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지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지침은 손에 침을 놓아 질병을 치료하는 요법이다. 유태우가 창시한 고려수지침요법을 중심으로 민간 자격 제도가 운영되어 왔으며, 2006년까지 수천 명의 자격증 취득자를 배출했다. 대법원은 수지침 시술이 의료법상 의료행위에 해당하지만,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경우 위법성이 조각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동아일보와 중앙일보 등 언론을 통해 소개되었으나, 과학적 근거 부족 및 부작용의 위험성이 지적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침구술 - 침술
    침술은 폄석에서 유래한 침을 사용하여 경혈을 자극하는 고대 의술로, 통증 완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과학적 근거 부족 논란이 있으며, 안전을 위해 멸균된 침 사용 및 숙련된 시술이 중요하다.
  • 침구술 -
    뜸은 쑥을 가공한 뜸쑥을 몸의 특정 부위에 놓고 태워 온열 자극을 주는 동아시아 전통 의술로, 만성 질환 등에 활용되나 부작용 위험도 존재한다.
수지침
개요
이름수지침 (手 鍼)
영어 이름Hand acupuncture
정의손의 특정 부위나 경혈에 침을 놓아 질병을 치료하는 침술의 한 형태이다.
특징
요약손은 신체의 축소판이라는 개념에 기반한다.
손의 특정 부위가 신체의 특정 기관이나 부위에 해당한다고 본다.
손의 해당 부위를 자극하여 통증 완화 및 질병 치료를 목표로 한다.
역사 및 기원
창시자유태우
창시 시기1970년대
기원 국가대한민국
치료 방법
시술 방법손의 특정 부위 (경혈)에 침을 놓는다.
뜸 또는 지압을 사용하기도 한다.
#- th: 치료 부위
#td: 손
적응증 (치료 가능한 질병)통증, 근골격계 질환, 신경계 질환 등 (주관적인 내용이 많으므로 주의)
관련 정보
관련 용어고려수지침
수기요법
주의사항임산부나 특정 질환 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전문가와 상담 필요).
참고 서적고려수지침 (유태우 저)

2. 역사

수지침은 1971년 유태우가 창시했다.

2. 1. 보급

1971년 유태우가 창시한 수지침은 대한민국에서 고려수지침학회와 대한서금요법학회를 중심으로 보급되었다. 유태우 회장은 2002년부터 수지침 관련 민간자격제도를 도입하여 보급에 힘썼다.[12]

2002년 8월, 제1회 고려수지침요법사(음양맥진과정 연수) 자격검증시험이 시행된 이후, 2006년까지 총 7,729명의 고려수지침요법사가 배출되었다. 2004년 4월에는 제1회 고려수지요법사(기초과정 연수) 자격검증시험이 시행되어 2006년까지 총 2,239명의 고려수지요법사가 배출되었다. 또한, 고려수지침요법사 자격증 취득 후 다년간 연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2005년 3월부터 비만체형관리사 자격검증시험을 시행하여 2006년까지 총 1,539명의 비만체형관리사를 배출하였다.[12]

자격 종류시행 연도시험 횟수 (2005년까지)배출 인원 (2006년 기준)
고려수지침요법사 (음양맥진과정)2002년9회7,729명
고려수지요법사 (기초과정)2004년5회2,239명
비만체형관리사2005년3회1,539명


3. 원리 및 방법

수지침은 손이 인체의 축소판이라는 전제하에, 손바닥과 손등의 각 부위가 인체의 특정 장기 및 기관과 상응한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이러한 상응점을 자극하여 해당 부위의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한다.

3. 1. 시술 방법

수지침 시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길이 21mm, 침자루 18mm, 침체 길이 3mm, 굵기 0.24mm의 강선으로 만들어진 신수지침을 신수지침관에 넣는다. 그 후 신수지침관을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신수지침관의 손잡이를 살짝 들었다가 놓는다. 이 과정을 통해 신수지침이 1mm 정도 손바닥에 꽂히면서 손 부위에 미세한 피부 자극을 주게 된다.[11]

4. 법적 지위 및 논란

대법원은 2000년 98도2389 판결에서 수지침 시술행위가 의료법에서 금지하는 의료행위에 해당하지만, 체침과 구별되는 특성과 일반인의 인식을 고려하여 예외적인 경우 위법성이 없다고 판결하였다.[15] 2006년 국민고충처리위원회는 수지침 시술이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하지만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16]

