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는 스페인 축구의 슈퍼컵 대회로, 1982년부터 시작되었다. 1940년부터 1953년까지는 코파 에바 두아르테를 포함한 여러 비공식 대회가 열렸다. 2019-20 시즌부터는 라리가 상위 2팀과 코파 델 레이 결승 진출 2팀이 참가하는 4팀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FC 바르셀로나가 최다 14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리오넬 메시가 14골로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축구 대회 - 코파 델 레이
코파 델 레이는 1903년부터 시작된 스페인의 축구 대회로, 스페인 최고 권위의 대회였으며, 다양한 리그 팀들이 참가하는 녹아웃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고, 우승팀에게는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와 UEFA 유로파리그 출전권이 주어지며, FC 바르셀로나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스페인의 축구 대회 - 코파 델 솔
코파 델 솔은 스칸디나비아 클럽들이 따뜻한 날씨 속에서 훈련 경기를 치르도록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스페인에서 개최된 축구 토너먼트였으나, 관심 저하와 주요 팀 불참으로 중단되었다. - 198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KBO 한국시리즈
KBO 한국시리즈는 KBO 소속 팀들이 정규 시즌 우승팀과 플레이오프 승리팀이 7전 4선승제로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이며, 1982년부터 시작되어 현재는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 진출 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198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는 UEFA가 주관하는 17세 이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의 국제 대회이며, 1982년부터 2001년까지는 U-16 대회로 개최되다가 2002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스페인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국내 축구 슈퍼컵 대회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는 이탈리아의 축구 슈퍼컵 대회로, 초기에는 세리에 A와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 간의 단판 승부였으나 2023년부터는 4팀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AC 밀란, 유벤투스, 인터 밀란이 최다 우승을 기록했고 이탈리아 외 여러 국가에서도 개최되었다. - 국내 축구 슈퍼컵 대회 - FA 커뮤니티 실드
FA 커뮤니티 실드는 1908년 시작된 잉글랜드 축구의 연례 대회로, 리그 우승팀과 FA컵 우승팀이 대결하며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어 수익금을 자선 단체에 기부하고, 잉글랜드 프로 축구 시즌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경기로 여겨진다.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 |
---|---|
대회 정보 | |
이름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
영어 이름 | Supercopa de España |
주최 |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 |
창립 | 1982년 |
참가 팀 수 | 2팀 (2018년까지) 4팀 (2019년 이후) |
지역 | 스페인 |
최근 우승팀 | 레알 마드리드 (13번째 우승) |
최다 우승팀 | 바르셀로나 (14회 우승) |
웹사이트 |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 공식 웹사이트 |
최근 대회 | |
최근 대회 | 2024년 |
기타 | |
방송사 | 방송사 목록 |
![]() |
2. 역사
1982년 현재의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대회가 시작되기 전, 1940년부터 1953년까지 스페인 리그 우승팀과 컵 대회(당시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우승팀 간의 다양한 대회가 열렸다.[49][47][48] 1940년 9월에는 코파 데 캄페오네스(제패자들의 컵)라는 대회가 열렸고,[48] 1945년 12월에는 스페인 군사 정권의 아르헨티나 대사가 수여한 코파 데 오로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황금컵)가 열렸다.[49][48] 이 두 대회는 모두 비공식적으로 한 번씩만 진행되었다.[49]
1941년에는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이 코파 프레시덴테 FEF를 공식 대회로 출범시켰으나, 이 대회 역시 한 번만 진행되었다.[50] 1947년에는 아르헨티나 대통령 후안 페론과 영부인 에바 페론을 기리기 위해 코파 에바 두아르테가 연간 공식 대회로 실시되었으며, 이는 현재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의 전신이다.[49][48]
2018년에는 수페르코파가 사상 처음으로 중립 구장에서 단판 형식으로 진행되었다.[51]
