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코토플레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코토플레인은 엘피디아과에 속하는 해삼의 일종이다. 주로 대서양, 태평양, 인도양의 심해 평원에 서식하며, 해저 퇴적층 위를 이동하며 유기물을 섭취한다. 4~6인치 크기로 자라며, 6쌍의 관족과 10개의 구강 촉수를 가지고 있다. 피부에는 독성 화학 물질인 홀로수린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른 극피동물과 유사한 호흡계, 신경계, 수관계를 가지고 있다. 스코토플레인 속에는 여러 종이 있으며, 2024년에는 새로운 종인 "바비 피그"가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삼강 - 해삼류
    해삼류는 극피동물문에 속하는 해양 동물로, 길쭉한 몸과 피부 속 골편, 입 주위 촉수를 가지며 전 세계 해양에 약 1500여 종이 분포하고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지만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보존 노력이 필요한 동물이다.
스코토플레인
기본 정보
학명Scotoplanes Théel, 1882
저명테엘, 1882
유형심해 해삼 속
분류
센쥬나마코속
스코토플라네스 안젤리쿠스
센쥬나마코 (스코토플라네스 글로보사)
스코토플라네스 무타빌리스

2. 이동

엘피디아과에 속하는 생물들은 신축성 있는 관족을 가지고 있다. 이 관족은 다리처럼 보이며, 피부의 입출수공을 통해 팽창 및 수축하여 부속지를 움직인다.[22][2] 엘피디아과의 관족은 다른 판족목의 관족과 달리 앰풀라(ampulla)가 피부 구멍으로 대체되어 더 크다.[23][3] 스코토플레인은 해저 퇴적층 상단을 이동하며, 표면과 그곳에 존재하는 동물상을 먹이로 삼는다.[23][3] 이러한 이동 방식은 심해의 부드러운 바닥에 적응한 결과로 여겨진다.[23][3] 위협을 느끼면 헤엄을 칠 수 있으며, 일부 종은 저서 생활과 유영 생활을 병행한다.[24][4] 전두엽과 항문엽은 스코토플레인이 물속에서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준다.[24][4] 촉수는 이동 중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24][4]

3. 생태

스코토플레인은 심해저, 특히 대서양, 태평양, 인도양의 1,200~5,000m 수심의 심해 평원에 서식하며, 남극해에서도 일부 근연종이 발견된다.[25][5][6] 수온이 낮은 북방 해역에서는 수심 수백 미터의 얕은 곳에도 나타나며, 6,000m 이상의 초심해에서는 근연종인 곰치(クマナマコ)가 대치종이 된다.[21]

심해 진흙에서 유기 입자를 걸러 먹는 퇴적물 식자이며,[25] 특히 해양 표층에서 떨어진 유기물이 풍부한 먹이를 선호한다.[26][7] 후각을 이용하여 고래 시체 등을 찾는다.[27][8]

수백 마리가 무리 지어 서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300~600마리가 모여 있는 경우도 기록되어 있다.[28][9] 먹이나 짝을 찾기 위해 대규모로 모이는 집합 행동을 보인다.[30][11] 부식물 섭식자로서 바다 밑바닥으로 떨어지는 유기물을 섭취하며, 관족을 이용해 부스러기를 모아 먹는다.[11] 주변 환경의 빈약한 자원으로부터 최대한의 영양분을 추출할 수 있는 효율적인 내장을 가지고 있다.[11]

복족류, 주걱벌레붙이목 갑각류 등 다양한 무척추동물의 숙주 역할을 하며,[28][9] 다른 해삼들과 마찬가지로 기생 또는 편리공생을 하는 생물들의 숙주가 된다. 예를 들어 ''Neolithodes diomedeae'' 왕게 유체에게 피난처를 제공하여 포식 위협을 줄여준다.[29][10]

3. 1. 한국의 심해 생태계 연구

4. 크기

스코토플레인은 4~6인치(10~15cm)까지 자랄 수 있다.[31][12] 몸체에 6쌍의 관족을 가지고 있으며 좌우 대칭 형태이다.[31] 몸 중간의 관족이 가장 크고, 항문 근처의 관족이 가장 작다.[31][12] 구강에는 10개의 구강 촉수가 줄지어 있다.[31][12]

