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리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리리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일리리우스에게서 비롯되었으며,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아드리아 해 해안 민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 일리리아는 청동기 시대에 정착한 일리리아인들의 왕국으로,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전 167년까지 존재했으며, 마케도니아와 로마의 지배를 받았다. 로마는 일리리아를 정복한 후 일리리쿰 속주로 만들었으며, 이후 판노니아와 달마티아로 분할되었다. "일리리아"라는 이름은 중세 시대 이후 다시 나타나 남슬라브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나폴레옹 시대에는 프랑스 제국의 속주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19세기에는 남슬라브 문화 및 정치 운동인 일리리아 운동이 일어났고,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등 다양한 문학 작품의 배경으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지리사 -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크로아티아 바노비나는 193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에 설립된 자치 행정 구역으로, 사바 바노비나와 연안 바노비나를 통합하여 크로아티아의 역사적 국경과 크로아티아인 다수 거주 지역을 반영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분할되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지리사 - 서보스니아 자치주
보스니아 전쟁 중 피크레트 압디치가 세운 서보스니아 자치주는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세력과의 협력으로 유지되었으나 보스니아 정부군과 크로아티아군의 공격으로 해체되었고, 압디치는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 후 석방되어 고향에서 시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 달마티아의 역사 - 카를로비츠 조약
카를로비츠 조약은 1699년 오스만 제국과 신성 동맹 간의 대튀르크 전쟁을 종식시키며 오스만 제국이 유럽에서 상당한 영토를 상실하고 합스부르크 왕가가 헝가리,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대부분을 획득하는 결과를 가져온 평화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합스부르크 왕가의 부상을 상징한다. - 달마티아의 역사 - 미회수된 이탈리아
미회수된 이탈리아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이탈리아 민족주의자들이 이탈리아에 합병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이탈리아어 사용 지역뿐 아니라 문화적, 역사적 영향력이 강했던 지역까지 포함하는 개념이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파시즘 정권에 의해 제국주의 정당화에 이용되었다. - 알바니아의 역사 - 알바니아 공국
알바니아 공국은 1914년 알바니아의 독립 승인으로 수립되어 빌헬름 공이 군주로 있었으나, 농민 반란과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14년 9월 붕괴되었고, 1925년 공화제 선포와 함께 폐지되었다. - 알바니아의 역사 - 데볼 조약
데볼 조약은 1108년 비잔티움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와 안티오키아 공국의 보에몽 1세가 안티오키아 지배권 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보에몽이 황제의 봉신이 되어 제국에 충성을 맹세하고 안티오키아를 제국의 봉토로 받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분쟁의 불씨로 남았다.
일리리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및 개요 | |
