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스붉은바위토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미스붉은바위토끼는 1834년 앤드루 스미스에 의해 처음 기술된 토끼과 동물이다. 잠비아에서는 바위토끼로 알려져 있으며, 분류학적으로 다양한 아종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아종을 인정하지 않는 추세이다. 몸길이는 약 39~55cm, 몸무게는 약 2kg이며,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이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풀, 관목 등을 먹고, 9월부터 2월까지 번식한다. 스미스붉은바위토끼는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지는 않았으나,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
1834년 스코틀랜드 출신의 동물학자 앤드루 스미스가 스미스붉은바위토끼를 처음 기술했다.[1] 이 종은 원래 ''토끼속''(Lepus)으로 분류되었고, 나탈붉은바위토끼(Pronolagus crassicaudatus)의 아종으로 취급되기도 했다.[3] 잠비아에서는 일반적으로 '''바위토끼'''로 알려져 있으며,[4][5] 스와힐리어로는 ''sungura mwekundu'' 또는 ''kitengule''라고 불린다.[6]
몸길이는 39~55cm이고 몸무게는 평균 약 2kg이다. 등쪽 털은 갈색이고 아주 굵은 반면에 배쪽은 양털처럼 부드럽고 희다. 스미스붉은바위토끼는 프로놀라구스속에서 가장 작은 종으로,[10] 머리에서 꼬리까지 길이가 43~65cm이고, 검은색 팁이 있는 5~11cm 길이의 덤불 모양의 짙은 적갈색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몸무게는 1.3~2kg이다.[11] 상체와 목 부위의 칼라는 적갈색을 띤다.[12] 귀는 회색이며, 길이는 6~10cm이고, 뒷발은 7.5~10cm이다.[11] 이마는 갈색을 띠고 뺨은 회색빛을 띤다.[12] 얼굴 측면은 회색이며,[13] 목덜미 부분은 적갈색이다. 아랫부분은 분홍빛을 띠고 배의 중간선에는 흰색을 띤다.[12] 뒷다리와 엉덩이는 밝은 적갈색이다.[13] 몸 뒤쪽에는 따뜻하고 갈색이며, 곱슬거리고 두꺼운 털이 있고, 흰색에서 황갈색의 얇은 솜털이 있다.[11][14] 발바닥은 밀도가 높고 기름진 털로 덮여 있다.[14] 발가락과 발톱은 짧고 넓으며, 팔다리는 적갈색을 띤다.[11] 전두골은 주둥이와 거의 같은 크기이다.[3]
스미스붉은바위토끼는 야행성 동물이고 매우 조심스럽고 의심스러워한다.[1][6][11] 낮 동안에는 울창한 풀 속이나 바위 또는 나무 줄기 사이의 구멍 속에 은신한다. 외부에 발견되면 숨기위해 달렸다가 다시 나오기 전에 항상 최대한 경계를 유지한다. 쫓김을 당하면 가장 가깝고 안전한 은신처로 빨리 달려가 숨는 경향이 있고, 위험 지역에 있는 다른 동물에게 알리거나 침입자를 놀라게 하기 위해 요란한 소리를 내기도 한다. 일부는 작은 무리를 짓는 것으로 보이지만 대체로 독거 생활을 하는 습성이 있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케냐 (리프트 밸리), 레소토, 말라위, 짐바브웨 동부, 남아프리카 공화국 (노던케이프, 프리스테이트, 노스웨스트) , 탄자니아, 잠비아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다.[1][6][11] 풀, 바위, 덤불이 뒤섞인 돌이 많은 지역의 바위가 많은 경사면과 바위 노두 꼭대기에 서식한다. 포식자로부터 은신처를 제공하는 큰 바위가 있는 협곡, 언덕, 석판, 바위 틈새에 서식한다.[1][11]
2. 분류
인정되는 아종의 수는 자료에 따라 0~8종까지 다양했다. 1940년대의 한 분류법에서는 ''P. r. rupestris'', ''P. r. melanurus'', ''P. r. nyikae'', ''P. r. curryi'', ''P. r. saundersiae'', ''P. r. australis'', ''P. r. mulleri'', ''P. r. whitei'', ''P. r. barretti''를 포함한 아홉 아종을 인정했다.[7][8] 1980년대의 다른 분류법에서는 ''whitei''를 ''P. randensis''로 이동시키고, ''fitzsimonsi''를 포함시키며, ''mulleri''를 ''australis''의 동의어로 취급하여 ''P. r. rupestris'', ''P. r. melanurus'', ''P. r. curryi'', ''P. r. saundersiae'', ''P. r. australis'', ''P. r. fitzsimonsi'', ''P. r. barbetti''의 일곱 아종을 인정했다.[9]