4. 1. 의료법 논란

대법원은 2000년 98도2389 판결에서 수지침 시술행위가 "침술행위의 일종으로서 의료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의료행위에 해당"하므로 "일반적으로 면허 또는 자격 없이 침술행위를 하는 것"은 처벌되어야 한다고 보았다.[15] 그러나 "수지침은 시술부위나 시술방법 등에 있어서 예로부터 동양의학으로 전래되어 내려오는 체침의 경우와 현저한 차이가 있고, 일반인들의 인식도 이에 대한 관용의 입장에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다음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판시하였다.[15]

  • 시술자의 시술 동기, 목적, 방법, 횟수
  • 시술자의 지식수준, 시술경력
  • 피시술자의 나이, 체질, 건강상태
  • 시술행위로 인한 부작용 내지 위험발생 가능성


위 사항들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경우에 개별적으로 보아 법질서 전체의 정신이나 그 배후에 놓여 있는 사회윤리 내지 사회통념에 비추어 용인될 수 있는 행위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형법 제20조 소정의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에 해당되어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판결하였다.[15]

2006년 4월 10일 국민고충처리위원회는 '민간요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수지침무료자원봉사활동이 의료법에 위반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심의를 통해 "체침시술 또는 부항시술과는 명백히 구별하여 수지침시술이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하지만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16]

4. 2. 민간자격제도

고려수지침학회·대한서금요법학회 회장인 유태우는 2002년부터 고려수지침 관련 민간자격제도를 만들어 보급해 왔다. 2002년 8월 제1회 고려수지침요법사(음양맥진과정 연수) 자격검증시험을 시행한 이후 2005년 10월까지 총 9회 시험을 실시하여 2006년 기준으로 7,729명의 고려수지침요법사를 배출했다.[12] 2004년 4월 제1회 고려수지요법사(기초과정 연수) 자격검증시험을 시행하고 2005년 12월까지 총 5회 시험을 실시하여 2006년 기준 2,239명의 고려수지요법사를 배출했다.[12] 고려수지침요법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다년간 연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2005년 3월 제1회 비만체형관리사 자격검증시험을 시행하고 2005년 11월까지 총 3회 시험을 실시하여 2006년 기준 1,539명의 비만체형관리사를 배출했다.[12]

5. 사회적 인식 및 활용

수지침은 사회적으로 여러 방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편이다. 언론에서는 수지침을 다루기도 한다.

5. 1. 언론 보도

동아일보는 2002년 1월 6일부터 2003년 3월 30일까지 '생활 수지침'이라는 연재를 통해 수지침을 소개하였으며,[13] 중앙일보는 '유태우의 서금요법'이라는 연재를 통해 2007년 3월 5일부터 2013년 4월 22일까지 수지침을 소개하고 있다.[14]

6. 비판 및 한계

(이전 출력이 없어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해 드리겠습니다.)

참조

[1] 서적 Koryo sooji chim https://books.google[...] Eum Yang Mek Jin Pub. Co. ; San Mateo, CA : Distributed by the Koryo Hand Acupuncture Institute of America 2016-08-13
[2] 서적 Medicine Across Cultures: History and Practice of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04-11
[3] 서적 Mosby's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 Health Profession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04-28
[4]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American Folklore and Folklife https://archive.org/[...] ABC-CLIO 2016-08-13
[5] 서적 Auriculotherapy Manual: Chinese and Western Systems of Ear Acupunctur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08-13
[6] 웹사이트 Hand Reflexology: The Ultimate Guide to Hand Reflexology https://mindbodypal.[...] 2020-03-30
[7] 웹사이트 'Lotus {{!}} KHT: Korean Hand Thearpy for Instant Pain Relief' https://www.elotus.o[...] 2020-03-30
[8] 서적 Complementary & Alternative Therapies in Nursing: Sixth Edi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9-11-10
[9] 판결문 대법원 2000. 4. 25. 선고 98도2389 판결【의료법위반】 [집48(1)형,310;공2000.6.15.(108),1345]
[10] 간행물 국민고충처리위원회결정례집(통권13호) 국민고충처리위원회 2007-05
[11] 간행물 국민고충처리위원회결정례집(통권13호) 국민고충처리위원회 2007-05
[12] 간행물 국민고충처리위원회결정례집(통권13호) 국민고충처리위원회 2007-05
[13] 뉴스 http://news.donga.co[...]
[14] 웹사이트 유태우의 서금요법 http://find.joinsmsn[...]
[15] 판결문 대법원 2000. 4. 25. 선고 98도2389 판결【의료법위반】 [집48(1)형,310;공2000.6.15.(108),1345]
[16] 간행물 국민고충처리위원회결정례집(통권13호) 국민고충처리위원회 20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