 물에 녹아있는 여러 화학 물질의 상태나 생물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32] 한국의 먹는 물 수질 기준에서는 pH 5.8에서 8.5 사이를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는 주요 항목 중 하나이다.[35]
- 용존 산소 (DO):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을 의미한다. DO는 물의 자정 능력 및 수중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로, 호수나 오염된 하천의 수질 측정 시 중요한 지표가 된다.
-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BOD): 물속의 유기물을 미생물이 분해할 때 필요한 산소의 양이다. BOD 수치가 높을수록 유기물 오염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천의 등급을 나누는 기준으로도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1급수 기준은 BOD 1mg/L 이하, 2급수는 3mg/L 이하, 3급수는 5mg/L 이하이다.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BOD와 유사하게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COD는 화학적 산화제를 사용하여 물속의 유기물 및 일부 무기물까지 산화시키는 데 필요한 산소의 양을 측정한다.
- 총유기탄소 (TOC): 물속에 포함된 유기물의 총량을 탄소의 양으로 나타낸 지표이다. 용존 유기 탄소(DOC)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 영양염류: 질소(N)와 인(P)은 수중 생태계의 필수 영양소이지만, 과도하게 존재할 경우 부영양화를 일으켜 녹조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먹는 물 수질 기준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NH3-N)를 0.5mg/L 이하로 규제하며, 질산염도 관리 대상이다.
- 중금속: 납, 수은, 비소 등은 미량이라도 인체에 축적될 경우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유해 물질이다. 먹는 물 수질 기준에서는 비소 0.01mg/L 이하, 수은 0.001mg/L 이하 등으로 엄격하게 관리한다. 중금속 분석 시에는 물에 녹아있는 형태뿐만 아니라 부유 물질에 포함된 금속까지 고려해야 할 수 있다.[32]
- 유기 화합물: 페놀, 트리할로메탄, 농약 성분 등 다양한 종류의 인공 또는 자연 발생 유기 화합물도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된다. 먹는 물 수질 기준에서는 페놀 0.005mg/L 이하, 트리할로메탄 0.1mg/L 이하 등으로 기준치를 정하고 있다. 복잡한 유기 분자를 구분하고 측정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일 수 있다.
- 기타 지표:
- 경도: 물에 녹아있는 칼슘(Ca2+)과 마그네슘(Mg2+) 이온의 양을 나타낸다. 경도가 높은 물(센물)은 비누의 세척력을 떨어뜨리고 보일러 등에 침전물을 형성할 수 있다.[13] 먹는 물 기준은 300mg/L 이하이다.
- 염소 이온 (Cl-): 먹는 물 기준은 250mg/L 이하이다.
- 전기 전도도: 물속에 녹아있는 이온성 물질의 총량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순수한 물은 전기가 잘 통하지 않지만, 이온 물질이 녹아있으면 전기 전도도가 높아진다.[56] 현장에서 측정하는 주요 항목 중 하나이다.[35]
- 알칼리도: 산을 중화시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 증발잔류물: 물을 증발시켰을 때 남는 물질의 총량으로, 먹는 물 기준은 500mg/L 이하이다.


이러한 화학적 지표들은 물의 용도(음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에 따라 기준치가 다르며,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관리된다. 예를 들어, 한국의 상수도 시스템에서는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엄격한 수질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광역 또는 지방상수도의 정수장에서는 매일 주요 항목을 검사하며, 수도꼭지에서도 월별 검사를 시행한다.[64] 먹는 물의 주요 화학적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항목 | 기준치 |
---|---|
페놀 | 0.005mg/L 이하 |
비소 | 0.01mg/L 이하 |
수은 | 0.001mg/L 이하 |
불소 | 1.5mg/L 이하 |
암모니아성 질소(NH3-N) | 0.5mg/L 이하 |
트리할로메탄 | 0.1mg/L 이하 |
수소 이온 농도(pH) | 5.8 ~ 8.5 |
염소 이온(Cl-) 농도 | 250mg/L 이하 |
경도 | 300mg/L 이하 |
증발잔류물 | 500mg/L 이하 |
화학적 지표 분석은 크게 현장 측정과 실험실 분석으로 나뉜다. pH, 용존 산소, 전기 전도도 등은 물의 상태가 변하기 쉬워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중금속이나 미량 유기 화합물 분석 등 복잡하고 정밀한 분석은 채수한 시료를 실험실로 옮겨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GC-MS)나 원자 형광 분광법(AFS)과 같은 전문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3. 3. 생물학적 지표
생물학적 모니터링 지표는 수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특정 생물의 존재 여부나 개체 수 등을 통해 수질 상태를 파악한다. 담수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측정 방법 중 하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특히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강도래목(Pleco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곤충의 존재와 풍부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 세 목의 머리글자를 따서 'EPT 지수'라고도 부르는데, 일반적으로 특정 지역 내 EPT 분류군이 다양할수록 수질이 더 좋다고 평가된다. 미국 환경보호청(EPA)과 같은 기관들은 이러한 수생 곤충 및 기타 생물들을 이용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식별 지침을 제공한다.[18] 많은 폐수 배출 시설(공장, 발전소, 정유공장, 광산, 시립 하수 처리 시설 등)은 정기적으로 전체 유출 독성(WET) 시험을 실시하여 배출수가 수생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야 한다.[40][41]수질 오염, 특히 분변 오염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대장균(대장균) 및 총대장균군, 장구균 등이 이용된다. 아일랜드 샌디마운트 해변의 수질 안내 표지판에서도 이들 세균의 수준을 표시하여 수질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생물들이 수질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매패류 연체동물은 담수와 해양 환경 모두에서 생태계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중요한 생물지표로 사용된다. 이들은 한곳에 정착해 살아가기 때문에 서식 환경의 오염 상태를 잘 반영하며, 개체군의 상태, 생리, 행동, 체내 오염물질 축적 수준 등을 통해 수질을 평가할 수 있다. 머슬 워치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예시이며,[43]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존재를 기반으로 하는 남아프리카 점수 시스템(South African Scoring System, SASS)이라는 생물학적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SASS 방법은 지난 30년간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현재는 국제 표준(ISO/IEC 17025)에 맞춰 수정된 다섯 번째 버전(SASS5)이 사용되고 있다.[44] 이 방법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수자원부에서 하천 건강 평가의 표준 방법으로 채택하여 국가 하천 건강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활용하고 있다.