지역 | 남유럽 |
하위 지역 | 서부 발칸 |
설명 | 고대 시대에 아드리아 해에서 발칸 산맥 서쪽 지역에 살았던 일리리아인의 대략적인 거주 지역 |
구글 지도 검색어 | 일리리아 |
명칭 | |
그리스어 | Ἰλλυρία (Illyría) |
그리스어 (고대) | Ἰλλυρίς (Illyrís) |
라틴어 | Illyria |
역사적 맥락 | |
기원 | 본래 스코드라와 마티 강 사이의 작은 부족의 이름 |
확장 | 그리스인과 로마인이 다른 부족들과 접촉하면서 확장됨 |
그리스인의 인식 | 그리스인에게 일리리스는 마케도니아, 에피루스, 아드리아 해 연안의 그리스 도시와 섬 인근 지역을 의미 |
로마인의 인식 | 로마인에게 일리리쿰은 동부 알프스에서 발로나 만까지의 전체 지역을 의미 |
로마의 영향 | 기원전 1세기 중반, 로마인들은 드린 강 북쪽의 아드리아 해 영토를 일리리쿰이라고 부름. 그 남쪽은 마케도니아 속주가 시작됨 |
로마의 보호령 | 기원전 228년, 로마는 이사(비스)와 코르푸 섬, 에피담노스(두러스), 아폴로니아(현재의 포야니), 오리쿰(오리쿰 만)에 보호령을 설정함. 이 보호령은 로마의 일리리쿰 개념과 일치함 |
위치 | |
위치 | 알바니아 북부 및 중부 지역, 아오스 강 어귀까지 |
일리리아인 | |
위치 | 고전 시대에 아드리아 해에서 발칸 산맥까지, 동쪽 알프스 산맥과 다뉴브 강까지, 발칸 산맥 너머 일부 지역까지 |
2. 어원
그리스 신화에서 일리리아라는 이름은 어원학적으로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아들인 일리리우스에게서 유래되었으며, 그는 결국 일리리아를 통치하고 일리리아인의 시조가 되었다.[6] 신화의 후대 버전은 폴리페모스와 갈라테이아를 켈투스, 갈라스, 그리고 일리리우스의 부모로 묘사한다.[7]
일리리아와 일리리아인의 선사 시대는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알려져 있다. 로마 공화국은 일리아 전쟁 이후 기원전 168년에 이 지역을 정복했다.[10]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리부르니아와 에피루스 사이의 민족을 묘사하기 위해 "일리리아"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기원전 4세기의 그리스 작가들은 아드리아해 해안을 따라 거주하는 사람들을 일리리아인과 명확히 구분했으며, 기원후 1세기에 이르러서야 "일리리아"가 아드리아해를 건너는 모든 민족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작가들은 또한 "엄밀한 의미의 일리리아인"에 대해 언급했는데, 폼포니우스 멜라(서기 43년)는 ''stricto sensu'' 일리리아인들이 타울란티와 엔켈레 북쪽, 아드리아 해안에 거주했다고 기록했다.[8] 대 플리니우스는 에피다우룸 남쪽 또는 에피다우룸(현재 차브타트)과 리수스(현재 레저) 사이에 거주하는 작은 민족을 "본래 이름의 일리리아인"(''Illyrii proprii/proprie dicti'')이라고 불렀다.[8] 로마 시대에는 일리리아보다 더 넓은 지역을 의미하는 용어인 ''일리리쿰''이 아드리아해와 다뉴브강 사이의 지역에 사용되었다.[9]
3. 역사
가장 초기에 기록된 일리리아 왕국은 기원전 8세기의 엔켈레였다.[10] 플루리아스 시대의 아우타리아테족 (기원전 337년)은 왕국으로 여겨졌다.[12] 아르디아이 왕국은 기원전 230년에 시작하여 기원전 167년에 끝났다.[13] 가장 주목할 만한 일리리아 왕국과 왕조는 다르다니의 바르딜리스와 아그론이었다.[14]
일리리아 왕국은 일리리아 지역 내의 작은 지역들로 구성되었다. 로마인만이 전체 지역을 통치했다. 폴리비우스는 일리리아 왕국 내의 사회를 귀족 아래에서 싸우는 농민 보병의 모습으로 묘사하며, 이들을 그리스어로 ''Polydynastae''(그리스어: Πολυδυνάστες)라고 불렀고, 각자가 왕국 내의 한 도시를 통제했다고 설명한다.[18] 군주제는 세습 방식으로 확립되었으며 일리리아 통치자들은 결혼을 다른 세력과의 동맹 수단으로 사용했다.[19]
일리리아 부족들은 항상 반목하며 싸움을 반복했다. 기원전 5세기경에는 일리리아인의 세력 범위가 북쪽으로 확장되어 현 슬로베니아의 사바 강 주변까지 뻗어 나갔다. 기원전 4세기에 발두리스 왕이 나타나 일리리아 왕국을 강대한 힘을 가진 국가로 만들었다.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일리리아에는 독립 왕국이 부활했다. 기원전 312년, 일리리아 왕 글라우키아스는 에피담노스에서 그리스인을 추방했다. 기원전 3세기 말에는 일리리아 왕국은 현 알바니아의 도시 슈코더르 근처에 수도를 두고, 알바니아 북부, 몬테네그로, 헤르체고비나를 지배하게 되었다.
