쑹런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쑹런충은 중국 공산당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 1909년 후난성 류양에서 태어났다. 그는 1926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하고, 이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다.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 시기에 활약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윈난성 서기, 중앙 조직부 부장, 제7기계공업부 부장 등을 역임했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덩샤오핑과의 관계 때문에 실각했으나, 마오쩌둥 사망 후 복권되어 중앙고문위원회 부주석을 지냈다. 1989년 톈안먼 광장 시위 진압을 지지했으며, 1992년 은퇴 후 200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허룽 (1896년)
허룽은 중국 공산당의 군사 지도자이자 인민해방군 원수로서, 난창 봉기의 주역이었으며 중국혁명에 기여했고, 의적 활동으로 시작해 농민군을 이끌며 국공합작, 항일전쟁, 국공 내전에서 활약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요직을 지냈으나 문화대혁명 중 사망 후 복권되어 그의 업적은 기념되고 있다. - 중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류화칭
류화칭은 국공 내전 참전 후 해군에서 복무하며 해군 현대화에 기여하고 해군 사령원과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한 중국 군인이자 정치가로, 톈안먼 사건 당시 계엄령 부대를 지휘했으며 정치국 상무위원을 지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류윈산
류윈산은 내몽골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이념 및 선전 분야에서 활동했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언론 통제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7년 은퇴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저우융캉
저우융캉은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역임하며 사법, 정보, 공안 기관을 총괄했지만, 퇴임 후 권력 남용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1909년 출생 - 이병철
대한민국 기업인인 이병철은 삼성그룹의 창업주로, 무역업을 시작으로 제조업, 전자산업, 금융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1909년 출생 - 딘 러스크
딘 러스크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케네디 및 존슨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쿠바 미사일 위기 외교적 해결 지지, 베트남 전쟁 미국 군사 개입 확대 옹호 등의 활동을 했다.
쑹런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쑹윈친 (宋韵琴, Sòng Yùnqín) |
출생 | 1909년 7월 11일 |
사망 | 2005년 1월 8일 (95세) |
출생지 | 류양시, 후난성, 중국 |
사망지 | 베이징, 중국 |
군사 경력 | |
소속 | 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파일:PLA General.svg|10px]] 중국 인민해방군 대장 |
복무 | 중국 |
참전 | 국공 내전 항일 전쟁 한국 전쟁 |
훈장 | [[파일:Order of Bayi 1st Class.svg|25px]] 팔일훈장 (1급) [[파일:Order of Independence and Freedom 1st Class.svg|25px]] 독립자유훈장 (1급) [[파일:Order of Liberation 1st Class.svg|25px]] 해방훈장 (1급)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쑹런충은 1909년 후난성 류양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했다. 1926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과 중국 공산당에 가입한 후, 마오쩌둥을 따라 징강산에 들어가는 등 초기 공산 혁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후 1936년까지 여러 직책을 맡으며 군 경력을 쌓았고, 제1차부터 제5차까지의 반(反) 포위 토벌 작전과 대장정 등 주요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 중일 전쟁 기간에는 덩샤오핑과 함께 팔로군 제129사단에서 활동하며 정치부 부주임 및 정치 위원을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
1909년 후난성 류양에서 태어났다.2. 2. 군 경력
쑹런충은 1926년 6월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했고, 12월에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고향인 후난성류양현의 의용군을 이끌고 마오쩌둥을 따라 징강산에 들어갔다. 1928년 초, 공농 혁명군 제1단 제3영 영부 문서, 영 병사 위원회 주석을 역임했다.이후 쑹런충의 군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직책 |
---|---|
1928년 5월 | 홍 제4군 제32단 제5연 당 대표 |
1930년 | 홍 제12군 제35사 제103단 정치 위원 |
1932년 | 홍 제5군단 제13사 정치 위원 |
1934년 10월 | 군사 위원회 간부단(단장: 천겅) 정치 위원 |
1935년 8월 | 홍군 대학 특과단 정치 위원 |
1935년 9월 | 홍군 산간 지대 간부단 정치 위원 |
1935년 11월 | 홍군 대학 정치 위원, 북로군 정치 위원 |
1935년 말 | 홍군 제28군 정치 위원 |
1936년 봄 | 북로군 겸 제28군 정치 위원 |
1926년 6월, 쑹런충은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했고, 12월에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그는 후난성류양현의 의용군을 이끌고 마오쩌둥을 따라 징강산에 들어갔다. 1928년 초, 공농 혁명군 제1단 제3영 영부 문서와 영 병사 위원회 주석을 역임했고, 그해 5월에는 홍 제4군 제32단 제5연 당 대표를 맡았다. 1930년, 홍 제12군 제35사 제103단 정치 위원, 1932년, 홍 제5군단 제13사 정치 위원을 역임하며 제1차부터 제5차까지의 반(反) 포위 토벌 작전에 참가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쑹런충은 중국 공산당 윈난성 위원회 서기, 중국 공산당 서남국 부서기,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서기장을 역임했다. 또한 제2, 제3, 제7 기계공업부 부장을 맡았으며, 제4, 5기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을 지냈다.
그는 제1차부터 제5차까지의 반(反) 포위 토벌 작전에 참가했다. 대장정에도 참가했다. 동정 및 서정에도 참가했다.
