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릿 M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피릿 MC는 2003년 4월에 처음 대회를 개최한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단체이다. 데니스 강을 비롯한 한국 격투가들이 활약했으며, 케이블 채널 XTM의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중계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프로 리그, 인터 리그, 아마추어 리그로 나뉘어 운영되었으며, 2007년 미국 단체 ProElite에 인수되었으나, 2008년 프로 리그가 중단되며 사실상 소멸되었다. 스피릿 MC는 로드 FC, 탑 FC 등 후발 주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 로드 FC
로드 FC는 2010년 정문홍이 설립한 대한민국 종합격투기 단체로, 스피릿 MC 폐쇄 이후 국내 최대 규모로 성장하여 아시아 주요 단체 중 하나가 되었으며, 《주먹이 운다》 프로그램, 아마추어 리그 운영, 여성 리그 출범, 해외 진출 등을 통해 한국 종합격투기 저변 확대와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 무신 (무술)
무신은 2009년부터 시작된 격투기 대회로, 태권도 출신 선수와 비 태권도 출신 선수 간의 대결을 주로 다루었으며, 미국에서 종합격투기 룰을 적용한 대회도 개최했다. - 종합격투기 단체 - 판크라스
판크라스는 후나키 마사카츠와 스즈키 미노루가 1992년 설립한 일본의 종합격투기 단체로, 캐치 레슬링 기반의 완전실력주의를 표방하며 인기를 얻었고, 규칙 개정과 체급 조정 등을 거쳐 현재는 FEN 판크라스 사업부로 운영되며 '킹 오브 판크라스' 챔피언 타이틀을 걸고 10각형 케이지 '데카곤'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 종합격투기 단체 - 월드 익스트림 케이지파이팅
월드 익스트림 케이지파이팅(WEC)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운영된 종합격투기 단체이며, 2006년 주파에 인수된 후 UFC에 합병되었고, 조제 알도 등 주요 선수들을 배출했다. - 2003년 설립된 기업 - 금호타이어
금호타이어는 1960년 삼양타이어공업으로 시작하여 1978년 금호타이어로 상호를 변경한 대한민국의 타이어 제조 기업이며, 중국 더블스타에 인수되어 한국, 중국, 베트남, 미국 등지에서 생산 시설과 연구 개발 센터를 운영한다. - 2003년 설립된 기업 - LS그룹
LS그룹은 1962년 한국케이블공업으로 시작하여 LG그룹에서 분리된 후 2005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전력, 에너지, 소재, 기계 등 다양한 분야의 계열사를 거느린 대한민국의 기업 집단이다.
스피릿 MC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단체명 | Spirit MC |
영문 단체명 | Spirit Martial Challenge |
설립 | 2003년 |
해체 | 2010년 |
주최 | 엔트리안 |
본부 | 서울 |
2. 역사
2003년 4월 첫 대회를 시작으로, 데니스 강, 이면주, 이은수, 나무진, 이치성, 임재석, 최영, 백종권, 이재선, 이광희, 권아솔, 남의철, 강경호 등이 스피릿 MC에서 활동하였다.
스피릿 MC는 프로리그(넘버시리즈), 인터리그, 아마리그의 세 종류로 대회를 운영했다. 아마리그는 아마추어 선수들이 프로 선수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했고, 인터리그는 아마추어와 프로 선수들이 함께 경쟁하는 무대였다.
2008년 10월 30일 '스피릿 MC 19' 대회가 주최사 내부 사정으로 무기한 연기[2]된 후 프로리그와 인터리그는 더 이상 열리지 않았다. 아마리그는 2009년 3월 이후 중단되었다가 2010년 2월 부활을 시도했지만[3], 단발성에 그치며 스피릿 MC는 결국 소멸되었다. 한편, 스피릿 MC는 케이블 채널 XTM의 격투가 리얼리티 프로그램 "Go! 슈퍼코리안" 시리즈와 대회 중계를 통해 한국 대중에게 알려졌다.
