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회는 고대 부족 사회의 원로 회의에서 기원하여, 현대 민주주의 국가의 핵심적인 입법 기관으로 발전했다. 의회는 국민의 대표로 구성되어 법률 제정, 정부 감시 및 예산 심의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의 정치 체제에 따라 그 권한과 역할에 차이가 있다. 의회는 일반적으로 단원제 또는 양원제로 구성되며, 의원내각제, 대통령제, 준대통령제 등 다양한 정치 체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의 국회는 1948년 제헌 국회부터 시작되어 대한민국 헌법 제정 및 정부 수립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민주화 운동을 거치며 권한과 위상이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입법부 - 면책특권
면책특권은 의회 의원의 자유로운 의정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 발언 및 표결에 대한 면책과 체포·구금으로부터의 면책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역사적으로 왕권 또는 독재 정권의 탄압으로부터 의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왔고, 현대에는 의회의 독립성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지만, 특권 남용 논란으로 인해 각국은 면책특권 제도를 다르게 운영하며 개선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 입법부 - 상원
상원은 양원제 국가에서 하원과 함께 입법부를 구성하는 의회로서, 권한, 선출 방식, 의원 수, 임기 등에서 하원과 차이를 보이며 행정부 견제, 조약 비준, 고위 공직자 임명 동의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웨스트민스터 체제 - 불신임 결의
불신임 결의는 의회 시스템에서 정부의 신임을 철회하는 절차로,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중요한 정치적 수단이며, 각국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발의, 통과 요건 및 투표 방식 등이 다양하게 규정된다. - 웨스트민스터 체제 - 야당
야당은 의회 내에서 정부를 구성하지 않은 정당을 의미하며,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를 통해 권력 균형을 유지하고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 - 정부형태 - 군주제
군주제는 한 명의 군주가 국가 원수로서 통치하는 정치 체제로, 세습이나 선거를 통해 즉위하며 다양한 형태로 역사적으로 존재해 왔고, 현대에는 일부 국가에서 전통으로서 유지되고 있다. - 정부형태 - 연방제
연방제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권력을 분담하는 정치 체제이며, 지역 이익과 국가 이익의 조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이익 조정 등 복잡한 과제를 수반하며, 단일 국가, 연합, 제국 등 다른 국가 형태와 구별된다.
의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정부의 입법 기관 |
기능 | 법률 제정 및 정책 결정 |
위치 | 의회 건물 |
역사 | 의회의 기원은 고대 사회의 회의 및 의사 결정 과정에서 유래함 |
의회 구성 | |
구조 | 단원제 양원제 다원제 |
상원 | (일부 국가) 원로원 |
하원 | (일부 국가) |
의회 운영 | |
형태 | 의회 |
대표자 | 국회의원 |
절차 | 위원회에서 발의, 정족수 충족, 불신임 등 |
권한 | |
입법 | 법률 제정 |
행정 감시 | 행정부 견제 |
예산 심의 | 국가 예산 승인 |
정부 구성 | 정부 구성에 대한 권한 |
종류 | |
국가 기관 | 국회 지방의회 |
역사적 기관 | 삼부회 귀족원 |
국제 기관 | 유럽의회 |
추가 정보 | |
영향 | 국가의 정치, 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 |
관련 학문 | 정치학, 행정학 |
관련 용어 | 의원내각제 교섭단체 원내총무 |
2. 역사
"parliament"라는 영어 단어는 앵글로노르망어에서 유래되었으며 14세기에 처음 등장했다. 이 단어는 11세기 고대 프랑스어 단어 parlement|토론, 담화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parler|말하다프랑스어에서 파생되었다.[7] 시간이 지나면서 의미가 변화하여, 처음에는 다양한 종류의 심의 또는 사법 기관을 통한 토론, 대화, 협상을 가리켰지만, 15세기 영국에서는 입법부를 의미하게 되었다.[8]
의회 제도의 기원은 고대 사회의 부족주의에서 찾을 수 있다.[9]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고대 인도에서도 의회와 유사한 형태의 협의체가 존재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를 과두정치로 간주한다.[12][13][14][15][16] 이슬람의 슈라 제도가 의회와 유사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슈라 제도와 의회 제도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는 반론도 존재한다.[20][21][22][23]
아이슬란드에서는 930년에 정주 지역별 "싱"(민회)이 통합된 "알싱"이라 불리는 "의회"가 창설되었다. 이것은 매우 민주적인 것으로, 의회주의 민주주의에 기반한 근대 의회 정치에서 세계 최고(最古)의 것으로 여겨지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각국의 의회 명칭에는 각각의 역사와 경위가 포함되어 있다.[63] 다음은 주요 명칭의 영어 표기, 주요 채택국, 어원이다.
명칭 | 주요 채택국 | 어원 |
---|---|---|
Parliament | 영국과 영국 연방 국가들 | parlement프랑스어 (대화하다, 대화 장소). 신분제 의회 시대를 포함하여, 영국 의회의 「토론」에서 유래. |
Congress | 미국 의회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 | congressusla (참가하다・참집하다). 1774년 식민지 대표자에 의한 대륙 의회(Continental Congress영어)에서 유래. |
Diet | 독일 연방의회, 스웨덴 의회, 일본 국회 등 | diesla (day영어, tagde, 날). 황제 등에 의해 정해진 날짜에 개최되었기 때문. 신성 로마 제국 제국 의회에서 유래. 일본의 메이지 헌법은 프로이센의 입헌주의를 참고. |
National Assembly | 프랑스와 구 프랑스 식민지 국가들의 국민 의회, 대한민국 국회 등 |
국가 이외에도 많은 국제 기구・연방 국가・주・지방 자치 단체 등에도 다양한 명칭으로 의회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국회는 제헌 국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정치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1948년 제헌 국회는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하고 정부 수립의 기반을 마련했다. 유신헌법 시기에는 국회의 권한이 축소되기도 했지만, 민주화 운동을 통해 국회의 권한과 위상이 회복되었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함께 국회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과거사 청산에 노력했다. 2000년대 이후 국회는 다양한 개혁 입법을 통해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2. 1. 고대
고대 아테네는 민주주의의 요람이었다.[17] 아테네 의회(ἐκκλησίαgrc, ''ekklesia'')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었으며, 모든 자유로운 남성 시민이 토론에 참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노예와 여성은 참여할 수 없었다. 아테네 민주주의는 대의제가 아니라 직접 민주주의였으므로 ''ekklesia''는 의회 제도와 달랐다.고대 그리스에서는 “폴리스”라고 불린 많은 도시 국가가 존재했고, 정치 체제는 각 폴리스마다 달랐다. 이러한 폴리스 중에는 시민에 의한 민주주의 정치를 행하던 곳도 적지 않았으며, 직접 민주주의 또는 간접 민주주의의 의회 정치가 실현되었다.
