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키는 눈 위에서 즐기는 스포츠로, 스웨덴에서 발견된 스키의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교통 수단에서 스포츠로 발전했다. 19세기 중반 노르웨이를 중심으로 스포츠로 발전했고, 1924년 동계 올림픽부터 노르딕 스키 경기가, 1936년에는 알파인 스키 경기가 포함되었다. 스키는 신체 기능을 향상시키고, 심폐 기능 촉진, 근육량 유지, 면역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스키 장비는 스키판, 폴, 부츠로 구성되며, 알파인, 노르딕, 텔레마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국제스키연맹(FIS)에서 주관하는 다양한 스키 경기가 있으며, 알파인, 노르딕, 프리스타일 스키 등의 종목이 있다. 또한, 육상에서도 스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장비가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키 - 텔레마크 스키
텔레마크 스키는 노르웨이 텔레마크 지방에서 유래, 발꿈치를 들 수 있는 바인딩을 사용하여 험준한 지형을 이동하는 실용적인 수단에서 발전한 스키 기술 및 스포츠로, 균형감과 기술적 숙련도를 요구하며 백컨트리 스키에도 활용되고 국제스키연맹 월드컵 대회도 운영되지만 동계올림픽 정식 종목은 아니며 한국에서는 소수 마니아층이 즐기는 스포츠이다. - 스키 - 스키 등산
스키 등산은 스키와 등반 기술을 결합한 산악 스포츠로,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알파인 스키 등을 이용해 등반과 활강을 하고, 안전 장비와 기술 숙련이 필수적이며, 국제 스키 등반 연맹이 국제 대회를 승인하는 스포츠이다. - 스웨덴의 발명품 - 차분기관
차분기관은 찰스 배비지가 제안한 자동 계산 기계로, 다항식의 값을 계산하며, 덧셈과 뺄셈을 사용하여 뉴턴의 유한 차분법을 원리로 작동한다. - 스웨덴의 발명품 - 블루투스
블루투스는 2.4GHz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여러 무선 통신 규격 통합의 의미를 담아 하랄드 블라톤 왕의 별칭에서 유래되었으며, 1998년 블루투스 SIG를 통해 공식 발표된 후 지속적인 기능 향상이 이루어져 스마트폰, 무선 헤드셋 등 다양한 기기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속도, 전파 간섭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스키 | |
---|---|
개요 | |
![]() | |
분류 | 겨울 스포츠 |
활동 유형 |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
필요한 장비 | 스키와 스키 부츠, 스키 폴, 헬멧 및 고글 |
역사 | |
기원 | 스칸디나비아 |
초기 사용 | 이동 및 사냥 |
현대적 스포츠 발전 | 19세기 후반 |
유형 | |
알파인 스키 | 경사진 코스에서 활강 |
노르딕 스키 | 평지 및 오르막 코스에서 활주 |
프리스타일 스키 | 묘기 및 점프 |
텔레마크 스키 | 힐이 분리된 부츠 사용 |
스키 점프 | 높은 경사로에서 점프 |
스키 크로스 | 여러 명이 함께 경주 |
장비 | |
스키 | 나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 |
스키 부츠 | 발을 고정시키는 역할 |
스키 폴 | 균형 유지 및 추진력 제공 |
헬멧 | 안전 장비 |
고글 | 눈 보호 |
기술 | |
기본 자세 | 무릎을 구부리고 균형을 유지 |
턴 | 다양한 턴 기술 사용 |
제동 | 속도 조절 및 정지 |
리프팅 | 스키장 리프트 이용 |
안전 | |
위험 요소 | 충돌, 낙상, 눈사태 |
안전 수칙 | 보호 장비 착용, 규칙 준수 |
관련 스포츠 | |
스노보드 | 스키와 유사한 겨울 스포츠 |
스키 보드 | 짧은 스키 사용 |
2. 역사
스키의 역사는 기원전 2500년경 스웨덴의 습원에서 발견된 스키와 100세기 전 중국에서 스키를 즐기는 벽화 등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19][20] 눈이 많이 내리는 알프스산맥 등지에서 초기에는 교통 수단으로 이용되다가 점차 스포츠로 발전했다.