로마 제국은 기원전 168년 현재의 알바니아에 있는 슈코드라에서 일리리아의 마지막 왕 겐티우스를 격파하고 그를 포로로 잡아 기원전 165년 로마로 데려갔다. 이후 이 지역은 로마가 직접 통치하는 속주로 편성되었고, 슈코드라가 수도가 되었다.[21]
로마 제국 분열 이후, 테살로니카 주교는 일리리쿰에 교황 대리인을 임명했다. 5세기에 일리리아 주교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귀속되지 않고 로마와의 교류를 끊고 한동안 독립을 유지했지만, 515년 40명의 일리리아 주교들은 교황 호르미스다스에게 충성을 맹세함으로써 로마에 대한 충성을 갱신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8세기에 일리리쿰을 자신의 관할하에 두는 데 성공했다.[21]
3. 1. 초기 정착과 부족 형성
고고학계의 한 학설에 따르면, 일리리아인의 조상은 청동기 시대 초기에 일리리아 지방에 정착하여 비인도유럽어족 계통의 조상과 혼합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일리리아인이 탄생하였으며, 아우타리아타이(:en:Autariatae), 다사레타이(Dassaretae), 켈리도네스(Chelidones), 타울란티(:en:Taulanti) 등 고대 일리리아인의 부족이 형성되었다. 더 북쪽에 살았던 달마티아(:en:Dalmatae), 판노니아(:en:Pannoni) 등의 부족도 일리리아 부족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고대 일리리아인들은 소와 말을 기르고 농산물을 재배했으며, 구리나 철을 채굴하여 도구를 만들고 이를 거래하며 생활했다. 부족의 족장은 연장자 회의를 통해 선출되었다. 현재 슬로베니아의 수도인 류블랴나에서 발견된 일리리아인의 조각 벽에는 제물 의식, 축제, 전투, 체육 행사 등 다양한 활동이 묘사되어 있다.
일리리아인은 발칸반도 서부에 정착했지만, 이들 중 일부는 이탈리아로 집단 이주하기도 했다.
3. 2. 일리리아 왕국
가장 초기에 기록된 일리리아 왕국은 기원전 8세기의 엔켈레였다.[10] 다른 일리리아 왕국을 관찰할 수 있는 시대는 대략 기원전 400년에 시작하여 기원전 167년에 끝난다.[11] 플루리아스 시대의 아우타리아테족 (기원전 337년)은 왕국으로 여겨졌다.[12] 아르디아이 왕국은 기원전 230년에 시작하여 기원전 167년에 끝났다.[13] 가장 주목할 만한 일리리아 왕국과 왕조는 다르다니의 바르딜리스와 마지막이자 가장 잘 알려진 일리리아 왕국을 건설한 아그론의 아르디아이였다.[14] 아그론은 아르디아이를 통치했으며 그의 지배를 다른 부족들에게까지 확장했다.[15] 다르다니족은 다른 일리리아인들과 항상 별도의 영토를 가지고 있었다.[16]
일리리아 왕국은 일리리아 지역 내의 작은 지역들로 구성되었다. 로마인만이 전체 지역을 통치했다. 남부 일리리아 왕국의 내부 조직은 이웃 그리스 왕국을 모방하고 도시 중심지의 성장에 그리스와 헬레니즘 세계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17] 폴리비우스는 일리리아 왕국 내의 사회를 귀족 아래에서 싸우는 농민 보병의 모습으로 묘사하는데, 그는 이들을 그리스어로 ''Polydynastae''(그리스어: Πολυδυνάστες)라고 부르며 각자가 왕국 내의 한 도시를 통제했다고 설명한다.[18] 군주제는 세습 방식으로 확립되었으며 일리리아 통치자들은 결혼을 다른 세력과의 동맹 수단으로 사용했다.[19] 대 플리니우스 (23–79 AD)는 일리리아 왕국의 핵심을 형성한 사람들이 '진정한 일리리아인' 또는 일리리이 프로프리에 딕티였다고 기록했다.[20] 그들은 타울란티, 플레라이, 엔디루디니, 사사에이, 그라바에이 및 라베아테였다. 이들은 나중에 합쳐져 도클레아테를 형성했다.