대표적인 도시 국가 아테네에서는 시민이 모두 참여하는 “민회”와 시민에 의해 선출된 평의원으로 구성되는 “오백인 위원회”가 존재했다. 그러나 적대적인 군사 도시 국가 스파르타와의 전쟁 등으로 인해 정치가 불안정해지고, 궤변가라고 불리는 소피스트 등의 출현으로 부패 정치가 횡행했기 때문에, 스파르타에 패배한 후에는 삼십인 정권으로 이행하게 된다.
로마 공화국에는 입법 의회가 있었는데, 이들은 관리 선출, 새로운 법령 제정, 사형 집행, 전쟁과 평화 선포, 동맹 체결(또는 해체)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졌다.[18] 로마 원로원은 재정, 행정 및 외교 정책의 세부 사항을 관리했다.[19]
고대 로마에서는 의회에 해당하는 것으로 원로원과 민회를 들 수 있다. 왕정 타도 후 공화정 로마에서는 행정은 정무관이 담당했지만, 이러한 정무관은 로마 시민으로 구성된 민회를 통해 선출되었다. 원래 왕에게 조언하는 기관이었다고 여겨지는 원로원은 정무관 경험자로 구성되었으며, 법안 심의와 정무관 후보 선출 등을 통해 국가 방침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고대 로마에서는 최종적인 입법권과 정무관 선출권은 민회가 독점했지만, 원로원은 가족장의 집합에서 출발했다는 전통을 배경으로 한 압도적인 권위를 이용하여 민회의 동향을 사실상 좌우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정무관직은 귀족(파트리키)에게만 허용되었고, 원로원은 귀족에 의해 독점되었다. 신분 투쟁의 결과, 정무관직이 평민(플레브스)에게도 개방되면서 유력자라면 평민도 원로원에 의석을 가지게 되었고, 기존 귀족에 유력 평민을 더한 신귀족(노빌레스)이라는 유력자 계층이 형성되었다. 이 신귀족은 원로원 의원을 세습으로 독점하게 되었고, 전통을 중시하여 로마의 정치를 자신들 중심으로 운영하려 했다(벌족파). 한편, 노빌레스 중에서도 벌족파에 속하지 않고, 잠재적으로는 힘을 계속 유지하고 있던 민회와 일반 평민의 힘을 이용하여 자신의 세력 확대와 정치 과제의 달성을 시도하는 자들도 나타나게 되었다(평민파). 유력한 평민파 정치가가 주도한 민회는 때때로 원로원의 의향에 반하는 행동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원로원과 민회의 체제는 현재의 상원·하원 개념의 기초가 되었으며, 미국 의회 등은 명칭이나 기능 등 제도 설계에서 고대 로마를 참고하고 있다.
원로원과 민회는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로마의 정치 체제가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이행된 후에도 존속했지만, “제정”이라는 하나의 인격에 모든 권위와 권한이 집중되는 정치 체제에서는 점차 형해화되어 갔다.
근대 의회는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의 시민총회 또는 평의회·원로원과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둘 다 근대 의회와는 역사적으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정치 체제에 통합되는 방식도 다르므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2. 2. 중세
중세 유럽에서는 신분제 의회가 등장하여 성직자, 귀족, 평민 등 각 신분별 대표들이 모여 회의를 진행했다.영국에는 오랫동안 국왕을 보좌하고 중요한 문제에 대해 자문하는 인물들의 집단이 존재해 왔다. 앵글로색슨 시대 국왕들 치하에는 위테나게모트라는 자문회의가 있었다. 이 이름은 "현명한 사람들의 모임"을 뜻하는 고대 영어 ƿitena ȝemōt 또는 witena gemōt에서 유래했다.[24] 위테나게모트는 민회(지방 의회)와 함께 현대 영국 의회의 중요한 기원으로 여겨진다.[25]
노르망디 정복 이후, 윌리엄 1세는 위테나게모트를 폐지하고 왕실 법정(Curia Regis)으로 대체했다. 왕실 법정의 구성원은 주로 국왕으로부터 직접 대토지를 "임차"한 소수의 귀족인 수장 봉신들과 성직자들로 제한되었다. 윌리엄 1세는 노르망디의 봉건 제도를 영국에 도입했고, 법을 제정하기 전에 왕실 법정의 자문을 구했다. 이것이 의회, 상급 법원, 추밀원과 내각의 기원이 되는 최초의 기관이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왕좌가 따를 수밖에 없는 어느 정도의 권력을 가진 의회의 출현을, 늦어도 에드워드 1세 치세 이후로 보고 있다.[26] 1295년의 회의는 모범 의회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이는 하원의 추가, 즉 시골 지주와 도시민의 선출된 대표자들의 포함이 이전의 왕실 법정과 중요한 차이점이었다. 1307년 에드워드 1세는 의회를 통한 "왕국의 동의" 없이는 특정 세금을 징수하지 않겠다고 동의했다.
1215년, 대영주들은 잉글랜드의 존 왕으로부터 ''대헌장''을 얻어냈다. 이는 국왕이 의회의 동의 없이 세금을 부과하거나 징수할 수 없다는 것을 확립했다.

헨리 3세 왕(13세기) 통치 기간 동안, 잉글랜드 의회에는 여러 카운티와 도시에서 선출된 대표자들이 포함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의회들은 현대 의회의 선구자로 여겨진다.[27]
1265년, 사이먼 드 몽포르는 왕실의 허가 없이 의회를 소집했다. 1295년, 에드워드 1세는 모범 의회에서 몽포르의 대표 및 선거에 대한 생각을 채택했다. 처음에는 각 삼부회가 독립적으로 토론했지만, 에드워드 3세 치세까지 의회는 현대적인 형태에 가까워졌고, 입법부는 두 개의 별도의원으로 구성되었다.
