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렐(þræll)은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속박되거나 농노 상태에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초기 게르만 법에서 스렐은 사회의 최하층을 이루는 계층으로, 재산으로 취급되어 매매 대상이 되었지만, 법적 보호도 일부 제공되었다. 스칸디나비아에서 스렐은 전쟁 포로, 채무자, 또는 노예의 자녀로 구성되었으며, 바이킹 시대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스렐은 해방될 수 있었지만, 완전한 자유민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렸다. 기독교의 전파와 함께 스렐 제도는 점차 사라졌으며, 관련 풍습은 북유럽 신화에도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노르드어 낱말 - 후스카를
후스카를은 본래 "집 남자"를 뜻하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하여 영주를 섬기는 가신, 특히 전투원을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었으며, 잉글랜드에서는 왕실 호위병으로 발전하여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봉건 제도 이전 사회에서 상비군의 역할을 했다. - 고대 노르드어 낱말 - 스캴드메르
스캴드메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여성 전사를 지칭하는 단어로, 노르드 사가에 등장하는 방패 처녀들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최근 대중문화에서 바이킹 시대 여성 전사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 없어진 직업 - 호플리테스
호플리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중장보병을 일컫는 말로, 팔랑크스 대형을 이루어 전투를 벌였으며, 시민의 의무로서 갑옷, 방패, 창, 검 등의 장비를 갖추고 싸웠다. - 없어진 직업 - 트루바두르
트루바두르는 12세기에서 13세기 남프랑스에서 오크어로 서정시를 짓고 노래한 음유 시인으로,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인물들이 궁정 연애를 노래했으며, 그 작품은 샹소니에라는 노래책에 보존되어 전해진다. - 바이킹 시대 - 바랑기아인
바랑기아인은 스칸디나비아 출신 용병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9세기부터 11세기까지 동유럽과 비잔티움 제국 등지에서 무역 및 군사 활동을 했으며, 키예프 루스 형성과 비잔티움 제국 바랑기아 친위대 구성에 기여했다. - 바이킹 시대 - 스칼드
스칼드는 고대 북유럽 궁정 시인으로서 왕과 귀족의 업적을 찬양하는 시를 복잡한 운율과 특수한 어휘로 표현하여 높은 시적 기교를 보여주었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어 역사적 자료로 활용되지만 14세기 이후 쇠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대까지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스렐 | |
---|---|
어원 | |
어원 | (고대 노르드어) 또는 (고대 영어)에서 유래. '노예', '종'을 의미 |
신분 | |
사회적 지위 | 바이킹 사회에서 가장 낮은 계층, 자유민 (카를)보다 낮은 신분 |
법적 지위 | 주인의 재산으로 간주되어 법적 권리 거의 없음. 자유민과 달리 재판 참여 권한 제한됨 |
유형 | |
포로 | 전쟁 포로가 주요 공급원, 특히 해외 원정 중 포획된 사람들 |
범죄자 | 일부 범죄자는 처벌로 노예가 됨 |
채무 노예 | 빚을 갚지 못해 노예 신분으로 전락하는 경우 발생 |
출생 노예 | 노예 부모에게서 태어난 자녀는 노예 신분 상속 |
생활 | |
노동 | 농업, 가사, 수공업 등 다양한 노동에 종사. 광산이나 농장 등의 혹독한 환경에서 강제 노동에 시달리는 경우 많음 |