2019년 11월 12일, 수페르코파는 4개 구단 참가 형태로 개편되어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의 압둘라 국왕 체육 단지에서 1.2억유로의 계약으로 열리게 되었다. 대회 개최 기간은 선수단의 일정이 덜 "빡빡한" 시기를 찾아 1월로 결정되었다.[52] 이 결정은 여러 비판을 받았다. RTVE 스포츠 중계 소장 헤수스 알바레스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문제와 여성 스포츠 문제를 이유로 중계권 유치전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53] 하비에르 테바스 스페인 프로축구연맹 회장도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침해와 유럽 축구의 "해적질"(해적 방송사 비아웃Q를 지칭)을 비판했다.[53] 루이스 루비알레스 RFEF 회장은 여성이 제약 없이 경기를 관람할 수 있어야 하며, 축구가 "사회의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고 옹호했다.[55][56][57]
2019년 대회 방식 개편 이후 3번의 대회 동안 코파 델 레이 우승 구단이나 라 리가 우승 구단이 결승전에서 승리하지 못했다.[58]
2. 1. 초기 대회 (1940-1953)
현 대회는 1982년부터 시작되었다. 1940년부터 1953년까지, 스페인 리그 우승 구단과 컵대회(당시 명칭은 '대장군 컵'이었다.) 우승 구단 간의 여러 기타 대회가 진행되었다.[49][47][48]1940년 9월, 이 형식의 대회는 코파 데 캄페오네스(제패자들의 컵)으로 불렸다.[48] 1945년 12월에는 당시 스페인 군사 정권의 아르헨티나 대사가 코파 데 오로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황금컵)을 수여했다.[49][48] 두 우승컵은 비공식적으로 각각 한 번씩 진행되었다.[49]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은 코파 프레시덴테 FEF를 공식 대회로 출범시켰다. 그러나 이 대회도 한 번만 진행되었는데, 12경기 중 11경기가 소리그 형식으로 1941년 4월에서 5월까지 진행되었고, 마지막이자 우승 구단을 결정하는 경기는 1947년 9월까지 연기되어 진행되었다.[50]
1947년, RFEF가 아르헨티나 대통령 후안 페론과 영부인 에바 페론에 대한 경의로 코파 에바 두아르테 데 페론을 출범하여 연간 공식 대회로 진행되었다. 대회는 9월과 12월에 단판 승부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대회 우승컵은 1982년부터 실시된 현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의 전신이다.[49][48]
연도 | 우승 팀 | 우승 대회 | 준우승 팀 | 준우승 대회 | 점수 | 대회명 |
---|---|---|---|---|---|---|
1940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939-40 라 리가 | 에스파뇰 | 1940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 3–3 (1차전) 7–1 (2차전) | 코파 데 로스 캄페오네스 데 에스파냐 (비공식 대회) |
1941–47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940-41 라 리가 | 발렌시아 | 1941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 4–0 | 코파 프레시덴테 FEF (공식 대회) |
1945 | 바르셀로나 | 1944-45 라 리가 | 아틀레틱 빌바오 | 1944-45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 5–4 | 코파 데 오로 아르헨티나 (비공식 대회) |
1947 | 레알 마드리드 | 1947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 발렌시아 | 1946–47 라 리가 | 3–1 | 코파 에바 두아르테 |
1948 | 바르셀로나 | 1947–48 라 리가 | 세비야 | 1947–48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 1–0 | |
1949 | 발렌시아 | 1948–49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 바르셀로나 | 1948–49 라 리가 | 7–4 | |
1950 | 아틀레틱 빌바오 | 1949–50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949–50 라 리가 | 5–5 (1차전) 2–0 (2차전) | |
1951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950–51 라 리가 | 바르셀로나 | 1951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 2–0 | |
1952 | 바르셀로나 | 1951–52 라 리가 & 코파 | 더블을 달성하여 자동 우승. | |||
1953 | 1952–53 라 리가 & 코파 |
1952년과 1953년에는 바르셀로나가 라 리가와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에서 우승하여 우승컵을 받았다.[59]
2. 2. 현대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1982-현재)
1982년, 현재의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대회가 시작되었다. 그 이전인 1940년부터 1953년까지는 스페인 리그 우승팀과 컵 대회(당시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우승팀 간의 다양한 대회가 열렸다.[49][47][48]1940년 9월에는 코파 데 캄페오네스(제패자들의 컵)라는 대회가 열렸고,[48] 1945년 12월에는 스페인 군사 정권의 아르헨티나 대사가 수여한 코파 데 오로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황금컵)가 열렸다.[49][48] 이 두 대회는 모두 비공식적으로 한 번씩만 진행되었다.[49]
1941년에는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이 코파 프레시덴테 FEF를 공식 대회로 출범시켰으나, 이 대회 역시 한 번만 진행되었다.[50] 1947년에는 아르헨티나 대통령 후안 페론과 영부인 에바 페론을 기리기 위해 코파 에바 두아르테가 연간 공식 대회로 실시되었으며, 이는 현재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의 전신이다.[49][48]
2018년에는 수페르코파가 사상 처음으로 중립 구장에서 단판 형식으로 진행되었다.[51]