전문적인 실험 장비 없이 수질 모니터링에 참여하고자 하는 시민들을 위해 생물 지표를 활용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오와주의 IOWATER 자원봉사 수질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EPT 지표를 활용한 간이 키트를 제공하여 시민들이 직접 주변 하천의 수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42]
3. 4. 수질 데이터 표현
수질을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체적농도'''는 물 1L당 용질의 무게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위는 mg/L이다. 이 외에도 '''중량농도'''(용액 1kg당 용질의 무게, 단위 g/kg)나 '''당량농도'''(단위 me/L)를 사용하기도 한다. 체적농도 Cv[mg/L]와 당량농도 Ceq[me/L]에는의 관계가 있다. 단, b는 1당량(분자량을 원자가로 나눈 값)이다.
수질 개요를 파악하거나, 다른 수질 샘플과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비교 검토하는 데 다이어그램이 사용된다.


'''육각 다이어그램'''(hexa diagram영어) 또는 '''슈티프 다이어그램'''(stiff diagram영어)에서는 세로축 왼쪽에 양이온, 오른쪽에 음이온의 당량 농도를 나타낸다. 왼쪽에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Na+ + K+, Ca2+, Mg2+ 농도, 오른쪽에는 위에서부터 Cl-, HCO3-, SO42- + NO3- 농도가 나타난다. 이때 그래프의 형태와 크기로 수질을 표현하며, 수질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삼각 다이어그램'''(trilinear diagram영어) 또는 '''파이퍼 다이어그램'''(piper diagram영어)에서는 마름모꼴의 키 다이어그램(key diagram영어)과 삼각형 두 개의 삼각 다이어그램(ternary diagram영어)이 있다. 키 다이어그램에서는 양이온은 Na+ + K+와 Ca2+ + Mg2+, 음이온은 HCO3-와 Cl- + SO42- + NO3-의 농도 비율을 나타낸다. 삼각 다이어그램에서는 각각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 비율이 나타난다. 이 다이어그램은 물의 기원을 생각하는 데 유용하다.
4. 수질 오염
수질 오염은 물에 다양한 유해 물질이 유입되어 물의 자연적인 상태가 변화하고 사용 목적에 적합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정수되지 않은 물에는 바이러스, 원생동물, 세균과 같은 미생물뿐만 아니라, 염 및 금속과 같은 무기 화합물, 산업 공정 및 석유 사용으로 인한 유기 화합물, 농업 활동에 사용되는 살충제 및 제초제, 그리고 방사성 오염 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은 지역의 지질 및 생태계와 같은 자연적 요인 외에도, 인간 활동, 예를 들어 하수 배출, 산업 오염, 수역을 열 싱크로 사용하는 것, 과도한 물 사용(수위 저하 유발 가능) 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안전한 식수 확보는 인간의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상수도 시스템을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 내 특정 오염 물질의 양을 제한하는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6] 안전한 식수법에 따라 EPA는 인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을 규제하는 '일차 기준'과[7][8] 맛, 냄새, 외관 등 미적 특성을 규정하는 '이차 기준'을 운영한다.[9]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생수 내 오염 물질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10] 일반적으로 식수에는 미량의 오염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단순히 오염 물질이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 건강상의 위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된 지역에서는 정수 기술을 통해 가정, 사업체 등에 물을 공급하기 전에 원수(지표수 또는 지하수)에서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하지만 처리되지 않은 채 개울, 호수, 대수층 등에서 직접 취수한 물은 음용 적합성이 불확실하다.[3]
특히, 오염된 식수로 인한 피해는 사회 기반 시설이 부족하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인구 집단에게 불균형적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11] 깨끗한 식수와 위생 시설이 부족한 지역 사회는 콜레라, 설사, 이질, A형 간염, 장티푸스, 소아마비와 같은 수인성 질병 및 오염 관련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12] 이러한 지역에서는 종종 인간의 배설물이 적절한 처리 없이 인근 수로나 지표수로 배출되거나 농업용수로 사용되기도 한다.
