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랍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랍샤는 미하일 글린카의 오페라 '황제에게 바친 목숨'에 나오는 합창곡으로, 러시아 제국의 차르 체제에 대한 찬양과 러시아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가사에는 차르와 러시아 제국에 대한 찬양, 러시아 정교회와 모스크바에 대한 찬양, 그리고 러시아의 국민적 영웅 이반 수사닌을 기리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소련 시대에는 이 곡이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1812년 서곡'에 삽입되었으나, 소련 해체 이후에는 제정 시대 국가의 샘플이 복원되었다. 2015년에는 올레크 가즈마노프가 자신의 싱글에 슬랍샤의 첫 소절을 샘플링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하일 글린카의 작품 - 카마린스카야
카마린스카야는 러시아 민요를 기반으로 미하일 글린카가 작곡한 관현악 작품으로, 빠른 템포의 춤곡 멜로디를 반복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며, 러시아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미하일 글린카의 작품 - 애국가 (글린카)
미하일 글린카가 1833년 작곡한 가사 없는 피아노 곡인 애국가는 한때 러시아의 국가였으나 인기가 없어 소련 국가 멜로디로 대체되었고, 현재는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반대파의 정치적 국가로 사용된다. - 합창곡 - 노래의 힘
노래의 힘 프로젝트는 NHK 홍백가합전이 2007년부터 3년간 '노래의 힘'을 콘셉트로 연출하며 기획된 시청자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2009년에는 시청자 공모를 통해 히사이시 조가 작곡한 곡이 만들어져 다운로드 싱글로 발매, 이후 홍백가합전 오프닝과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 합창곡 - 운명의 노래 (브람스)
요하네스 브람스가 횔덜린의 시에 곡을 붙여 1871년에 완성한 《운명의 노래》는 인간의 운명과 삶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담은 그의 대표적인 합창 작품으로,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적 특징을 보여준다.
| 슬랍샤 | |
|---|---|
| 개요 | |
| 제목 | 슬랍샤 |
| 원어 제목 | Славься |
| 로마자 표기 | Slav'sya |
| 종류 | 애국가 및 행진곡 |
| 국가 | 러시아 및 소비에트 연방 |
| 제작 정보 | |
| 작사가 | 바실리 주콥스키 예고르 로젠 |
| 작사 날짜 | 1836년 |
| 작곡가 | 미하일 글린카 |
| 작곡 날짜 | 1836년 |
2. 원곡 (러시아 제국 버전)
이 곡은 미하일 글린카의 오페라 '황제에게 바친 목숨(1836)'의 마지막 합창곡이다. '''관련 동영상''' '''Glinka. Life for the Tzar. Finale. М.И. Глинка. Финал ("Славься") из оперы "Жизнь за Царя"''' 
2. 1. 가사
| 러시아어 | 한글독음 | 번역 |
|---|---|---|
'''관련 동영상''' '''Glinka. Life for the Tzar. Finale. М.И. Глинка. Финал ("Славься") из оперы "Жизнь за Царя"'''
2. 2. 특징
Славься|슬랍샤ru는 차르 체제에 대한 찬양과 충성을 주된 내용으로 하며, 러시아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한다.[6] 노래 가사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러시아어 | 한글 독음 | 번역 |
|---|---|---|
| 찬양받으라, 우리의 루스 황제여 찬양받으라! | 슬랍샤, 슬랍샤 나쉬 루쓰끼 차르! | 찬양받으라, 우리의 루스 황제여 찬양받으라!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부른 단축 버전 공연 가사가 존재한다.[5] 이 외에도 다양한 버전의 가사가 있으며, 주로 러시아 조국에 대한 찬양과 영웅적인 면모를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3. 편곡 버전 (소련 및 현대 러시아)
3. 1. 가사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부른 단축 버전의 공연 가사는 다음과 같다.[5]
| 원문(러시아어) | 로마자 표기 | 한국어 번역 |
|---|---|---|
다른 버전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 원문 (러시아어) | 음역 | 한국어 번역 |
|---|---|---|
| 러시아어 원문 | 로마자 표기 | 한국어 번역 |
|---|---|---|
3. 2. 특징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부른 단축 버전 공연 가사이다.[5]4. 다른 노래에서의 사용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1812년 서곡과 올레크 가즈마노프의 ''앞으로 - 러시아!''에서 슬랍샤의 멜로디를 차용했다.
4. 1. 1812년 서곡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1812년 서곡''에는 러시아 제국의 국가인 ''신이여, 차르를 지켜 주소서!''가 샘플링되어 있다. 그러나 소련 시대에는 이 부분이 ''슬랍샤''의 샘플로 대체되었다.[1] 소련의 해체 이후에는 제정 시대 국가의 샘플이 복원되었다.[1]4. 2. 기타
올레크 가즈마노프는 2015년에 싱글 '앞으로 - 러시아!'를 발표하면서 슬랍샤의 첫 소절을 샘플링했다.[1]5. 한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 슬랍샤와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수 있는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
참조
[1]
웹사이트
Военная музыка
http://voenoboz.ru/i[...]
[2]
웹사이트
Славься, славься ты Русь моя
http://a-pesni.org/p[...]
[3]
웹사이트
Текст песни Хор Знамение СТАРОВЕР – Славься, славься, ты Русь моя – М. Глинка, Е. Розен
http://teksti-peseno[...]
[4]
웹사이트
- YouTube
https://www.youtube.[...]
[5]
웹사이트
Текст песни М.И. Глинка – Хор "Славься" из оперы "Иван Сусанин"
https://alllyr.ru/ly[...]
[6]
문서
이반 수사닌(Ivan Susanin)을 일컫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