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가이 하지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가이 하지메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관료로, 전라남도 및 함경남도 지사를 역임했으며, 해방 후에는 일본으로 귀국하여 가정 법원 조정 위원 등을 지냈다. 그는 1956년부터 1963년까지 오이타현 부지사를, 1969년에는 텔레비전 오이타 초대 사장을 역임했다. 조선총독부 관료로서 일제 식민 통치에 협력한 행적으로 인해 친일반민족행위자라는 비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전라남도지사 - 장헌식
    장헌식은 대한제국 관료와 조선총독부 사무관, 중추원 참의 등을 역임하며 친일 행위를 했고, 청주상업고등학교 교장을 지냈으며, 해방 후 공금횡령 혐의로 처벌받았으며,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전라남도지사 - 석진형
    석진형은 일제강점기에 법조인, 기업인, 조선총독부 관료로 활동하며 식민 통치에 협력한 인물로, 친일반민족행위 관련 명단에 수록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함경남도지사 - 이규완
    이규완은 조선 말기 개화파로 갑신정변에 가담하고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고등관을 지냈으며, 갑신정변 실패 후 일본 망명, 갑오경장 이후 관직 복귀, 친일 행적, 만년의 농업 및 자선 사업, 해방 후 이승만 지지 활동을 했으나, 친일인명사전에 선정된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함경남도지사 - 기시 유이치
    일본의 관료이자 교육자인 기시 유이치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경상남도 내무부장과 함경남도 지사를 지냈으며, 해방 후에는 덴리대학 학장과 이사장을 역임했다.
  • 오이타현 출신 - 우메즈 요시지로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인 우메즈 요시지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 참모총장과 관동군 총사령관을 역임했으며, A급 전범으로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오이타현 출신 - 시게미쓰 마모루
    시게미쓰 마모루는 일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외무대신을 역임했으며, 전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복귀하여 부총리 겸 외무대신으로서 일본의 국제 사회 복귀에 기여한 인물이다.
신가이 하지메
기본 정보
이름신가이 하지메
출생1887년 1월
사망1962년 10월 22일
출생지일본 야마구치현
묘소도쿄도 다마시
경력
직업일본의 관료
소속조선총독부
주요 경력조선총독부 경성부 사무관
조선총독부 평안북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함경남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황해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전라남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강원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충청북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경상북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이사관
조선총독부 경상남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전라북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함경남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평안남도 내무부 지방과장
조선총독부 황해도 내무부 지방과장
최종 직위조선총독부 이사관
학력
출신 학교도쿄 제국대학 법학부 졸업
가족
배우자신가이 다마키 (新貝環)
자녀아들 3명, 딸 4명

2. 일제강점기 경력

1920년 고등 시험 행정과에 합격하고, 이듬해 도쿄 제국 대학 법학부 정치과를 졸업했다. 체신성에 들어갔으나, 1922년 조선총독부로 전임했다.[4] 1943년 퇴관 후 조선 유표탄 주식회사 사장에 취임했다.[3]

2. 1. 조선총독부 관료

1922년 조선총독부로 전임하여 조선총독부 체신국 서기, 체신부 사무관, 체신이원양성소장을 역임했다.[4] 체신국 서무과장, 경리과장을 거쳐 황해도 경찰부장, 강원도 내무부장, 경무국 경무과장, 총독관방 인사과장을 역임했다. 1937년 전라남도 지사에 취임하여, 함경남도 지사를 거쳐 체신국장 겸 고등해원심판소장을 역임했다. 1942년부터 사정국장 겸 중추원 서기관장을 역임하다 1943년에 퇴관했다.[4]

시오미 에츠의 조선총독부 관료 경력은 일제의 식민 통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한 것으로, 친일반민족행위라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전라남도, 함경남도 지사 재임 기간 동안 일제의 전시 동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행했다는 비판이 있다.

3. 해방 이후 경력

1945년 광복 이후, 신가이 하지메는 일본으로 귀국하여 도쿄에서 가정 법원 조정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3]

3. 1. 오이타현 부지사 및 기업인

1956년 6월부터 1963년 1월까지 기노시타 이쿠 오이타현 지사 밑에서 오이타현 부지사를 역임했다.[3] 1969년 텔레비전 오이타의 초대 사장에 취임했으며,[3] 조선유표탄 주식회사 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3]

4. 비판 및 논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비판 및 논란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大分県歴史人物事典 1897-00-00 # Meiji 30 is 1897. The exact day is unknown.
[2] 서적 「現代物故者事典」総索引 : 昭和元年~平成23年 1 (政治・経済・社会篇) 日外アソシエーツ株式会社 2012-00-00 # The exact day is unknown.
[3] 서적 大分県歴史人物事典
[4] 서적 日本官僚制総合事典1868-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