수질 오염은 식수 문제뿐만 아니라, 호수, 강, 바다와 같은 자연 수역의 환경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를 '''환경 수질''' 또는 '''주변 수질'''이라고 부르며[16], 지표수의 수질 기준은 환경 조건, 생태계, 인간의 이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다. 유독 물질이나 특정 미생물의 과도한 증식은 관개, 수영, 낚시, 래프팅, 보트 타기, 산업 용수 사용 등 비음용 목적의 물 이용에도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17], 해당 수역에 서식하는 야생 동물에게도 악영향을 미친다. 많은 국가의 수질 관련 법률은 일반적으로 어업 및 레크리에이션 용도의 보호를 명시하고 최소한 현재의 수질 기준을 유지하도록 요구한다.[18] 일부 지역에서는 높은 용존 산소 농도, 낮은 엽록소 a 농도, 높은 수질 투명도 등을 바람직한 수질 조건으로 설정하기도 한다.[19]
일부에서는 수역을 산업화 이전의 원시 상태로 되돌리려는 목표를 가지기도 하지만[20], 토지 개발, 도시화, 벌채 등으로 인한 광범위한 경관 변화를 고려할 때 이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따라서 환경 과학자들은 건강한 생태계 유지, 멸종 위기종 보호, 인간 건강 보호와 같은 현실적인 목표 달성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다.
4. 1. 오염 원인
정수되지 않은 물은 다양한 오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러스, 원생동물, 세균과 같은 미생물, 염이나 금속 같은 무기 화합물, 산업 공정이나 석유 사용에서 비롯된 유기 화합물, 농업 활동에 사용되는 살충제와 제초제, 그리고 방사성 오염 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질은 해당 지역의 지질 및 생태계와 같은 자연적 요인뿐만 아니라, 하수 배출, 산업 오염, 수역을 열 싱크로 사용하는 것, 과다 사용(수위 저하 가능성)과 같은 인간의 활용에 의해서도 크게 좌우된다.
주요 오염 원인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인간 활동에 의한 오염
- 점오염원: 특정 지점에서 직접 배출되는 오염원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공장 등에서 나오는 산업 폐수와 가정에서 발생하는 생활 하수의 배출이 있다. 이러한 폐수는 적절한 처리 없이 방류될 경우 심각한 수질 오염을 유발한다.
- 비점오염원: 넓은 지역에 걸쳐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오염원을 의미한다.
- 농경지에서 사용된 살충제나 제초제가 빗물 등에 씻겨 하천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는 경우.
- 도시 지역에서는 도로, 주차장 등 불투수면의 증가로 빗물이 땅으로 흡수되지 못하고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각종 오염 물질을 쓸어 담아 하천으로 유입시키는 도시 유출수가 주요 원인이 된다.
- 산림 지역의 벌채나 무분별한 토지 개발, 도시화와 같은 경관 변화는 토양 침식을 유발하고 오염 물질이 수계로 유입되는 것을 가속화한다.
- 기타 요인: 수역을 냉각수로 사용하는 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열 오염(물을 열 싱크로 사용하는 것)이나, 특정 지역에서 물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수위가 낮아지고 오염 물질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우도 수질 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자연적 요인에 의한 오염
- 지역의 지질 특성에 따라 특정 금속이나 염류가 자연적으로 물에 녹아 들어 수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지진이나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는 상수도 시설을 파괴하거나 오염 물질을 수계로 직접 유입시킬 수 있다. 특히 해안 지역에서는 쓰나미로 인해 바닷물이 지하수나 우물로 침투하여 염분 농도를 높이는 염수 침투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이후 염수로 오염된 우물이 다시 식수로 사용 가능한 수준으로 회복되는 데 약 1년 반의 시간이 걸렸다.[30]
이러한 오염 물질과 높은 농도의 특정 미생물은 식수뿐만 아니라 관개, 수영, 낚시, 래프팅, 보트 타기, 산업 용수 사용 등 다양한 용도의 물 사용에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17] 또한, 오염된 물은 해당 수역에 서식하는 야생 동물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오염된 식수로 인한 부담은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소외되고 취약한 인구에게 불균형적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11], 이들은 콜레라, 설사, 이질, A형 간염, 장티푸스, 소아마비와 같은 수인성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12]
4. 2. 오염 물질
정수되지 않은 물에는 다양한 오염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바이러스, 원생동물, 세균과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있으며, 이는 수인성 질병의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산업 공정이나 석유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기 화합물, 농업 활동에 사용되는 살충제와 제초제, 그리고 방사성 물질 등 다양한 화학 물질이 물에 섞여 들어갈 수 있다. 염이나 금속과 같은 무기 화합물 역시 주요 오염원이다. 최근에는 미세 플라스틱, 과불화화합물, 항생제 내성을 가진 미생물 등이 새로운 수질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4]
수질은 해당 지역의 지질 및 생태계 특성뿐만 아니라 인간 활동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생활 하수나 산업 폐수 배출, 수역을 열 싱크로 사용하는 행위, 지하수나 하천수의 과도한 사용 등은 수질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일부 오염 물질은 직접적인 건강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물에 망간 농도가 높을 경우, 특히 아동의 신경독성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4] 또한, 물에 녹아 있는 특정 이온은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칼슘(Ca2+)과 마그네슘(Mg2+) 이온은 센물을 유발하여 비누의 세척 효과를 떨어뜨리고, 온수기나 보일러 내부에 단단한 침전물을 형성할 수 있다.[13] 이러한 센물은 이온 교환 수지 등을 이용한 연수화 과정을 통해 나트륨 이온 등으로 치환하여 개선할 수 있다.[14]