2. 1. 출범과 성장 (2003-2006)
2003년 4월,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첫 대회인 '스피릿 MC 1: Spirit'이 개최되었다.[1] 이면주, 이은수 등 당시 한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참여하여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초기에는 무제한급, 헤비급, 미들급 그랑프리를 개최하며 체급별 챔피언을 배출했다.대회는 ‘스피릿MC 프로리그(넘버시리즈)’, ‘스피릿MC 인터리그’, ‘스피릿MC 아마리그’의 세 종류로 나뉘었다.[1] 아마리그는 아마추어 격투가들이 참가하는 리그로, 레벨 제도를 통해 일정 레벨에 오른 사람들은 프로리그에 진출할 수 있었다. 인터리그는 실력을 인정받은 아마추어 선수들과 프로 선수들이 모두 출전하는 대회로, 챔피언십 도전자 결정전이나 복귀전 같은 경기를 치르는 무대이기도 했다. 이러한 기본 구조는 이후 창설된 로드 FC, 탑 FC 등으로 계승되었다.
2006년에는 웰터급 그랑프리를 개최하며 체급을 확장했다.
2. 2. 전성기와 변화 (2007-2008)
2007년 3월, EliteXC를 운영하는 미국의 종합격투기 단체 ProElite에 인수되었다.[1]2. 3. 소멸과 영향 (2008-현재)
2008년 10월 30일 개최 예정이던 '스피릿 MC 19' 대회가 주최사 내부 사정으로 무기한 연기[2]된 이후 더 이상의 프로리그, 인터리그는 열리지 않았다. 아마리그도 2009년 3월 이후 열리지 않다가 2010년 2월 부활을 시도했지만[3] 단발성에 그쳤다. 이로써 스피릿 MC는 사실상 소멸되었다.스피릿 MC는 아마추어 리그를 통해 프로 리그에 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러한 기본 구조는 이후 창설된 로드 FC, 탑 FC 등으로 계승되었다.
3. 운영 시스템
스피릿 MC는 프로 리그, 인터 리그, 아마추어 리그의 세 가지 리그로 운영되었다. 아마추어 리그는 레벨 제도를 통해 일정 레벨에 오른 선수들이 프로 리그에 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었다.[1] 인터 리그는 챔피언십 도전자 결정전이나 복귀전 같은 경기를 치르는 무대였다. 이러한 스피릿 MC의 운영 시스템은 이후 로드 FC, 탑 FC 등에도 영향을 주었다.
3. 1. 아마추어 리그
아마추어 리그는 아마추어 격투가들을 위한 리그로, 미국 야구의 마이너 리그처럼 프로 리그로 올라가기 위한 발판이었다. 인터 리그는 그 중간 성격으로 실력을 증명한 아마추어 선수들과 프로 선수들이 모두 출전하는 대회였다.[1]4. 역대 챔피언
스피릿 MC는 헤비급(+80kg), 미들급(-80kg), 웰터급(-70kg)의 세 체급에서 챔피언을 배출했다. 이명주가 초대 챔피언이며, 주요 챔피언으로는 남의철, 임재석, 이은수, 이치성, 나무진 등이 있다.
