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나콘다 계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나콘다 계획은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북군이 남부 연합을 고립시키고 굴복시키기 위해 제안한 군사 전략이다. 이 계획은 남부 연합의 해안을 봉쇄하고 미시시피 강을 장악하여 남부의 경제를 압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아나콘다 계획은 미시시피 강 장악을 통해 서부 전역의 승리에 기여했으나, 해상 봉쇄의 효과와 중요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존재한다. 봉쇄는 남부 경제에 타격을 주었지만, 봉쇄선을 뚫고 들어오는 선박들로 인해 그 효과가 완전히 발휘되지는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뱀에 대한 비유 - 농부와 독사
    농부와 독사는 이솝 우화로, 얼어붙은 뱀을 불쌍히 여겨 따뜻하게 보살펴준 농부가 뱀에게 물려 죽는 이야기를 통해 배은망덕을 경계하는 교훈을 담고 있으며, "가슴에 뱀을 품다"라는 속담의 기원이 되었다.
  • 1861년 미국 - 1862년 대홍수
    1862년 대홍수는 엘니뇨와 대기천의 영향으로 미국 서부 지역을 강타하여 캘리포니아 센트럴밸리 등 광범위한 지역을 침수시키고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으며, 미래 재해 예방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여 ARkStorm 개발의 계기가 되었다.
  • 1861년 미국 - 조랑말 속달 우편
    조랑말 속달 우편은 1860년 4월부터 1861년 10월까지 미주리주에서 캘리포니아주까지 말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전달한 미국의 속달 우편 서비스로,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이후 동부와의 빠른 통신 수요 증가로 설립되었으며, 혁신적인 시스템과 서부 개척 시대의 상징으로 남아 국립 역사 트레일로 지정되었다.
  • 봉쇄 - 여순항 봉쇄 작전
    러일 전쟁 중 일본 해군이 러시아 해군의 여순 함대를 봉쇄하기 위해 노후 선박을 이용해 여순항 입구를 봉쇄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이 작전은 해상전에서 육상전으로 전환되어 여순 공방전으로 이어졌다.
  • 봉쇄 - 2023년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봉쇄
    2023년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봉쇄는 2023년 10월 하마스 공격에 대응하여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에 대한 전기, 물, 식량, 연료 공급을 전면 차단한 사건이다.
아나콘다 계획
개요
아나콘다 계획 지도
윈필드 스콧의 아나콘다 계획 지도. 남부를 봉쇄하고 미시시피강을 따라 진격하여 남부 연맹을 질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름아나콘다 계획
영문 명칭Anaconda Plan
유형군사 전략
목적남부 연맹 봉쇄 및 제압
제안자윈필드 스콧
시기1861년
장소남부 연맹, 미국
계획 목표
주요 목표남부 연맹 해안 봉쇄
미시시피강 장악
남부 연맹 분할 및 고립
리치먼드 점령
주요 전략
해상 봉쇄남부 연맹의 해안을 봉쇄하여 무역과 보급을 차단
강 통제미시시피강을 따라 남부 연맹을 분할하고 주요 수로를 장악
육상 작전필요에 따라 남부 연맹의 핵심 지역을 공격
초기 반응
언론언론에서 "아나콘다"라는 이름으로 조롱. 소극적인 전략이라고 비판
여론즉각적인 승리를 원하는 여론에 의해 비판받음
실제 실행
봉쇄효과적인 봉쇄로 남부의 경제력 약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과를 발휘
강 전투율리시스 S. 그랜트의 서부 전선에서의 성공적인 작전
미시시피강 장악에 기여
육상 전투초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북군의 전력 우위로 점차 남부를 압박
영향
전쟁 결과남부 연맹의 고립 및 자원 고갈
북군의 최종 승리에 기여
전략적 의의장기적인 전략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
추가 정보
관련 인물에이브러햄 링컨
율리시스 S. 그랜트
윈필드 스콧
같이 보기
관련 항목미국 남북 전쟁
남부 연맹
봉쇄 (군사)

2. 아나콘다 계획의 기원과 발전

아나콘다 계획은 그 기원과 실제 전투 경험을 통해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섬터 요새 포격 사건 일주일 후인 1861년 4월 19일, 사우스캐롤라이나부터 텍사스까지 모든 분리주의 주들의 항구를 봉쇄한다고 발표했고, 이후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가 분리되자 이들의 해안선도 봉쇄 대상에 포함되었다.[3] 이 봉쇄령은 윈필드 스코트의 계획과는 별개로 전쟁이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

초기에 노예 제도를 허용했던 국경 주들(미주리, 켄터키, 메릴랜드, 델라웨어)의 지위는 불분명했다.[4] 이들 주는 친남부 성향이 강했지만, 각 주마다 상황은 달랐다.