수질 오염 문제는 특히 사회 기반 시설이 부족한 저소득 지역이나 개발도상국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깨끗한 식수와 위생 시설 부족은 콜레라, 설사, 이질, A형 간염, 장티푸스, 소아마비와 같은 수인성 질병의 확산으로 이어지며, 이는 특히 소외되고 취약한 인구 집단에게 불균형적인 부담을 지운다.[11][12]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는 안전한 식수 공급을 위해 수질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수질 기준을 설정하여 상수도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물의 오염 물질 농도를 규제한다. 이 기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을 규제하는 '일차 기준'과[7][8] 맛, 냄새, 색깔 등 미적 영향을 주는 물질을 규제하는 '이차 기준'으로 나뉜다.[9] 미국 식품의약국(FDA) 역시 생수에 포함될 수 있는 오염 물질의 허용 한도를 규정하고 있다.[10] 다만, 식수에는 미량의 오염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의 존재 자체가 반드시 건강상의 위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수질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들이 측정 및 분석된다. 주요 지표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지표 | 예시/비고 |
---|---|---|
물리적/화학적 특성 | 알칼리도 | |
물리적/화학적 특성 | 수색 | 물의 색깔 |
물리적/화학적 특성 | pH | 수소 이온 농도 지수 |
물리적/화학적 특성 | 맛과 냄새 | 지오스민, 2-메틸이소보르네올(MIB) 등 |
용존 무기물 | 금속 및 염류 | 나트륨, 염화물, 칼륨, 칼슘, 망간, 마그네슘 |
용존 무기물 | 중금속 및 준금속 | 납, 수은, 비소 등 |
용존 유기물 | 총칭 | 착색 용존 유기물(CDOM), 용존 유기 탄소(DOC) |
생물학적 | 미생물 | 대장균군 박테리아 (대장균),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르디아 람블리아 (미생물학적 수질 분석 참조) |
방사성 물질 | 라돈 | |
기타 유해 물질 | 의약품 | 잔류 의약품 |
기타 유해 물질 | 호르몬 유사체 | 내분비계 교란 물질 |
5. 한국의 수질 현황 및 관리
한국의 수질은 과거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심각하게 오염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 정부와 시민사회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점차 개선되어 왔다. 특히 하수 처리 시설과 같은 환경기초시설의 확충은 수질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수질 개선 추세는 다소 둔화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수질 문제가 남아있다. 2016년 국토교통부 보고서에 따르면, 총 인(T-P) 농도는 개선 추세에도 불구하고 많은 지역에서 OECD의 부영양화 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며, 영산강 하류와 같이 클로로필-a 농도가 오히려 악화된 구간도 존재한다.
4대강 사업이 수질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사업 과정에서 환경기초시설이 늘어나 하수 내 인 제거 효율이 높아지는 긍정적 측면도 있었으나, 다수의 보 건설과 하천 준설로 인해 물의 흐름이 느려지고 체류시간이 길어지면서 특정 구간의 BOD 농도가 증가하거나 녹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새로운 수질 악화 문제를 야기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처럼 일부 구간에서는 수질 개선 효과와 악화 요인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깨끗하고 안전한 물 환경을 확보하는 것은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그리고 건강한 생태계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요구된다.
5. 1. 상수원 수질 관리
수질 기준을 판단하는 여러 지표 중 하나로 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가 있다. 1급수는 1mg/L 이하, 2급수는 3mg/L 이하, 3급수는 5mg/L 이하의 BOD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이 외에도 pH(수소 이온 농도 지수), SS(부유 물질), DO(용존 산소량), 대장균 군수 등이 주요 수질 지표로 사용된다.그 밖에도 다양한 항목이 수질 검사에 활용된다.
구분 | 항목 |
---|---|
물리적 특성 | 수온, 부유물질 (TSS), 투명도 또는 탁도, 수질의 투명도, 용존고형물 (TDS), 물의 색깔 (예: 포렐-울레 척도 또는 Pt/Co 척도) |
화학적 특성 | 비전도도 또는 전기전도도 (EC) |
감각적 특성 | 물의 냄새, 물의 맛 |
5. 2. 하천 및 호소 수질 관리
2016년 국토교통부가 작성한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3차 보고서에 따르면, 환경기초시설이 꾸준히 확충되면서 전반적인 수질은 개선되는 추세지만, 최근 들어 개선 속도는 과거에 비해 둔화되었다. 전국 114개 중권역 중 BOD 3mg/L 이하를 달성한 비율은 2015년 기준으로 83.3%이다. 총 인(T-P) 농도는 개선되고 있지만, 대부분 지역에서 OECD가 정한 부영양화 기준인 T-P 0.035mg/L를 초과하고 있다. 클로로필-a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 추세를 보이나, 영산강 하류 구간은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4대강 사업 이후 수질 변화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2014년 12월 국무총리실 소속 4대강 조사평가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한강, 낙동강, 금강 본류 대부분 구간에서는 BOD와 식물성 플랑크톤 농도가 사업 이전에 비해 대체로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4대강 사업 과정에서 환경기초시설이 확충되어 하수 처리 시 인 제거 효율이 높아진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낙동강 상류 지역의 4개 보 구간에서는 BOD 농도가 오히려 증가했으며, 영산강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 농도가 증가하는 등 수질이 악화된 구간도 확인되었다. 이는 보 건설과 하천 준설로 인해 물의 흐름이 정체되어 체류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으로, 수질 개선 효과와 악화 요인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 평가된다.
