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윤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윤술은 초나라의 장군으로, 초장왕의 후손이며 초나라 영윤 심제량의 아버지이다. 기원전 506년 오나라의 침략 당시 좌사마 겸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나, 부사령관 낭와의 독단적인 행동으로 인해 작전에 실패하고 전사했다. 그는 부패한 관리 비무극을 제거하는 데 기여했으며, '좌전'에는 그의 언행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의 아들 심주량은 엽공으로 봉해졌으며, 심윤술은 심씨와 엽씨의 시조로 여겨진다.

2. 가계

심윤술은 초나라 초장왕의 후손이며 초나라 영윤 심제량의 아버지이다.

3. 생애

기원전 506년, 채나라오나라와 동맹을 맺고 오나라의 합려손무를 총사령관으로 삼아 초나라를 침공하였다. 초 소왕은 심윤술을 좌사마(左司馬) 겸 총사령관으로, 영윤 낭와(자상)를 우사마(右司馬) 겸 부사령관으로 삼아 손무를 막게 했다. 그러나 낭와는 심윤술의 명을 따르지 않고 독단적으로 군사를 움직이다 크게 패했다.[9][10][11] 이후 심윤술은 낭와와 함께 오군을 협공하는 작전을 세웠으나, 낭와의 독단적인 행동으로 인해 실패하고 자신도 전사하였다.

3. 1. 비무극 제거

비무극은 읍완(郤宛중국어)을 함정에 빠뜨렸고, 재상 낭와 (자창이라고도 함)를 속여 그를 죽이게 했다. 심윤술은 군대의 최고 사령관인 ''사마''의 지위에 오른 후 낭와의 실수를 지적하며 그가 미움을 받던 비무극을 처형하도록 설득했다.[3]

3. 2. 백거 전투

오나라와 동맹을 맺은 채나라가 초나라를 침공하자, 초 소왕은 심윤술을 좌사마(左司馬) 겸 총사령관으로, 영윤 낭와(자상)를 우사마(右司馬) 겸 부사령관으로 삼아 손무가 이끄는 오나라 군을 막게 했다. 그러나 낭와는 심윤술의 명을 따르지 않고 독단적으로 군사를 움직이다 크게 패했다.[9][10][11]

기원전 5세기 중국 국가 지도


기원전 506년, 초나라 초 소왕 치세 동안, 오나라 오왕 합려는 손자가 지휘하는 군대를 이끌고 초나라를 침략했다. 오나라 군대는 회수를 따라 항해한 후 배에서 내려 한강 동쪽 강둑으로 진군했다. 이에 낭와와 심윤술은 초나라 군대를 이끌고 한강 서쪽 강둑으로 갔다.[4][5]

심윤술은 낭와와 함께 다음과 같은 작전을 세웠다. 낭와는 한강을 따라 주력군과 함께 방어하고, 심윤술은 초나라 북부 변경의 방성으로 가서 그곳 군대를 이끌고 회수에 남겨진 오나라 함선을 파괴한 뒤, 오나라 군대의 귀환로에 있는 세 관문을 차단한다. 그 후 낭와가 한강을 건너면 두 군대가 동시에 오나라 군대를 공격한다. 낭와는 이 계획에 동의했고 심윤술은 방성으로 떠났다.[4]

그러나 심윤술이 떠난 후, 사관 시황(史皇|사황중국어)은 낭와에게 초나라 백성들이 낭와를 미워하고 심윤술을 따르며, 심윤술의 계획대로라면 그가 모든 공을 차지할 것이라고 부추겼다. 낭와는 마음을 바꿔 강을 건너 즉시 공격하기로 했다.[4]

두 군대는 현재의 한천시 남동쪽인 소별과 대별산맥 사이에서 세 번의 전투를 벌였고, 오나라가 승리했다. 낭와는 도망치려 했지만 시황이 만류했다. 오나라 군대는 보주 전투에서 초나라 군대를 격파했고, 시황은 전사했으며 낭와는 정나라로 도망쳤다. 오나라 군대는 남은 초나라 군대를 추격하여 다섯 번 더 승리하고 초나라 수도 영을 점령했다.[4][5]

심윤술은 돌아와 용서강(현재 경산현의 사마강)에서 오나라 군대를 격파했지만, 세 번의 전투에서 모두 부상을 입었다. 그는 포로로 잡히기 싫어 장교 오구비에게 자신을 죽이고 머리를 집으로 가져가라고 부탁했다.[4][5]

4. 유산

전쟁 후 조왕은 심윤술의 아들 심주량을 초나라 북쪽 변경에 위치한 예성(현재의 허난성 예현)에 봉토로 봉했다. 기원전 478년, 초 혜왕 재위 기간 동안 심주량은 백공의 반란을 진압하고 왕의 통치를 회복했다. 그는 '예공'(엽공)이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엽씨의 시조가 되었다.[6] 따라서 심윤술은 현재 각각 중국에서 49번째와 42번째로 흔한 중국 성씨 목록인 심씨와 엽씨의 시조로 여겨진다.[7]

오늘날 백거 전투는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장군 중 두 명인 손자와 오자서의 가장 큰 승리로 알려져 있지만, 고대 역사가들은 심윤술을 유능한 장군이자 훌륭한 적수로 묘사했다. 그의 업적, 특히 그의 죽음은 여러 역사 소설에서 극화되었다.[8]

참조

[1] 문서 Note on name: 戍 and 戌 are two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that look and sound very similar. Ancient texts differed on which character to use.
[2] 웹사이트 楚世家 (House of Chu) http://www.guoxue.co[...] 2011-11-08
[3] 웹사이트 慎行 http://ctext.org/lv-[...] 2011-11-08
[4] 웹사이트 BOOK XI. DUKE DING http://www2.iath.vir[...] 2011-11-11
[5] 웹사이트 柏舉之戰 (Battle of Boju) http://www.mod.gov.c[...] China Ministry of Defense 2011-11-08
[6] 웹사이트 葉姓來源及郡望堂號 (Origin of the Ye surname) http://big51.chinata[...] 2011-11-11
[7] 웹사이트 新百家姓 (Top 100 Surnames) http://culture.163.c[...] 2011-11-08
[8] 웹사이트 神驴拉磨 郢都屏障皆失守 http://www.hongxiu.n[...] 2011-11-11
[9] 문서 열국지
[10] 문서 손자병법
[11] 문서 명장
[12] 뉴스 신정근의 동양철학 톺아보기 - 손자 ➐ 이론과 실제 겸비가 손자병법의 핵심 http://news.mk.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