2019년 11월 12일, 수페르코파는 4개 구단 참가 형태로 개편되어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의 압둘라 국왕 체육 단지에서 1.2억유로의 계약으로 열리게 되었다. 대회 개최 기간은 선수단의 일정이 덜 "빡빡한" 시기를 찾아 1월로 결정되었다.[52] 이 결정은 여러 비판을 받았다. RTVE 스포츠 중계 소장 헤수스 알바레스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문제와 여성 스포츠 문제를 이유로 중계권 유치전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53] 하비에르 테바스 스페인 프로축구연맹 회장도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침해와 유럽 축구의 "해적질"(해적 방송사 비아웃Q를 지칭)을 비판했다.[53] 루이스 루비알레스 RFEF 회장은 여성이 제약 없이 경기를 관람할 수 있어야 하며, 축구가 "사회의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고 옹호했다.[55][56][57]
2019년 대회 방식 개편 이후 3번의 대회 동안 코파 델 레이 우승 구단이나 라 리가 우승 구단이 결승전에서 승리하지 못했다.[58]
2. 2. 1. 2개 팀 형식 (1982-2018)
1983년, 1988년, 1992년을 제외하고 대회 1차전은 컵대회 우승 구단의 안방에서 치러졌다.연도 | 우승 | 점수 | 준우승 |
---|---|---|---|
1982 | 레알 소시에다드 (라 리가 우승) | 0–1, 4-0 | 레알 마드리드 (코파 우승) |
1983 | 바르셀로나 (코파 우승) | 3–1, 0-1 | 아틀레틱 빌바오 (라 리가 우승) |
1984 | 아틀레틱 빌바오 (리가 & 코파 우승) | 아틀레틱 빌바오가 2관왕 달성으로 자동 획득 | |
1985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코파 우승) | 3–1, 0-1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1986 | 레알 마드리드와 사라고사가 경기를 안 치름 | ||
1987 | 레알 마드리드와 레알 소시에다드가 경기를 안 치름 | ||
1988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2–0, 1-2 | 바르셀로나 (코파 우승) |
1989 | 레알 마드리드 (리가 & 코파 우승) | 레알 마드리드가 2관왕 달성으로 자동 획득 | |
1990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1–0, 4-1 | 바르셀로나 (코파 우승) |
1991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1–0, 1-1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코파 우승) |
1992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3–1, 2-1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코파 우승) |
1993 | 레알 마드리드 (코파 우승) | 3–1, 1-1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1994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2–0, 4-5 | 사라고사 (코파 우승) |
1995 | 데포르티보 (코파 우승) | 3–0, 2-1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1996 | 바르셀로나 (코파 준우승) | 5–2, 1-3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리가 & 코파 우승) |
1997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1–2, 4-1 | 바르셀로나 (코파 우승) |
1998 | 마요르카 (코파 준우승) | 2–1, 1-0 | 바르셀로나 (리가 & 코파 우승) |
1999 | 발렌시아 (코파 우승) | 1–0, 3-3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2000 | 데포르티보 (라 리가 우승) | 0–0, 2-0 | 에스파뇰 (코파 우승) |
2001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1–1, 3-0 | 사라고사 (코파 우승) |
2002 | 데포르티보 (코파 우승) | 3–0, 1-0 | 발렌시아 (라 리가 우승) |
2003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1–2, 3-0 | 마요르카 (코파 우승) |
2004 | 사라고사 (코파 우승) | 0–1, 3-1 | 발렌시아 (라 리가 우승) |
2005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3–0, 1-2 | 베티스 (코파 우승) |
2006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1–0, 3-0 | 에스파뇰 (코파 우승) |
2007 | 세비야 (코파 우승) | 1–0, 5-3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2008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2–3, 4-2 | 발렌시아 (코파 우승) |
2009 | 바르셀로나 (리가 & 코파 우승) | 2–1, 3-0 | 아틀레틱 빌바오 (코파 준우승) |
2010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1–3, 4-0 | 세비야 (코파 우승) |
2011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2–2, 3-2 | 레알 마드리드 (코파 우승) |
2012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2–3, 2-1 | 바르셀로나 (코파 우승) |
2013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1–1, 0-0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코파 우승) |
2014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1–1, 1-0 | 레알 마드리드 (코파 우승) |
2015 | 아틀레틱 빌바오 (코파 준우승) | 4–0, 1-1 | 바르셀로나 (리가 & 코파 우승) |
