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키복은 스키를 탈 때 착용하는 방한 의류로, 점프수트 형태의 일체형 또는 스키 재킷과 바지로 구성된 투피스 형태가 있다. 방풍 및 방수 기능을 갖춘 소재로 제작되며, 보온을 위해 긴 내복과 셔츠를 함께 입는다. 스키어의 패션을 위한 디자인 요소도 중요하며, 레이싱 수트와 같은 특수한 형태도 존재한다. 스키복은 유니폼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프로텍터는 안전을 위해 착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노보드 - 스노보드 크로스
스노보드 크로스는 여러 선수가 장애물이 있는 코스를 활강하며 순위를 정하는 스노보드 경기 종목으로, 1991년에 시작되어 2006년 동계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예선과 결승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 스노보드 - 하프파이프
하프파이프는 스케이트보드, 스노보드, 스키, BMX 등 익스트림 스포츠에서 사용되는 반원통형 경사로로, 수영장 스케이트보딩에서 유래하여 디자인이 발전해왔으며, 동계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전 세계에서 활용되고 있다. - 스포츠 의류 - 잠수복
잠수복은 수중 활동 시 체온 유지와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의류로, 네오프렌 소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보온성과 유연성은 네오프렌 두께, 소재, 봉제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 스포츠 의류 - 트레이닝복
운동 전후 체온 유지나 훈련 시 착용하는 기능성 의류인 트레이닝복은 1920년대 르꼬끄 스포르티브에 의해 개발되어 아디다스와 프란츠 베켄바우어의 협업으로 대중화되었으며, 사회문화적 흐름과 함께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용된다. - 코트 - 더스터
더스터는 자동차 여행 시대에 먼지로부터 옷을 보호하기 위해 입던 헐렁한 긴 코트였으나, 자동차 기술 발전으로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이후 대중문화의 상징이 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코트 - 파카
파카는 북극 원주민의 전통 의복에서 유래한 방수·방풍 기능의 방한 의류로, 다양한 소재와 충전재를 사용하며 군용에서 패션 아이템으로 발전하여 아노락, 팔카 등 유사한 명칭으로도 불린다.
스키복 | |
---|---|
스키복 | |
![]() | |
개요 | |
종류 | 원피스형 투피스형 |
구성 요소 | 스키 재킷 스키 바지 |
주요 기능 | 방수 방풍 보온 투습 |
소재 | |
겉감 | 나일론 폴리에스터 |
안감 | 폴리에스터 기모 플리스 |
충전재 | 오리털 거위털 솜 화학 섬유 (신슐레이트, 프리마로프트 등) |
특징 | |
디자인 | 활동성과 보온성을 고려한 디자인 |
색상 | 눈에 잘 띄는 밝은 색상 |
부가 기능 | 헬멧 후드 고글 닦이 RECCO 반사기 팔목/허리 스노우 커프스 통풍구 |
관리 | |
세탁 |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손세탁 또는 세탁망에 넣어 울 코스로 세탁 |
건조 | 그늘에서 자연 건조 |
보관 | 옷걸이에 걸어 보관하거나, 접어서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 |
2. 디자인
스키복은 크게 점프수트 형태의 일체형과 스키 재킷, 멜빵바지 또는 스키 바지로 구성된 투피스 형태로 나뉜다.[4] 방풍 및 방수, 혹은 방수 직물로 만들어지며, 나일론, 견섬유, 면 또는 호박단으로 만들어진 안감이 있어 보온성을 높인다.[4]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소재가 사용되기도 하며, 쉘 슈트 형태로 제작되어 날씨에 따라 따뜻한 속옷을 겹쳐 입을 수 있다.[4] 주머니는 방수 처리되어 소지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4]
스키복은 방한구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패션으로서의 요소도 갖는다. 과거에는 눈의 흰색에 대비되는 형광색이나 원색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스노보더의 영향으로 평상복에 가까운 스트리트 계열, 루즈 패션 디자인이 유행하고 있다. 스노보더용 의류와의 디자인 공통화로 인해 스키복과의 구별이 어려워지고 있지만, 일반적인 스키복 바지에는 밑단 안쪽에 스키 엣지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엣지 가드'''가 부착되어 있다.[13] 또한, 튼튼한 구조로 제작되거나 보호대가 내장된 제품도 있다.