4. 1. 체급별 챔피언
체급 | 대 | 챔피언 | 기간 | 방어 횟수 |
---|---|---|---|---|
헤비급 (+80 kg) | 1대 | 이은수 | 2003년 10월 11일 - 2004년 (반납) | 0 |
2대 | 데니스 강 | 2004년 9월 11일 - | 2 | |
미들급 (-80 kg) | 1대 | 나무진 | 2003년 10월 11일 - 2004년 6월 12일 | 0 |
2대 | 이치성 | 2004년 6월 12일 - 2005년 (반납) | 0 | |
3대 | 임재석 | 2005년 10월 29일 - 2007년 4월 22일 | 0 | |
4대 | 스티브 브루노 | 2007년 4월 22일 - 2008년 (반납) | 0 | |
5대 | 임재석 | 2008년 6월 29일 - | 1 | |
웰터급 (-70 kg) | 1대 | 남의철 | 2006년 11월 4일 - 2007년 (박탈) | 0 |
2대 | 이광희 | 2007년 8월 19일 - | 1 |
4. 2. 역대 그랑프리 챔피언
대회 | 체급 | 챔피언 | 일자 |
---|---|---|---|
스피릿 MC 1 | 무제한급 | 이면주 | 2003년 4월 26일 |
스피릿 MC 2 | 헤비급(+80 kg) | 이은수 | 2003년 10월 11일 |
미들급(-80 kg) | 나무진 | ||
스피릿 MC 5 | 무제한급 | 데니스 강 | 2004년 9월 11일 |
스피릿 MC 7 | 미들급(-80 kg) | 임재석 | 2005년 10월 29일 |
스피릿 MC 10 | 웰터급(-70 kg) | 남의철 | 2006년 11월 4일 |
스피릿 MC 13 | 헤비급(+80 kg) | 무라타 류이치 | 2007년 9월 27일 |
5. 주요 선수
6. 대회 개최 이력
# | 대회명 | 메인이벤트 | 개최일자 | 경기장 | 개최도시 |
---|---|---|---|---|---|
24 | Spirit MC 18: The Champion | 데니스 강 vs 김재영 | 2008년 8월 31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23 | Spirit MC 17: All In | 임재석 vs 차정환 | 2008년 6월 29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22 | Spirit MC 16: Clash of Pride | 김재영 vs 최정규 | 2008년 4월 27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21 | Spirit MC 15: Come Back Home | 임재석 vs 김윤영 | 2008년 3월 1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20 | Spirit MC 14: Karma | 이광희 vs 강경호 | 2008년 1월 20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19 | Spirit MC 13: Heavyweight Grand Prix Final | 최정규 vs 무라타 류이치 | 2007년 10월 14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18 | Spirit MC 12: Heavyweight Grand Prix Opening | 권아솔 vs 이광희 | 2007년 8월 19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17 | Spirit MC Interleague 6: The Road | 권아솔 vs 장덕영 | 2007년 6월 17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16 | Spirit MC 11: Invasion | 임재석 vs 스티브 브루노 | 2007년 4월 22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15 | Spirit MC Interleague 5 | 데니스 강 vs 최정규 | 2007년 3월 11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14 | Spirit MC 10: Welterweight Grand Prix Final | 남의철 vs 유우성 | 2006년 11월 4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13 | Spirit MC 9: Welterweight Grand Prix Opening | 임재석 vs 시라이 유야 | 2006년 10월 8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12 | Spirit MC Interleague 4 | 김호진 vs 김대건 | 2006년 8월 19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11 | Spirit MC 8: Only One | 최영 vs 마이크 아이나 | 2006년 4월 22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10 | Spirit MC Interleague 3 | 김윤영 vs 운영철 | 2006년 2월 11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9 | Spirit MC 7: Middleweight Grand Prix Final | 임재석 vs 최영 | 2005년 10월 29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8 | Spirit MC 6: Middleweight Grand Prix Opening | 이은수 vs 김재영 | 2005년 7월 2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7 | Spirit MC Interleague 2 | 이상수 vs 김정태 | 2004년 11월 20일 | KBS 88체육관 | 서울특별시 |
6 | Spirit MC 5: 2004 Grand Prix Unlimited | 노영암 vs 문종혁 | 2004년 9월 11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5 | Spirit MC 4: Revolution | 이치성 vs 나무진 | 2004년 6월 12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4 | Spirit MC 3: I Will Be Back | 이은수 vs 최정규 | 2004년 4월 10일 | 장충체육관 | 서울특별시 |
3 | Spirit MC Interleague 1 | 데니스 강 vs 김형준 | 2004년 2월 7일 | KBS 88체육관 | 서울특별시 |
2 | Spirit MC 2: Combative Spirit | 이은수 vs 김건우 | 2003년 10월 11일 | 잠실실내체육관 | 서울특별시 |
1 | Spirit MC 1: Spirit | 이은수 vs 이면주 | 2003년 4월 26일 | 잠실학생체육관 | 서울특별시 |
참조
[1]
웹인용
스피릿 MC 아마추어 대회 규정
http://www.spiritmc.[...]
2008-03-06
[2]
웹인용
스피릿MC 19회 대회, 주최사 사정으로 연기 결정
https://web.archive.[...]
2014-08-23
[3]
웹인용
스피릿MC 아마리그, 국민생활체육 송파구 전국이종격투기대회로 부활
https://web.archive.[...]
2014-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