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놉티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놉티콘은 소수가 다수를 감시하는 파놉티콘의 반대 개념으로, 다수가 소수를 감시하는 '역(逆) 파놉티콘'을 의미한다. 제레미 벤담의 파놉티콘은 감옥 시스템으로 시작되었으나, 미셸 푸코는 이를 권력의 감시와 통제 메커니즘으로 비판했다. 시놉티콘은 20세기 이후 언론, 의회, 시민운동 등을 통해 권력 감시 기능을 수행하며, 정치, 경제 분야에서 나타난다. 시민운동은 정치권의 부패, 권력 남용, 대기업, 언론 등을 감시하며, 경제 분야에서는 기업의 불투명한 경영, 불공정 거래 등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시놉티콘은 정보 공개를 통해 권력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감시 체계를 통해 권력의 균형을 이루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2. 역사

파놉티콘의 유래는 죄수를 감시하기 위한 벤담의 일망 감시 시스템이다. 한 명의 간수가 수백 명의 죄수를 감시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18세기 말엽, 영국의 공리주의 철학자인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이 고안을 해낸 감시 시스템이다. 파놉티콘이라는 원형 감옥을 제안했다. 가운데에 원형 빈 공간을 만들고, 바깥쪽의 둥그런 건물에는 죄수를 가두는 방을 만들어서 간수 한 명이서 수백 명의 죄수를 감시할 수 있도록 고안을 하였다. 간수들은 죄수를 감시하고 있지만, 죄수들의 방안은 늘 햇빛과 전등으로 밝게 하여 일거수 일투족이 간수에게 시시각각 포착이 되었다. 하지만 간수들의 공간은 항상 어둡게 유지가 되어서, 죄수들의 시각으로 간수들의 움직임을 볼 수 없게 되어 있었다. 이런한 감옥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됐던 파놉티콘이라는 감시 시스템망이 미셀 푸코(Michel Foucault)의 베스트 셀러 '감시와 처벌'에 의해서 파놉티콘의 폐해가 드러나 있다. 바로 군중과 정치자들에 대한 시각으로 바라 보았을 때의 모습이 바로 파놉티콘과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다. 이런한 이유로 파놉티콘이라는 감시망이 인문학자의 범주를 넘어서 지식인 일반과 대중에게까지 큰 영향력을 미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시놉티콘은 파놉티콘의 반대인 '역파놉티콘'이라 할 수 있다. 항상 소수에 의해 감시되는 다수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정치와 경제면에서 많이 이용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역감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는 의회와 언론을 생각할 수 있다. 의회는 초반에는 역감시의 기능을 소화 해놨지만, 현재는 의회의 기능이 비대해지면서 스스로가 권력화하는 현상이 많이 일어났다. 따라서 현재 시민운동이 현대의 시놉티콘의 예라고 할 수 있다. 시민 운동이 정치권의 부패, 권력의 남용, 선거, 대기업, 언론에 대한 감시를 유지해 오고 있다.

2. 1. 파놉티콘

제레미 벤담이 고안한 파놉티콘은 소수의 감시자가 다수의 피감시자를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감옥 시스템이다. 벤담은 가운데에 원형 공간을 만들고 바깥쪽 건물에 죄수의 방을 만들어, 간수 한 명이 수백 명의 죄수를 감시할 수 있는 원형 감옥을 제안했다. 간수 공간은 어둡게 유지되어 죄수들은 간수의 움직임을 볼 수 없었지만, 죄수들의 방은 항상 밝아 간수에게 일거수일투족이 포착되었다.

미셸 푸코는 저서 '감시와 처벌'에서 파놉티콘이 근대 사회의 권력 작동 방식과 유사하다고 지적하며, 권력의 감시와 통제 메커니즘을 비판했다. 이러한 이유로 파놉티콘은 지식인과 대중에게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2. 2. 시놉티콘의 등장

시놉티콘은 파놉티콘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역(逆) 파놉티콘'이라고도 불린다. 18세기 말엽 제레미 벤담이 고안한 파놉티콘은 소수의 감시자가 다수의 죄수를 효과적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이었으나, 미셀 푸코는 저서 '감시와 처벌'에서 이것이 권력 감시 체계로 작동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20세기 이후 언론의회의 발달은 권력 감시 기능을 수행했지만, 동시에 권력화되는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에 따라 시민운동이 현대 시놉티콘의 예시로 등장하여 정치권의 부패, 권력 남용, 선거, 대기업, 언론에 대한 감시를 지속하고 있다.