호소의 경우, 수심이 얕을수록 조류 번식이 활발해질 가능성이 높다. 얕은 호수는 햇빛이 바닥까지 쉽게 도달하여 조류의 광합성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반면 깊은 호수에서는 봄과 가을철 물의 수직 순환으로 인해 바닥의 침전물이 떠올라 일시적으로 수질이 나빠질 수 있다. 호수의 크기가 작을수록 자정작용 능력은 떨어지며, 흐르는 하천수에 비해 부영양화가 일어나기 쉽다. 부영양화는 주로 물의 흐름이 정체된 수역의 상층부에서 발생하기 쉽다. 여름과 겨울에는 수심에 따른 수온 차이로 인해 물이 섞이지 않는 성층현상(정체현상)이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상층과 하층의 물 이동이 거의 없어 비교적 깨끗한 중간 수심의 물을 취수하는 것이 유리하다.
5. 3. 먹는 물 수질 관리
먹는 물 수질의 중요성과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수질 보호 및 관리가 강화되고 있다.[4] 수질과 건강 간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감염병의 만성적 영향으로 인한 아동 발육부전 문제나 망간과 같이 알려진 오염 물질의 위해성(특히 아동의 신경독성에 대한 증거 증가) 등 새로운 잠재적 건강 위협 요인이 부각되고 있다.[4] 또한, 미세 플라스틱, 과불화화합물 및 항생제 내성과 같은 새로운 수질 문제도 등장하고 있다.[4]한국에서는 환경부령인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별표 1] [시행 2019. 12. 20.] [환경부령 제833호, 2019. 12. 20., 타법개정]'에 따라 상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먹는 물의 수질 기준을 엄격하게 정하고 있다. 주요 기준 항목은 다음과 같다.
항목 | 기준치 |
---|---|
일반세균 | 1mL 중 100CFU 이하 |
총대장균군 | 100mL 중 불검출 |
비소 | 0.01mg/L 이하 |
페놀 | 0.005mg/L 이하 |
불소 | 1.5mg/L 이하 |
수은 | 0.001mg/L 이하 |
암모니아성 질소(NH3-N) | 0.5mg/L 이하 |
트리할로메탄 | 0.1mg/L 이하 |
수소 이온 농도(pH) | 5.8 ~ 8.5 |
염소 이온(Cl-) 농도 | 250mg/L 이하 |
경도 | 300mg/L 이하 |
색도 | 5도 이하 |
탁도 | 1NTU 이하 (수돗물의 경우 0.5 NTU 이하) |
증발잔류물 | 500mg/L 이하 |
이 외에도 다양한 항목에 대한 세부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광역 또는 지방상수도의 정수장에서는 매일 냄새, 맛, 색도, 탁도, 수소이온농도, 잔류염소의 6가지 항목에 대해 수질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광역 및 지방상수도를 사용하는 수도꼭지에서는 매월 일반세균, 대장균군, 잔류염소에 대해 검사하도록 규정되어 있다.[64]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된 지역에서는 정수 기술이 지방 상수도 시스템에 사용되어 가정, 사업체, 학교 및 기타 수혜자에게 배포되기 전에 원수(지표수 또는 지하수)에서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3] 개울, 호수 또는 대수층에서 직접 끌어올린 물은 처리되지 않은 경우 음용 적합성 측면에서 품질이 불확실하다.[3]
정수되지 않은 물에는 바이러스, 원생동물 및 세균과 같은 미생물, 염 및 금속과 같은 무기 화합물, 산업 공정 및 석유 사용으로 인한 유기 화합물, 살충제 및 제초제, 그리고 방사성 오염 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질은 지역 지질 및 생태계뿐만 아니라 하수 배출, 산업 오염, 수역을 열 싱크로 사용하는 것, 과다 사용(수위 저하 가능성)과 같은 인간의 활용에 따라 달라진다.
오염된 식수의 부담은 소외되고 취약한 인구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11] 깨끗한 식수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 사회는 콜레라, 설사, 이질, A형 간염, 장티푸스 및 소아마비와 같은 수인성 및 오염 관련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12] 이러한 지역 사회는 종종 저소득 지역에 위치하며, 인간의 폐수가 충분한 처리 없이 인근 배수로 또는 지표수 배수로에 배출되거나 농업 관개에 사용되기도 한다.
물에 용해된 이온은 다양한 산업 및 가정 용도에 적합한 물의 적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중 가장 흔한 것은 비누의 세척 작용을 방해하고 온수기나 보일러에 단단한 황산염 및 부드러운 탄산염 침전물을 형성하는 칼슘(Ca2+)과 마그네슘(Mg2+)의 존재일 것이다.[13] 경수는 이러한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연수화될 수 있다. 연수화 과정은 종종 나트륨 양이온으로 대체한다.[14] 특정 인구 집단의 경우, 칼슘 결핍 및 과도한 나트륨과 관련된 건강 문제가 있기 때문에 경수가 연수보다 선호될 수 있다.[15] 물에 추가적인 칼슘과 마그네슘이 필요한지는 해당 인구 집단에 따라 다르며,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음식을 통해 권장량을 충족하기 때문이다.[3]
미국 환경보호청(EPA)[6]은 미국 상수도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수돗물 내 특정 오염 물질의 양을 제한한다. 안전한 식수법은 EPA가 인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을 규제하는 ''일차 기준''[7][8]과 맛, 냄새 또는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미적 특성을 규정하는 ''이차 기준''[9]을 발표하도록 허용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규정은 생수 내 오염 물질에 대한 한계를 설정한다.[10] 남아프리카 공화국[49][50], 잉글랜드와 웨일스[51], 일본[58] 등 다른 국가들도 자체적인 먹는 물 수질 기준을 가지고 있다.
