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쿰빈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쿰빈강은 알바니아 남동부에서 발원하여 아드리아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고대에는 게누수스(Genusus)로 불렸으며, 일리리아 남부 중앙을 관통했다. 슈쿰빈강은 발라마라 산맥에서 시작하여 여러 협곡과 계곡을 지나 아드리아 해로 흘러가며, 고대 비아 에그나티아가 이 강을 따라 건설되어 동서양을 잇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일리리쿰과 에피루스 노바 사이의 경계였으며, 라틴어 사용 지역과 그리스어 사용 지역의 경계를 이루기도 했다. 또한, 슈쿰빈강은 토스크 알바니아어와 게그 알바니아어 방언의 지리적 경계로, 강 북쪽에서는 게그 방언이, 남쪽에서는 토스크 방언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슈쿰빈강 | |
---|---|
개요 | |
![]() | |
지리 | |
발원지 | 발라마라 |
발원지 위치 | 코르차 주 |
발원지 고도 | 2120m |
하구 위치 | 로고지너 서쪽 18km |
하구 | 아드리아 해 |
하구 고도 | 0m |
국가 | 알바니아 |
길이 | 181.4km |
유역 면적 | 2444km2 |
평균 방류량 | 61.5m3/s |
2. 명칭
슈쿰빈강의 명칭은 라틴어 ''Scampinus''(Scampis|스캄피스la로도 기록됨)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강의 일리리아어 이름인 ''Genusus''(Genusus|게누수스la로 기록됨)와 Genessus|게네수스la[5], Γενούσος|게누소스grc를 대체했다. 슬라브어의 매개는 거부되었다. 라틴어 차용어로의 포함과 원-알바니아어로의 음성 진화는 현재 엘바산 근처의 큰 로마 도시의 역사적 존재와 일치하며, 이 도시는 강에 새로운 이름을 부여했다.[6]
슈쿰빈강은 알바니아 남동부 발라마라 산맥 동쪽, 마자 에 발라마레스(2375m)와 구르 이 토피트(2120m) 사이에서 발원한다.[7] 발라마라 산맥에서 내려온 후, 많은 깊은 협곡과 계곡을 지나 프로프티슈트와 쿠케스를 거쳐 북쪽으로 흐르며 고라 산맥을 통과한다. 중요한 지류는 포그라데츠 남서쪽 구르 이 캄제(1481m)에서 유입된다. 강은 동쪽의 모크라 산맥과 셰베니크 산맥 사이, 서쪽의 폴리스 산맥 사이에 위치한 함몰구조 내부를 흐른다. 리브라즈드 근처에서 강은 발원지에서 서쪽으로 약 50km 떨어진 지점에서 방향을 바꾸어 라푼 시내와 합류한다.[8] 마지막으로, 강은 미제케 평원을 가로질러 카라바스타 석호에 작은 삼각주를 형성하며, 아드리아 해와 매우 가까이 위치해 있다.
슈쿰빈강은 고대에 ''게누수스''(Genusus)로 불렸으며, 일리리아 남부 중앙에 위치했다. 스캄파 마을에서는 ''스캄피니''(Scampini)라고도 불렸다. 고대 시대에 슈쿰빈 계곡에는 파르티니족, 타울란티족, 다사레티족 등 여러 일리리아인들이 거주했다.[9][10][11] 비아 에그나티아는 이 강을 따라 건설되어 동서양을 잇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12]
3. 지리
4. 역사
로마 제국 시대에는 일리리쿰과 에피루스 노바 행정 구역의 경계선이었으며,[14] 라틴어 사용 지역과 그리스어 사용 지역을 나누는 경계이기도 했다.[15]
또한, 슈쿰빈강은 토스크 알바니아어 방언과 게그 알바니아어 방언을 나누는 지리적 경계선이다. 강 북쪽은 게그 방언, 남쪽은 토스크 방언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언 분화는 기독교화 이후(서기 4세기)에 발생했으며,[16][17] 슈쿰빈강은 이레체크 선에 걸쳐 있는 역사적인 방언 경계였다.[18][19][20]
4. 1. 고대
슈쿰빈강의 고대 이름은 ''게누수스''(Genusus)였으며, 일리리아 남부 중앙에 위치했다. 이 강은 스캄파 마을에 의해 확인되어 ''스캄피니''(Scampini)라고 불리기도 했다. 고대 시대에 슈쿰빈 계곡에는 여러 일리리아인들이 거주했다. 파르티니족은 강의 중류 계곡에 살았고,[9][10][11] 서쪽으로는 강 하류 계곡을 포함한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타울란티족과 이웃했으며, 동쪽으로는 오흐리드 호수 지역에 거주하는 다사레티족과 이웃했는데, 다사레티족은 강의 상류 계곡을 포함했다.[11] 고대 비아 에그나티아는 이 강을 따라 건설되었으며, 동방과 서방 사이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12] 비아 에그나티아는 에피담노스-디라키움과 아폴로니아에서 시작된 두 갈래가 현대의 엘바산 근처 아드 퀸툼에서 합쳐져 슈쿰빈 계곡을 따라 동쪽으로 이어졌다.[13]
로마 제국 시대에 슈쿰빈강은 일리리쿰과 에피루스 노바 행정 구역 사이의 경계선이었다. 이 경계선은 서쪽에서는 스코드라와 디라키움 사이 어딘가에서 시작하여 동쪽에서는 슈쿰빈강 북쪽과 오흐리드 호수 사이 어딘가에서 끝났다.[14] 이 시기에 슈쿰빈 계곡은 라틴어 사용 지역과 그리스어 사용 지역 사이의 대략적인 경계를 이루었다.[15]