2. 3. 시민 운동의 역할

3. 현대 사회의 시놉티콘

3. 1. 정치 분야

근대에 접어들면서 왕의 정치를 감시하고 통제하기 위해 의회언론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엔 왕의 정치를 감시하고 왕의 권력을 통제하였지만, 20세기에 들어 언론과 의회 모두 정치적으로 권력을 잡게 된 후 변질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또 하나의 시놉티콘 시스템을 이용한 방침이 생겼는데 그것을 바로 시민운동이라고 한다. 대한민국 또한 세계 흐름에 맞추어 정치권의 부패, 권력 남용, 선거, 대기업, 언론에 대한 감시를 시민운동의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시민운동의 필수 불가결한 것은 바로 권력 단체에 대한 정보 공개이다. 현재 법률은 국민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행정의 투명함을 보기 위해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시민운동은 또한 신문, TV, 라디오와 같은 언론 매체에서도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미래엔 정치 분야에서 시놉티콘으로 활동하는 감시망이 더 많이 생길 것이라고 전망된다.

3. 2. 경제 분야

최근 들어 경제 분야에서도 파놉티콘으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했다. 강자를 더 강하게 하고 약자를 한없이 약하게 만드는 무한정한 세계화에 반대하는 북미의 시민들은 운동단체를 만들어 제3세계 네트워크와 연계하였다. 이러한 국제적인 단체의 활동으로 정부의 힘은 무력화되기까지 하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직접투자장벽을 제거하기 위해 추진하던 다자간투자협정(MAI)이 비밀리에 추진되었지만, 캐나다의 한 단체에 의해 세상에 알려져 많은 단체가 저항하게 되었다. 이처럼 경제 분야에서도 시놉티콘이라는 역파놉티콘의 예를 볼 수 있을 정도로 현재 시놉티콘의 힘은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미래에도 경제 분야에서 시민들의 운동을 통해 감시 체계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의 불투명한 경영, 불공정 거래, 노동 착취 등을 감시하는 것은 경제 민주주의 실현에 필수적이다. 소비자 운동, 노동조합 활동, 국제 연대 등은 경제 영역에서 시놉티콘을 실현하는 다양한 방식이다. 한국의 경우, 재벌 개혁 요구, 노동권 강화 운동 등은 경제 권력 감시의 중요한 사례로 볼 수 있다.

3. 3. 사회문화적 의의

4. 시놉티콘과 민주주의

4. 1. 정보 과잉과 역기능

4. 2. 권력의 분산과 책임 소재

5. 결론 및 전망

참조

[1] 서적 Syntopicon Booklet Draft Special Collectio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2] 서적 The romance of commerce and culture: Capitalism, modernism, and the Chicago-Aspen crusade for refor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3] 논문 The Philosophy of General Education and Its Contradictions: the Influence of Hutchins 2001
[4] 서적 Syntopicon Booklet Draft Special Collectio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5] 간행물 Letter to J. Loy Maloney Special Collectio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1950-04-11
[6] 간행물 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 Encyclopædia Britannica. Presentation Dinner. Waldorf Astoria, New York City 1952-04-15
[7] 서적 Untitled Letter Special Collectio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8] 간행물 Letter to C. Scott Fletcher Encyclopædia Britannica Inter Office Correspondence. Special Collectio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1950-04-12
[9] 서적 Syntopicon I Preface Encyclopædia Britannica 1952
[10] 서적 Syntopicon Booklet Draft Special Collectio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11] 간행물 There are Only 102 Great Ideas Look 1948-01
[12] 서적 Syntopicon I Encyclopædia Britannica 1952
[13] 문서 that which deals with the quality of sets of words that are opposite
[14] 문서 that which deals with what is "relative" to another object
[15] 뉴스 Advertisement TIME Magazine 1950-04-20
[16] 간행물 Letter to Bruce Barton Special Collectio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1950-04-22
[17] 간행물 There are Only 102 Great Ideas Look 1948-01
[18] 뉴스 The 102 Great Ideas: Scholars Complete a Monumental Catalog 1948-01-26
[19] 서평 The Great Ideas of the Western World 1952-09-14
[20] 서적 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 Encyclopedia Britannica 195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