5. 4. 수질 관련 법규 및 정책
수질 기준을 설정할 때는 해당 수역의 용도에 따라 정치적 및 기술적/과학적 결정이 이루어진다.[45] 자연 상태의 수역에 대해서는 기관들이 원시 상태에 대한 합리적인 추정치를 고려하기도 한다. 자연 수역은 지역의 환경 조건, 즉 주변 지질 특징, 퇴적물, 암석 유형, 지형, 수문학, 기후 등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질 기준을 정한다.[46] 환경 과학자와 수계 지구화학자는 이러한 매개변수와 환경 조건을 해석하여 오염원의 출처와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데 기여하며, 환경 법률가와 정책 입안자들은 규정된 용도에 적합한 수질을 유지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한다.미국에서는 미국 청정수법(Clean Water Act, CWA)에 따라 각 주 정부 기관이 해당 수역의 용도(예: 어류 서식지, 식수 공급, 레크리에이션 용도 등)에 맞춰 수질 기준을 정의한다.[52] CWA는 각 관할 구역(주, 준주, 부족 단체)이 해당 지역 수질에 대한 보고서를 2년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도록 요구한다. 이 보고서는 CWA 조항 303(d)와 305(b)에 따라 각각 작성되며, 일반적으로 각 주의 환경 기관이 담당한다.[53] EPA는 각 주가 수질이 저하된 수역 목록과 주 내 모든 수역의 상태를 포함하는 단일 "통합 보고서" 제출을 권장한다.[54] '''의회에 대한 국가 수질 조사 보고서'''는 하천과 강의 총 길이 및 전반적인 수질 상태에 대한 종합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 보고서이다.[55] CWA는 주 정부가 수역에 지정된 모든 용도에 대한 기준을 채택하도록 요구한다. 만약 특정 하천, 강, 호수가 하나 이상의 지정된 용도에 대한 수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해당 수역은 수질 저하 수역 목록에 포함된다. 목록에 포함된 수역에 대해서는 주 정부가 해당 용도를 저해하는 오염 물질에 대한 최대 일일 부하량(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을 설정하는 관리 계획을 개발해야 한다. 이 TMDLs는 지정된 용도를 완전히 지원하는 데 필요한 오염물질 감소량을 설정하는 기준이 된다.[56]
상수도 시스템에 적용되는 식수 기준은 안전한 식수법(Safe Drinking Water Act, SDWA)에 따라 EPA에서 발표한다.[8] 한국의 경우, 상수도법에 따라 수질검사 항목이 정해져 있다.[58]
6. 다른 나라의 수질 현황 및 관리
'''환경 수질''' 또는 '''주변 수질'''은 호수, 강, 바다와 같은 자연 수역의 상태를 의미한다.[16] 지표수의 수질 기준은 환경 조건, 생태계, 그리고 인간의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유독 물질이나 특정 미생물의 농도가 높으면 관개, 수영, 낚시, 래프팅, 보트 타기, 산업 용수 사용 등 물을 마시지 않는 활동에도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17] 이러한 수질 상태는 물을 마시거나 서식지로 이용하는 야생 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수질 관련 법규는 어업 및 레크리에이션 용도의 보호를 명시하고, 최소한 현재의 수질 기준을 유지하도록 요구한다.[18] 일부 지역에서는 바람직한 수질 조건으로 높은 용존 산소 농도, 낮은 엽록소 a 농도, 높은 수질 투명도 등을 목표로 삼기도 한다.[19]
일부에서는 수역을 산업화 이전의 원시 상태로 되돌리기를 원하지만,[20] 토지 개발, 도시화, 벌채 등으로 변화된 유역 환경을 고려할 때 이는 매우 어려운 목표이다. 따라서 환경 과학자들은 건강한 생태계 유지, 멸종 위기종 보호, 인간 건강 보호 등에 초점을 맞추어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국제적으로 수질 기준을 제시하는 주요 기구는 다음과 같다.