2. 3. 근대
근대 의회 정치는 영국, 미국, 프랑스 등에서 확립되어 다른 여러 나라로 확산되었다.[63]영국 의회는 국왕이 장악하는 행정부에 과세 승인권을 무기로 대항하여 행정의 자의를 제한하려 했다. 국왕과의 대립이 결정적이 되자, 1649년 청교도 혁명이 일어나 국왕을 처형했고, 1688년 명예혁명으로 국왕을 축출했다. 명예혁명 이후 의회는 계속해서 국왕의 행정권을 인정했지만, 점차 권한을 확대하여 18세기 중반에 의원내각제를 실현하여 행정부에 대한 우위를 확립했다.[63]
프랑스의 삼부회(三部會)는 절대왕정 시대 이후로 소집되지 않았다. 1789년 국왕이 삼부회를 소집하자, 삼부회의 제3신분(평민) 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다수파가 제도 개혁을 요구하며 프랑스 혁명이 시작되었다. 혁명파는 사회계약설을 근거로 국민주권을 선포하고, 궁극적으로는 국민주권의 유일한 담당자로 의회를 위치짓게 되어, 남성 보통선거에 의한 의회 제도의 헌법(1793년 헌법)을 제정했으나 시행되지는 못했다.[63]
미국에서는 영국 국왕의 특허장으로 성립된 각 식민지가 각각 의회를 가지고 있었지만, 13개 주로 뭉쳐 1776년 독립선언을 한 대륙회의가 명칭의 기원이 되어, 1789년 현재까지 이어지는 미국 의회가 시작되었다. 초창기부터 선거 제도 하의 하원을 가지고(상원은 각 주 정부의 임명), 국왕이 지배한 행정부에 대한 혐오감과 중과세를 부과한 영국 의회에 대한 반발에서, 신중하게 의회와 행정부의 권한을 결합한 대통령제를 도입하여 성공적인 의회 운영이 되었다.[63]
2. 4. 한국
대한민국의 국회한국어는 제헌 국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정치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1948년 제헌 국회는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하고 정부 수립의 기반을 마련했다. 유신헌법 시기에는 국회의 권한이 축소되기도 했지만, 민주화 운동을 통해 국회의 권한과 위상이 회복되었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함께 국회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과거사 청산에 노력했다. 2000년대 이후 국회는 다양한 개혁 입법을 통해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3. 의회의 구성 및 종류
의회는 군주와의 관계에서 내전과 명예혁명을 거치며 권력이 상당히 증가했고, 이는 국가에 전례 없는 안정성을 가져다주었다. 안정성이 커지면서 의회는 더 효과적인 관리, 조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의회는 법령을 인쇄하고 더 일관성 있는 의회 절차를 고안했다.
의회의 부상은 왕조의 복잡성이 잉글랜드 내전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했다는 점에서 중요했다. 왕위 계승자가 없더라도 의회는 국가를 운영할 수 있었고, 의사 결정 기관으로서의 정당성은 헨리 8세와 같은 왕의 권한과 변덕의 중요성을 낮추었다. 예를 들어, 헨리 8세는 단순히 선포만으로 최고 권력을 확립할 수 없었고, 의회가 법령을 집행하고 중죄와 반역죄를 추가하도록 요구해야 했다. 의회의 중요한 자유 중 하나는 언론의 자유였다. 헨리 8세는 의회 내에서 어떤 발언이든 공개적으로 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연설자는 체포될 수 없었다. 의회는 이 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헨리 8세 시대의 의회는 군주의 욕망에 거의 반대하지 않았으며, 에드워드 치하의 입법부와 마찬가지로 왕의 대부분의 결정에 기꺼이 따랐다.
이러한 순응은 영국인들이 권위를 어떻게 인식하고 전통적으로 이해했는지에서 비롯되었다. 윌리엄스는 "왕과 의회는 별개의 기관이 아니라, 군주가 고위 파트너이고 귀족과 하원이 하위 구성원이지만 여전히 필수적인 단일 기관이었다"고 설명했다.[28]
16세기 중반, 잉글랜드 의회는 정부에서 역할이 크게 확대되었지만, 17세기에 들어서 가장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왕실과 의회 사이의 일련의 갈등은 1649년 찰스 1세의 처형으로 이어졌다. 잠시 동안 잉글랜드는 연방이 되었고, 올리버 크롬웰이 보호자라는 칭호로 사실상 통치했다. 크롬웰은 의회의 결정에 좌절하여 여러 차례 의회를 숙청하고 정지시키기도 했다.
아일랜드에서의 행동으로 논란이 많은 인물이지만, 크롬웰은 잉글랜드 민주주의 발전에 필수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29] 연방 시대와 1660년 왕정 복고, 그리고 그 이후의 1688년 명예혁명은 의회를 왕권과는 별개의 기관으로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3. 1. 구성
대부분의 의회는 국민의 선거를 통해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직능 대표제를 통해 이익 단체의 대표를 의회에 참여시키기도 한다.3. 2. 종류
의회 제도에는 하나의 의원만을 두는 단원제와 독립된 두 개의 의원을 두는 양원제가 있다.양원제는 중세 유럽의 신분제 의회에서 각 신분별로 모이던 제도의 유습이다. 이를 더 세분하여 “이원제”와 “양원제”로 나누기도 한다. 각 의원은 여러 가지로 불리지만, 일반적으로 국민을 평등하게 대표하는 것을 “하원”이라 부르고, 신분, 직능, 지역 등에 기반한 특별한 대표 방식을 채택하는 것을 “상원”이라 부른다.[28]
4. 의회의 권한 및 역할
"팅"(고대 노르드어: þing; 다른 현대 스칸디나비아어: 팅(ting), 네덜란드어: ding)은 게르만 사회의 통치 기구로, 지역 자유민들로 구성되었으며 법률 해석자가 주재하였다. 팅은 국가, 주 또는 백(hundare/härad/herred) 자유민들의 집회였다. 팅에서는 분쟁을 해결하고 정치적 결정을 내렸으며, 공공 종교 의식과 상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이기도 했다.
팅은 정기적으로 소집되어 법률을 제정하고, 족장과 왕을 선출하고, "법률 해석자"(판사)가 암기하고 낭독한 법에 따라 재판을 하였다.