유니폼으로서, 알파인 경기 심판, 베이직 스키 대회의 공인 스키 검정원 심사관, 공인 스키 학교의 스키 지도자, 스키 패트롤 등은 통일된 디자인의 스키복을 착용하기도 한다.[13]
2. 1. 원피스 스키복
원피스 스키복은 "자유복"이라고도 불리며, 몸통 전체와 팔, 다리를 덮는 형태이다. 보통 옷 앞면에 한두 개의 지퍼가 있고, 벨크로나 단추가 달린 덮개로 추가로 닫히기도 한다. 허리에는 벨트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옷 안쪽에 멜빵이 내장되어 지지력을 더하기도 한다.원피스 스키복은 겉감만 있는 경우와 보온을 위해 패딩 처리가 된 경우가 있다. 스키용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스노우모빌 슈트만큼 단열되지는 않는다. 2000년대에는 소프트쉘 스키복이 인기를 얻었는데, 하드쉘 직물보다 세련되고 신축성, 보온성, 편안함이 더 뛰어나면서도 높은 수준의 방수성, 방풍성 및 통기성을 유지한다. 플리스 안감을 사용하여 다운 충전 스노우 슈트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레이어링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드쉘 고어텍스 슈트보다 가격이 저렴한 경향이 있다.[5][6]
최초의 원피스 스키복은 1940년대 후반 이탈리아 올림픽 스키 선수이자 패션 디자이너인 에밀리오 푸치가 디자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2. 1. 1. 레이싱 수트
레이스 수트(스피드 수트)는 전문 및 주니어 레이서가 경주에서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착용하는 수트이다. 대부분 원피스 수트로 제작된다. 주로 폴리우레탄(85-90%)과 폴리에스터(15-10%)로 만들어져 공기 저항을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다. 공기 저항은 스키어가 더 빨리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는 힘의 95%를 차지하므로, 이 수트를 착용하면 속도를 거의 두 배로 높일 수 있다. 매우 꽉 끼고 몸에 밀착되어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올림픽 선수들은 레이스 수트를 착용하고 160km 이상으로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주니어 레이서조차도 이 수트 없이 80km를 넘기 어려울 수 있다. 수트 가격은 초보자용 210USD에서 올림픽 선수들이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수트의 1200USD까지 다양하다.이러한 종류의 스키 수트는 피부에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성별 공용 의류가 아니며, 효과를 위해서는 적절한 사이즈를 선택해야 한다. 대부분의 선수들은 수트 아래에 베이스 레이어를 착용하지만, 베이스 레이어가 수트의 효율성을 약간 감소시키기 때문에 경기 당일에는 수트만 착용하는 선수도 있다.

레이싱 시 착용하는 의류로,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폴리우레탄 혼방 등 얇고 신축성 있는 원단을 사용하여 몸에 밀착되도록 제작된다. 표면은 캘린더 처리 등의 방법으로 높은 평활성을 갖게 하거나, 공기의 흐름을 정돈하기 위한 패턴이 착용 시 드러나는 특수 가공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텔레비전 중계 등 각종 미디어에 노출도가 높기 때문에 각 팀의 개성을 연출하기 위해 눈에 띄는 디자인의 프린트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선수의 스폰서 기업의 로고 등이 새겨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상하 일체형의 원피스 형태이며, 레이싱 원피스라고도 불린다. 보온성은 스키가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착용하기에는 전혀 부족하며, 출발 직전까지 방한용 스키웨어를 레이싱 수트 바깥쪽에 겹쳐 입는 것이 보통이다.[14] 슈퍼대회전, 대회전, 회전 경기용 수트에는 폴과의 충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프로텍터를 조합한 것도 있다.[15] 1970년대에는 표면에 비닐 코팅을 한 수트가 사용되었으나, 속도가 너무 나와 위험하고 땀이 내부에서 증발하지 않아 피부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국제스키연맹(FIS)에 의해 통기성[16]이 있는 소재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칙이 제정되었다. 중요한 공식 대회의 활강, 슈퍼대회전, 대회전 경기에서는 사전에 FIS에 의한 통기성 등의 테스트를 거쳐, 프롬프라고 불리는 합격증을 부착한 수트여야 착용할 수 있다. 프롬프가 필요 없는 회전 경기에서는 투피스 타입의 레이싱 수트를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
2. 2. 투피스 스키복
투피스 스키복은 스키 재킷과 스키 바지(멜빵바지 또는 살로페트)로 구성된다. 방풍 및 방수 또는 방수 직물로 만들어지며, 나일론, 견섬유, 면 또는 호박단으로 만들어진 분리 불가능한 안감이 있다. 일반적으로 남녀공용이며, 긴 내복과 보통 스키용으로 디자인된 따뜻한 셔츠로 구성된 베이스 레이어와 함께 착용한다. 고어텍스 또는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지며, 스키어가 날씨에 따라 따뜻한 속옷을 추가하는 셸 슈트 형태가 많다. 주머니는 일반적으로 방수 처리되어 있다.[4]스키어들 사이에서는 패션으로서의 요소도 갖는다. 과거에는 형광색이나 원색 등 눈의 흰색에 대비되는 색상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스노보더의 영향으로 스트리트 계열, 루즈 패션이라 불리는 평상복에 가까운 디자인이 유행하고 있다. 최근 스노보더용 의류의 보급으로 디자인이 비슷해지면서 스키복과의 구별이 어려워지고 있다.