2016 | 바르셀로나 (리가 & 코파 우승) | 2–0, 3-0 | 세비야 (코파 준우승) |
2017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3–1, 2-0 | 바르셀로나 (코파 우승) |
2018 | 바르셀로나 (리가 & 코파 우승) | 2–1 | 세비야 (코파 준우승) |
2. 2. 2. 4개 팀 형식 (2019-현재)
2019년 11월 12일, 수페르코파는 앞으로 3년 동안 4개 구단 참가 형태로 개편될 것이라고 발표되었고, 이 시즌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의 압둘라 국왕 체육 단지에서 1.2억유로의 계약으로 열릴 것임을 발표했다.[52] 대회 개최 기간은 선수단의 일정이 상대적으로 덜 "빡빡한" 시기를 찾아 1월로 결정되었다.[52]이 결정은 다수의 비판으로 이어졌다. 헤수스 알바레스 RTVE 방송국 스포츠 중계 소장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문제와 여성 스포츠 문제를 이유로 수페르코파의 중계권 유치전에 참가하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53] 하비에르 테바스 스페인 프로축구연맹 회장도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권 침해와 유럽 축구의 "해적질"(해적 방송사 비아웃Q를 짚음) 행위를 꼬집으며 결정에 비판했다.[53] 이전에, 테바스는 라 리가를 전 세계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스페인 밖에서, 특히 미국에서 대회를 개최하는 것을 대대적으로 찬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54] 루이스 루비알레스 RFEF 회장은 여성이 제약 없이 경기를 관람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고, 축구가 "사회의 변화"를 불러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정을 옹호했다.[55][56][57]
2019년에 4개 대회 참가 방식으로 대회를 개정한 이래 3번 대회를 치렀는데, 그동안 코파 델 레이 우승 구단이나 라 리가 우승 구단이 아직도 결승전에서 승리를 쟁취하지 못하고 있다.[58]
4개 팀 형식으로 변경된 이후 치러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우승 | 점수 | 준우승 | 준결승 참가 | 경기장 |
---|---|---|---|---|---|
2020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3위) | 0–0 (4–1 승)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라 리가 준우승) | 발렌시아 (코파 델 레이 우승) | 지다 압둘라 국왕 스포츠 단지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
2021 | 아틀레틱 빌바오 (코파 델 레이 결승 진출) | 3–2 (연)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준우승)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세비야 라 카르투하 |
레알 소시에다드 (코파 델 레이 결승 진출) | |||||
2022 |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준우승) | 2-0 | 아틀레틱 빌바오 (코파 델 레이 준우승)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라 리가 우승) | 리야드 파흐드 국왕 국제경기장 |
바르셀로나 (코파 델 레이 우승) | |||||
2023 | 바르셀로나 (라리가 준우승) | 3–1 | 레알 마드리드 (라리가 우승) | 레알 베티스 (코파 델 레이 우승) | 리야드 파흐드 국왕 국제경기장 |
발렌시아 (코파 델 레이 준우승) | |||||
2024 | 레알 마드리드 (코파 델 레이 우승 및 라 리가 준우승) | 4-1 | 바르셀로나 (라 리가 우승)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라 리가 3위) | 리야드 KSU 스타디움 |
오사수나 (코파 델 레이 준우승) |
(2018-19 라 리가 3위)
3. 역대 대회 결과
0–0
(4–1 승부차기)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8-19 라 리가 준우승)발렌시아
(2018-19 코파 델 레이 우승), 바르셀로나
(2018-19 라 리가 우승 및 2018-19 코파 델 레이 준우승)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제다, 사우디 아라비아 2021 아틀레틱 빌바오
(2019-20 코파 델 레이 준우승)3–2 바르셀로나
(2019-20 라 리가 준우승)레알 소시에다드
(2019-20 코파 델 레이 우승), 레알 마드리드
(2019-20 라 리가 우승) 에스타디오 누에보 아르캉헬, 코르도바
에스타디오 라 로살레다, 말라가
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 세비야2022 레알 마드리드
(2020-21 라 리가 준우승)2–0 아틀레틱 빌바오
(2020-21 코파 델 레이 준우승)바르셀로나
(2020-21 코파 델 레이 우승),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0-21 라 리가 우승) 킹 파흐드 국제 경기장, 리야드, 사우디 아라비아 2023 바르셀로나
(2021-22 라 리가 준우승)3–1 레알 마드리드
(2021-22 라 리가 우승)발렌시아
(2021-22 코파 델 레이 준우승), 레알 베티스
(2021-22 코파 델 레이 우승) 킹 파흐드 국제 경기장, 리야드, 사우디 아라비아 2024 레알 마드리드
(2022-23 코파 델 레이 우승) 및 2022-23 라 리가 준우승)4–1 바르셀로나
(2022-23 라 리가 우승)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2-23 라 리가 3위), 오사수나
(2022-23 코파 델 레이 준우승) 킹 사우드 대학교 경기장, 리야드, 사우디 아라비아 2025 rowspan="2" | – rowspan="2"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제다, 사우디 아라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