아이슬란드, 페로 제도, 맨섬 의회는 바이킹의 확장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노르웨이의 소국가와 덴마크에서 시작되었으며, 정복된 영토에서 바이킹의 통치 체제를 복제한 것이다.
- 아이슬란드 알싱(Althing)(930년 창설).[30]
- 페로 제도 뢰팅(Løgting)(비슷한 시기에 창설).[31]
- 맨섬 틴월드(Tynwald)(1,000년 이상의 역사를 주장).[32][33][34]
후에 스웨덴과 핀란드(1809년까지 스웨덴의 일부였음)에서 각기 다른 신분을 가진 의원들이 있는 국회가 발전하였는데, 각각 귀족을 위한 기사원이 있었다. 두 국가 모두에서 국회는 현재 리크스다그(핀란드어로는 ''eduskunta'')라고 불리는데, 이 단어는 중세부터 사용되었으며 독일어 단어 라이히스타그와 동의어이다.
오늘날 이 용어는 북게르만 국가의 국회와 다른 기관의 공식 명칭에 사용된다. 바이킹의 침략과 정착을 받았던 영국의 요크셔(Yorkshire)와 이전 데인로(Danelaw) 지역에서는 웨이펜테이크(wapentake)가 같은 기관의 또 다른 이름이었다.
4. 1. 권한 분립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권력분립의 원칙에 따라 "의회"와 "정부"의 역할이 분담된다.[56] 많은 경우 "의회"는 "입법부", "정부"는 "행정부"로 여겨지며, 기본적으로 의회는 "입법"을, 정부는 "행정"을 담당한다.[56]4. 2. 의회의 역할
의회는 법치국가의 근간인 법률을 제정하는 권한(입법)을 갖는 기관이자 국가의 최고 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 경우가 많다.의회는 예산 승인권을 비롯하여 정부를 감시·감독(행정)하기 위한 다양한 권한을 갖는다. 국정 전반에 대해 질문하기 위해 증인을 소환하고 자료를 제출하게 하는 국정감사권은 의회의 중요한 권능이다. 또한 의회가 제정하는 법률은 본래적인 상위 법이며, 정부가 정하는 정령 등은 보완적·종속적이다.
의회는 판사의 임명 또는 재임에 어떤 식으로든 관여(사법)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국회가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탄핵재판소와 탄핵소추위원회를 설치한다.[56]
5. 의회와 정치 체제
갈루스 아노니무스(Gallus Anonymus)의 연대기에 따르면, 피아스트 왕조를 창시한 전설적인 최초의 폴란드 통치자 지에모비트는 고대 비체(wiec) 의회에 의해 선출되었다. 비체(wiec)의 개념은 1180년경 폴란드 의회인 세임(Sejm)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세임(sejm)이라는 용어는 인민의 집회를 의미하는 옛 폴란드어 표현에서 유래했다. 초기 세임의 권력은 개별 통치자의 권력이 약해지고 여러 의회의 권력이 강해진 1146년부터 1295년 사이에 성장했다. 14세기부터 폴란드 국왕들은 불규칙적인 세임을 소집했으며, 1374년부터 국왕은 세금을 거두기 위해 이 의회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 1454년 니에샤바 법령은 슈략타(귀족)에게 전례 없는 양보와 권한을 부여했다. 1493년 요한 1세 알브레흐트가 피오트르쿠프 트리부날스키 근처에서 처음 소집한 총회 세임(sejm generalny 또는 sejm walny)은 이전의 지역 및 지방 회의인 세이믹에서 발전했다. 동시에, 폴란드 상원은 국왕의 재량에 따라 소집된 초기 쿠리아 레기스를 기반으로 설립되었다. 따라서 1493년은 양원제 입법 기관의 시작을 알리는 해이다. 그 후 몇십 년 동안 폴란드의 황금 자유가 발전하면서 세임의 권력은 체계적으로 증가했다. 폴란드는 의회가 국가 정체성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 유럽의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였으며, 국가 통합에 기여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반 의회는 폴란드 국왕, 상원, 그리고 사절원으로 구성되었다. 1573년 소집 세임은 연방에서 선거 군주제를 확립했다. 현대적인 의회 정부 개념은 대영제국(1707~1800)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스웨덴에서 1718년 카를 12세의 죽음으로 시작하여 1772년 구스타프 3세의 쿠데타로 끝나는 반세기 동안의 의회 정부 시대는 자유의 시대로 알려져 있다. 이 기간 동안 시민권이 확대되었고 권력이 군주에서 의회로 이동했다. 선거권이 보편화되지는 않았지만, 과세 농민들은 의회에 대표되었지만 영향력은 거의 없었고 과세 재산이 없는 평민들은 선거권이 전혀 없었다.
많은 의회는 의정부의 일부이며, 정부에 대한 헌법적 책임을 진다.[56] 의회는 일반적으로 양원제 또는 단원제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의회 민주주의 국가에서 ‘의회’는 국민(国民)에 의한 선거(選挙)를 통해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의회’는 국민의 대표(国民の代表)인 의원들로 구성됨으로써 모든 국민이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의회’는 ‘의회 자치권’(議院自律権)을 가지며, 의장과 사무국 선출, 의원 자격 소송, 징계, 회의 운영 등에 대해 ‘의회’ 스스로 결정하고, 외부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일부 국가의 의회에서는 직능 단체(職能団体) 등의 이익 단체(利益団体)가 직접 단체 대표를 의회에 파견하고 있다. 이는 직능 대표제(職能代表制)라고 불리는 제도이다.
5. 1. 의회 중심 정치 체제
의회정치에서는 의회가 직접 정부를 지배하며, 입법부와 행정부를 겸하는 제도이다. 스위스 등이 이러한 정치 체제를 채택하고 있다.5. 2. 의원내각제
영국 의회는 의원내각제의 모델이 되었으며, 많은 국가들이 영국의 "3단계" 모델인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을 모방해왔다.[52] 의원내각제에서는 의회가 정부 수반을 선출하고, 의회의 신임을 바탕으로 정부가 구성된다.[56] 총리는 일반적으로 하원의 다수당 대표이지만, "의회의 신뢰"가 유지되는 동안에만 그 직책을 유지한다. 하원 의원들이 어떤 이유로든 지도자에 대한 신뢰를 잃으면, 불신임 투표를 통해 총리를 사퇴시킬 수 있다.의원내각제의 예로는 일본, 영국, 독일 등이 있다.
