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가황귀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가황귀비는 건륭제의 후궁으로, 본래 조선 의주 출신으로 후금에 포로로 잡혀간 김씨 가문의 딸이다. 건륭제의 격격으로 입궁하여 가빈, 가비, 귀비를 거쳐 가귀비에 이르렀으며, 4명의 황자를 낳았다. 1755년에 사망하여 황귀비로 추서되었고, 사후에는 숙가황귀비의 시호를 받았다. 가경제는 그녀의 가문을 만주족으로 편입시키고 성씨를 하사했다. 숙가황귀비는 여러 드라마에서 배역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륭제 - 철민황귀비
철민황귀비는 건륭제의 황귀비로, 건륭제의 측실 시절 첫째 아들 영황을 낳았으며 사후 철비로 추증되었다가 황귀비로 재추증되어 철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건륭제 - 효성헌황후
청나라 옹정제의 희귀비이자 건륭제의 생모인 효성헌황후는 옹정제 시대에 희비에서 황태후로 책봉되어 숭경황태후라는 존호를 받았고, 건륭제 즉위 후 효심으로 인해 존호가 계속 추가되었으며 사후 효성헌황후로 추봉되었고, 낮은 신분에서 황후가 된 삶은 여러 작품으로 재해석되었다. - 1755년 사망 - 몽테스키외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사상가로, 법학 연구에 기여하고 《법의 정신》을 통해 삼권 분립 사상을 제시했으며, 사회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 1755년 사망 - 요한 게오르크 피젠델
요한 게오르크 피젠델은 독일 바로크 시대의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드레스덴 궁정 오케스트라 악장으로 활동하며 하이니헨에게 작곡을, 비발디에게 바이올린을 사사받았고, 그의 기악곡 위주 작품은 동시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어 바흐, 알비노니, 텔레만 등이 그에게 작품을 헌정했다. - 1713년 출생 - 홍봉한
홍봉한은 영조와 정조 시대의 권력자이자 정조의 외조부로, 혜경궁 홍씨가 세자빈으로 간택된 후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사도세자 죽음의 책임론과 정조의 개혁 정책에 저항하다 실각한 인물이다. - 1713년 출생 - 순혜황귀비
순혜황귀비는 건륭제의 황귀비로, 건륭제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두었으며 순빈으로 시작해 황귀비로 승격되었고 사망 후 순혜황귀비 시호를 받았으나 평민 출신으로 추정된다.
숙가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호 | 숙가황귀비 (淑嘉皇貴妃) |
로마자 표기 | Sukga Hwang-gwibi |
만주어 | Nemgiyen Saišacuka Hūwang Guifei |
성씨 | 김가 (金佳), 후에 긴기야 (Gingiya)씨로 바뀜 |
출생 | 1713년 9월 14일 (강희 52년 7월 25일) |
사망 | 1755년 12월 17일 (건륭 20년 11월 15일) |
사망 장소 | 자금성 |
묻힌 곳 | 청동릉 유릉 |
배우자 | 건륭제 |
결혼 | 1755년 |
자녀 | |
아들 | 영성, 화석이단친왕 영선, 화석의신친왕 영유 (요절) 영성, 화석성철친왕 |
가문 | |
왕조 | 애신각라 |
아버지 | 김산보 (金三寶) |
2. 생애
ᡦᡳ}}|Nemgiyen Pi}})으로 책봉되었다.
1739년 건륭제의 제4황자 영성(永珹)을 낳았다. 1741년 숭경황태후 뉴호록씨의 명으로 가비(嘉妃, )로 책봉되었다.
1746년 제8황자 영선(永璇)을 낳았다.
1748년 건륭제는 출산을 앞둔 가비를 귀비(貴妃, )로 진봉하였다. 같은 해 제9황자가 태어났으나 요절하였다. 1749년 정식으로 가귀비(嘉貴妃)로 책봉되었다. 예부는 혜현황귀비의 예에 따라 예물을 받을 계획이었으나, 건륭제는 가귀비가 건륭 10년의 한귀비와 순귀비의 예우에 따르도록 하였다.
