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바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바산은 알바니아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다. 로마 시대에는 비아 에그나티아 도로의 교차로로서 상업적 요충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요새가 건설되어 전략적 요충지로 발전했다. 1466년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도시가 재건축되었고, 이후 엘바산 산자크의 중심지로 오스만 문명의 중심지가 되었다. 근대에는 알바니아 국민 회의가 열려 알바니아어 표기에 라틴 문자를 사용하기로 결정되었으며, 제1차 발칸 전쟁과 세계 대전을 거치며 여러 국가에 점령되었다. 공산주의 시대에는 산업 발전을 이루었으나 환경 오염 문제도 발생했다. 현재는 알바니아 여름 축제와 다양한 종교 시설, 박물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의 도시 - 티라나
    티라나는 알바니아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오스만 제국 지배와 공산주의 시대를 거쳐 현재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지만, 인구 과밀에 따른 환경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알바니아의 도시 - 라치
    라치는 알바니아어로 습지대를 의미하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 기록되었고 성 안토니오 교회가 위치하며, 축구 선수 카짐 라치와 알바니 가문 등이 이 지역과 관련되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엘바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엘바산 전경
엘바산 전경
유형
국가알바니아
엘바산 주
엘바산 현
시장Gledian Llatja
면적 (시)845.1 km²
고도133 m
시간대CET (UTC+1)
DSTCEST (UTC+2)
인구 통계
인구 (2023년)115,101 명
도시 인구66,834 명
인구 순위4위
인구 밀도17.4 명/km²
민족알바니아인
역사
건설1466년
행정
우편 번호3001-3006
지역 번호(0)54
차량 번호판EL
기타
공식 웹사이트엘바산 시 공식 웹사이트
ISO 3166-1 코드AL
명칭
로마자 표기Elbasani
별칭Elbasanlli (남), Elbasanllie (여)

2. 역사

엘바산 성


엘바산 지역은 고대 일리리아인의 정착 흔적이 발견되었으며,[5] 고대 로마 시대에는 아드리아해 연안과 비잔티움을 잇는 중요한 로마 도로인 비아 에그나티아의 교차점에 위치한 무역 거점, Mansio Scampa|만시오 스캄파la로 발전했다.[6] 이후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주교좌가 설치되는 등 종교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로마 제국 쇠퇴 이후 동고트족, 불가르족, 슬라브족 등의 침입으로 황폐해졌다.[18]

15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술탄 메흐메트 2세는 스칸데르베그가 이끄는 알바니아 세력과의 전쟁을 위해 1466년 이곳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 도시를 재건했다.[9] 이때 깊은 해자와 세 개의 문을 갖춘 견고한 엘바산 성이 건설되었으며,[8] 엘바산은 이후 약 450년간 엘바산 산자크의 중심지로서 오스만 제국의 중요한 도시로 기능했다. 이 시기 엘바산에는 알바니아인을 비롯해 튀르키예인, 아로마니아인, 세파르딤 유대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으며, 오스만 도시 문명의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12][13]

19세기부터 발칸 반도 전역에 민족주의 바람이 불면서 엘바산 역시 알바니아 민족 운동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 1909년에는 알바니아 국민 회의가 이곳에서 열려 알바니아어 표기를 위한 라틴 문자 사용을 지지하는 등 민족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20세기 초 제1차 발칸 전쟁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세르비아, 불가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 등 외세에 의해 번갈아 점령당하는 시련을 겪었다.[15][16]

조구 왕정 시대에 담배 및 알코올 공장이 들어서며 산업화가 시작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대규모 산업 개발이 추진되었다. 특히 1970년대 중국의 지원으로 건설된 거대한 Celiku i Partise|첼리쿠 이 파르티세sq(당의 철) 야금 단지는 도시의 급격한 성장을 이끌었으나, 동시에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18] 공산 정권 붕괴 이후, 엘바산은 변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국제 규격의 축구 경기장인 엘바산 아레나가 개장하는 등 현대적인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2. 1. 고대



2010년 8월, 고고학자들은 엘바산 성벽 근처에서 두 개의 일리리아인 무덤을 발견했다.[5]