19세기 중반까지 스키는 주로 운송 수단으로 사용되었지만, 이후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로 변화하였다.[9] 19세기 중반부터 노르웨이 남부 텔레마르크 지방을 중심으로 스포츠나 등산객의 이동 수단, 서양 알프스 지방의 궁술과 결합한 전투 기술로서 진화했다. 1879년에는 노르웨이 크리스티아니아(현재의 오슬로)에서 최초의 대규모 스키 대회가 개최되었다.
1924년 제1회 동계 올림픽 때부터 크로스컨트리 스키,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가 스키 경기로 채택되었다. 알파인 스키 경기는 1936년 동계 올림픽부터 채택되었다.[1]
2. 1. 한국 스키의 역사

대한민국에는 1910년경에 스키가 들어왔으며, 1946년 대한스키협회가 창립되었다.[19][20] 오늘날에는 대한민국 곳곳에 스키장이 개설되어 일반인들이 널리 즐기는 스포츠로 자리 잡았다.
1911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소좌 테오도르 에드러 폰 렐히가 일본 육군에게 스키 기술을 전수했는데, 이는 일본 스키의 기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대한민국은 1928년 생모리츠 동계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1956년 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회전(슬라롬)에서 이가야 치하루가 2위에 입상하며 일본 최초의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후 대한민국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동계 스포츠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다.
3. 스키의 효과
스키는 활동량과 에너지 소비량이 많아 심장, 폐, 혈관, 근육 등에 자극을 주어 신체 기능을 향상시킨다. 적당한 스키는 자연 속에서 이루어지므로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질병 예방과 생활 활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 자연과 함께하는 운동이기에 많은 산소를 마실 수 있다.[1]
스키는 신경 기능 향상에도 기여하여 운동 기능의 효율성과 일관성을 높인다. 또한 신경 지배를 개선하고 반응 시간을 단축시킨다. 스키를 타면 혈류량이 증가하여 말초 순환이 개선된다. 꾸준한 스키는 근육량을 유지하고 정상적인 활동을 돕는다. 순환계 발달로 호흡 기능도 향상된다.[1]
스키를 시작하면 교감신경이 긴장하고 신경계 호르몬과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심폐 기능이 촉진된다. 근육 내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혈액 흐름이 증대되고, 근육 운동이 원활해진다. 또한 근육 내 에너지 소비 증가로 호흡 기능이 촉진된다. 스키는 체온 조절 기능을 향상시키고, 단백질 및 특이 효소가 정상적으로 유지되도록 돕는다. 항체 면역 기능 향상으로 신체의 항상성 유지 기능을 증진시키고, 외부 자극에 대한 방어 및 적응력을 높여 면역 기능을 향상시킨다.[1]
4. 장비
스키 장비는 크게 스키판, 폴, 부츠로 구성된다. 스키판은 상향 주행 시 접지력을 높이기 위해 스킨을 부착하거나, 미끄럼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키 왁스를 바를 수 있다. 트윈팁 스키는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외에도 바인딩, 헬멧, 스키복, 고글, 장갑, 마스크 등이 필요하다.
4. 1. 스키판 (베이스)
흔히 사용하는 활강용 스키판은 처음에는 목재로 만들었으나, 근래에는 글라스 파이버(유리섬유)와 메탈(금속) 스키가 사용되고 있다. 스키판의 길이는 스키를 지상에 세우고 똑바로 서서 한쪽 손을 위로 뻗쳐 스키의 끝을 잡을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
4. 2. 폴
금속, 플라스틱, 글라스 파이버로 만든 것으로서, 거꾸로 세워 바스켓이 겨드랑이 밑에 오는 정도의 길이가 알맞다.4. 3. 부츠
스키와 사람을 결착하고, 스키를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신발이다. 정강이를 받쳐 주는 역할을 한다.4. 4. 기타 장비
스키를 탈 때 필요한 기타 장비는 다음과 같다.5. 기본 기술
스키 기술은 스키 형상과 함께 발전해 왔다. 초기 기술에는 텔레마크 턴, 스템, 스템 크리스티, 플라우, 패러렐이 포함되었다. 엘란 SCX와 같은 새로운 파라볼릭 디자인은 보다 현대적인 카빙턴을 가능하게 했다.