일리리아 부족들은 항상 반목하며 싸움을 반복했다. 특정 부족이 다른 부족을 지배하는 경우도 많아, 단명하는 왕국이 여러 번 형성되었다. 기원전 5세기경에는 일리리아인의 세력 범위가 북쪽으로 확장되어 현 슬로베니아의 사바 강 주변까지 뻗어 나갔다.
기원전 4세기에 발두리스 왕이 나타나 일리리아 왕국을 강대한 힘을 가진 국가로 만들었다. 당시 일리리아 왕국의 주요 도시로는 리소스(현 알바니아의 레저), 에피담노스(별명은 두라키움, 현 알바니아의 두러스)가 있었다.
기원전 359년, 일리리아 왕국은 마케도니아 왕국을 침공하여 마케도니아 왕 페르디카스 3세를 쓰러뜨리고 마케도니아의 일부를 지배하에 두었다. 그러나 기원전 358년,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 2세 (알렉산드로스 3세 (대왕)의 아버지)의 반격에 의해 일리리아 왕국은 패배하고, 마케도니아에게 오흐리드 호까지의 지배를 빼앗겼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도 기원전 335년에 일리리아 족장 클레이토스가 마케도니아에 항전했지만 패퇴했다. 알렉산드로스의 페르시아 원정에는 일리리아 부족의 지도자와 병사가 동행했다.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의 사후, 일리리아에는 독립 왕국이 부활했다. 기원전 312년, 일리리아 왕 글라우키아스는 에피담노스에서 그리스인을 추방했다. 기원전 3세기 말에는 일리리아 왕국은 현 알바니아의 도시 슈코더르 근처에 수도를 두고, 알바니아 북부, 몬테네그로, 헤르체고비나를 지배하게 되었다.
피네스 왕의 섭정으로 '일리리아의 여왕'으로 불린 테우타가 통치했던 기원전 231년부터 기원전 228년까지, 일리리아 해적이 활발하게 아드리아 해의 로마 상선을 습격하여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와 주변국에 위협을 가했다. 일리리아 왕국은 해적을 비호했기 때문에, 기원전 229년, 로마는 일리리아 왕국을 침공했다. 로마는 네레트바 강 주변의 정착지를 침공하여 아드리아 해를 위협하던 해적을 진압했고, 전쟁은 기원전 219년에 끝났다 (제1차·제2차 일리리아 전쟁).
기원전 180년, 달마티아가 일리리아 왕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일리리아 최후의 왕 겐티우스 시대, 일리리아 왕국은 로마에 침공당해, 기원전 168년 수도 스코드라 (현 알바니아의 슈코더르)가 함락되었다 (제3차 일리리아 전쟁). 겐티우스 왕은 포로가 되어, 기원전 165년에 로마로 끌려갔다. 일리리아에는 먼저 4개의 로마 동맹국이 만들어져, 실질적으로는 로마에 지배되었다. 이후 이 지역은 로마에 직접 지배되는 속주 일리리쿰이 되었다.
3. 3. 마케도니아와의 관계
기원전 359년, 일리리아 왕국은 마케도니아 왕국을 침공하여 마케도니아 왕 페르디카스 3세를 쓰러뜨리고 마케도니아의 일부를 지배하에 두었다. 그러나 기원전 358년, 필리포스 2세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버지)의 반격에 의해 일리리아 왕국은 패배하고, 마케도니아에게 오흐리드 호까지의 지배를 빼앗겼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도 기원전 335년에 일리리아 족장 클레이토스가 마케도니아에 항전했지만 패퇴했다. 알렉산드로스의 페르시아 원정에는 일리리아 부족의 지도자와 병사가 동행했다.