조지 B. 매클레런은 윈필드 스코트 장군에게 남부 연합의 수도 리치먼드를 즉시 공격하거나, 켄터키가 연방을 떠날 경우 내슈빌을 점령하는 전략을 제안했다.[5] 그러나 스코트는 매클레런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다. 그는 카나와 강 진격로의 문제점, 서부 버지니아와 켄터키의 친연방 성향, 그리고 국경 주들이 전쟁의 부담을 떠안게 될 것을 우려했다. 대신 스코트는 "오하이오 강과의 합류 지점에서부터 미시시피 강 어귀까지의 항구에 해상 봉쇄를 하여 한 번에 (거의) 모두를 포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6]

스코트는 1861년 5월 3일과 5월 21일 매클레런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계획을 구체화했지만, 노령과 병약함으로 인해 자신의 전략을 강요할 수 없었고, 결국 매클레런에게 육군 참모총장 자리를 넘겨주었다.

2. 1. 계획의 기원

에이브러햄 링컨은 이미 해상 봉쇄령을 선포했다. 전쟁 발발을 알리는 섬터 요새 포격 사건 일주일 후인 1861년 4월 19일, 그는 사우스캐롤라이나부터 텍사스까지 모든 분리주의 주들의 항구를 봉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도 분리되자, 그들의 해안선도 추가되었다.[3]

분리 운동 초기에는 노예 제도를 허용했던 국경 주들인 미주리, 켄터키, 메릴랜드, 델라웨어의 지위가 불분명했다.[4] 델라웨어를 제외한 모든 주는 친남부 성향이 강했다. 미주리는 국가를 뒤흔들고 있는 더 큰 전쟁을 축소해 놓은 듯한 내부 갈등으로 분열되었고, 메릴랜드는 반대파를 감옥에 가두어 연방에 묶어 두었으며, 켄터키는 북부와 남부 모두 주를 내버려 두겠다고 동의하면 어느 쪽도 돕지 않음으로써 중립을 선언하며 평화를 유지하려 했다.

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대통령의 계획을 승인할 의회가 소집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쟁을 위한 병력 모집은 충성스러운 주 정부에 맡겨졌다. 오하이오는 특히 적극적으로 활동하여 초기에 조지 B. 매클레런의 도움을 받았는데, 그는 오하이오 민병대의 지휘관으로 복무했으며 자원군 소장 계급을 받았다. 몇 주 안에 주 민병대가 국가 군대에 편입되면서 인디애나와 일리노이 민병대가 그의 지휘 하에 추가되었다. 이 권력 기반에서 그는 1861년 4월 27일, 전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편지를 윈필드 스코트 장군에게 쓸 수 있다고 느꼈다.[5] 그는 카나와 강을 따라 남부 연합의 수도가 된 리치먼드를 즉시 진격할 것을 제안했다. 또는 켄터키가 연방을 떠날 경우, 그 주를 가로질러 직접 진격하여 내슈빌을 점령한 다음 "상황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스코트가 대통령에게 제출한 매클레런의 편지를 지지한 것은 그가 그것을 고려했지만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첫째, 카나와 강은 수상 운송에 적합하지 않아 리치먼드 진격은 육로로 해야 했고, 따라서 병력, 말, 장비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었다. 더 심각한 것은, 서부 버지니아(웨스트 버지니아는 아직 버지니아에서 분리되지 않았음)는 여전히 친연방 성향이 강했으며, 스코트의 추정에 따르면 주민들의 5/7이 분리주의에 반대했다. 제안된 침략은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을 소외시키고 적과 친구 모두를 전쟁의 참혹함에 노출시킬 것이다. 켄터키에도 같은 주장을 적용할 수 있었다. 아마도 가장 치명적인 것은 제안된 전쟁이 남부 연합을 조각조각으로 복종시킬 것이고, 필연적으로 국경 주들이 대부분의 부담을 지게 될 것이라는 점이었다. "오하이오 강과의 합류 지점에서부터 미시시피 강 어귀까지의 항구에 해상 봉쇄를 하여 한 번에 (거의) 모두를 포위하는 대신에 말이다."[6]

반란 진압을 위한 스코트의 아나콘다 계획의 씨앗은 이 지지에서 드러난다. 이 계획에 대해 더 생각한 후 그는 1861년 5월 3일 매클레런에게 보낸 편지에 자신의 제안을 제출했다. 5월 21일자 두 번째 편지는 그의 최종 계획 개요였다.