- 세계보건기구(WHO): 2017년에 음용수 수질 지침(GDWQ)을 개정하여 발표했다.[3]
- 국제표준화기구(ISO): 2016년 6월, ICS 13.060 항목 아래 수질 관련 규정을 발표했다.[47] 여기에는 물 샘플링, 음용수, 공업용수, 하수 처리 및 물의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특성 검사 방법 등이 포함된다. 상수도 시스템 표준은 ICS 91.140.60에서 다룬다.[48]
각국의 수질 관리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인도: 인도 의학 연구 위원회(Indian Council of Medical Research, ICMR)에서 음용수 기준을 제시한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6년 수질 지침에 따라 가정용, 산업용 등 잠재적 사용자 유형별로 수질 기준을 분류한다.[49] 식수 수질은 남아프리카 국가 표준(SANS) 241 식수 규격의 적용을 받는다.[50]
- 영국 (잉글랜드와 웨일스): 식수 허용 기준은 "2000년 식수 공급(수질) 규정"에 명시되어 있다.[51]
6. 1. 미국
EPA는 안전한 식수법에 따라 미국 상수도 시스템에서 공급하는 수돗물 내 특정 오염 물질의 양을 제한한다.[6] 이 법은 EPA가 두 가지 유형의 기준을 발표하도록 허용한다.FDA 규정은 생수 내 오염 물질에 대한 한계를 설정한다.[10]
환경 수질과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청정수법(CWA)에 따라 각 수역의 용도(예: 어류 서식지, 식수 공급, 레크리에이션 용도)에 맞는 수질 기준을 주 정부 기관이 정의한다.[52] CWA는 각 관할 구역(주, 준주 및 해당 부족 단체)이 해당 지역의 수질에 대한 보고서를 2년마다 제출하도록 요구한다. 이 보고서는 CWA 조항에 따라 각각 303(d) 및 305(b) 보고서로 알려져 있으며, EPA에 제출되어 승인을 받는다.[53] 이러한 보고서는 주로 주 환경 기관과 같은 관할 구역에서 작성한다. EPA는 각 주가 수질이 저하된 수역 목록과 주 내 모든 수역의 상태를 포함하는 단일 "통합 보고서"를 제출할 것을 권장한다.[54] '''의회에 대한 국가 수질 조사 보고서'''는 수질에 대한 일반적인 보고서로, 하천과 강의 총 길이와 그들의 종합적인 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55]
CWA는 주에서 수역에 지정하는 모든 가능한 지정 용도에 대한 기준을 채택하도록 요구한다. 만약 하천, 강 또는 호수가 하나 이상의 지정 용도에 대한 수질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증거가 제시되거나 기록되면, 해당 수역은 수질이 저하된 수역 목록에 추가된다. 주 정부는 수역을 이 목록에 추가하면, 수질 사용을 저해하는 오염 물질에 대한 최대 일일 부하량(TMDLs)을 설정하는 관리 계획을 개발해야 한다. 이러한 TMDLs는 지정된 용도를 완전히 지원하는 데 필요한 오염 물질 감소량을 설정한다.[56]
상수도 시스템에 적용되는 식수 기준은 안전한 식수법에 따라 EPA에서 발표한다.[8]
6. 2. 유럽 연합 (EU)
유럽 연합(European Union)의 수자원 정책은 주로 세 가지의 유럽 연합 지침(European Union directive)에 명시되어 있다.- '''도시 폐수 처리 지침''' (Directive on Urban Waste Water Treatment, 91/271/EEC): 1991년 5월 21일 제정되었으며, 지방자치단체 및 일부 산업 폐수(wastewater)의 배출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 '''음용수 지침''' (The Drinking Water Directive, 98/83/EC): 1998년 11월 3일 제정되었으며, 식수 수질 기준을 정한다.
- '''수자원 관리 지침''' (Water Framework Directive, 2000/60/EC): 2000년 10월 23일 제정되었으며, 수자원(water resources) 관리에 대한 포괄적인 틀을 제공한다.
7. 기후 변화와 수질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 Primer on Water Quality
https://pubs.usgs.go[...]
U.S. Geological Survey (USGS)
2001-03-01
[2]
논문
Meanings of Environmental Terms
1997
[3]
보고서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Fourth edition incorporating the first addendum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7
[4]
논문
When Water Quality Crises Drive Chang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licy Processes Behind Major Water Contamination Events
2023
[5]
웹사이트
Other Uses and Types of Water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21-08-10
[6]
웹사이트
What is water quality? Eight key characteristics
https://waterrangers[...]
2022-11-10
[7]
간행물
National Primary Drinking Water Regulation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8]
웹사이트
Drinking Water Regulations
https://www.epa.gov/[...]
EPA
2022-09-20
[9]
웹사이트
Secondary Drinking Water Standards: Guidance for Nuisance Chemicals
https://www.epa.gov/[...]
EPA
2022-02-17
[10]
웹사이트
FDA Regulates the Safety of Bottled Water Beverages Including Flavored Water and Nutrient-Added Water Beverage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8-09-22
[11]
서적
America’s Path to Drinking Water Infrastructure Inequality and Environmental Injustice: The Case of Flint, Michigan
Palgrave Macmillan
2018
[12]
웹사이트
Drinking-water
https://www.who.int/[...]
WHO
2022-03-21
[13]
서적
Water Supply Engineering
McGraw-Hill
1949
[14]
서적
Water-Resources Engineering
McGraw-Hill
1972
[15]
보고서
Consensus of the Meeting: Nutrient minerals in drinking-water and the potential health consequences of long-term consumption of demineralized and remineralized and altered mineral content drinking-waters.
https://www.who.int/[...]
WHO
2003-11-13
[16]
웹사이트
Supplemental Module: Human Health Ambient Water Quality Criteria
https://www.epa.gov/[...]
EPA
2022-06-28
[17]
논문
Polyethylene Identification in Ocean Water Samples by Means of 50 keV Energy Electron Beam
2020-10-31
[18]
보고서
Water Quality Standards Handbook Chapter 3: Water Quality Criteria
https://www.epa.gov/[...]
EPA
2017
[19]
논문
Deriving Chesapeake Bay Water Quality Standards
Wiley
2013-09-04
[20]
웹사이트
Watershed Restoration Program
https://www.fs.usda.[...]
US Forest Service
2022-10-05
[21]
웹사이트
Sampling - KFUPM School , nature is us - Forums - Tunza Eco Generation
https://web.archive.[...]
2021-09-19
[22]
서적
Limnology
McGraw-Hill
1983
[23]
서적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1975
[24]
보고서
Handbook for Monitoring Industrial Wastewater
EPA
1973-08-01
[25]
웹사이트
Definitions of Quality-Assurance Data
https://web.archive.[...]
