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테이트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스테이트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주로, 1995년까지 오렌지 자유국으로 불렸다. 1854년 보어인들이 독립 국가를 건설했으나, 1902년 제2차 보어 전쟁 이후 영국에 병합되었다.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되었고, 1995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주도는 블룸폰테인이며, 오렌지강이 흐른다. 주요 산업은 농업과 광업이며, 금과 옥수수 생산으로 유명하다. 인구는 소토어를 사용하는 흑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스테이트주 - 크룬스타트
크룬스타트는 1855년 조셉 오펜에 의해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리스테이트주의 도시이며, 제2차 보어 전쟁 중 수도였고 농업 중심지로서 옥수수, 밀, 유제품 등을 생산하며 N1 국도, 철도, 공항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 프리스테이트주 - 블룸폰테인
블룸폰테인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법 수도이자 프리 스테이트 주의 주도로, '꽃들의 샘'이라는 뜻처럼 '장미의 도시'로 불리며, 아프리카 국민회의가 창립된 흑인 인권 운동의 역사적인 장소이자 다양한 시설을 갖춘 행정 중심지이다. - 영어권 - 나우루
나우루는 남서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공화국으로, 미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민족의 역사를 가지며 인광석 채굴 호황 이후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로 어려움을 겪고, 현재는 난민 수용 시설 운영 등으로 경제 회복을 모색하는 대통령 중심제 국가이다. - 영어권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프리스테이트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모토 | 카틀레호 카 코파노 (단결을 통한 성공) |
유형 | 주 |
위치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설립 | 오렌지 자유국, 1854년 2월 17일 |
OFS 주 | 1910년 5월 31일 |
프리 스테이트 주 | 1994년 4월 27일 |
주도 | 블룸폰테인 |
행정 구역 | |
구역 | 샤리에프 구 망가웅 광역 자치구 레주엘레푸츠와 구 타보 모푸차냐나 구 페질레 다비 구 |
정치 | |
정치 체제 | 의회 민주주의 |
집권 정당 | ANC |
주 수상 | 마퀸 레초하-마타에 |
의회 | 프리 스테이트 주의회 |
지리 | |
면적 | 129,825 제곱킬로미터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3위) |
최고 고도 | 3,291 미터 |
인구 통계 | |
2022년 총 인구 | 2,961,864 명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8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종 구성 (2022년) | 흑인: 88.9% 백인: 8.0% 컬러드: 2.6% 인도인 또는 아시아인: 0.4% 기타: 0.1% |
언어 (2022년) | 소토어: 72.3% 아프리칸스어: 10.3% 코사어: 5.5% 츠와나어: 5.3% 영어: 1.5% |
경제 | |
GDP | 200억 미국 달러 |
인적 개발 지수 (2019년) | 0.708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4위) |
기타 정보 | |
시간대 | SAST |
UTC 오프셋 | +2 |
ISO 코드 | ZA-FS |
웹사이트 | 프리 스테이트 주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95년 이전에는 오렌지 자유국주로 불렸다.[1] 1854년부터 1995년까지 프리스테이트주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시기 | 주요 사건 |