5. 1. 스키 신기와 벗기
스키를 눈 위에 평행으로 놓고 바인딩 쪽에 부츠를 넣고 뒤꿈치를 힘껏 눌러 착용한다. 벗을 때는 폴 등으로 뒤쪽을 누른다.[1]5. 2. 폴 잡는 법
손을 끼는 끈(그립 밴드)이 있는데, 이것이 없거나 끊어져 있으면 리프트를 타는 도중이나 타다가 넘어질 때 폴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출발 전에 잘 살펴보아야 한다.[7]폴끈(그립밴드)을 손잡이 그립과 함께 쥐어야 엄지손가락이 다치지 않는다.[7]
6. 스키의 종류
스키는 크게 알파인 스키와 노르딕 스키로 나뉜다.
알파인 스키는 스키 부츠의 발가락과 뒤꿈치 모두 고정되는 바인딩을 사용하며, 노르딕 스키는 발가락 부분만 고정되고 발꿈치는 자유로운 바인딩을 사용한다.
이 외에도 텔레마크 스키, 트윈팁 스키, 알파인 투어링 스키, 모노스키, 백컨트리 스키, 모글 스키, 스키 점핑 스키 등 다양한 종류의 스키가 있다.
6. 1. 알파인 스키
활강 스키라고도 불리는 알파인 스키는 일반적으로 스키장의 피스트에서 이루어진다. 스키 부츠의 발가락과 뒤꿈치 모두에 고정되는 고정식 힐 바인딩이 특징이다. 스키 리프트, 특히 체어리프트는 스키어를 슬로프 위로 올려준다. 백컨트리 스키는 헬리콥터, 스노우캣, 하이킹, 스노모빌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리조트 시설에는 야간 스키, 애프터스키, 스키 패트롤과 스키 스쿨의 감독하에 이루어지는 글레이드 스키가 포함될 수 있다.[1] 알파인 스키는 1920년대경 스키 리프트의 등장으로 인해 더 이상 언덕을 다시 올라갈 필요가 없게 되면서 기존의 노르딕 스키에서 분리되었다. 알파인 장비는 전문화되어 이제 리프트의 도움 없이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알파인 투어링 장비는 고정 및 자유 힐 모드로 전환 가능한 특수 바인딩을 사용하며, 클라이밍 스킨은 알파인 스키 바닥에 일시적으로 부착되어 눈 위에서 견인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알파인 스키로 노르딕 스타일의 상향 및 백컨트리 이동이 가능하다. 내리막길 이동의 경우, 뒤꿈치는 고정되고 스킨은 제거된다.[1]6. 2. 노르딕 스키
노르딕 스키 종목에는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스키 점프가 포함된다. 두 종목 모두 스키 부츠의 발가락 부분은 고정되지만 발꿈치 부분은 고정되지 않는 바인딩을 사용한다.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정비된 트레일이나 개발되지 않은 백컨트리 지역에서 즐길 수 있다. 스키 점프는 스키점프 전용으로 지정된 특정 지역에서 이루어진다.
6. 3. 기타 스키 종류
텔레마크 스키, 트윈팁 스키, 알파인 투어링 스키, 모노스키, 백컨트리 스키, 모글 스키, 스키 점핑 스키 등이 있다.텔레마크 스키는 노르웨이 텔레마크(Telemark) 지역의 이름을 딴 스키 턴 기술이자 국제스키연맹(FIS)이 승인한 종목이다. 노르딕 스키와 유사한 장비를 사용하는데, 스키 바인딩이 스키 부츠의 발가락 부분에만 고정되어 있어 턴을 하는 동안 스키어의 발뒤꿈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스키 자체는 알파인 스키와 같은 너비인 경우가 많다.
7. 스키 경기
FIS에서 주관하는 주요 스키 경기는 다음과 같다.
- 알파인 스키: 빠른 속도로 슬로프를 내려오는 경기이다. 세부 종목으로는 활강, 회전, 대회전, 슈퍼G 등이 있다.
- 노르딕 스키: 스키를 신고 평지나 언덕을 오르내리는 경기이다. 세부 종목으로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이 있다.
-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와 사격을 결합한 경기이다.
- 프리스타일 스키: 모굴, 에어리얼, 스키 크로스,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등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는 경기이다.
- 스피드 스키: 빠른 속도로 직선 코스를 내려오는 경기이다.