기원전 2세기, 고대 로마의 무역 거점인 Mansio Scampa|만시오 스캄파la (Σκάμπα|스캄파grc)가 현대 엘바산 부근에 자리 잡았다. 이곳은 아드리아해 연안과 비잔티움을 잇는 중요한 로마 도로 비아 에그나티아의 두 갈래 길이 만나는 지점 근처에 세워졌다. 비아 에그나티아는 로마 제국의 가장 중요한 경로 중 하나였다. 서기 3세기에서 4세기 무렵, 이곳은 탑으로 둘러싸인 견고한 로마 요새로 보호받는 도시로 발전했으며, 요새의 면적은 약 300m2에 달했다.[6] 이 도시는 후기 고대의 여정 기록인 타불라 페우틴게리아나와 이티네라리움 부르디갈렌세에서 '스캄피스(Scampis)' 또는 '히스캄피스(Hiscampis)'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7]

엘바산은 비아 에그나티아를 따라 기독교가 전파되는 과정에 참여했으며, 5세기 초부터는 주교가 상주하고 대성당과 바실리카가 세워졌다. 넓은 강 계곡에 위치한 탓에 로마 군단이 철수하면 외적의 공격에 취약했지만,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는 요새를 강화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 도시는 불가리아인동고트족의 침입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았으며, 이러한 사실은 카이사레아의 프로코피우스의 기록에도 언급되어 있다. 5세기에서 6세기에 지어진 고대 기독교 바실리카의 유적은 베지스탄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2. 2. 중세

로마 제국 시대 이후, 이 지역은 동고트족, 불가르족, 슬라브족 등의 침입으로 황폐해진 것으로 보인다.[18]

1466년, 오스만 제국술탄 메흐메트 2세는 스칸데르베그가 이끄는 레지 동맹과의 계속되는 갈등 속에서 군사적 필요에 따라 도시를 재건하고 성을 건설했다.[9] 그는 깊은 해자와 세 개의 문을 갖춘 거대한 사각형 모양의 엘바산 성을 세웠다. 엘바산이라는 이름은 알바니아어로 '평평한 요새', 터키어로는 '평평한 지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8]

엘바산 성의 문


엘바산은 이후 445년 동안 오스만 제국 도시 문명의 중심지이자 엘바산 산자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역사가 할릴 이날지크는 엘바산 산자크가 성 건설과 동시에 설립되었다고 설명하지만, 투르순 베그의 기록에 따르면 처음에는 오흐리드 산자크의 일부였을 가능성도 있다.[10] 1467년에는 스코페, 오흐리드, 세레스, 카스토리아 등지에서 많은 기독교인들이 강제로 엘바산으로 이주당했다.[11]

17세기 말, 오스만 제국의 여행가 에블리야 첼레비는 엘바산을 방문하여 "모든 주민들이 알바니아어를 사용한다"고 기록했다. 그는 또한 터키어를 아는 이슬람 성직자들이 페르시아어로 글을 읽을 수 있었고, 상인들은 그리스어와 "프랑크어"를 사용했다고 언급했다.[12] 당시 엘바산의 인구는 약 2,000명이었다.

나지레샤 모스크, 오스만 시대 건축물


1832년, 레시트 메흐메트 파샤에 의해 성벽 요새는 해체되었다. 1864년에는 엘바산 산자크가 모나스티르 빌라예트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 말, 엘바산에는 3,000 가구의 무슬림과 280 가구의 정교회 기독교인이 거주했다. 정교회 기독교인 중 100 가구는 성 안의 오래된 기독교 구역에 거주하는 알바니아계였고, 180 가구는 도시 외곽 성 니콜라스 구역에 거주하는 아로마니아인이었다.[13] 20세기 초에는 엘바산의 인구가 약 15,000명으로 추산되었다.[14]