---|---|
1854년 | 영국에서 쫓겨난 네덜란드계 보어인(아프리카너)이 오렌지 자유국 건설[1] |
1899년 ~ 1902년 | 제2차 보어 전쟁 발발 및 영국의 오렌지 자유국 점령, 오렌지강 식민지 형성[1] |
1910년 | 남아프리카 연방으로 통합, 오렌지 자유국주 성립[1] |
1961년 | 영국 연방 탈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국명 변경[1] |
1994년 |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 변경, 오렌지 자유국 국기 소멸[1] |
1995년 | 프리스테이트주로 주명 변경[1] |
Oranje-Vrijstaat|오란녜프레이스타트nl
2. 1. 오렌지 자유국 성립 (1854년)
1854년 2월 17일, 영국에 쫓겨난 네덜란드계 보어인(아프리카너)이 오렌지 자유국을 세웠다.2. 2. 제2차 보어 전쟁과 영국의 점령 (1899년 ~ 1902년)
1899년 10월 11일, 제2차 보어 전쟁이 발발했다.[1] 1902년 5월 31일 베리니징 조약이 체결되면서 오렌지 자유국은 영국에 병합되어 오렌지 강 식민지가 되었다.[1]2. 3. 남아프리카 연방 편입 (1910년)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되어 '''오렌지 자유국주'''가 되었다. 1928년에 제정된 남아프리카 연방의 국기에는 종주국 영국과 마찬가지로 연방에 편입된 트란스발 공화국 등과 함께 오렌지 자유국의 국기도 함께 그려졌다.[1]2. 4.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립과 프리스테이트주로의 개칭 (1961년 ~ 현재)
1961년, 영국 연방을 탈퇴하고 남아프리카 연방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1994년 4월 26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기가 변경되어 이전 오렌지 자유국의 국기도 소멸하였다.[1] 1995년 6월, 주의 이름이 '''프리스테이트주'''로 변경되었다.[1]현재 주 경계는 반투스탄이 폐지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재편입된 1994년부터 시작되었다.[1] 또한, 반투스탄의 재편입을 제외하고는 국경 변경을 겪지 않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4개 주 중 유일하며, 그 경계는 보어 전쟁 발발 이전부터 존재했다.[1]
3. 지리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앙부에 위치한 내륙 주로, 주의 대표적인 하천인 오렌지강이 흐른다. 코르넬리아 (Riemland 지역)와 같은 곳에서는 목초지가 흩어져 있는 평평한 풀밭 평야가 연이어 나타나며, 가끔 언덕이나 코피로 인해 끊어진다. 비옥한 토양과 쾌적한 기후 덕분에 농업이 발달했다.
이 주는 고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거의 모든 토지가 해발 1,000m 이상이다. 드라켄즈버그 산맥과 말루티 산맥의 산기슭은 동쪽에서 지형을 2,000m 이상으로 끌어올린다. 프리스테이트주는 카루 암석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셰일, 진흙암, 사암 및 가장 젊은 덮개 암석을 형성하는 드라켄즈버그 현무암을 포함한다. 광물 매장량이 풍부하며 금과 다이아몬드가 특히 중요하고, 주로 주의 북부와 서부에서 발견된다.
소토족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유일한 주이다. 언어도 소토어가 우세하지만, 남서부에서는 아프리칸스어, 동부에서는 줄루어, 서부에서는 츠와나어가 우세하다. 백인과 컬러드 사이에서는 제1언어로, 흑인 사이에서는 제2언어로 아프리칸스어도 전역에서 비교적 널리 사용된다.
3. 1. 기후
프리스테이트주는 따뜻하고 더운 여름과 시원하고 추운 겨울이 특징인 대륙성 기후를 경험한다. 동부 지역은 특히 고지대에서 잦은 강설량을 보이며, 서부 지역은 여름에 매우 더울 수 있다. 거의 모든 강수량은 짧은 오후 뇌우로 여름철에 발생하며, 서쪽으로 갈수록 건조함이 증가한다. 해리스미스, 베들레헴, 픽스버그 주변의 동부 지역은 물이 풍부하다. 주도인 블룸폰테인은 덥고 습한 여름과 심한 서리가 자주 내리는 춥고 건조한 겨울을 경험한다.블룸폰테인과 베들레헴의 평균 기온 및 강수량은 다음과 같다.