5. 3. 대통령제
대통령제에서는 정부 수반인 대통령이 의회와 별도로 선출되며, 의회는 대통령을 직접 해임할 수 없다.[56] 의회와 행정 기관인 정부는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 이러한 제도를 채택한 대표적인 국가로는 미국, 인도네시아 등이 있다.5. 4. 이원집정부제
프랑스와 같은 일부 국가는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의 중간에 위치하는 준대통령제를 채택하여, 강력한 국가 원수(대통령)와 의회에 책임이 있는 정부 수반(총리)을 결합하고 있다.[56] 러시아도 이와 유사한 체제를 갖추고 있다.6. 의회와 정당
「의회주의」는 크게 「평의회주의」와 「정당제」로 분류되지만, 현재 대부분의 국가는 정당제에 의해 정치가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의회는 「정당」이라는 존재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57]
「정당」은 루소 등 대륙의 철학자나 미국의 건국 아버지들에게는 혐오스러운 존재였지만, 실제로는 의원들 간의 파벌에서 시작되어 점차 각국으로 확산되었다.[58]
선거권의 확대에 따라 정당은 점차 의회 외부에 지지자들을 확보하게 되었고, 반대로 의회 외부 세력에 이용당하기도 했다. 특히 근대 「매스 데모크라시」 상태가 되면서, 정책을 널리 호소하고 선거 시에는 대량의 유권자를 동원하는 시스템으로서 정당의 존재 의의는 더욱 높아졌다. 또한 정당의 선거 공약을 통해 국민은 의견을 통합하게 되었고, 그 때문에 선거 공약을 맹세하고 당선된 평의원에 대해 공인권을 쥐고 있는 정당 지도부의 권위는 강해졌다. 이것이 심해져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정당을 통해 국민이 총리 지명에 관여할 수 있는 상황에 이르렀다.[59]
제2차 세계 대전에 이르는 과정에서, 특히 이탈리아 왕국, 나치 독일에서 일당 독재에 의한 폭주로 「의회」의 기능이 저하되었다는 경험에서, 전후 한때 정당제에 대해 회의적인 생각이 학계에 퍼지기도 했다. 하지만 현실 정치에서는 정당이 행정부를 지배하고, 그 다양한 정치 자원 배분 기능을 지배했기 때문에 더욱 강력해졌다. 「의회」는 결론이 정해진 의안을 심의하고, 시간이 되면 통과시키는 (고무 도장)」이라고 조롱받게 되었다. 또한 행정부에 대해서도 여당 의원의 부당한 개입을 너무 허용하고 있다, 부정부패의 온상이 되고 있다 등의 비판이 강해지기도 했다.[57]
20세기에 이르러 많은 국가에서는 정당을 의회 제도에 공인하고, 각종 보조금을 지급하는 국가까지 등장했다. 하지만 그 국가의 실정에 맞는 정당제는 무엇인가, 「의회」의 심의 기능의 정상적인 운영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더 나아가 행정부의 공정한 운영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등 어느 나라에서도 어려운 모색이 계속되고 있다.[58]
7. 세계 각국의 의회
최초의 의회로 여겨지는 레온 코르테스는 1188년 레온 왕국에서 소집되었다.[41][42][43] 유네스코는 1188년 레온 법령을 유럽 의회 제도의 가장 오래된 문서적 증거로 보며, 알폰소 9세의 코르테스에 "세계 기록유산"이라는 명칭을 부여했고, 레온시를 "의회주의의 요람"으로 인정했다.[44][45]
알폰소 9세는 카스티야 왕국과 포르투갈의 공격에 직면하여 왕실 평의회()를 소집했다. 사유재산권, 주거 불가침권, 국왕에 대한 사법적 항소권, 전쟁 개시 전 국왕의 코르테스 자문 의무 등을 다루었다.[47]
이후 카탈루냐 공국(1192년), 카스티야 왕국(1250년), 아라곤 왕국(1274년), 발렌시아 왕국(1283년), 나바라 왕국(1300년) 등에서 새로운 코르테스가 등장했다.
카스티야 왕관 아래 레온 왕국과 카스티야 왕국이 통합된 후, 1258년에 코르테스도 통합되었다. 새로운 세금 부과에는 코르테스의 동의가 필요했고, 국왕에게 자문할 수 있었다. 공동체 반란은 코르테스의 역할 강화를 시도했지만, 1521년 합스부르크 황제 카를 5세 군대에 패배했다. 코르테스는 어느 정도 권력을 유지했지만, 자문 기구로서의 성격이 강해졌다.
아라곤 왕관 왕국의 코르테스는 국왕의 재정 지출 통제 권한을 유지했다. 그러나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부르봉 왕가의 필리프 5세가 승리하면서 코르테스는 억압되었다 (아라곤과 발렌시아는 1707년, 카탈루냐와 발레아레스 제도는 1714년).
1812년 카디스에서 스페인 전역(그리고 당시의 스페인 제국)을 대표하는 최초의 코르테스가 소집되었는데, 당시 스페인 대부분이 나폴레옹 군대에 점령되어 망명 정부로서 기능했다.
세계 각국의 의회는 다음과 같다.
- 유럽 의회
- 오스트리아 국회 (국회의원회의와 연방평의회로 구성)
- 벨기에 연방 의회 (대표원과 상원으로 구성)
- 불가리아 국민의회
- 크로아티아 국회
- 대표원 (키프로스)
- 체코 공화국 의회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
- 덴마크 국회 (덴마크)
- 리이기코구 (에스토니아)
- 핀란드 의회 (에두스쿤타)
- 프랑스 의회 (국민의회와 상원으로 구성)
- 독일 연방의회와 연방참사원 (독일)
- 그리스 의회 (그리스)
- 국회 (헝가리)
- 아일랜드 의회 (아일랜드) (아일랜드 대통령, 다일 에이린(하원)과 셰너드 에이린(상원)으로 구성)
- 이탈리아 의회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
- 사이마 (라트비아)
- 세이마스 (리투아니아)
- 대의원회 (룩셈부르크)
- 하원 (몰타)
- 네덜란드 총회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
- 스토팅 (노르웨이)
- 폴란드 공화국 국회 (세임과 상원으로 구성)
- 공화국 의회 (포르투갈)
- 루마니아 의회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
- 국회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의회 (국회와 국민평의회로 구성)
- 코르테스 헤네랄레스 (스페인)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
- 리크스다그 (스웨덴)
- 알바니아 의회
- 안도라 총의회
-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국왕, 하원, 상원으로 구성)
- *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의 연방 정부는 양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6개 주 중 퀸즐랜드를 제외한 모든 주는 양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다. 퀸즐랜드는 단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다.