1909년, 이스탄불에서 청년 투르크당 혁명이 일어난 후, 교육 및 문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알바니아 국민 회의가 엘바산에서 열렸다. 중부 및 남부 알바니아 대표자들은 모나스티르 회의에서 결정된 대로 아랍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알바니아어 표기에 사용하기로 한 결정을 지지했다. 당시 엘바산에는 알바니아인, 터키인, 아로마니아인, 세파르딤 유대인 등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살고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엘바산은 동양과 중세 양식이 혼합된 건물, 좁은 자갈길, 큰 바자르가 특징인 도시였다. 성벽 안에는 무슬림 정착지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고, 도시 외곽에는 아로마니아인 구역이 있었으며, 여러 모스크와 이슬람 건축물들이 있었다. 당시 인구는 약 15,000명이었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로마 제국 시대의 만시오 스캄파(Mansio Scampala)가 있던 자리는 동고트족, 불가르족, 슬라브족 등의 침입으로 황폐해졌다가, 15세기 오스만 제국 시대에 다시 중요 거점으로 부상했다. 1466년, 술탄 메흐메트 2세는 스칸데르베그가 이끄는 레지 동맹과의 전쟁을 위해 이곳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 도시를 재건했다.[9] 그는 깊은 해자와 세 개의 문을 갖춘 견고한 사각형 모양의 성을 쌓았다.[8] 도시 이름 '엘바산'은 오스만 투르크어 il-basanota('요새')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4][8]

메흐메트 2세의 재건 이후 엘바산은 엘바산 산자크의 중심지가 되어 약 445년간 오스만 제국의 도시 문명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산자크는 성이 건설된 1466년에 설립되었거나, 초기에는 오흐리드 산자크에 속했다가 이후 분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0] 1467년에는 스코페, 오흐리드, 세레스, 카스토리아 등지에서 많은 기독교인이 엘바산으로 강제 이주되었다.[11]

17세기 말 오스만 제국의 여행가 에블리야 첼레비는 엘바산을 방문하고 기록을 남겼는데, 당시 주민 대다수가 알바니아어를 사용했으며, 이슬람교 성직자들은 튀르키예어페르시아어를, 상인들은 그리스어와 당시 서유럽 언어를 통칭하던 '프랑크어'를 사용했다고 전한다.[12] 당시 도시 인구는 약 2,000명이었다.

19세기에 들어 변화가 있었다. 1832년 레시트 메흐메트 파샤에 의해 성이 해체되었고, 1864년에는 행정 구역 개편으로 모나스티르 빌라예트에 속하게 되었다. 19세기 말 엘바산에는 무슬림 3,000가구와 정교회 기독교인 280가구가 거주했다. 기독교인 중 100가구는 성 안의 오래된 기독교 구역에 거주하는 알바니아인이었고, 180가구는 도시 외곽 성 니콜라스 구역에 거주하는 아로마니아인이었다.[13] 20세기 초에는 도시 인구가 약 15,000명으로 추산되었다.[14]

19세기부터 발칸 반도 전역에서 민족주의가 고조되면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 움직임이 활발해졌고, 엘바산 역시 이러한 운동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1909년 이스탄불에서 청년 투르크당 혁명이 일어난 후, 엘바산에서는 알바니아 국민 회의가 열려 교육 및 문화 문제가 논의되었다. 이 회의에서 중부 및 남부 알바니아 대표자들은 모나스티르 회의의 결정을 따라 알바니아어 표기에 아랍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사용하기로 지지하는 등 알바니아어 표기 통일에 기여했다. 당시 엘바산에는 알바니아인, 튀르키예인, 아로마니아인, 세파르딤 유대인 등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살고 있었다.

알바니아 최초의 교사 양성 대학인 슈콜라 노르말레가 엘바산에 설립되기도 했다. 그러나 제1차 발칸 전쟁 중인 1912년 11월 29일, 엘바산은 세르비아 군대에 점령되었다. 세르비아 군대는 영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최후통첩으로 1913년 10월 25일 철수했다. 1914년 알바니아 공국의 빌헬름 공이 즉위했을 때, 엘바산의 무슬림 대다수는 이를 반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1915년-1918년) 동안 엘바산은 세르비아, 불가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 군대에 의해 번갈아 점령당하는 혼란을 겪었다. 불가리아 군대는 1916년 1월 29일에[15],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는 1916년 3월에 도시를 장악했다.[16] 체코의 작가 스타니슬라프 코스트카 노이만은 1916년 6월부터 1917년 3월까지 오스트리아 군으로 이곳에서 복무하며 전쟁 회고록 ''엘바산''을 남기기도 했다.[17]

