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지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쉬지린은 1957년 상하이에서 태어난 중국의 자유주의 지식인이다. 문화 대혁명으로 학업을 중단했으나, 전국 대학 입학 시험을 거쳐 화둥 사범 대학에서 정책을 공부했다. 1982년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 강사로 활동했으며, 하버드-옌칭 연구소,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 도쿄 대학 등에서 객원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작은 정부, 큰 사회"를 지향하며 중국 신좌파의 국가주의와 보수주의를 비판했다. 주요 저서로는 《계몽의 운명: 중국 지적 영역에서의 20년》, 《중국의 부상을 재고하다: 자유주의적 비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역사가 - 후스
후스는 중국의 철학자, 문학가,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백화문 운동을 주도하여 중국 문학 혁명에 기여하고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학문 연구와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베이징 대학 교수, 중화민국 주미대사, 베이징 대학 총장, 중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중국의 역사가 - 우한 (역사가)
우한은 중국 근현대사의 격변기를 살았던 역사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명나라 연구의 선구자였으나 경극 희곡 《해서파관》으로 인해 문화대혁명 당시 탄압받고 사망 후 복권되었으며 그의 삶과 정치적 입장은 재평가되고 있다. - 21세기 역사가 - 아키라 이리에
아키라 이리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외교사에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여 국제 관계 연구를 확장하고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냉전 시대 아시아 등에 대한 연구로 학계에 기여했으며, '역사의 국제화'를 주장하며 국제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21세기 역사가 - 세일라 벤하비브
세일라 벤하비브는 튀르키예 출신의 정치철학자이며, 문화의 순수성을 부정하고 다원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을 주장하며, 저서로 『타자의 권리』 등이 있고 북미철학회상 등을 수상했다. - 1957년 출생 - 노영민
노영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7·18·19대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 및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여러 논란에 연루되었다. - 1957년 출생 -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는 2007년부터 2022년까지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았고, 퇴임 후 인민평의회 의장직을 수행했다.
| 쉬지린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 | 1957년 (66–67세) |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 직업 | 역사가 지식인 교수 |
| 소속 | 화둥 사범 대학 |
| 학력 | 화둥 사범 대학 역사학과 학사 화둥 사범 대학 역사학과 석사 |
| 사상 | |
| 영향 받은 사상가 | 자유주의 보수주의 고전 자유주의 |
| 경력 | |
| 교수 | 화둥 사범 대학 역사학과 |
| 연구원 | 상하이 사범 대학 |
2. 생애
쉬지린은 1957년 상하이에서 태어났다.[2]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학교를 중퇴하고 사서가 되었다.[2] 시간이 흐르면서 그는 결국 전국 대학 입학 시험에 합격한 후 더 높은 교육을 받기로 결심했다.[2] 그는 화둥 사범 대학에서 정책을 공부했다.[2]
1982년 쉬지린은 학사 학위를 받고 대학교 강사가 되었다.[3] 1997년부터 2003년까지 하버드-옌칭 연구소,[3]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 도쿄 대학 등에서 객원 교수 및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다.[2] 2003년 화둥 사범 대학으로 돌아와 경력을 이어갔다.[2]
쉬지린은 홍콩 중문 대학교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21세기 격월간지''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4]
2. 1. 초기 생애
쉬지린은 1957년 상하이에서 태어났다.[2]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학교를 중퇴하고 사서가 되었다.[2] 시간이 흐르면서 그는 결국 전국 대학 입학 시험에 합격한 후 더 높은 교육을 받기로 결심했다.[2] 그는 화둥 사범 대학에서 정책을 공부했다.[2]2. 2. 학문 경력
1982년 쉬지린은 학사 학위를 받고 대학교 강사가 되었다.[3] 1997년부터 2003년까지 하버드-옌칭 연구소,[3]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 도쿄 대학 등에서 객원 교수 및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다.[2] 2003년 화둥 사범 대학으로 돌아와 경력을 이어갔다.[2]쉬지린은 홍콩 중문 대학교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21세기 격월간지''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4]
3. 관점
쉬지린은 정치적 극단을 거부하는 자유주의자이다.[4] 그는 "작은 정부, 큰 사회"를 믿으며, 중국 신좌파의 국가주의, 보수주의[5] 지적 흐름을 비판했다.[6]
4. 주요 저작
- Xu Jilin, 계몽의 운명: 중국 지적 영역에서의 20년 (1978–98)}/The Fate of Enlightenment: Twenty Years in the Chinese Intellectual Sphere (1978–98)영어, 동아시아 역사, 20호(2000), 169–186쪽.
- Xu Jilin, 공공 지식인에게는 어떤 미래가 있는가?: 지식의 전문화, 문화의 상업화,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은 1990년대 중국을 특징짓는다/What Future for the Public Intellectual?: The Specialisation of Knowledge, the Commercialisation of Culture, and the Advent of Postmodernism Characterise China in the 1990s영어, 중국 전망, 52호(2004), 18–30쪽.
- Xu Jilin, 현대 중국의 사회 다윈주의/Social Darwinism in Modern China영어, 현대 중국사 저널, 6권 2호(2012), 182–197쪽.
- Xu Jilin, 중국의 부상을 재고하다: 자유주의적 비판/Rethinking China's Rise: A Liberal Critique영어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18).
참조
[1]
웹사이트
许纪霖
https://faculty.ecnu[...]
2019-07-30
[2]
웹사이트
许纪霖_学术_专栏作者_天益思想库
https://www.aisixian[...]
2023-04-04
[3]
웹사이트
Xu Jilin
https://harvard-yenc[...]
2019-07-30
[4]
웹사이트
Xu Jilin 许纪霖
https://www.thechina[...]
2019-07-30
[5]
간행물
近十年來中國國家主義思潮之批判
https://www.airitili[...]
2011-01-01
[6]
서적
Xu Jilin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