중일 전쟁 기간에는 팔로군 제129사단에 배속되어 정치부 부주임 및 정치 위원을 맡았던 덩샤오핑과 알게 되었다. 제2야전군 계열의 군인으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3.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 시기 활동
1934년 10월, 쑹런충은 군사 위원회 간부단(단장: 천겅) 정치 위원에 임명되어 대장정에 참가했다. 1935년 8월, 홍군 대학 특과단 정치 위원, 9월에는 홍군 산간 지대 간부단 정치 위원을 역임했다. 같은 해 11월, 산시성 북부에 도착하여 홍군 대학 정치 위원에 임명되었고, 북로군이 편성되자 정치 위원이 되었다. 그해 말, 그는 홍군 제28군 정치 위원을 맡았다. 1936년 봄, 북로군 겸 제28군 정치 위원이 되어 동정 및 서정에 참가했다.
중일 전쟁 기간, 쑹런충은 팔로군 제129사단에 배속되어 정치부 부주임 및 정치 위원을 맡았다. 이때 덩샤오핑과 인연을 맺었고, 제2야전군 계열의 군인으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4.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활동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숙청되었다가 마오쩌둥 사망 후 복권되었다. 복권 이후 중앙고문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하며 덩샤오핑의 지시를 받았다. 1989년 톈안먼 광장 시위 당시 학생 운동 진압을 지지한 덩샤오핑의 가장 열렬한 지지자 중 한 명이었다. 쑹런충은 중국 공산당 8원로 중 한 명으로 여겨질 정도로 1980년대 중국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1992년 10월 중앙고문위원회가 폐지된 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4. 1. 초기 활동
쑹런충은 1909년 후난성 류양시에서 태어났다.
중일 전쟁 기간 동안 그는 제129사단의 정치부 부국장을 지냈다. 중국 내전 말기에는 동북 야전군의 부 정치위원이었다.
4. 2. 동북 지역 활동
중국 내전 말기 쑹런충은 동북 야전군의 부 정치위원이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중국 공산당 동북국 제1 서기를 역임했다.
5. 문화 대혁명 시기
덩샤오핑과의 관계로 인해 문화 대혁명 당시 실각했으나, 마오쩌둥 사후 복권되었다. 1977년 10월, 제7기계공업부장(현 중국항천과기집단공사) 및 당조 서기로 복귀하였다.
6. 복권 이후 활동
문화 대혁명으로 실각했던 쑹런충은 마오쩌둥 사후 복권되었다. 1977년 10월, 제7기계공업부장(현 중국항천과기집단공사) 및 당조 서기로 복귀하였고, 1978년 12월에는 중앙조직부장이 되었다. 그는 후야오방의 뒤를 이어 문화 대혁명에서 심사 대상이 된 230만 명 이상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사업을 추진하였다.
1980년 2월, 제11기 5중 전회에서 중앙 서기처 서기로 선출되었고, 1982년 9월, 제12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어 간부 조직 업무를 계속 담당했다.
1985년 6월, 덩샤오핑의 간부 젊은화 구상에 찬성하여 왕전, 덩잉차오와 함께 중앙 정치국 위원, 중앙 위원 등 모든 직무에서 물러날 것을 신청했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 제5차 회의에서 부주임으로 선출되어 정치국 위원과 동등한 지위를 유지했다. 1989년 톈안먼 광장 시위 당시 쑹런충은 학생 운동 진압을 위한 덩샤오핑의 무력 사용 결정을 적극 지지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1980년대 중국 공산당 8원로 중 한 명으로 꼽힐 만큼 영향력 있는 지도자였다. 1992년 중앙고문위원회가 폐지되면서 정계에서 완전히 은퇴했다.
6. 1. 정치 활동
1977년 10월, 쑹런충은 제7기계공업부장(현 중국항천과기집단공사) 및 당조 서기로 복귀하였다. 1978년 12월에는 중앙조직부장이 되었다. 그는 후야오방의 뒤를 이어 문화 대혁명에서 심사 대상이 된 230만 명 이상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사업을 추진하였다.1980년 2월, 제11기 5중 전회에서 중앙 서기처 서기로 선출되었고, 1982년 9월, 제12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어 간부 조직 업무를 계속 담당했다.
1985년 6월, 쑹런충은 덩샤오핑의 간부 젊은화 구상에 찬성하여 왕전, 덩잉차오와 함께 중앙 정치국 위원, 중앙 위원 등 모든 직무에서 물러날 것을 신청했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 제5차 회의에서 부주임으로 선출되어 정치국 위원과 동등한 지위를 유지했다. 1992년 중앙고문위원회 폐지와 함께 정계에서 완전히 은퇴했다.
6. 2. 은퇴
쑹런충은 1985년 6월 덩샤오핑의 간부 젊은화 구상에 찬성하여 왕전, 덩잉차오와 연명으로 중앙 정치국 위원, 중앙 위원 등 모든 직무에서 물러날 것을 신청했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 제5차 회의에서 부주임으로 선출되어 정치국 위원과 동등한 지위를 확보했다. 1992년 10월 중앙고문위원회가 폐지된 후 정계에서 은퇴했다.7. 사망
그는 지병으로 2005년 1월 8일 베이징에서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쑹런충은 자오쯔양보다 먼저 사망했지만, 자오쯔양의 장례식에 자신의 조화와 만가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그의 장례식은 1월 15일에 거행되었다. 후진타오와 장쩌민을 포함한 중국 최고위 관리들이 그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중국 언론은 쑹런충을 "공산당의 뛰어난 당원, 훌륭한 공산주의 전사, 뛰어난 프롤레타리아 혁명가이자 당의 정치 사업의 저명한 지도자"라고 보도했다.
8. 톈안먼 사건에 대한 입장
1989년 톈안먼 광장 시위 당시 쑹런충은 학생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하기로 결정한 덩샤오핑을 가장 열렬히 지지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1980년대 영향력 있는 중국 지도자 중 한 명이었으며 중국 공산당 8원로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9. 가족
딸 쑹빈빈은 문화 대혁명 시기 홍위병의 최고 간부로 활동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