처우 | 주인의 재량에 따라 처우가 크게 달라짐. 일부는 가족과 함께 생활 가능했지만, 학대와 가혹한 노동에 시달리는 경우 흔함 |
사회적 상호작용 | 자유민과 상호작용 거의 없었으며, 제한적인 사회 활동만 허용됨 |
해방 | |
자유 획득 | 주인이 자유를 주거나, 돈을 모아 스스로 속박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드물게 존재 |
역사 | |
스칸디나비아 | 스칸디나비아 사회에서 노예제는 일반적이었으며, 농업과 가정 경제에 중요한 역할 수행 |
앵글로색슨 | 앵글로색슨 사회에서도 노예 제도 존재, 사회 구조 내에서 유사한 위치 차지 |
바이킹 시대 | 바이킹 시대 동안 노예 무역 성행, 유럽 전역에서 노예를 거래하고 공급 |
관련 용어 |
2. 어원
"thrall"은 고대 노르드어 þræll|스렐non에서 유래했으며, 속박되거나 농노 상태에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고대 노르드어 용어는 후기 고대 영어로 þræl|스렐ang로 차용되었다.[2]
초기 게르만 법에서 스렐은 귀족, 자유민과 함께 사회를 구성하는 세 계층 중 가장 낮은 계층이었다. 게르만 법전은 스렐을 재산으로 취급하여 매매를 허용했지만, 동시에 이들의 사망에 대한 보상 규정을 두는 등 일정 수준의 법적 보호를 제공했다.[4] 자유민이 사망했을 때는 베르길드라는 보상금이 지급되었지만, 스렐의 사망은 소유주에 대한 재산 손실로 간주되어 노동력 가치에 따라 보상이 이루어졌다.[5]
노르웨이 사회에서 스렐은 최하층 노동자 계급이었다. 이들은 전쟁 포로, 채무자, 또는 부모로부터 노예 신분을 물려받은 유럽인들이었다. 스칸디나비아에서 스렐의 생활 조건은 주인에 따라 달랐으며, 노예 매매는 바이킹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대부분의 가정은 1~2명의 노예를 소유했지만, 가구당 최대 30명의 노예를 소유했다는 추정치도 있다.[6]
북유럽 신화에서 스렐은 신 리그에 의해 창조된 별개의 조상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리그의 시(Rígsþula)』 참조)[12]
사람들은 굶주림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를 팔거나, 전쟁 포로로 잡혀 팔리거나, 스렐의 가정에서 태어나 노예가 되었다. 굶주림을 피하기 위해 스렐이 되는 것은 가장 수치스러운 일로 여겨져 가장 먼저 금지되었다.[13]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외국에서 포로를 약탈하거나, 그렇게 잡힌 외국인을 구입하는 것이었다. 로마의 노예 제도와 마찬가지로 당시 북유럽에서는 모든 민족이 스렐이 될 수 있었다. 스렐은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사회의 다른 계급보다 낮은 신분으로 남아 가사 노동자와 유사한 입장에 놓였다.[13]
98년,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Tacitus)는 스웨덴인(Suiones) 사회에서 스렐(노예)이 무기를 보관하는 역할을 했다고 기록했다. 왕은 귀족이나 자유민이 아닌 스렐에게 무기를 맡겨 권력 집중을 견제했다.[12] 당시 북유럽에서는 로마와 마찬가지로 모든 민족이 스렐이 될 수 있었다. 스렐은 가사 노동자와 유사한 입장에 놓였으며, 가축처럼 소유되어 주인에게 생사여탈권을 맡겼지만, 가족을 이루고 주인에게 공물을 바칠 수 있었다.[13]
기독교가 북유럽에 전파되면서 비기독교인 스렐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기독교인은 스렐을 매매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북유럽인은 스렐 매매를 사실상 독점했다.[13] 결국 스칸디나비아가 기독교화되면서 스렐 제도는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것이 되어 폐지되었다.[13]
유키무라 마코토의 역사 만화 빈란드 사가에는 스렐 제도가 묘사되어 있다.
[1]
사전
Thrall
http://dictionary.re[...]