이 강은 토스크 알바니아어 방언과 게그 알바니아어 방언 사이의 지리적 경계선이기도 하다. 슈쿰빈강 북쪽에서는 게그 방언이, 남쪽에서는 토스크 방언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언 분화는 이 지역의 기독교화 이후(서기 4세기)에 발생했으며,[16][17] 이 강은 이레체크 선에 걸쳐 있는 역사적인 방언 경계였다.[18][19][20]
4. 2. 로마 제국 시대
슈쿰빈강의 고대 이름은 ''게누수스''(Genusus)였으며, 일리리아 남부 중앙에 위치해 있었다. 이 강은 스캄파 마을에서 확인되어 ''스캄피니''(Scampini)라고 불리기도 했다. 고대 비아 에그나티아는 이 강을 따라 건설되었으며, 동방과 서방 사이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12] 비아 에그나티아는 에피담노스-디라키움에서 시작된 북쪽 갈래와 아폴로니아에서 시작된 남쪽 갈래로 나뉘어 있었는데, 이 두 갈래는 현대의 엘바산 근처 아드 퀸툼에서 합쳐져 슈쿰빈 계곡을 따라 동쪽으로 이어졌다.[13]
로마 제국 시대에 슈쿰빈강은 일리리쿰과 에피루스 노바 행정 구역 사이의 경계선이었다. 이 경계선은 서쪽으로는 스코드라와 디라키움 사이, 동쪽으로는 슈쿰빈강 북쪽과 오흐리드 호수 사이 어딘가에서 끝났다.[14] 이 시기에 슈쿰빈 계곡은 라틴어 사용 지역과 그리스어 사용 지역 사이의 대략적인 경계를 이루었다.[15]
4. 3. 중세 이후
로마 제국 시대에 슈쿰빈강은 일리리쿰과 에피루스 노바 행정 구역 사이의 경계선이었다. 이 경계선은 서쪽으로는 스코드라와 디라키움 사이 어딘가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는 슈쿰빈강 북쪽과 오흐리드 호수 사이 어딘가에서 끝났다.[14] 이 시기에 슈쿰빈 계곡은 라틴어 사용 지역과 그리스어 사용 지역 사이의 대략적인 경계를 이루었다.[15]
슈쿰빈강은 토스크 알바니아어 방언과 게그 알바니아어 방언 사이의 지리적 경계선이기도 하다. 슈쿰빈강 북쪽에서는 게그 방언이, 남쪽에서는 토스크 방언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언 분화는 이 지역의 기독교화 이후(서기 4세기)에 발생했으며,[16][17] 슈쿰빈강은 이레체크 선에 걸쳐 있는 역사적인 방언 경계였다.[18][19][20]
참조
[1]
웹사이트
TREGUES SIPAS QARQEVE INDICATORS BY PREFECTURES
http://www.instat.go[...]
2012-11-02
[2]
웹사이트
The coastline of Albania: morphology, evolution and coastal management issues
http://ciesm.org/onl[...]
[3]
웹사이트
Fishes from Shkumbini River (Central Albania): an ecological view
https://www.research[...]
[4]
논문
The quality of Albanian natural waters and the human impact
https://www.research[...]
[5]
서적
Robert Elsi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5-10-04
[6]
문서
[7]
웹사이트
Albert-Kurti-compressed.pdf
http://www.doktoratu[...]
[8]
웹사이트
KREU I: PASURITË UJORE SHQIPTARE
http://37.139.119.36[...]
[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MALLAKASTRA STUDIM GJEOGRAFIK
http://www.doktoratu[...]
[13]
문서
[14]
간행물
Migrations and invasions in Greece and adjacent areas.
https://books.google[...]
Noyes Press
[15]
문서
[16]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7-01
[17]
간행물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8]
간행물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19]
서적
Albanian Etymological Dictionary
Brill
[20]
문서
[21]
웹사이트
TREGUES SIPAS QARQEVE INDICATORS BY PREFECTURES
http://www.instat.go[...]
2012-11-02
[22]
웹사이트
The coastline of Albania: morphology, evolution and coastal management issues
http://ciesm.org/onl[...]
[23]
웹사이트
Fishes from Shkumbini River (Central Albania): an ecological view
https://www.research[...]
[24]
서적
Robert Elsie
https://books.google[...]
[25]
문서
[2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