- 텔레마크: 알파인 스키와 노르딕 스키의 요소를 결합한 경기이다.
- 잔디 스키: 잔디 위에서 스키를 타는 경기이다.
7. 1. 알파인 경기
알파인 경기는 활강 경기, 회전 경기, 대회전 경기, 슈퍼 대회전 경기, 복합 경기로 구성된다.- 활강 경기: 남자는 2km~2.5km, 여자는 2km 이내의 코스를 달려 시간을 다투는 경기이다. 코스의 표고차는 남자 800m~1000m, 여자 500m~700m이다.
- 회전 경기: 500m 안팎의 코스에 55~75개의 게이트(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사이를 지그재그로 회전하면서 달리는 경기이다. 코스의 표고차는 남자 180m-220m, 여자 120m-180m이다.
- 대회전 경기: 활강 경기의 속도와 회전 경기의 회전 기술을 종합 평가하는 경기이다. 표고차는 남자 250m-400m, 여자 250m-350m이다. 각 게이트 간 간격은 5m이며, 약 30개가량 설치되어 있다.
- 슈퍼 대회전 경기: FIS의 승인을 받은 종목이다.
- 복합 경기: 선수들이 각 종목(슈퍼 대회전, 회전 등)을 한 번씩 완주해야 하는 경기이다.
7. 2. 노르딕 경기
노르딕 경기에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 경기가 있다.- 크로스컨트리 경기: 개인 경기와 릴레이가 있으며, 개인 경기는 평지, 오르막길, 내리막길이 1/3씩 만들어져 있는데, 남자 15km, 30km, 50km, 여자 5km, 10km, 20km가 있다. 종목별로 스키를 일자로만 움직일 수 있는 '클래식주법' 경기와 스케이트 타는 모양으로 스키를 타는 '프리스타일주법'의 두 가지 경기가 열린다. 릴레이는 남자 40km, 여자 20km 거리를 4명의 선수가 10km, 5km씩 나누어 달린다.
- 점프 경기: 남자만의 경기로 보통 90m 이상의 준비된 활주로를 힘차게 내려오면서 공중을 나는 거리, 높이, 착지 자세를 채점한다.
- 노르딕 복합: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와 스키 점프 경기를 복합한 것으로 15km 이상을 달리며 세 번 점프한다.
7. 3. 바이애슬론 경기
크로스컨트리 경기를 하면서(10-20km 코스) 곳곳에 설치된 목표물을 선 자세와 엎드린 자세로 총을 쏘아 맞히는 경기이다. 맞히지 못하면 벌점이 주어지며 시간이 적게 소요된 선수가 승리한다. 패럴림픽 바이애슬론은 동계 패럴림픽 게임에 포함된다.[12]7. 4. 기타 경기
FIS에서 승인한 스키 종목 중에는 다음과 같은 기타 경기들이 있다.- 프리스타일 스키 – 모굴 스키, 에어리얼, 스키 크로스,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등을 포함한다. 주요 대회로는 FIS 프리스타일 스키 월드컵과 FIS 프리스타일 세계 스키 선수권 대회(홀수 해에 개최)가 있다. 1988년 동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선보였고, 1992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2014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는 슬로프스타일과 하프파이프가 추가되었다.[14]
- 스피드 스키 – 1898년에 시작되었으며, 1932년부터 공식 기록이 시작되었다. 1960년대에 FIS 종목이 되었으며, FIS 스피드 스키 월드컵에서 경쟁한다. 알베르빌에서 열린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시범 종목으로 선보였다.[13]
- 텔레마크 – 노르웨이의 텔레마크 지역에서 유래되었으며, 알파인 스키와 노르딕 스키의 요소를 결합한 종목이다. FIS 텔레마크 월드컵과 FIS 텔레마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경쟁한다.
- 잔디 스키 – 원래 알파인 스키 훈련 방법으로 개발되었으나, 독립적인 스키 종목으로 발전하였다. FIS 잔디 스키 월드컵과 FIS 잔디 스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경쟁한다.