지역 | 1월 최고 기온 | 1월 최저 기온 | 7월 최고 기온 | 7월 최저 기온 | 연간 강수량 |
---|---|---|---|---|---|
블룸폰테인 | 31°C | 15°C | 17°C | -2°C | 559mm |
베들레헴 | 27°C | 13°C | 16°C | -2°C | 680mm |
3. 2. 동식물
프리스테이트주 남부 평원은 검은누와 스프링복과 같은 대형 초원 동물 무리에게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북부 지역의 능선, 언덕, 평원은 쿠두, 붉은하트비스트, 남부 흰코뿔소, 물소의 서식지이다. 남아프리카 야생고양이, 검은누, 얼룩말, 엘란드, 흰코뿔소, 들개는 블룸폰테인 근처의 소트도링 자연 보호구역에서 볼 수 있다. 남아프리카 치타는 100년 간의 지역 멸종 이후 2013년 6월 필립폴리스 근처의 라후 밸리 보호구역에서 프리스테이트주에 처음으로 다시 도입되었다.[6] 2016년 초 성체 암컷 남아프리카 치타가 재도입된 후, 2017년 2월 라후 밸리 보호구역에서 세 마리의 야생 치타 새끼가 처음으로 태어났으며, 이 세 새끼는 1세기 이상 프리스테이트주에서 사라진 이후 야생에서 태어난 최초의 치타가 되었다.[7]4. 인구
2022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프리스테이트주의 인구는 2,961,864명으로, 201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 조사 대비 8.0% 증가했다. 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9개 주 중에서 가장 느린 인구 증가율이다.[8] 프리스테이트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적고, 두 번째로 인구 밀도가 낮은 주이다.[8] 2022년 기준 중앙 연령은 28세로, 2011년보다 3세 증가했다.[8]
- < 1 /km²
- 1–3 /km²
- 3–10 /km²
- 10–30 /km²
- 30–100 /km²
- 100–300 /km²
- 300–1000 /km²
- 1000–3000 /km²
- >3000 /km²
19세기에 비해 프리스테이트주의 백인 비율은 상당히 감소했다. 1880년에는 백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45.7%를 차지했고, 1904년에는 36.8%였다.[9]
프리스테이트 주민들은 대부분 기독교를 믿는다.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92.7%가 스스로를 기독교 신자라고 밝혔으며, 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주들 중 세 번째로 높은 비율이다.[8]
4. 1. 인종 구성
2011년 기준 흑인이 88%, 백인이 9%, 컬러드가 3%였다. 2022년 인구 조사에서 인구의 88.9%는 자신을 흑인 아프리카인, 8.0%는 백인, 2.6%는 유색인, 0.4%는 인도/아시아인으로 묘사했다.[8] 인구 대다수는 소토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흑인 아프리카인이다. 프리스테이트주의 백인 대다수는 아프리카너이다.인구 집단 | 1996년 | 2001년 | 2011년 | 2022년 |
---|---|---|---|---|
흑인 아프리카인 | 84.8% | 88.0% | 87.6% | 88.9% |
백인 | 12.1% | 8.8% | 8.7% | 8.0% |
유색인 | 3.0% | 3.1% | 3.1% | 2.6% |
인도/아시아인 | 0.1% | 0.1% | 0.4% | 0.4% |
기타 | n/a | n/a | 0.2% | 0.2% |
19세기에 비해 프리스테이트주의 백인 비율은 상당히 감소했다. 1880년에는 백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45.7%를 차지했고, 1904년에는 36.8%로 감소했다.[9] 1904년 백인 인구 142,679명 중 60%만이 프리스테이트주에서 태어났다. 유럽의 비영국 국가에서 태어난 이민자 2,726명 중 1,025명이 러시아 제국 출신이었으며, 대부분 유대인이었다. 1904년 피츠버그 (52.3%), 웨페너 (60.2%), 레이디브랜드 (60.0%), 크루스스타트 (51.6%) 등 대부분의 정착지에서 백인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블룸폰테인 (45.7%)과 윈버그 (36.3%)에서도 상당한 소수를 차지했다.