2. 4. 근대



로마 제국 시대 이후 동고트족, 불가르족, 슬라브족 등의 침입으로 황폐해졌던 이 지역은 15세기 오스만 제국술탄 메흐메트 2세 시대에 이르러 변화를 맞이했다. 메흐메트 2세는 1466년 군사 기지 건설을 목적으로 도시를 재건하고, 깊은 해자와 세 개의 문을 갖춘 거대한 사면 성을 건설했다.[8] 이는 당시 오스만 제국과 알바니아 레지 동맹 사이의 지속적인 갈등 속에서 스칸데르베그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이었다.[9] 엘바산이라는 이름은 '평평한 요새' 또는 '평평한 지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8]

이후 엘바산은 약 445년 동안 엘바산 산자크의 중심지로서 오스만 도시 문명의 중심지가 되었다. 산자크의 설립 시기에 대해서는 할릴 이날지크가 1466년 성 건설과 동시에 이루어졌다고 주장하는 반면, 투르순 베그의 기록에 따르면 초기에는 오흐리드 산자크의 일부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0] 1467년에는 스코페, 오흐리드, 세레스, 카스토리아 등지에서 많은 기독교인들이 강제로 엘바산으로 이주당하기도 했다.[11] 17세기 말 오스만 여행가 에블리야 첼레비는 엘바산을 방문하여 "모든 주민들이 알바니아어를 사용한다"고 기록했으며, 터키어를 아는 이슬람 성직자들은 페르시아어를 읽을 수 있었고 상인들은 그리스어와 "프랑크어"를 사용했다고 전했다.[12] 당시 인구는 약 2,000명이었다.

1832년 레시트 메흐메트 파샤에 의해 성 요새는 해체되었고, 1864년 엘바산 산자크는 모나스티르 빌라예트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 말 엘바산에는 약 3,000 가구의 무슬림과 280 가구의 정교회 기독교인이 거주했다. 정교회 신자 중 100 가구는 성 안의 오래된 기독교 구역에 거주하는 알바니아계였고, 180 가구는 도시 외곽 성 니콜라스 구역에 거주하는 아로마니아인이었다.[13] 20세기 초에는 인구가 약 15,000명으로 추산되었다.[14]

19세기부터 발칸 반도 전역에서 민족주의가 고조되면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 움직임이 활발해졌고, 엘바산 역시 이러한 독립 운동의 주요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1909년 이스탄불에서 청년 투르크당 혁명이 일어난 후, 엘바산에서는 교육 및 문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알바니아 국민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서 중부 및 남부 알바니아 대표자들은 모나스티르 회의의 결정을 따라 알바니아어 표기에 아랍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사용하기로 지지했다. 당시 엘바산에는 알바니아인 외에도 터키인, 아로마니아인, 세파르딤 유대인 등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살아가고 있었다.

알바니아 최초의 교사 양성 대학인 엘바산 슈콜라 노르말레가 이곳에 설립되기도 했다. 하지만 20세기 초 엘바산은 외세의 침략과 점령이라는 시련을 겪어야 했다. 제1차 발칸 전쟁 중인 1912년 11월 29일 세르비아 군대에 점령되었으나, 영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최후 통첩으로 1913년 10월 25일 철수했다. 1914년 알바니아 공국의 빌헬름 공작이 즉위하자 엘바산의 무슬림 다수는 이를 반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1915-1918) 동안에는 세르비아, 불가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 군대에 의해 번갈아 점령당하는 아픔을 겪었다. 특히 1916년 1월 29일에는 불가리아 군대가[15], 같은 해 3월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가 도시를 장악했다.[16] 체코의 작가 스타니슬라프 코스트카 노이만은 1916년 6월부터 1917년 3월까지 오스트리아 군대의 일원으로 이곳에서 복무했으며, 당시 경험을 바탕으로 ''엘바산''이라는 제목의 전쟁 회고록을 남기기도 했다.[17]

조구 왕정 시대에 들어서 담배 공장과 알코올 공장이 설립되면서 산업 발전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엘바산은 동양과 중세 양식이 혼합된 건물, 좁은 자갈길, 큰 바자회가 특징적인 도시였다. 성벽 안에는 무슬림 정착지가, 도시 외곽에는 아로마니아인 구역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으며, 여러 모스크와 이슬람 건축물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당시 인구는 약 15,000명이었으며, 좋은 공공 건물, 진보된 교육 시설, 공공 정원, 목조 상점 등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2. 5. 현대