유니폼으로서, 알파인 경기 심판 등 관계자, 베이직 스키 대회의 공인 스키 검정원 심사관, 공인 스키 학교의 스키 지도자, 스키 패트롤, 기타 팀이나 단체 등에서는 통일된 디자인의 스키복을 착용하기도 한다.[13]
2. 2. 1. 스키 재킷
스키 재킷은 팔과 몸통을 덮으며, 허리까지만 오거나 엉덩이 아래까지 내려오기도 한다. 스키 재킷은 별도의 품목이거나, 같은 디자인의 스키 바지와 함께 투피스 스키 슈트의 일부일 수 있다.[4]1950년대 중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스키 재킷이 처음 등장했을 때, 주요 스타일은 사파리 재킷과 유사하게 벨트와 셔츠와 같은 칼라를 갖춘 것이었다. 비슷한 재킷, 특히 후드가 달린 재킷은 파카, 아노락, 다운 재킷 또는 윈터 쉘이라고도 불린다.
2. 2. 2. 스키 바지
스키 바지는 살로페트라고도 하며, 투피스 스키복에서 하의 부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스키 재킷과 같은 원단과 색상으로 제작된다. 때로는 멜빵바지 형태로 만들어져 재킷을 그 위에 입기도 한다.일반적인 스키복 바지 밑단 안쪽에는 '''엣지 가드'''가 부착되어 있다. 엣지 가드는 스키의 엣지에 의해 옷감이 잘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단단한 설면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튼튼하게 만들어지거나 보호대가 내장된 제품도 있다.[13]
3. 기타
북미 지역에서는 겨울철에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에게 스키복을 지원하는 자선 단체가 많다.[8] 한국에서도 비슷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3. 1. 프로텍터
스키 경기에서 주로 사용된다. 넘어질 때 단단한 설면이나 턴 시의 폴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한다. 정강이 보호대, 엉덩이 보호대, 대퇴부 보호대, 하반신 전체를 방호하는 것, 전신을 방호하는 갑옷과 같은 것까지 다양하다. 의류 아래에 착용하여 외관상 프로텍터가 눈에 띄지 않는 타입도 보급되어 있다.일반 스키어의 경우 초보자나 소아의 부상 방지를 위해 간이 무릎 보호대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3. 2. 스노우수트 행사
스키복과 방한복은 일부 스포츠 행사의 자연스러운 부분이다. 스키복 착용을 장려하는 행사도 있다.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리는 연례 겨울 야외 음악 축제 이글루페스트에서는 원피스 스키복을 입은 사람들을 위한 대회가 열린다.[9]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s.net: ski suit
http://www.definitio[...]
STANDS4 LLC
2013-09-01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snowsuit at The Free Dictionary
http://www.thefreedi[...]
2013-09-01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snowsuit at Audioenglish
http://www.audioengl[...]
2013-09-01
[4]
웹사이트
Alibaba Group Internet showrooms for ski suit and for snowsuit
http://www.alibaba.c[...]
[5]
웹사이트
REVIEW: Snowboarder's top gear! [Cool of the Wild]
https://www.red7skiw[...]
[6]
웹사이트
Why One Piece Ski Suits are back in Style.
https://www.red7skiw[...]
[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one piece ski suit
http://snow-point.co[...]
[8]
웹사이트
The Snowsuit Effort
http://snowsuit.net/[...]
[9]
웹사이트
"One-piece" Contest Information and photo shoot
http://www.igloofest[...]
[10]
웹사이트
Definitions.net: ski suit
http://www.definitio[...]
STANDS4 LLC
2013-09-01
[11]
웹사이트
Definition of snowsuit at The Free Dictionary
http://www.thefreedi[...]
2013-09-01
[12]
웹사이트
Definition of snowsuit at Audioenglish
http://www.audioengl[...]
2013-09-01
[13]
PDF
競技者等行動規範
http://saj-wp.appmlj[...]
SAJ
[14]
문서
레ーシングスーツと重ね着することを前提としたウェアは、ブーツを履いたままでも素早く脱ぐことが出来るよう、裾部まで開放できるファスナーを備えたものが多い
[15]
PDF
【アルペン】2019/20シーズン スキー用具に係る国内運用ルールについて
http://saj-wp.appmlj[...]
SAJ
[16]
PDF
【アルペン】競技規則(ICR) 2018年7月版
http://saj-wp.appmlj[...]
SA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