5. 생리학

스코토플레인은 몸집이 작으며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독자적인 방어 기제를 가지고 있다. 피부에는 홀로수린이라고 불리는 독성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다른 생물에게 유해할 수 있다. 관족, 등유두, 구강 촉수와 같은 외부 부속지를 가지고 있다.[32][33][13][14]

다른 모든 극피동물과 마찬가지로 스코토플레인은 덜 발달한 호흡계를 가지고 있으며 항문을 통하여 호흡한다. 이는 기관지나무가 없음을 의미한다. 신체는 심해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져 수면 가까이 가져가면 낮은 압력 때문에 분해될 수 있다.[32][13] 신경절이 없는 신경망을 가진, 다른 극피동물과 비슷한 신경계를 가지고 있다.[32][13]

암수 모두 하나의 생식선을 가지는 독특한 생식계를 가지고 있다. (암컷: 난소 1개, 수컷: 정소 1개) 대부분의 극피동물과 달리 암수 모두 활발한 배우자발생이 관찰된다.[33][14]

다른 극피동물과 마찬가지로 수관계를 가지고 있다. 등유두는 조직학적으로 스코토플레인의 관족과 유사하며, 중앙에 큰 근육질 수관이 존재한다. 이 관의 수압은 혈관계의 효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33][14]

6. 분류

''스코토플레인 글로보사''의 복부 모습, 발관(管足)을 보여줌


스코토플레인 속에는 다음 종이 포함된다:[15]

  • ''Scotoplanes angelicus''
  • ''Scotoplanes globosa''
  • ''Scotoplanes mutabilis''


이 심해에 서식하는 해삼은 다른 해삼류와 유사하다는 조직학적 소견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 있다: 대부분의 해삼류는 성적으로 자웅이체이며, 성별이 다른 개체에 존재한다. 다른 극피동물과 달리, 해삼류는 단 하나의 생식선을 가지고 있다. 해삼류의 수관계는 다른 극피동물과 유사하지만, 모공판이 외부 몸통 벽이 아닌 체강(perivisceral coelom) 내부로 열린다.[16] 수컷 스코토플레인의 경우, 항문쪽 창자에는 낭포(cyst) 내부에 원생동물이 있다.[16]

2024년, 클라리온-클리퍼톤 단열대에서 밝은 분홍색 해삼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종에 속한다. 이 해삼은 그 색상 때문에 2023년 ''바비'' 영화를 참고하여 "바비 피그"라는 별명이 붙었다.[17][18]

6. 1. 근연종

스코토플레인속에는 다음 종들이 포함된다.

  • 스코토플레인 안젤리쿠스
  • 스코토플레인 글로보사
  • 스코토플레인 무타빌리스


대부분의 해삼강 생물들은 각각의 개체가 성적으로 자웅동체이며, 다른 극피동물과는 다르게 단 하나의 생식선을 가지고 있다. 해삼의 수관계는 천공판이 외체강 대신 내장체강 내부에서 열린다는 것을 제외하면 다른 극피동물들과 비슷하다. 수컷 스코토플레인의 경우 그들의 반구측 내장 쪽 낭종 구멍 안에 원생동물을 가지고 있다. 수심 6,000m 이상의 초심해에서는 스코토플레인 대신 근연종인 곰치/クマナマコ일본어가 대치종으로 나타난다.