19세기 말, 엘바산에는 3,000 가구의 무슬림과 280 가구의 정교회 기독교인이 살았다. 정교회 기독교인 중 100 가구는 성곽 내 오래된 기독교 구역에 거주하는 알바니아계였고, 180 가구는 도시 외곽 성 니콜라스 구역에 거주하는 아로마니아인이었다.[13] 20세기 초에는 약 15,000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14]

1909년 이스탄불에서 청년 투르크당 혁명이 일어난 후, 교육 및 문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알바니아 국민 회의가 엘바산에서 열렸다. 중부 및 남부 알바니아 대표자들은 모나스티르 회의(현 북마케도니아 비톨라)에서 결정된 대로, 아랍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알바니아어 표기에 사용하기로 한 결정을 지지했다. 당시 엘바산에는 알바니아인, 터키인, 아로마니아인, 세파르딤 유대인 등이 함께 살고 있었다. 알바니아 최초의 교사 양성 대학인 엘바산 슈콜라 노르말레가 이곳에 설립되었다.

제1차 발칸 전쟁 중인 1912년 11월 29일, 엘바산은 세르비아 군대에 점령되었으나, 영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최후 통첩으로 1913년 10월 25일 철수했다. 엘바산의 무슬림 대다수는 1914년 알바니아 공국의 빌헬름 공작 즉위를 반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1915년-1918년) 동안 엘바산은 세르비아, 불가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 군대에 차례로 점령되었다. 불가리아 군대는 알바니아의 불가리아 점령 시기인 1916년 1월 29일에 엘바산을 점령했고,[15] 1916년 3월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가 통제권을 넘겨받았다.[16] 체코의 작가 스타니슬라프 코스트카 노이만은 1916년 6월부터 1917년 3월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 군 소속으로 이곳에서 복무했으며, 점령 시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엘바산''이라는 회고록을 남겼다.[17]

조구 왕가 시대에는 담배 및 알코올 공장이 설립되면서 산업 발전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엘바산은 동양과 중세 양식이 혼합된 건물, 좁은 자갈길, 큰 바자회가 특징인 도시였다. 성벽 안에는 무슬림 정착지가 있었고, 도시 외곽에는 아로마니아인 구역이 있었으며, 여러 모스크와 이슬람 건축물들이 있었다. 당시 인구는 약 15,000명이었다.

전쟁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으나, 공산주의 시대에 집중적인 산업 개발 프로그램이 추진되어 도시 인구는 약 75,000명으로 증가했다. 이 과정의 정점은 1970년대 중국의 지원을 받아 슈쿰비니 계곡 외곽에 건설된 거대한 ''당의 철''(Celiku i Partise|첼리쿠 이 파르티세sqi) 야금 단지였다. 당시 지도자 엔베르 호자는 이를 "알바니아의 두 번째 민족 해방"이라고 칭송했지만, 이 단지는 슈쿰비니 계곡에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18] 엘바산 기차역은 1950년에 개통되었다.

2010년 8월, 고고학자들은 엘바산 성벽 근처에서 두 개의 고대 일리리아인 무덤을 발견했다.[5] 2014년, 알바니아 정부는 기존의 루즈디 비주타 경기장을 재건하여 엘바산 아레나로 개장했다. 이 경기장은 FIFA 기준을 충족하며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지리

엘바산은 알바니아 중부에 위치하며, 슈쿰빈 강 북쪽, 스칸데르베그 산맥과 뮈제케 평원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엘바산 주 엘바산 현의 주도이자 현청 소재지이기도 하다.[21][19][20] 2011년 기준 인구는 124,863명이다.

슈쿰빈 강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주변 지역에서는 담배, 올리브, 옥수수 등을 생산하는 농업이 활발하다. 주민의 대부분은 이슬람교를 믿는다. 인근 도시로는 북서쪽으로 약 30km 거리에 알바니아수도티라나가 있고, 북동쪽으로 약 20km 거리에 리브라시트가 있다.