2005년에 출판된 ''세계 포유류 종''(Mammal Species of the World) 제3판에서는 스미스붉은바위토끼 (''Pronolagus rupestris'')를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고 5개의 아종을 포함시켰다.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에서는 ''P. r. curryi''가 유일한 비기준 아종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 ''아프리카의 포유류''(Mammals of Africa)에서는 아종을 인정하지 않고, ''curryi'', ''fitzsimonsi'', ''melanurus'', ''mülleri'', ''nyikae'', ''vallicola'' 모두 ''P. rupestris''의 동의어로 간주한다. 동아프리카 스미스붉은바위토끼의 분류학적 지위는 불확실하며, 남아프리카의 ''P. rupestris''와 동종이계로 취급된다.[3]
2. 1. 아종
1834년 스코틀랜드 출신의 동물학자 앤드루 스미스가 스미스붉은바위토끼를 처음 기술했다.[1] 이 종은 원래 ''토끼속''(Lepus)으로 분류되었고, 나탈붉은바위토끼(Pronolagus crassicaudatus)의 아종으로 취급되기도 했다.[3] 잠비아에서는 일반적으로 '''바위토끼'''로 알려져 있으며,[4][5] 스와힐리어로는 ''sungura mwekundu'' 또는 ''kitengule''라고 불린다.[6]
인정되는 아종의 수는 자료에 따라 0~8종까지 다양했다. 1940년대의 한 분류법에서는 ''P. r. rupestris'', ''P. r. melanurus'', ''P. r. nyikae'', ''P. r. curryi'', ''P. r. saundersiae'', ''P. r. australis'', ''P. r. mulleri'', ''P. r. whitei'', ''P. r. barretti''를 포함한 아홉 아종을 인정했다.[7][8] 1980년대의 다른 분류법에서는 ''whitei''를 ''P. randensis''로 이동시키고, ''fitzsimonsi''를 포함시키며, ''mulleri''를 ''australis''의 동의어로 취급하여 ''P. r. rupestris'', ''P. r. melanurus'', ''P. r. curryi'', ''P. r. saundersiae'', ''P. r. australis'', ''P. r. fitzsimonsi'', ''P. r. barbetti''의 일곱 아종을 인정했다.[9]
2005년에 출판된 ''세계 포유류 종''(Mammal Species of the World) 제3판에서는 스미스붉은바위토끼 (''Pronolagus rupestris'')를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고 5개의 아종을 포함시켰다.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에서는 ''P. r. curryi''가 유일한 비기준 아종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 ''아프리카의 포유류''(Mammals of Africa)에서는 아종을 인정하지 않고, ''curryi'', ''fitzsimonsi'', ''melanurus'', ''mülleri'', ''nyikae'', ''vallicola'' 모두 ''P. rupestris''의 동의어로 간주한다. 동아프리카 스미스붉은바위토끼의 분류학적 지위는 불확실하며, 남아프리카의 ''P. rupestris''와 동종이계로 취급된다.[3]
3. 특징
제임슨붉은바위토끼(`P. randensis`)와 유사하며, 제임슨붉은바위토끼는 귀가 짧고 꼬리가 더 길며, 휴이트붉은바위토끼(`P. saundersiae`)는 전두골보다 주둥이 뼈가 더 짧다.[3]
4. 생태
사냥을 당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이따금 이른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나타나기도 한다.[6] 이들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경계심을 늦추지 않으며, 보통 눈에 띄기 전에 숨는다. 또한 개에게 쫓길 때 보이는 빠르고 깜짝 놀라게 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11] 밤에 도망갈 때 일련의 크고 깜짝 놀라게 하는 비명을 지르는 것이 관찰되었는데,[15] 이는 포식자를 겁주거나 잠재적 위협을 다른 동족에게 경고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1] 다른 대부분의 토끼과 동물들과는 달리, 억제되거나 고통을 느끼지 않아도 날카로운 소리를 낸다. 어린 개체는 손에 잡혔을 때 ''왱왱'' 소리를 낼 수 있고, 성체는 해가 뜨기 전에 방해받으면 ''짖는'' 소리를 낼 수 있다.[15]
초식동물이며, 보통 풀(새싹 등), 관목, 그리고 풀을 먹는다.[11] 9월부터 2월까지 번식한다.[12] 암컷은 자신의 털로 안감을 댄 식물 부스러기로 둥지를 만든다.[11] 둥지는 너비가 약 15cm, 길이가 10cm, 깊이가 4-8cm 정도이다.[12] 암컷은 약 한 달의 임신 기간을 거쳐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11] 각 새끼의 무게는 40-50g이다.[12] 새끼는 태어날 때 미숙아이며,[3] 3년이 되어 약 180-200g이 되면 둥지를 떠난다.[12] 바위너구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1]
4. 1. 한국과의 관계
5. 보존