- 바하마 의회
- 자티야 상사드 (방글라데시)
- 바베이도스 의회
- 캐나다 의회 (국왕, 상원, 하원으로 구성)
- * 캐나다 연방 정부는 양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으며, 캐나다 10개 주는 각각 단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다.
-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 로그팅 (페로 제도)
- 피지 의회
- 가나 의회
- 건지의 토의회
- 알싱 (아이슬란드 의회) - 가장 오래된 의회
- 인도 의회 (로크 사바와 라자야 사바로 구성)
- 인도네시아의 인민협의회 (인민대표평의회와 지역대표평의회로 구성)
- 이라크 대표평의회
- 이스라엘의 크네셋
- 일본 국회 (중의원과 참의원으로 구성)
- 저지의 주 의회
- 카자흐스탄 의회 (마질리스와 상원으로 구성)
- 레바논 의회
- 맨섬의 의회인 틴월드
- 말레이시아 의회
- 몰도바 의회
- 몬테네그로 의회
- 모로코 의회
- 나우루 의회
- 네팔 의회 (최근 개편됨)
- 뉴질랜드 의회 (국왕과 하원으로 구성)
-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의회
- 파키스탄의 마즐리스에슈라
- 세르비아 국민의회
- 싱가포르 의회
-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
- 대한민국 국회
- 스리랑카 의회
- 타이완의 입법원
- 태국 국민의회
- 티베트 중앙행정부 의회
- 트리니다드 토바고 의회
- 터키 대국민의회
- 우크라이나의 베르호브나 라다
- 짐바브웨 의회
7. 1. 명칭
각국의 의회는 그 나라의 역사와 정치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63]명칭 | 사용 국가 | 어원 |
---|---|---|
Parliament | 영국과 영국 연방 국가들 | parlement프랑스어 (대화하다, 대화 장소). 신분제 의회 시대 영국 의회의 토론에서 유래. |
Congress | 미국 의회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 | congressusla (참가하다・참집하다). 1774년 식민지 대표자들에 의한 대륙 회의(Continental Congress영어)에서 유래. |
Diet | 독일 연방의회, 스웨덴 의회, 일본 국회 등 | diesla (day영어, tagde, 날). 황제 등에 의해 정해진 날짜에 개최되었기 때문이며, 신성 로마 제국 제국 의회에서 유래. 일본의 메이지 헌법은 프로이센의 입헌주의를 참고. |
National Assembly | 프랑스와 구 프랑스 식민지 국가들의 국민 의회, 대한민국 국회 등 |
'의회'의 어원은 11세기 parlement프랑스어이며, ''parler''는 '대화'를 의미한다.[61] 그 의미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여, 초기에는 군주에 의해 소집된 자문 기관(신분제 의회)이었으나, 영국에서는 14세기 중반에는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의 대표자 회의'를 의미하게 되었다.[62] 의회에 의한 민주주의는 의회주의 민주주의(대의 민주주의)라고 불리며, 간접 민주주의의 일종이다. 또한, 의회를 중시하는 사상이나 제도는 의회주의라고도 불린다.
다음 영어 단어들도 '의회'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다.
- Legislature: 입법부, 의회
- Assembly: 집회, 회의, 의회
7. 2. 목록
세계 각국의 의회 목록은 국가별 입법부 목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각국의 의회 목록이다.- 유럽 의회
- 오스트리아 국회 (국회의원회의와 연방평의회로 구성)
- 벨기에 연방 의회 (대표원과 상원으로 구성)
- 불가리아 국민의회
- 크로아티아 국회
- 대표원 (키프로스)
- 체코 공화국 의회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
- 덴마크 국회 (덴마크)
- 리이기코구 (에스토니아)
- 핀란드 의회 (에두스쿤타)
- 프랑스 의회 (국민의회와 상원으로 구성)
- 독일 연방의회와 연방참사원 (독일)
- 그리스 의회 (그리스)
- 국회 (헝가리)
- 아일랜드 의회 (아일랜드) (아일랜드 대통령, 다일 에이린(하원)과 셰너드 에이린(상원)으로 구성)
- 이탈리아 의회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
- 사이마 (라트비아)
- 세이마스 (리투아니아)
- 대의원회 (룩셈부르크)
- 하원 (몰타)
- 네덜란드 총회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
- 스토팅 (노르웨이)
- 폴란드 공화국 국회 (세임과 상원으로 구성)
- 공화국 의회 (포르투갈)
- 루마니아 의회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
- 국회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의회 (국회와 국민평의회로 구성)
- 코르테스 헤네랄레스 (스페인)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
- 리크스다그 (스웨덴)
- 알바니아 의회
- 안도라 총의회
-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국왕, 하원, 상원으로 구성)
- *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의 연방 정부는 양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6개 주 중 퀸즐랜드를 제외한 모든 주는 양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다. 퀸즐랜드는 단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다.
- 바하마 의회
- 자티야 상사드 (방글라데시)
- 바베이도스 의회
- 캐나다 의회 (국왕, 상원, 하원으로 구성)
- * 캐나다 연방 정부는 양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으며, 캐나다 10개 주는 각각 단원제 의회를 가지고 있다.