3. 4. 로마와의 전쟁
로마는 기원전 168년 현재의 알바니아에 있는 슈코드라에서 일리리아의 마지막 왕 겐티우스를 격파하고 그를 포로로 잡아 기원전 165년 로마로 데려갔다. 4개의 종속 공화국이 세워졌는데, 사실상 로마가 통치했다. 이후 이 지역은 로마가 직접 통치하며 속주로 편성되었고, 슈코드라가 수도가 되었다.[21]
기원전 231년부터 기원전 228년까지, 피네스 왕의 섭정으로 '일리리아의 여왕'으로 불린 테우타가 통치하던 시기, 일리리아 해적이 활발하게 아드리아 해의 로마 상선을 습격하여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와 주변국에 위협을 가했다. 일리리아 왕국은 해적을 비호했기 때문에, 기원전 229년 로마는 일리리아 왕국을 침공했다. 로마는 네레트바 강 주변의 정착지를 침공하여 아드리아 해를 위협하던 해적을 진압했고, 전쟁은 기원전 219년에 끝났다 (제1차·제2차 일리리아 전쟁).[21]
기원전 180년, 달마티아가 일리리아 왕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일리리아 최후의 왕 겐티우스 시대, 일리리아 왕국은 로마에 침공당해, 기원전 168년 수도 스코드라 (현 알바니아의 슈코더르)가 함락되었다 (제3차 일리리아 전쟁). 겐티우스 왕은 포로가 되어, 기원전 165년에 로마로 끌려갔다. 이후 이 지역은 로마에 직접 지배되는 속주 일리리쿰이 되었다.[21]
3. 5. 로마와 비잔틴 통치
로마는 기원전 168년 현재의 알바니아에 있는 슈코드라에서 일리리아의 마지막 왕 겐티우스를 격파하고 그를 포로로 잡아 기원전 165년 로마로 데려갔다. 이후 이 지역은 로마가 직접 통치하는 속주로 편성되었고, 슈코드라가 수도가 되었다.[21]
로마 속주 ''일리리쿰''은 이전에 독립했던 일리리아 왕국을 대체했다. 그 영토는 현대 알바니아의 드리니 강에서 서쪽의 크로아티아 이스트리아까지, 북쪽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바 강까지 뻗어 있었다. 살로나 (크로아티아의 현대 스플리트 근처)가 수도 역할을 했다.[21]
판노니아인과 다에시티아테스의 대 일리리아 반란을 진압한 후, 로마 행정관들은 일리리쿰 속주를 해체하고 그 영토를 북쪽의 새로운 판노니아 속주와 남쪽의 달마티아 속주로 분할했다. 이러한 분할은 서기 10년에 일어났지만, ''일리리아''라는 용어는 후기 라틴어와 중세 시대 전반에 걸쳐 계속 사용되었다.[21] 로마 제국 분열 이후, 테살로니카 주교는 일리리쿰에 교황 대리인을 임명했다. 이 대리인 중 첫 번째는 성 바실의 친구인 아코리우스 또는 아스콜리우스 주교(383 또는 384년 사망)였다고 한다. 5세기에 일리리아 주교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귀속되지 않고 로마와의 교류를 끊고 한동안 독립을 유지했지만, 515년 40명의 일리리아 주교들은 교황 호르미스다스에게 충성을 맹세함으로써 로마에 대한 충성을 갱신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8세기에 일리리쿰을 자신의 관할하에 두는 데 성공했다.[21]
4. 종교
철기 시대 일리리아인의 표준적인 매장 방법은 고분장이었다. 처음 고분을 만들면 혈연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그 주변에 고분을 만들었으며, 신분이 높을수록 무덤을 높게 만들었다. 발굴 조사에 따르면, 고분에서는 무구, 장식품, 의복, 토기 항아리 등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도구는 사후 세계를 위한 매장품으로 여겨진다.