3. 1. 행정 구역

엘바산은 알바니아 중부의 스쿠르미 강 북쪽에 위치하며, 스칸데르베그 산맥과 뮈제케 평원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엘바산 시는 브라다셰시, 푸나르, 제르지안, 지나르, 그라첸, 라비노트-푸셰, 라비노트-말, 파페르, 시르지안, 슈시체, 트레간, 자발리네 및 엘바산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21][19][20] 면적은 872.03km2이다.[21][22]

3. 2. 기후

쾨펜 기후 분류에 따르면, 엘바산은 연평균 기온이 13.1°C인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Csa)이다.[23]

엘바산의 기후[23][24][25][2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총합
평균 최고 기온 (°C)9.5°C11.1°C14.1°C18°C22.7°C27.1°C29.6°C29.6°C25.9°C20.3°C14.9°C10.9°C19.5°C
일평균 기온 (°C)5.9°C7.1°C9.7°C13.2°C17.6°C21.6°C23.7°C23.7°C20.3°C15.6°C11.1°C7.4°C14.7°C
평균 최저 기온 (°C)2.4°C3.6°C5.4°C8.5°C12.5°C16.1°C17.9°C17.8°C14.7°C10.9°C7.4°C4°C10.1°C
강수량 (mm)120mm110mm98mm86mm75mm50mm32mm41mm66mm104mm156mm145mm1083mm
평균 강수일수1312131310856791314123
평균 강설량 (cm)0.2cm0.5cm0cm0cm0cm0cm0cm0cm0cm0cm0cm0.1cm0.8cm
평균 강설일수0.70.40000000000.31.4
평균 상대 습도 (%)74726969666458606670767668
월평균 일조시간 (시간)117.8124.3167.4201.0269.7309.0368.9319.3255.0204.6135.0105.42577.4
평균 자외선 지수346891010986427


4. 인구

엘바산의 인구는 20세기 중반 이후 증가세를 보이다가 21세기에 들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연도별 인구 변화[39]
연도인구 (명)
195016,492
195523,616
196029,786
196939,100
197961,200
198980,650
200186,148
2011년78,703



201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엘바산 시의 인구는 78,703명으로 집계되었다.[39] 한편, 같은 해 기준 인구를 124,863명으로 기록한 자료도 존재한다. 2023년 기준으로 엘바산 시 전체 인구는 115,101명이며, 이 중 시 행정구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66,834명이다.

엘바산은 알바니아 엘바산 주의 주도이자 엘바산 현의 현청 소재지이다.

5. 문화

엘바산의 주요 대로


엘바산의 전통적인 골목길


엘바산은 역사적으로 세르비아인, 불가리아인, 오스트리아인, 이탈리아인 등 여러 민족과 세력의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 있었던 시기에도 알바니아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로서 역할을 유지했다.

1908년 모나스티르 의회(현 북마케도니아비톨라)에서 알바니아어 표기에 라틴 문자를 사용하기로 결정했을 때, 오스만 제국의 영향을 받은 일부 이슬람 성직자들이 엘바산에서 아랍 문자 사용을 주장하며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는 알바니아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중요한 역사적 사건 중 하나이다.

엘바산은 다양한 종교 시설이 공존하며[29][30][31],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여러 박물관[32]도 운영되고 있다. 또한, 겨울의 끝과 여름의 시작을 기념하는 전통 축제인 여름 축제의 본고장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5. 1. 종교

국왕 모스크의 현관 및 입구


엘바산의 가톨릭 교회


엘바산은 역사적으로 세르비아인, 불가리아인, 오스트리아인, 이탈리아인 등 여러 외부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만 제국의 점령기에도 엘바산은 알바니아기독교의 중요한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유지했다. 1908년 모나스티르 의회(현 북마케도니아비톨라)에서 알바니아어 표기를 위해 라틴 문자를 채택하기로 결정하자, 오스만 제국의 영향을 받은 일부 이슬람 성직자들은 엘바산에서 아랍 문자 사용을 주장하며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도시 중심부에는 성 마리아 정교회가 있다. 이 교회는 1819년 화재로 일부 소실된 옛 교회의 터 위에 1830년 재건되었다. 교회 내부에는 다비드 셀레니카시와 코스타딘 셸카니가 복원한 오누프리의 그림과 프레스코화가 남아 있다. 성 마리아 정교회는 알바니아어 발전과 관련된 중요한 종교 및 문화 중심지였으며, 테오도르 하지필리피, 코스탄딘 크리스토포리디, 알렉산데르 주바니와 같은 인물들이 이곳에서 활동하며 많은 시편을 알바니아어로 번역했다. 또한 이 교회 건물은 1909년 엘바산 최초의 현대식 알바니아 학교가 문을 열었던 장소이기도 하다.[29]

엘바산 구에는 성 마리아 정교회 외에도 여러 정교회가 존재한다.