4. 2. 언어

2011년 기준 소토어 사용 인구가 64%, 아프리칸스어 사용 인구가 13%, 코사어 사용 인구가 8%였다.[8]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72.3%가 세소토어를 모국어로 보고했으며, 10.3%는 아프리칸스어, 5.5%는 코사어, 5.3%는 세츠와나어, 1.5%는 영어를 사용한다고 답했다.[8] 프리스테이트주는 모국어가 세소토어인 인구가 다수를 차지하는 유일한 주이다.[8] 또한 웨스턴케이프주와 노던케이프주 다음으로 아프리칸스어 사용 인구 비율이 세 번째로 높은 주이기도 하다.[8]
세소토어는 주 대부분 지역에서 주요 가정 언어이다. 줄루어는 푸멜렐라 지방 자치체의 극동 지역에서 주요 언어이다. 세츠와나어는 북서부의 토콜로고 지방 자치체와 타바 은추 주변 지역의 주요 언어이다. 아프리칸스어는 백인과 유색인종(소수)의 모국어로서, 그리고 세소토어, 세츠와나어, 코사어 사용자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언어로서 주 전체에서 널리 사용된다. 모국어가 영어인 사람은 비교적 적지만, 영어는 비즈니스와 정부의 언어로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프리스테이트 대학교와 같은 고등 교육 기관이 교육 매체로 아프리칸스어만을 사용하다가 아프리칸스어와 영어를 함께 사용하고, 결국에는 영어만 사용하는 것으로 변화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4. 3. 종교
프리스테이트주의 인구는 압도적으로 기독교 신자이다.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92.7%가 스스로를 기독교 신자라고 밝혔으며, 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주들 중 세 번째로 높은 비율이다. 다른 종교로는, 인구의 4.9%가 아프리카 전통 종교를 믿는다고 밝혔고, 0.5%는 이슬람교 신자라고 답했다. 1.4%는 무신론, 불가지론이거나 종교가 없다고 답했다.5. 정치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는 프리스테이트주의 정치를 주도해 왔다. ANC는 1994년 이후 모든 지방 선거에서 과반수 득표를 기록했다.[1] 2024년 지방 선거에서 ANC는 다시 승리했지만, 과반수는 크게 줄었다. 민주 동맹(DA)은 득표율이 크게 증가하며 이 지역의 두 번째로 큰 정당이자 공식 야당의 지위를 유지했다.[1]
5. 1. 주 정부
프리스테이트 주 정부는 주도인 블룸폰테인에 위치해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고등 법원의 프리스테이트 사법부 또한 블룸폰테인에 있다.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다른 주와 마찬가지로, 프리스테이트는 주 총리가 프리스테이트 주 의회에서 선출되는 의원 내각제 정부를 가지고 있다. 주 총리는 이후 주 행정 위원회 (내각)의 위원을 선출한다. 현 주 총리는 2024년부터 이 직책을 맡고 있는 아프리카 민족 회의 (ANC) 소속의 마퀸 레초하-마테이다.[10]
주 의회는 정당 명부 비례 대표제 시스템에 의해 5년마다 선출되며, 블룸폰테인의 피르데 라드살에서 회의를 개최한다.
5. 2. 정치 동향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는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프리스테이트주의 정치를 주도해 왔다. ANC는 1994년 이후 모든 지방 선거에서 과반수 득표를 기록했다.[1]가장 최근의 지방 선거는 2024년에 치러졌다. ANC는 다시 선거에서 승리했지만, 과반수는 크게 줄었다. 민주 동맹(DA)은 득표율이 크게 증가하며 이 지역의 두 번째로 큰 정당이자 공식 야당의 지위를 유지했다.[1]
6. 행정 구역
프리스테이트주는 1개의 광역시와 4개의 구 자치체로 나뉘며, 총 5개의 행정구(District)가 있다. 구 자치체는 다시 19개의 지방 자치체로 나뉘어, 총 20개의 지방 자치체(Municipality)가 있다.
2000년 지방 자치 단체 개편으로 5개의 구와 20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었다.