-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 로그팅 (페로 제도)
- 피지 의회
- 가나 의회
- 건지의 토의회
- 알싱 (아이슬란드 의회) - 가장 오래된 의회
- 인도 의회 (로크 사바와 라자야 사바로 구성)
- 인도네시아의 인민협의회 (인민대표평의회와 지역대표평의회로 구성)
- 이라크 대표평의회
- 이스라엘의 크네셋
- 일본 국회 (중의원과 참의원으로 구성)
- 저지의 주 의회
- 카자흐스탄 의회 (마질리스와 상원으로 구성)
- 레바논 의회
- 맨섬의 의회인 틴월드
- 말레이시아 의회
- 몰도바 의회
- 몬테네그로 의회
- 모로코 의회
- 나우루 의회
- 네팔 의회 (최근 개편됨)
- 뉴질랜드 의회 (국왕과 하원으로 구성)
-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의회
- 파키스탄의 마즐리스에슈라
- 세르비아 국민의회
- 싱가포르 의회
-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
- 대한민국 국회
- 스리랑카 의회
- 타이완의 입법원
- 태국 국민의회
- 티베트 중앙행정부 의회
- 트리니다드 토바고 의회
- 터키 대국민의회
- 우크라이나의 베르호브나 라다
- 짐바브웨 의회
각국의 의회 명칭에는 각각의 역사와 경위가 포함되어 있다.[63] 다음은 주요 명칭, 영어 표기, 주요 채택국, 어원이다.
명칭 | 영어 표기 | 주요 채택국 | 어원 |
---|---|---|---|
Parliament | Parliament | 영국과 영국 연방 국가들 | parlement|대화하다프랑스어, 대화 장소. 신분제 의회 시대를 포함하여, 영국 의회의 「토론」에서 유래. |
Congress | Congress | 미국 의회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 | congressus|참가하다, 참집하다la. 1774년 식민지 대표자에 의한 대륙 의회(Continental Congress|대륙 회의영어)에서 유래. |
Diet | Diet | 독일 연방의회, 스웨덴 의회, 일본 국회 등 | dies|dayla, tag|날de. 황제 등에 의해 정해진 날짜에 개최되었기 때문. 신성 로마 제국 제국 의회에서 유래. 일본의 메이지 헌법은 프로이센의 입헌주의를 참고. |
National Assembly | National Assembly | 프랑스와 구 프랑스 식민지 국가들의 국민 의회, 대한민국 국회 등 |
국가 이외에도 많은 국제 기구, 연방 국가, 주, 지방 자치 단체 등에도 다양한 명칭으로 의회가 존재한다.
8. 한국의 국회
대한민국의 국회는 입법, 예산 심의, 행정부 견제 등의 권한을 행사하는 국가 기관이다.
국회는 법률 제정 및 개정, 국가 예산안 심의·확정, 외국과의 조약 체결 동의, 국정 감사 및 조사, 고위 공직자 탄핵 소추 등의 권한을 갖는다.[30] 또한 국무총리,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감사원장 등의 임명 동의권과 국무위원 해임 건의, 대통령 탄핵 소추를 통해 행정부를 견제한다.[31] 이러한 권한은 아이슬란드의 알싱(Althing) 등에서 유래했다.[32][33][34]
국회 내에서 원내 교섭 단체를 구성하여 정당들이 활동하며, 다수당은 국회 운영 주도권을 갖고 정부 정책 추진에 영향을 미친다. 야당은 정부와 여당을 견제하고 비판한다.
8. 1. 개요
이 문서의 내용은 잉글랜드 의회, 영국 의회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주어진 요약 및 제목 "의회"의 "개요" 섹션에 부합하는 내용은 극히 적습니다. 따라서 원본 소스에서 "의회"의 일반적인 개요에 해당하는 부분을 찾기 어렵습니다.제공된 요약과 원본 소스를 바탕으로, "의회"의 "개요" 섹션에 적합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영국 의회는 ''의회의 어머니''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영국 의회가 다른 대부분의 의회 시스템의 모델이었고, 그 법률이 다른 많은 의회를 만들었기 때문이다.[52] 의회가 있는 많은 국가들이 어느 정도 영국의 "3단계" 모델인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을 모방해왔다.[53][54]
8. 2. 역사
튜더 시대 영국의 의회는 헨리 8세 치세 동안 그 목적과 구조에 있어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초기 의회의 방식은 주로 중세적이었으며, 군주는 여전히 의회 결정에 대해 부인할 수 없는 지배력을 행사했다. 엘턴(Elton)에 따르면, 헨리 8세의 수상이었던 에식스 백작 토마스 크롬웰이 의회 내 다른 변화들을 시작했다.[1]종교 최고 수장법은 군주를 영국 국교회의 수장으로 확립했다.[1]
스웨덴에서 1718년 카를 12세의 죽음으로 시작하여 1772년 구스타프 3세의 쿠데타로 끝나는 반세기 동안의 의회 정부 시대는 자유의 시대로 알려져 있다. 이 기간 동안 시민권이 확대되었고 권력이 군주에서 의회로 이동했다.[1]
선거권이 보편화되지는 않았지만, 과세 농민들은 의회에 대표되었지만 영향력은 거의 없었고 과세 재산이 없는 평민들은 선거권이 전혀 없었다.[1]
8. 3. 구성
1997년 4월 2일에 채택된 폴란드 공화국 헌법은 폴란드에 "합리화된" 의회-내각제를 도입했다.[1] 이 헌법은 권력 분립 원칙을 채택하여 입법부와 행정부 간의 균형을 확보했다.[1]폴란드 의회는 양원제를 채택하여 하원(Sejm)과 상원(Senate)으로 구성된다.[1] 두 의회는 모두 상호 독립적인 자율적인 기관이며, 각자의 권한을 가지고 있다.[1] 하원과 상원은 합동으로 국민의회(National Assembly)를 구성한다.[1]
8. 4. 권한과 역할
국회는 법률을 만들고 고치며, 국가 예산안을 심사하고 확정한다. 또한, 외국과의 조약 체결에 대한 동의, 국가 행정에 대한 감사 및 조사, 고위 공직자에 대한 탄핵 소추 등의 권한을 갖는다.[30] 국회는 국무총리,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감사원장 등의 임명에 동의할 권한을 가지며, 국무위원 해임을 건의하거나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소추하여 행정부를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31] 이러한 권한들은 아이슬란드의 알싱(Althing)과 같이 세계의 오래된 의회들의 권한과 역할에서 유래되었다.[32][33][34]8. 5. 정당과의 관계
대한민국의 정당들은 국회 내에서 원내 교섭 단체를 구성하여 활동한다. 다수당은 국회 운영의 주도권을 가지며, 정부 정책 추진에 영향을 미친다. 야당은 정부와 여당을 견제하고 비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8. 6. 최근 동향








참조
[1]
서적
Parliament Toda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5
[2]
서적
The Shaping of Western Civilization: From Antiquity To the Enlightenment
[3]
서적
Judicial Review: A Comparative Analysis Inside the European Legal System
[4]
서적
Studies in Medieval Legal Thought: Public Law And the State, 1100–1322
[5]
웹사이트
Ayuntamiento de León – León, cradle of parliamentarism
http://www.aytoleon.[...]