8. 관련 단체
- 국제스키연맹 (FIS)
- 대한스키협회 (KSA)
- 대한스키지도자연맹
- 일본직업스키교사협회(일본프로스키교사협회) (SIA)
9. 육상용 스키
원래 그리고 주로 눈 위에서 즐기는 야외 겨울 스포츠인 스키는 인공 "건식" 스키 슬로프, 모래, 실내에서도 즐길 수 있으며 스키 시뮬레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적절한 장비를 갖추면 눈 위가 아닌 곳에서도 잔디 스키와 롤러 스키를 즐길 수 있다.
- 카빙 롤러 RSV - 인라인스케이트나 튜브 등보다 스키판에 가까운 롤러 스키.
- Roller skiing|롤러 스키영어 - 크로스컨트리 스키에 가까운 상태로 훈련할 수 있도록 개발된 롤러 스키.
- 글래스 스키 - 캐터필러 벨트 모양의 스키 용구인 글래스 스키를 사용하여 잔디 위를 활주한다.
- 플라스틱 스키 - 플라스틱 브러시 매트가 깔린 슬로프에 물을 뿌려 스키판으로 활주하는 인공 잔디 스키장. 스노우 매트는 PIS・LAB(피스랩), 아스트로터프 등이 있다.
- 그레텐 스포츠(그레텐 스키) - 눈이 없는 슬로프에 그레텐 전용 매트가 깔리고, 그랜저라고 불리는 특수한 바퀴가 달린 육상 스키 용구를 사용하여 활주한다. 그랜저는 알파인 스케이트 외에 미니 휠 타입 등도 있다.
참조
[1]
논문
Human locomotion on snow: determinants of economy and speed of skiing across the ages
2005
[2]
웹사이트
Ancient paintings suggest China invented skiing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Agency
2006-01-25
[3]
웹사이트
Before Scandinavia: These could be the first skiers
http://www.csmonitor[...]
2006-03-15
[4]
웹사이트
China's Stone Age Skiers and History's Harsh Lessons
https://www.nytimes.[...]
2017-04-19
[5]
웹사이트
Origin Story: Where did skiing begin?
https://www.skiinghi[...]
2017-06-12
[6]
서적
Norsk etymologisk ordbok
Kagge forlag
2014
[7]
서적
Beschreibung von dem unter schwedischer Krone gehörigen Lappland
von Rother
[8]
웹사이트
Newcastle Courant
https://www.britishn[...]
[9]
간행물
Norske ski - til glede og besvær
Høgskolen i Finnmark
1999
[10]
서적
På ski
Aschehoug
1946
[11]
웹사이트
How concern for the national health and military preparedness led France to build the infrastructure for Chamonix, 1924
https://skiinghistor[...]
2014-01-30
[12]
논문
The first dual slalom duel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Skiing History Association
1997
[13]
서적
Why a Curveball Curves: The Incredible Science of Sports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2009
[14]
웹사이트
Freestyle Skiing - Winter Olympic Sport
https://www.olympic.[...]
2019-11-26
[15]
웹사이트
http://www.bbc.com/t[...]
[16]
뉴스
スキーの日:レルヒ少佐を顕彰 上越で式典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2013-01-13
[17]
문서
立山カルデラ研究紀要第11号-芦峅ガイドの系譜p23
http://www.tatecal.o[...]
2017-12-02
[18]
논문
日本スキーの発祥前史についての文献的研究
https://doi.org/10.1[...]
北海道大学大学院
[19]
웹인용
Ancient paintings suggest China invented skiing
http://news.xinhuane[...]
2006-01-25
[20]
웹인용
Before Scandinavia: These could be the first skiers
http://www.csmonitor[...]
2006-03-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알파인 스키 월드컵 시즌 최종전 준우승…최고령 메달 기록
프리스키 정대윤, 한국 첫 세계선수권 모굴 동메달
대한체육회 사무총장에 김나미 씨 내정…사상 첫 여성 (종합)
[단독] 대한체육회 사무총장에 김나미 씨 내정…사상 첫 여성
[자막뉴스] '남녀노소' 눈 위에서 스피드로…1대 1로 겨룬다
선수들과 동호인이 함께 한 '설상 축제'
유망주부터 은퇴 선수도…KBI컵 스키-스노보드 챔피언십
'살림남' 박서진 남매 첫 스키 도전 시작부터 멘붕 | JTBC 뉴스
‘탱크 닮은 스키’ 설원 위를 씽씽
탱크 닮은 스키 등장…무한궤도 돌려 눈길 돌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