Random House Unabridged Dictionary
2009
이 용어는 게르만 조어 ("달리는 사람", 어근 "달리다"에서 유래)에서 비롯되었다. 고대 고지 독일어에는 "종, 달리는 사람"을 의미하는 dregil|드레길goh이라는 동족어가 있었다.[2]
영어 파생어 "thraldom"(스렐덤, 노예 신분)은 중세 시대에 나타났다. 동사 "to enthrall"(인스롤, 노예로 만들다)은 근대 초기(1570년대부터 비유적 사용, 1610년부터 문자적 사용)에 유래했다.[2]
고대 영어에 해당하는 용어는 þeow|테오우ang(원시 게르만어 , 아마도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달리다"에서 유래)였다. 관련된 고대 영어 용어로는 "노동자, 고용인"을 의미하는 esne|에스네ang가 있는데(게르만 조어 , 고트어 asneis|아스네이스got "고용인"과 동족어이며, "보상"에서 파생되었고, 영어 "earn"과 같은 어근에서 유래).[2]
이 용어는 아일랜드어로 thráill|트라일ga로 차용되었으며, 영어 노예와 동족어인 sclábhaí|스클라바이ga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슬라브족과 마찬가지로 논쟁의 여지가 있다).[3]
thrall은 다른 고대 언어에서도 비슷한 단어로 알려져 있다(þræll|스렐non, þræll|스렐is, trælur|트레루르fo, trell, træl|트렐, 트렐no, træl|트렐da, träl|트렐sv).[3] 초기 게르만 법에서 이 용어의 중세 라틴어 표현은 servus|세르부스la이다.[2]
3. 초기 게르만 법
4. 사회
1043년, 리에르 지역 귀족의 아들인 할바르드 붸뷔욘손(Hallvard Vebjørnsson)은 도둑질 혐의를 받는 노예 여성을 보호하려다 살해당했다. 교회는 그의 행동을 인정하여 그를 순교자로 시성하고 오슬로의 수호성인 성 할바르드로 삼았다.[7]
스렐은 어느 정도 사회적 유동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 주인에 의해 해방되거나, 유언으로 해방되거나, 심지어 자신의 자유를 살 수도 있었다. 해방된 스렐은 "해방된 자"(freedman) 또는 레이싱이(leysingi)가 되어 노예와 자유민 사이의 중간 계층에 속했다. 그는 여전히 전 주인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전 주인의 뜻에 따라 투표해야 했다. 해방된 자들이 완전한 자유민이 되려면 최소한 2세대가 걸렸다.[8] 해방된 자에게 자손이 없다면, 전 주인이 그의 토지와 재산을 상속받았다.[9]
스렐과 해방된 자들은 스칸디나비아에서 경제적, 정치적 권력이 거의 없었지만, 베르길드(인명 보상금)를 받을 권리는 있었다. 노예를 불법으로 살해하면 금전적 벌금이 부과되었다.[10]
11세기에 바이킹의 노예 사냥이 점차 줄어들었다. 이후 몇 세기 동안 더 많은 노예들이 스스로 자유를 사거나, 주인, 교회, 세속 권력에 의해 해방되면서 노예 제도는 점차 사라졌다.[3][11]
스렐은 가축처럼 소유되었고, 주인은 그들에 대한 생사여탈권을 가졌다. 스렐은 자신의 가족을 가질 수 있었고, 주인에게 명령받은 곡물, 가축, 직물을 바쳤다.[13]
기독교가 북유럽에 전파되면서 비기독교인 스렐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기독교인은 스렐을 매매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북유럽인은 스렐 매매를 사실상 독점했다. 결국 스칸디나비아가 기독교화되면서 스렐 제도는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것이 되어 폐지되었다.
5. 북유럽 신화와 스렐
6. 스렐이 되는 과정
7. 로마와 스칸디나비아의 스렐
8. 기독교와 스렐 제도
9. 관련 작품
참조
[2]
사전
OED
[3]
서적
The Historical Encyclopedia of World Slavery. vol 1. A–K
https://books.google[...]
ABC-CLIO
[4]
법률
Alemannic law
[5]
법률
Alemannic law
[6]
서적
Kings and Vikings: Scandinavia and Europe AD 700–1100
Routledge
[7]
웹사이트
St. Hallvard
http://www.catholic.[...]
2009
[8]
서적
Kings and Vikings: Scandinavia and Europe AD 700–1100
Routledge
[9]
서적
Eyrbyggja Saga
[10]
서적
Kings and Vikings: Scandinavia and Europe AD 700–1100
Routledge
[11]
논문
Nordic Slavery in an International Context
[12]
서적
ゲルマーニア
岩波書店
[13]
서적
ゲルマーニア
岩波書店
[14]
서적
The Historical Encyclopedia of World Slavery. vol 1. A - K
http://books.google.[...]
ABC-CLIO
[15]
사전
Thrall
http://dictionary.re[...]
Random House Unabridged Dictionary
2009
[16]
웹사이트
Iceland History
http://www.mnh.si.ed[...]
[17]
서적
Kings and Vikings: Scandinavia and Europe AD 700–1100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