2018-02-22
[6]
뉴스
La Unesco reconoce a León Como Cuna Mundial del parlamentarismo
http://www.elmundo.e[...]
2018-02-22
[7]
웹사이트
Parliament
http://www.etymonlin[...]
[8]
서적
s.v.
http://www.oed.com/v[...]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5
[9]
웹사이트
Political System
https://www.britanni[...]
[10]
논문
Primitive Democracy in Ancient Mesopotamia
1943-07
[11]
서적
The First Democracies: Early Popular Government Outside Athens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1997
[12]
논문
Early Mesopotamian Constitutional Development
1967-07
[13]
논문
Demokratia
1973-01
[14]
서적
The Class Struggle in the Ancient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6
[15]
서적
A complex study of Ancient India
South Asia Books
1986
[16]
서적
Aspects of Political Ideas and Institutions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1968
[17]
서적
John Dunn:''Democracy: A History'', p.24
https://books.google[...]
Atlantic Monthly Press
2005
[18]
서적
A History and Description of Roman Political Institutions
Elibron Classics
1901
[19]
간행물
The Senate of the Roman Republi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5
[20]
웹사이트
The Shura Principle in Islam – by Sadek Sulaiman
http://www.alhewar.c[...]
[21]
서적
The System of Islam, (Nidham ul Islam)
http://www.hizb-ut-t[...]
Al-Khilafa Publications
2002
[22]
서적
The System of Islam
http://www.hizb-ut-t[...]
[23]
웹사이트
Shura and Democracy
http://www.ijtihad.o[...]
[24]
서적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Anglo-Saxon Period
Halle
1913
[25]
웹사이트
Anglo-Saxon origins
http://www.parliamen[...]
[26]
서적
War Justice and Public Order: England and France in the Later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27]
웹사이트
Birth of the English Parliament: The first Parliaments
http://www.parliamen[...]
Parliament.uk
2010-05-13
[28]
서적
Learning to Read and Write in Colonial Americ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02
[29]
뉴스
Was Oliver Cromwell the father of British democracy?
http://www.bbc.co.uk[...]
BBC
2015-11-05
[30]
웹사이트
Viking-age Laws and Legal Procedures
http://www.hurstwic.[...]
[31]
웹사이트
The Faroese Parliament
http://www.logting.f[...]
Løgting
[32]
웹사이트
About
http://www.tynwald.o[...]
Tynwald
2011-11-14
[33]
뉴스
Isle of Man Marks Millennium with Pomp, Circumstance
https://www.washingt[...]
1979-07-06
[34]
서적
The Isle of Man: celebrating a sense of place
Liverpool University Press
1990
[35]
웹사이트
Storia del Parlamento – Il Parlamento
http://sites.google.[...]
2014-03-24
[36]
서적
Mazara dopo i Musulmani fino alle Signorie – Dal Vescovado all'Inquisizione
Angelo Mazzotta Editore
[37]
서적
The Hungarian state: thousand years in Europe
[38]
서적
The Magna Carta of the English And of the Hungarian Constitution
[39]
서적
The political evolution of the Hungarian nation: (Volume I.)
[40]
웹사이트
The Historic Origins of the National Assembly in Hungary
http://www.historiac[...]
2015-11-22
[41]
서적
The Shaping of Western Civilization: From Antiquity To the Enlightenment
[42]
서적
Judicial Review: A Comparative Analysis Inside the European Legal System
[43]
서적
Studies in Medieval Legal Thought: Public Law And the State, 1100–1322
[44]
웹사이트
Ayuntamiento de León – León, cradle of parliamentarism
http://www.aytoleon.[...]
2018-02-22
[45]
뉴스
La Unesco reconoce a León Como Cuna Mundial del parlamentarismo
http://www.elmundo.e[...]
2018-02-22
[46]
웹사이트
International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Nomination form] – The Decreta of León of 1188 – The oldest documentary manifest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ary system
http://www.unesco.or[...]
2016-05-21
[47]
웹사이트
The Leones parliament of 1188: The first parliament of the western world (The Magna Carta of Alfonso IX)
http://www.interun.r[...]
2016-05-21
[48]
서적
The Comuneros of Castile: The Forging of a Revolution, 1475–1521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49]
간행물
Viche in Kievan Rus: issues of competence (9th – middle of the 12th century)
[50]
논문
The right of citizens to assemble peacefully, unarmed, to hold rallies and demonstrations: historical origins and genesis of formation
[51]
논문
Ukrainian volunteer fighters in the eastern front: ideas, political-social norms and emotions as mobilization mechanisms
[52]
서적
Reforming parliamentary democracy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53]
서적
Constitutionalism and political reconstruction
Brill
[54]
웹사이트
How the Westminster Parliamentary System was exported around the World
http://www.cam.ac.uk[...]
University of Cambridge
2013-12-16
[55]
논문
The House of Lords and the British political tradition
https://etheses.bham[...]
University of Birmingham
[56]
웹사이트
La crescente procedimentalizzazione dell’atto parlamentare di indirizzo politico
https://www.question[...]
Questione giustizia
2021-10-07
[57]
웹사이트
10% Share of women in parliament
https://ourworldinda[...]
2020-02-15
[58]
웹사이트
20% Share of women in parliament
https://ourworldinda[...]
2020-02-15
[59]
웹사이트
30% Share of women in parliament
https://ourworldinda[...]
2020-02-15
[60]
백과사전
議会 -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https://kotobank.jp/[...]
[61]
웹사이트
Parliament
http://www.etymonlin[...]
[62]
사전
s.v.
http://www.oed.com/v[...]
Oxford English Dictionary
[63]
논문
Parliament, Congress, Dietを中心とする呼称についての諸問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