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시간 웹은 웹에서 정보가 즉시 생성되고 공유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2009년 말부터 2010년 초 사이에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등의 서비스를 통해 급속히 발전했다. 실시간 검색과 추적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새로운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추적할 수 있으며, 소셜 미디어의 발전은 이러한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실시간 웹은 실시간 컴퓨팅과는 다르게 응답 시간을 예측할 수 없으며, 개인 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시간 웹 - X (소셜 네트워크)
트위터는 140자 이내의 짧은 글(트윗)로 실시간 소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되어 빠른 정보 확산과 실시간 대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가짜 뉴스 유포 등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 실시간 웹 - 구글 버즈
구글 버즈는 구글이 출시한 소셜 네트워킹 및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로 Gmail과 통합되어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려 했으나, 개인 정보 보호 문제로 비판받고 2011년에 종료되어 사용자 데이터는 구글 드라이브로 이전되었다.
실시간 웹 | |
---|---|
실시간 웹 | |
정의 | 이벤트나 정보가 게시되는 즉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웹 |
유형 | 인스턴트 메시징 주식 시세 스포츠 경기 결과 소셜 네트워크 업데이트 |
기술 | |
주요 기술 | WebSocket 서버 푸시 롱 폴링 Comet |
기타 기술 | Ajax HTTP 스트리밍 |
특징 | |
특징 | 지연 시간 감소 사용자 경험 향상 서버 자원 효율성 증가 |
응용 분야 | |
응용 분야 | 소셜 미디어 온라인 게임 금융 거래 시스템 IoT (사물 인터넷) |
2. 역사
실시간 웹의 초기 구현 사례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운영된 WIMS (Web Interactive Management System, 웹 인터랙티브 관리 시스템)이다. 이는 True-RealTime Web (WEB-r)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WIMS++ (서버는 Java로 구축) (서버 측) 및 Adobe Flash (구 Macromedia Flash) (클라이언트 측)로 제작되었다. 진정한 실시간 웹 모델은 2000년 이탈리아의 독립 연구원에 의해 mc2labs.net에서 탄생했다.
2009년 12월, 구글은 구글 검색에 실시간 검색 기능을 추가했다.[1] 2010년 2월에는 트위터와 유사한 구글 버즈를 출시하여 실시간 웹 서비스 경쟁에 참여했다.[2][3]
2. 1. 소셜 미디어와 실시간 웹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실시간 웹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사용자들은 이 플랫폼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한다.[1] 소셜 미디어의 발전은 실시간 검색 기술의 발전을 촉진했으며, 사용자들은 온라인 활동을 즉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2][3]3. 실시간 검색과 추적
실시간 웹에서 눈에 띄는 사용자 행동은 실시간 웹 검색과 추적이다. 실시간 검색은 어떤 흥미 있는 주제에 대한 실시간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간 웹 기술과 이 기술을 이용한 많은 서비스들이 발달하게 됨에 따라 많은 새로운 정보의 흐름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정보의 흐름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 실시간 검색 기술이며, 이는 인터넷에서 어떤 정보가 발생하면 그 즉시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는 개념이다.[4]
기존의 검색 엔진은 웹을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인덱스를 형성하는 소프트웨어 로봇(웹 크롤러)이 주기적으로 결과를 누적하여 이를 빠르게 검색하는 방식이었지만, 실시간 웹 검색 기술은 새로운 검색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실시간 웹의 예로는 소셜 네트워킹, 검색, 뉴스 사이트에서 구현된 페이스북의 뉴스피드와 트위터 등이 있다. 이점으로는 사용자 참여 증가("플로우") 및 서버 부하 감소가 있다고 한다. 2009년 12월, 실시간 검색 기능이 구글 검색에 추가되었다.[1]
실시간 웹 기술과 관행으로 생성되는 정보의 급격한 속도와 방대한 양 때문에 관련 정보를 찾는 것이 문제가 된다. 실시간 검색은 온라인에서 정보가 생성되는 즉시 검색하고 찾는 개념이다. 웹 검색 기술의 발전과 소셜 미디어의 사용 증가로 온라인 활동이 발생하는 즉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웹 검색은 웹 크롤러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웹 페이지를 색인화하고, 검색 쿼리와의 관련성을 기반으로 결과를 반환한다. 구글 실시간 검색은 2011년 7월까지 구글 검색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3. 1. 실시간 추적
실시간 추적은 사용자가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 설정을 해두고, 앞으로 만들어질 정보에 대한 추적을 실시간으로 하는 것이다.[4] 예를 들어, 특정 고속도로의 교통 상황이나 날씨 정보가 있다. 만약 눈이 오거나 비가 오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검색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면, 사용자는 이에 따라 우산을 준비할 수 있다.4. 실시간 컴퓨팅과의 차이점
실시간 웹은 응답을 언제 받을 수 있는지, 또는 받을 수 있을지 여부를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실시간 컴퓨팅과 다르다.[1]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되는 정보는 짧은 메시지, 상태 업데이트, 뉴스 알림 또는 더 긴 문서에 대한 링크 등이 있다.[1] 콘텐츠는 "소프트"한데, 이는 딱딱한 뉴스나 사실과 달리 소셜 웹—사람들의 의견, 태도, 생각 및 관심사—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1]
5. 문제점
2007년 페이스북 비콘 문제, 2010년 구글 버즈 출시 당시 논란과 같이,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이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개인 정보를 유출하거나 침해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1]
5. 1. 대한민국에서의 논의
대한민국에서는 실시간 웹의 확산과 함께 개인 정보 보호 및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2007년 페이스북 비콘 문제, 2010년 구글 버즈 출시 당시 논란과 같이, 실시간 정보 공유 시스템이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개인 정보를 유출하거나 침해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1]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실시간 웹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모두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정부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관련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한다.참조
[1]
웹사이트
Relevance meets the real-time web
http://googleblog.bl[...]
[2]
뉴스
Google、日本語によるリアルタイム検索が可能に
https://internet.wat[...]
INTERNET Watch
2010-02-12
[3]
뉴스
Googleのリアルタイム検索結果にMySpaceのAPI実装完了
https://xtech.nikkei[...]
ITpro
2010-02-18
[4]
웹사이트
유튜브의 실시간 검색과 추적기능
http://www.readwri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