- '''망가우 메트로폴리탄 시'''
- '''크자리엡 구:''' 렛세멩, 코파농, 모호카레, 날레디
- '''레주엘레푸츠와 구:''' 마실로냐나, 토코로고, 츠웰로펠레, 마트자벵, 날라
- '''타보 모푸차냐나 구:''' 세소토, 디흘라벵, 느케토아나, 말루티아포풍, 푸멜렐라, 만초파
- '''페질레 다비 구:''' 모콰카, 응과테, 메치시마홀로, 마푸베
6. 1. 광역시
프리스테이트주에는 5개의 행정구(District)와 20개의 지방 자치체(Municipality)가 있으며, 이 중 하나는 광역시(Metropolitan Municipality)이다.- '''망가우 메트로폴리탄 시'''
2000년 지방 자치 단체 개편으로 5개 구와 20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었다. 광역시/구, 지방 자치단체 코드는 다음과 같다.
코드 | 광역 자치 단체/구 | 지도 |
---|---|---|
MAN | 망가우 메트로폴리탄 시 | -- |
6. 2. 구
프리스테이트주는 1개의 광역시와 4개의 구 자치체로 나뉜다. 구 자치체는 다시 19개의 지방 자치체로 나뉜다.[1]- 망가웅 도시 자치구
- 크자리엡 구: 렛세멩, 코파농, 모호카레, 날레디
- 레주엘레푸츠와 구: 마실로냐나, 토코로고, 츠웰로펠레, 마트자벵, 날라
- 타보 모푸차냐나 구: 세소토, 디흘라벵, 느케토아나, 말루티아포풍, 푸멜렐라, 만초파
- 페질레 다비 구: 모콰카, 응과테, 메치시마홀로, 마푸베
코드 | 광역 자치 단체/구 | 지도 | 면적 | 코드 | 지방 자치 단체 | 지도 | 면적 |
---|---|---|---|---|---|---|---|
DC16 | 크자리엡 구 | -- | 34249km2 | FS161 | 레트세멩 지방 자치 단체 | -- | |
FS162 | 코파농 지방 자치 단체 | -- | |||||
FS163 | 모호카레 지방 자치 단체 | -- | |||||
DC18 | 레즈웰레푸츠와 구 | -- | 31929.1km2 | FS181 | 마실로냐나 지방 자치 단체 | -- | |
FS182 | 토콜로고 지방 자치 단체 | -- | |||||
FS183 | 츠웰로펠레 지방 자치 단체 | -- | |||||
FS184 | 마츠하뱅 지방 자치 단체 (웰콤 포함) | -- | |||||
FS185 | 날라 지방 자치 단체 | -- | |||||
DC19 | 타보 모푸츠아니 구 | -- | 28347km2 | FS191 | 세토토 지방 자치 단체 | -- | |
FS192 | 디흘라벵 지방 자치 단체 | -- | |||||
FS193 | 은케토아나 지방 자치 단체 | -- | |||||
FS194 | 말루티 아 포풍 지방 자치 단체 | -- | |||||
FS195 | 푸멜레라 지방 자치 단체 | -- | |||||
DC20 | 페질레 다비 구 | -- | 21301km2 | FS201 | 모카카 지방 자치 단체 | -- | |
FS203 | 응과테 지방 자치 단체 | -- | |||||
FS204 | 메치시마홀로 지방 자치 단체 | -- | |||||
FS205 | 마푸베 지방 자치 단체 | -- |
7. 경제
프리스테이트 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곡창 지대로, 농업이 경제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풍부한 금광 지역에서의 광업은 이 주의 주요 고용원이다.[1]
7. 1. 농업

농업은 프리스테이트주의 풍경을 지배하며, 경작지는 32000km2, 자연 초지와 목초지는 87000km2에 달한다. 또한 농작물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연료 생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선도하며, 곡물 생산 서부 지역에는 여러 개의 에탄올 공장이 건설 중에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013년 기준 12365000ton의 생산량으로 세계 10대 옥수수 생산국 중 하나이다.
밭작물은 이 주 총 농업 소득의 거의 3분의 2를 차지한다. 축산물은 추가로 30%를 기여하며, 나머지는 원예 작물에서 발생한다. 체리 작물의 90%가 픽스버그 지역에서 생산되며, 이곳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큰 아스파라거스 통조림 공장 두 곳이 있다. 콩, 수수, 해바라기, 밀은 동부 프리스테이트에서 재배되며, 농부들은 종자 생산을 전문으로 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감자 생산량의 약 40%가 이 주의 고지대에서 나온다.