1752년 제11황자 영성(永瑆)을 낳았다. 같은 해 가귀비의 사십천추에 예은대로 물품 팔십 점을 하사받았으며, 계황후 휘발나랍씨와 함께 유릉지궁을 순시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ᠨᡳᠶᠠᠯᠮᠠ}}|Booi Niyalma}}]]) 조선 의주 출신의 긴 산다리(金三達理, )의 증손인 긴 산보오(金三寶, )의 딸로 태어났다.[9][10] 아버지는 삼보(三寶)로, 내무부 소속 마구간에서 종3품 벼슬을 지냈다. 형제로는 김정(金鼎), 김휘(金輝), 김간이 있었다.숙가황귀비의 가문은 원래 의주 출신의 한국 김씨 가문으로, 1636년 청나라의 조선 침입 당시 청나라에 항복하고 중국으로 이주하였다.[1] 그녀의 가족은 만주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나중에 만주 깃발(만주 8기)에 편입되었다.[2] 그녀의 원래 성인 김(Jin)씨는 만주식으로 긴기야(Gingiya)로 변경되었다.
2. 2. 건륭제 즉위 이후
건륭제 즉위 후 귀인(貴人)으로 책봉되었고, 1737년 가빈(嘉嬪)이 되었다.[9][10] 1739년 정월 14일, 건륭제의 넷째 아들 영성(永珹)을 낳았고, 1741년 2월 13일, 황태후의 명으로 가비(嘉妃)로 책봉되었다.1746년 7월 15일, 여덟 번째 황자 영선(永璇)을 낳았다. 1748년 7월 1일, 건륭제는 출산을 앞둔 가비를 귀비(貴妃)로 진봉하였고, 같은 해 7월 9일 아홉 번째 황자가 태어났으나 요절했다. 1749년 4월 5일, 정식으로 가귀비(嘉貴妃)로 책봉되었다.
1752년 2월 7일, 열한 번째 황자 영성(永瑆)을 낳았다. 1755년 11월 15일, 가귀비는 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43세였다. 다음 날, 건륭제는 숙가황귀비(淑嘉皇貴妃)라는 시호를 내렸다.[11]
2. 3. 죽음과 사후
1755년 11월 15일 가귀비(嘉貴妃) 김씨는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건륭제는 그녀를 황귀비로 추서하고, 11월 17일 숙가황귀비(淑嘉皇貴妃)로 시호를 내렸으며, 관은 잠시 정안장 빈궁에 안치하였다.[11] 건륭제는 가귀비가 열사병이나 열피로 등을 동반한 고열로 사망하자, 다음 날 숙가황귀비(淑嘉皇貴妃)의 묘호를 추증했다.가경제는 가귀비(嘉貴妃) 김씨의 소속을 만주 정황기의 기분 니루로 변경하고 '긴갸'(金佳, )라는 만주 성씨를 하사하였다. 일가의 기적 변경은 호쇼이 친왕과 도로이 균왕으로 책봉된 세 아들의 외가 신분을 포의 신분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한 조치였다.[11] 가경 4년(嘉慶四年, 1799년)에 이루어진 이 조치는, 팔기제 내에서 가귀비 김씨 일족의 소속을 상위 소속으로 변경(탁기(抬旗))하는 것이었다.
3. 자녀
출생 순서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첫째 | 용성(永珹|용성중국어) | 1739년 2월 21일 ~ 1777년 4월 5일 | 건륭제의 넷째 아들. 1763년에 이등 뢰친왕 작위를 받았고, 사후에 정일등 뢰단친왕으로 추봉됨. |
둘째 | 용선(永璇|용선중국어) | 1746년 8월 31일 ~ 1832년 9월 1일 | 건륭제의 여덟 번째 아들. 1779년에 이등 의친왕 작위를 받았고, 1797년에 정일등 의친왕으로 승격되었으며, 사후에 정일등 의신친왕으로 추봉됨. |
셋째 | 용유(永瑜|용유중국어) | 1748년 8월 2일 ~ 1749년 6월 11일 | 건륭제의 아홉 번째 아들. 요절함. |
넷째 | 용성(永瑆|용성중국어) | 1752년 3월 22일 ~ 1823년 5월 10일 | 건륭제의 열한 번째 아들. 1789년에 정일등 성친왕 작위를 받았고, 사후에 정일등 성저친왕으로 추봉됨. |
4.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참조
[1]
웹사이트
Who was the emperor Qianlong's imperial noble consort Shujia?
https://www.youtube.[...]
2022-05-24
[2]
서적
Concubinage and Servitude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4-00-00
[3]
문서
雍正十三年 九月 二十四日
[4]
문서
乾隆二年 十二月 四日
[5]
문서
乾隆六年 十一月
[6]
문서
乾隆十四年 四月 五日
[7]
문서
乾隆二十年 十一月 十六日
[8]
문서
乾隆二十年 十一月 十七日
[9]
서적
조선 중화주의 성립과 동아시아
유니스토리
2012-00-00
[10]
서적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2016-00-00
[11]
서적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2016-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