교회 이름건축 연대위치
맘멜리 교회17세기맘멜리
성 니콜라스 교회 (Shën Kollisq)1554년셸칸
성 니콜라스 교회1604년바레쉬
성 코스마와 다미안 교회18세기스테르스탄
성 미카엘 교회 (Shën Mëhillisq)17세기샬레스
성 마리아 교회18세기드라곳
성 니콜라스 교회17세기엘바산
성 아타나시우스 교회1554년엘바산



엘바산에서 약 7km 떨어진 곳에 오래된 수도원과 정교회가 있는데, 이곳에는 요반 블라디미르 성인의 유해가 1995년까지 안치되어 있었다. 그의 유해는 이후 티라나의 정교회 대성당으로 옮겨졌으며, 축일 기간에만 수도원으로 다시 옮겨진다.[30]

엘바산은 1995년 알바니아 정교회에서 분리된 알바니아 독립 정교회(Kisha Autoqefale Kombëtare)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니콜레 마르쿠 신부가 이 교회를 이끌고 있다.[31]

엘바산에는 가톨릭 교회도 존재한다.

주민 대다수는 이슬람교를 믿는다. 엘바산은 겨울의 끝과 여름의 시작을 기념하는 이교도 기원의 축제인 여름 축제(Dita e Verës)로도 유명하다. 이 축제는 2004년부터 알바니아의 국가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5. 2. 박물관

엘바산에는 4개의 박물관이 있다.[32]

  • 민족지학 박물관: 1982년에 개관했으며, 18세기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 코스탄딘 크리스토포리디 하우스: 1978년에 박물관으로 문을 열었다.
  • ''Shkolla Normale'' 박물관
  • 전쟁 박물관

5. 3. 축제

엘바산은 겨울의 끝과 여름의 시작을 기념하는 이교도 축제인 여름 축제(Dita e Verës)의 본고장이다. 이날에는 전통적으로 버터와 옥수수 가루 등으로 만든 쿠키의 일종인 ''발로쿠메''(Ballokume)를 디저트로 먹는다. 여름 축제는 2004년부터 알바니아의 전국적인 공휴일로 지정되어 알바니아 전역에서 기념되고 있다.

6. 경제

남쪽에서 바라본 엘바산


엘바산의 산업 발전은 조그 정권 시기 담배와 알코올 음료 생산으로 시작되었으며,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최고조에 달했다. 특히 1974년 중국의 지원으로 제철소가 건설되면서 도시의 중요성이 커졌다. 당시 알바니아 상황에 대해 한 여행 작가는 "나라의 거의 모든 사람이 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엘바산의 이 중국 자금 지원 공장에서 제조된 것으로 보이며", "이 나라는 트랙터, 쟁기 또는 재봉틀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같았다"고 기록하기도 했다.[27]

또한 1989년에는 공산 정권에 의해 페로크롬 제련소가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발핀 그룹(Balfin Group)이 소유하고 있다.

공산 정권 시기 엘바산은 야금 및 금속 가공 공장을 중심으로 한 중공업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산업화는 심각한 오염 문제를 야기했으며, 엘바산은 오늘날 알바니아에서 가장 오염된 도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최근 몇 년 동안 엘바산은 기존의 지역 오염 문제뿐만 아니라, 환경 운동가들이 "수입 오염"이라고 부르는 새로운 문제에도 직면해 있다. 이는 일부 사기업들이 재활용을 명목으로 해외에서 폐기물을 수입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이다.[18]

한편, 슈쿰빈 강 유역에 위치하여 농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담배, 올리브, 옥수수 등이 있다.