참조

[1] 논문 Report on the Holothurioidea dredged by HMS Challenger during the years 1873-76
[2] 논문 Photographic evidence of a unique type of walking in deep-sea holothurians
[3] 논문 Long-term benthic infaunal monitoring at a deep-ocean dredged material disposal site off Northern California 2009-09-01
[4] 논문 Locomotory organs in the elasipodid holothurians: functional-morphological and evolutionary approaches https://books.google[...] 1995
[5] 논문 Symbiosis between the holothurian Scotoplanes sp. A and the lithodid crab Neolithodes diomedeae on a featureless bathyal sediment plain 2016-10-01
[6] 서적 Biology of the Antarctic Seas III, Volume 11 of Antarctic research series, Volume 3 of Biology of the Antarctic seas, Issue 1579 of Publication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American Geophysical Union
[7] 논문 Feeding selectivity and rapid particle processing by deep-sea megafaunal deposit feeders: A 234Th tracer approach
[8] 논문 "''Rynkatorpa felderi'', new species, from a bathyal hydrocarbon seep in the northern Gulf of Mexico (Echinodermata: Holothuroidea: Apodida)"
[9] 논문 Feeding selectivity and rapid particle processing by deep-sea megafaunal deposit feeders: A 234Th tracer approach http://www.ingentase[...] 2000-07-01
[10] 논문 Symbiosis between the holothurian Scotoplanes sp. A and the lithodid crab Neolithodes diomedeae on a featureless bathyal sediment plain
[11] 논문 Dense aggregations of three deep-sea holothurians in the southern Weddell Sea, Antarctica 1991
[12] 뉴스 The Creature Feature: 10 Fun Facts About Sea Pigs https://www.wired.co[...] 2020-05-21
[13] 논문 Symbiosis between the holothurian ''Scotoplanes'' sp. A and the lithodid crab ''Neolithodes diomedeae'' on a featureless bathyal sediment plain https://doi.org/10.1[...] 2016-10-15
[14] 논문 Histologic Examination of a Sea Pig (Scotoplanes sp.) Using Bright Field Light Microscopy 2021-08-06
[15] 웹사이트 MarineSpecies.org – Scotoplanes http://www.marinespe[...]
[16] 논문 Histologic Examination of a Sea Pig (Scotoplanes sp.) Using Bright Field Light Microscopy 2021-08
[17] 웹사이트 "'Barbie-pig': Scientists capture stunning images of ocean life in proposed deep-sea mining zone" https://www.ksl.com/[...] 2024-10-22
[18] 웹사이트 "Barbie Pigs" Among Strange And Possibly New-To-Science Species Discovered In The Pacific https://www.iflscien[...] 2024-10-22
[19] 논문 Shifts in Deep-Sea Community Structure Linked to Climate and Food Supply 2004-07-23
[20] 문서 同じような名前由来の深海生物として、[[センジュエビ]]がいる。
[21] 웹사이트 paleontology.sakura.ne.jp/senjyunamako.html https://paleontology[...]
[22] 논문 Photographic evidence of a unique type of walking in deep-sea holothurians
[23] 논문 Long-term benthic infaunal monitoring at a deep-ocean dredged material disposal site off Northern California 2009-09-01
[24] 논문 Locomotory organs in the elasipodid holothurians: functional-morphological and evolutionary approaches https://books.google[...] 1995
[25] 논문 Symbiosis between the holothurian Scotoplanes sp. A and the lithodid crab Neolithodes diomedeae on a featureless bathyal sediment plain 2016-10-01
[26] 논문 Feeding selectivity and rapid particle processing by deep-sea megafaunal deposit feeders: A 234Th tracer approach
[27] 논문 "''Rynkatorpa felderi'', new species, from a bathyal hydrocarbon seep in the northern Gulf of Mexico (Echinodermata: Holothuroidea: Apodida)"
[28] 논문 Feeding selectivity and rapid particle processing by deep-sea megafaunal deposit feeders: A 234Th tracer approach http://www.ingentase[...] 2000-07-01
[29] 논문 Symbiosis between the holothurian Scotoplanes sp. A and the lithodid crab Neolithodes diomedeae on a featureless bathyal sediment plain
[30] 논문 Dense aggregations of three deep-sea holothurians in the southern Weddell Sea, Antarctica https://www.jstor.or[...] 1991
[31] 뉴스 The Creature Feature: 10 Fun Facts About Sea Pigs https://www.wired.co[...] 2020-05-21
[32] 논문 Symbiosis between the holothurian ''Scotoplanes'' sp. A and the lithodid crab ''Neolithodes diomedeae'' on a featureless bathyal sediment plain https://doi.org/10.1[...] 2016-10-15
[33] 논문 Histologic Examination of a Sea Pig (Scotoplanes sp.) Using Bright Field Light Microscopy 2021-08-06
[34] 논문 Histologic Examination of a Sea Pig (Scotoplanes sp.) Using Bright Field Light Microscopy 2021-08
[35] 논문 Histologic Examination of a Sea Pig (Scotoplanes sp.) Using Bright Field Light Microscopy 2021-08
[36] 저널 Shifts in Deep-Sea Community Structure Linked to Climate and Food Supply 2004-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