1996년 이후 스미스붉은바위토끼는 멸종 위기 종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되어 왔다.[1]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서식 범위가 넓고(20000km² 이상) 흔하게 발견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만 10,000마리 이상의 성체 개체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1] 전체 개체수의 상태는 불분명하지만, 쿠루만과 스프링복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개체수가 풍부한 것으로 나타난다.[1]
사냥은 이 종에게 위협이 되며,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바위 노두에 주택이 건설되면서 서식지가 파괴되는 것 또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 1900년대부터 2000년까지 20% 이상의 서식지 손실이 발생했으며, 만약 이와 같은 비율로 서식지 감소가 2022년까지 계속되었다면, 200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의 개체수 감소는 10%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1]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방 공원, 국립공원,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발견되며, 계절에 따라 지방 자연 보존 기관에 의해 수렵 종으로 보호받기도 한다.[1] 잠비아의 라부시 만다 국립공원에서도 발견된다.[4][5]
참조
[1]
간행물
'Pronolagus rupestris'
2019
[2]
논문
Mitochondrial DNA differentiation among geographical populations of ''Pronolagus rupestris'', Smith's red rock rabbit (Mammalia: Lagomorpha)
1996
[3]
서적
Mammals of Africa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3
[4]
웹사이트
Wildlife in Lavushi Manda
http://lavushimanda.[...]
Kasanka Trust
2021-04-06
[5]
웹사이트
The Most Beautiful Hiking Trails in Northern Zambia
https://theculturetr[...]
2021-04-06
[6]
서적
A Field Guide to the Larger Mammals of Tanzan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7]
서적
Southern African Mammals 1758 to 1951: A Reclassification
Tonbridge
1953
[8]
논문
On Two new Hares allied to ''Oryctolagus crassicaudatus''
https://www.biodiver[...]
1902
[9]
서적
Classification of Southern African Mammals
Transvaal Museum
1986
[10]
논문
Glimpses from Gondolin: a faunal analysis of a fossil site near Broederstroom, Transvaal, South Africa
http://wiredspace.wi[...]
1993
[11]
웹사이트
Pronolagus rupestris (Smith's red rockhare)
http://animaldiversi[...]
2017-09-01
[12]
서적
The Mammals of the Southern African Sub-reg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3]
서적
Field Guide to Mammals of Sou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Struik
2001
[14]
서적
East African Mammals: An Atlas of Evolution in Africa, Volume 2, Part B: Hares and Roden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07
[15]
웹사이트
Pronolagus rupestris - Smith's red rock hare (Species)
http://wildpro.twycr[...]
2017-09-01
[16]
간행물
Pronolagus rupestri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41295A45190415. https://dx.doi.org/10.2305/IUCN.UK.2019-1.RLTS.T41295A45190415.en. Downloaded on 05 September 2020.
2019
[17]
Lagomorp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