7. 국제 관계

엘바산은 국제적으로 여러 도시와 교류하며 자매 도시 관계 및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자매 도시 및 협력 도시 문단을 참고하라.

7. 1. 자매 도시

엘바산은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엘바산은 또한 다음과 같은 도시와 협력 및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7. 2. 협력 도시

엘바산은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엘바산은 또한 다음과 같은 도시와 협력 및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instat.g[...]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2] 웹사이트 Elbasan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3] 뉴스 Arumunët Albania, nr. 40 https://issuu.com/le[...]
[4] 서적 Robert Elsie: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3-19
[5] 웹사이트 Elbasan, zbulohen dy varre ilire në muret e kalasë https://archive.toda[...]
[6] 서적 Albania https://archive.org/[...] Bradt Travel Guides
[7] 간행물 The Western Part of the via Egnatia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Roman Studies
[8] 웹사이트 Blue Albania - We help you to explore Albania... - Portali me i madh turistik Shqiptar http://www.blue-alba[...]
[9]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The Impact of the Crusades on Europ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0] Citation Ottoman architecture in Albania, 1385-1912 https://books.google[...] Research Centre for Islamic History, Art and Culture
[11] Citation History of the Macedonian People https://www.scribd.c[...] Institute of National History
[12] 서적 Evliya Çelebi in Albania and Adjacent Regions: Kossovo, Montenegro, Ohrid https://books.google[...] Brill
[13] 서적 The Vlachs: Metropolis and Diaspora https://books.google[...] Zitros Publications
[14] 서적 Geographical Dictionary Of The World In The Early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Logos Press
[15] 서적 Albania and King Zog: independence, republic and monarchy 1908-1939 https://books.google[...] I.B.Tauris
[16] 서적 Albania and King Zog: independence, republic and monarchy 1908-1939 https://books.google[...] I.B.Tauris
[17] 문서 S.K. Neumann: Elbasan, družstevní nakladatelství "Kniha", knihovna socialistické kultury, svazek III., Praha 1922
[18] 웹사이트 Elbasan, Elbasan, the polluted city http://www.balcanica[...]
[19] 웹사이트 A new Urban–Rural Classification of Albanian Population https://web.archive.[...] Instituti i Statistikës 2014-05
[20] 웹사이트 Law nr. 115/2014 https://www.vendime.[...]
[21] 웹사이트 Pashaporta e Bashkisë Elbasan https://portavendore[...] Porta Vendore
[22] 웹사이트 Bashkia Elbasan https://aam.org.al/e[...] Albanian Association of Municipalities (AAM)
[23] 웹사이트 Climate: Elbasan https://en.climate-d[...] Climate-Data
[24] 웹사이트 Elbasan monthly weather averages https://www.weather2[...]
[25] 웹사이트 Climate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Elbasan, Albania https://www.weather-[...]
[26] 웹사이트 UV Index in Elbasan, Albania https://nomadseason.[...]
[27] 서적 The Pillars of Hercules: A Grand Tour of the Mediterranean Fawcett Columbine 1995
[28] 웹사이트 Cities of Albania http://pop-stat.mash[...]
[29] 웹사이트 From the Saint Mary website https://web.archive.[...] Kishaautoqefale.webs.com
[30]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Pravoslavna Crkvena Opština Barska 2007-09-22
[31] 웹사이트 Church's official website https://web.archive.[...] Kishaautoqefale.webs.com
[32] 웹사이트 Municipality website http://www.elbasani.[...] Elbasani.gov.al
[33] 서적 A history of Ottoman architecture. https://www.abebooks[...] Thames & Hudson
[34] 웹사이트 Testvérvárosaink https://dunaujvaros.[...] Dunaújváros 2011-05-09
[35] 웹사이트 Gradovi prijatelji https://www.osijek.h[...] Grad Osijek
[36] 웹사이트 Gradovi pobratimi https://bar.me/grado[...] Opština Bar 2021-09-24
[37] 웹사이트 Jumelages et partenaires https://www.liege.be[...] Liege 2021-09-24
[38] 웹사이트 20/02/2007 Të nderuar miq! http://albania.dyndn[...] 2007-02-20
[39] 웹인용 Cities of Albania http://pop-stat.mash[...] 2024-04-15
[40] 웹인용 Climate: Elbasan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18-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