일리리아인의 신앙에서는 인신공희 관습이 있었다. 고대 역사가 아리아노스의 기록에 따르면, 일리리아인의 족장 클레이토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대왕)와의 전투 전에 세 명의 소년과 세 명의 소녀, 세 마리의 어린 양을 제물로 바쳤다.[1]
일리리아의 도시 리손(Rhizon, 현 몬테네그로의 리산)은 도시의 수호신을 모시고 있었다. 수호신은 메다우라스라고 불렸으며, 창을 들고 말의 등에 올라탄 모습으로 묘사된다.[2]
5. 유산
"일리리아"라는 이름은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발칸 반도 침공 이후 역사 기록에서 사라졌다가 17세기에 다시 나타나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에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는 헝가리 영토에 있는 남슬라브족을 "일리리아 민족"으로 지정했다.[21] 일리리아라는 용어는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초기 근대 시대의 여러 문장집(紋章集), 통칭 "일리리아 문장집"은 가상의 일리리아 문장을 묘사했다.
나폴레옹은 1809년부터 1813년까지 프랑스 제국에 편입된 일리리아 속주를 위해 "일리리아"라는 이름을 부활시켰다. 일리리아 왕국 (1816–1849)은 1849년까지 오스트리아의 일부였으며, 이후 재편성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일리리아 운동은 19세기 전반기에 젊은 크로아티아 지식인 그룹이 주도한 남슬라브 문화 및 정치 운동으로, 유고슬라비아주의로 이어졌다.
연극이나 문학에서 일리리아는 종종 반쯤 공상의 나라로 등장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십이야』, 장 폴 사르트르의 『더러운 손』, 로이드 알렉산더의 『일리리아의 모험』 등이 그 예이다.
6. 대중 문화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그의 희곡 ''십이야''의 배경으로 허구의 일리리아를 선택했다. (현대화된 영화 패러디 ''쉬즈 더 맨''은 캘리포니아의 "일리리아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다.) 셰익스피어는 ''헨리 6세 2부''에서도 이 지역을 언급했다.[22]
장폴 사르트르의 ''더러운 손''은 일리리아를 배경으로 한다.
로이드 알렉산더의 ''일리리아의 모험''은 1872년의 일리리아를 배경으로 한다.[24]
존 호크스의 1970년 소설 ''피의 오렌지''는 허구의 일리리아를 배경으로 한다.[25]
이시와타리 다이스케가 제작한 격투 게임 시리즈 '길티 기어'는 가상의 일리리아를 세계관에 등장시킨다.
참조
[1]
문서
"Illyría'' and ''Illyrís"
[2]
문서
Polybius. Histories
https://archive.toda[...]
[3]
서적
A Latin Dictionary
https://www.perseus.[...]
[4]
서적
Illyricum in Roman Politics, 229 BC–AD 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1-29
[5]
문서
Hammond, Wilkes, 2012, p=726
[6]
문서
Grimal, Maxwell-Hyslop, 1996, p=230
[7]
문서
Grimal, Maxwell-Hyslop, 1996, p=168
[8]
서적
Ancient Languages of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76-01-01
[9]
서적
Appian and Illyricum
https://books.google[...]
Narodni Muzej Slovenije
[10]
문서
Stipčević, 2002, pages=46–47
[11]
문서
Wilkes, 1995, p=298
[12]
문서
Lewis, Boardman, 1994, p=785
[13]
문서
Wilkes, 1969, p=13
[14]
문서
Kipfer, 2000, p=251
[15]
문서
Hammond, 1993, p=104
[16]
문서
Papazoglu, 1978, p=216
[17]
문서
Wilkes, 1995, p=237
[18]
문서
Wilkes, 1995, p=127
[19]
문서
Wilkes, 1995, p=167
[20]
문서
Wilkes, 1995, p=216
[21]
문서
Lins, 1910, loc="Illyria"
[22]
웹사이트
Henry VI, part 2: Entire Play
http://shakespeare.m[...]
2016-05-07
[23]
문서
du Fresne, 1746, p=1
[24]
웹사이트
The Illyrian Adventure by Lloyd Alexander
https://www.publishe[...]
1986-04-01
[25]
간행물
A Conversation on "The Blood Oranges" between John Hawkes and Robert Schol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