주요 채소 작물은 흰색과 녹색 품종의 아스파라거스이다. 원예 작물이 확장되고 수출 지향적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농산물은 가공되지 않은 채로 이 주를 떠난다.
프리스테이트의 화훼 산업의 장점은 남반구와 북반구의 계절이 반대라는 점이다.
7. 2. 광업
프리스테이트주는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금은 전 세계 금 생산량의 20%를 차지한다. 광업은 이 주의 주요 고용원이다. 이 주에는 12개의 금광이 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생산량의 30%를 생산하여 세계에서 5번째로 큰 금 생산지이다. 하모니 금 정련소(Harmony Gold Refinery)와 랜드 정련소(Rand Refinery)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있는 단 두 개의 금 정련소이다.프리스테이트주의 금광은 또한 국내에서 생산되는 전체 은의 상당 부분을 공급하며, 금광의 금 함유 혼합물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농도의 우라늄은 부산물로 추출된다.
역청탄 또한 채굴되어 사솔버그(Sasolburg)에서 석유화학 제품으로 전환된다. 프리스테이트주는 또한 킴벌라이트 파이프와 균열에서 고품질 다이아몬드를 생산하며, 벤토나이트의 가장 큰 매장량은 코피스(Koppies) 지역에서 발견된다.
7. 3. 산업
1989년 이후 프리스테이트주의 경제는 광업 및 농업과 같은 1차 산업 의존에서 제조업 및 수출 지향적인 경제로 변화했다.프리스테이트주 제조업의 약 14%는 첨단 기술 산업으로 분류되는데, 이는 모든 주 경제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다. 프리스테이트주 북부의 화학 산업은 남반구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다. 사솔은 사솔버그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석탄에서 연료, 왁스, 화학 물질 및 저렴한 원료를 생산하는 세계적인 기업이다.
8. 교육
9. 관광
프리스테이트주 북동부에 위치한 골든 게이트 하이랜드 국립공원은 말루티 산맥의 구릉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주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 이 공원은 특히 공원을 지키는 웅장한 브란드와그 또는 센티넬 록과 같은 장엄한 사암 절벽에 햇빛이 비추어지는 찬란한 금빛 색조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지역의 사암은 이스턴 하이랜드에서 발견되는 아름다운 다듬어진 돌 건물에 사용되었으며, 장식적으로 칠해진 소토족의 집들이 초원을 수놓고 있다. 남아프리카에서 가장 가치 있는 산(부시맨) 암석 예술 작품 중 일부는 프리스테이트주에서 발견되며, 특히 클라렌스, 베들레헴, 픽스버그, 레이디브랜드, 웨페너 주변 지역에서 발견된다.
참조
[1]
서적
Census 2011: Census in brief
http://www.statssa.g[...]
Statistics South Africa
[2]
웹사이트
Taking the measure of Namahadi Peak
https://web.archive.[...]
2009-09-24
[3]
웹사이트
Statistical Release - Census 2022
https://census.stats[...]
2024-08-22
[4]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5]
간행물
Provincial gross domestic product:experimental estimates, 2013–2022
https://www.statssa.[...]
[6]
뉴스
Cheetahs Return to Laohu Valley Reserve & The Free State
https://web.archive.[...]
Savechinastigers.org
2017-03-07
[7]
뉴스
First Wild Cheetahs Born in Free State in Over A Century
http://www.netwerk24[...]
Netwerk24
2017-03-02
[8]
웹사이트
Statistical Release - Census 2022
https://census.stats[...]
2024-08-22
[9]
문서
Orange Free State
[10]
웹사이트
Familiar face takes up role
https://www.news24.c[...]
2024-08-23
[11]
웹사이트
P03014_Census_2022_Statistical_Release.pdf
https://census.stats[...]
2024-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