USGS, Quality Systems Branch
2009-08-28
[26]
웹사이트
Tsunamis: Water Quality
https://www.cdc.gov/[...]
CDC
2014-08-13
[27]
논문
Bacterial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and nutritional quality of diet in the areas of the western Solomon Islands devastated by the April 2, 2007 earthquake⁄tsunami
https://www.jstage.j[...]
2008
[28]
논문
Sand Supported Mixed-Phase TiO2 Photocatalysts for Water Decontamination Applications
2014
[29]
보고서
Method 1680: Fecal Coliforms in Sewage Sludge (Biosolids) by Multiple-Tube Fermentation using Lauryl Tryptose Broth (LTB) and EC Medium
https://www.epa.gov/[...]
EPA
2010-04-01
[30]
보고서
Helping restore the quality of drinking water after the tsunami
http://www.iwmi.cgia[...]
International Water Management Institute
2010
[31]
웹사이트
WHO technical notes for emergencies
https://www.who.int/[...]
WHO
2011
[32]
간행물
Representative Sampling of Ground Water for Hazardous Substances
State of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4
[33]
웹사이트
Monitoring Our Waters
https://www.montgome[...]
Montgomery Count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2018-11-11
[34]
논문
Biosensors for wastewater monitoring: A review
2018-10-30
[35]
뉴스
DNA computer could tell you if your drinking water is contaminated
https://www.newscien[...]
2022-03-16
[36]
논문
Programming cell-free biosensors with DNA strand displacement circuits
2022-02-17
[37]
보고서
Distribution System Water Quality Monitoring: Sensor Technology Evaluation Methodology and Results
https://www.epa.gov/[...]
EPA
2009-10-01
[38]
웹사이트
Water Quality Monitoring
https://meri.njmeado[...]
Meadowlands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2018-08-06
[39]
웹사이트
Eyes on the Bay
http://eyesonthebay.[...]
Maryland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18-12-05
[40]
웹사이트
Whole Effluent Toxicity Methods
https://www.epa.gov/[...]
EPA
2020-08-01
[41]
보고서
Methods for Measuring the Acute Toxicity of Effluents and Receiving Waters to Freshwater and Marine Organisms
https://www.epa.gov/[...]
EPA
2002-10-01
[42]
간행물
Benthic Macroinvertebrate Key
http://www.iowater.n[...]
IOWATER (Iow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05-01-01
[43]
웹사이트
Center for Coas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Mussel Watch Contaminant Monitoring
http://ccma.nos.noaa[...]
Ccma.nos.noaa.gov
2014-01-14
[44]
논문
The Southern Africa Scoring System (SASS) version 5 rapid bioassessment for rivers
http://www.dwa.gov.z[...]
2002-01-01
[45]
웹사이트
What Are Water Quality Standards?
https://www.epa.gov/[...]
EPA
2022-04-14
[46]
웹사이트
What is Water Quality?
https://www.uaex.edu[...]
2009-01-01
[47]
웹사이트
13.060: Water quality
http://www.iso.org/i[...]
2011-07-04
[48]
웹사이트
91.140.60: Water supply systems
http://www.iso.org/i[...]
2011-07-04
[49]
간행물
Water quality guidelines for South Africa: First Edition 1996
http://www.dwaf.gov.[...]
Republic of South Africa, Department of Water Affairs, Pretoria
1996-01-01
[50]
논문
A drinking water quality framework for South Africa
http://www.ajol.info[...]
2006-01-01
[51]
법률
The Water Supply (Water Quality) Regulations 2000
http://www.legislati[...]
National Archives, London, UK
2000-12-08
[52]
법률
U.S. Clean Water Act, Section 303
[53]
법률
U.S. Clean Water Act, Section 303(d) and Section 305(b)
[54]
웹사이트
Overview of Listing Impaired Waters under CWA Section 303(d)
https://www.epa.gov/[...]
EPA
2022-08-31
[55]
웹사이트
National Water Quality Inventory Report to Congress
https://www.epa.gov/[...]
EPA
2021-12-07
[56]
웹사이트
How's My Waterway
https://www.epa.gov/[...]
EPA
[57]
간행물
Water Quality: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floridakeys.n[...]
Florida Brooks National Marine Sanctuary
2009-01-01
[58]
웹사이트
水道法に基づく水質検査
https://www.mhlw.go.[...]
厚労省
2022-03-22
[59]
웹사이트
米陸軍、安全な水道水の確保に淡水魚ブルーギルを活用
https://wired.jp/200[...]
2004-03-29
[60]
웹사이트
トピック第16回 魚による水質監視!? 水源・水質 東京都水道局
https://www.waterwor[...]
[61]
웹사이트
トピック第28回 給水栓自動水質計器 水源・水質 東京都水道局
https://www.waterwor[...]
[62]
웹사이트
http://floridakeys.n[...]
[63]
논문
Meanings of environmental terms
1997-01-01
[64]
서적
상하수도 공학
구미서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강 수질 환상적" 1㎞ 직접 수영해 안전성 알린 오세훈
복원 20년 청계천에 ‘쉬리’ 산다
청계천에 나타난 쉬리…도심 하천 수질 개선·생태 보전 노력 결실
먹는물 안전 관리, 정부의 책임 있는 답변이 필요하다[기고]
부산 지하수 ‘수질·수위’ 실시간 확인····온천수 효율적 관리
영산강 깨끗해졌나…11년 만에 최고 수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