스코트는 자신의 전략적 비전을 정부에 강요할 수 없었다. 노령과 병약함으로 인해 그는 연말 전에 은퇴해야 했다. 그는 육군 참모총장으로 매클레런으로 교체되었다.

2. 2. 미시시피 강 통제 작전의 전개

''빅스버그 전투'', 커츠와 앨리슨 작


헨리 할렉 소장은 미시시피 강보다는 테네시 강이 서부 전역의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라고 판단하여, 미시시피 강을 직접 공격하기보다는 우회하는 전략을 택했다.[7][8] 그러나 해군부는 미시시피 강 개방 계획을 추진, 해군 차관 구스타부스 바사 폭스는 1862년 4월 24일 밤 해군 원정을 통해 멕시코 만에서 뉴올리언스 점령을 결정했고, 이후 강을 따라 있는 다른 도시들도 항복할 것이라고 예상했다.[9]

데이비드 글래스고 파라것 제독은 뉴올리언스 점령 임무를 맡아 요새를 통과하여 도시를 점령하고 1862년 4월 24일 밤 항복을 받아냈다.[10] 이후 함대를 이끌고 강을 거슬러 올라가 배턴 루지와 내치즈의 항복을 얻었으나, 미시시피 주 빅스버그에서 난관에 부딪혔다. 빅스버그는 높은 절벽 위에 위치하여 당시 해군 포격으로는 함락시키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아일랜드 넘버 텐 함락 직후, 남부군은 테네시 주 멤피스를 포기하고 후위 부대만 남겨두었다. 6월 초, 서부 건보트 함대와 미국 램 함대의 건보트가 멤피스 1차 전투에서 이들을 격파하여 미시시피 강은 빅스버그까지 열리게 되었다.[11] 그러나 할렉은 이 기회를 활용하지 못하고 소수의 병력만 파견했고, 파라것은 수위가 낮아져 함선을 뉴올리언스 부근으로 철수해야 했다.[12]

육군은 11월이 되어서야 율리시스 S. 그랜트 소장의 지휘 하에 빅스버그 점령을 시도했다. 할렉은 7월 중순에 참모총장이 되기 위해 동부로 소환되었다.[12] 그랜트가 서부 사령관이 되었을 때, 남부군은 미시시피 주 빅스버그와 포트 허드슨을 요새화했다. 이 약 209.21km 구간은 레드 강과 미시시피 강이 합류하는 지점을 포함하여 동부 남부 연합과 트랜스-미시시피 사이의 마지막 연결 지점이었다. 남부 연합 대통령 제퍼슨 데이비스는 이 지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두 위치를 모두 강화했다. 빅스버그의 지휘권은 존 C. 펨버턴 중장에게 넘어갔고, 방어 군대의 규모도 증가했다.[13]

빅스버그 전역은 포위전으로 이어졌고, 1863년 7월 4일 펨버턴이 항복하면서 종료되었다. 당시 그의 군대는 약 29,500명이었다.[14] 빅스버그 함락 소식을 접한 포트 허드슨의 사령관 프랭클린 가드너 소장은 저항이 무의미하다고 판단, 1863년 7월 9일 나다니엘 P. 뱅크스 소장에게 항복했다.[15] 이후, 에이브러햄 링컨의 표현대로, "물의 아버지(미시시피 강)는 다시 방해받지 않고 바다로 간다."

2. 3. 해상 봉쇄의 전개

가 모빌만 입구에서 봉쇄 돌파선을 차단하고 있다.


윈필드 스콧이 제안한 아나콘다 계획은 봉쇄에 의존했다. 스콧은 "반란 주들을 포위하여 다른 어떤 계획보다 적은 유혈 사태로 그들을 타협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16] 그는 미시시피강을 따라 내려가는 중앙 돌파를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그가 예상한 것보다 훨씬 큰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봉쇄 자체가 많은 유혈 사태를 유발한 것이다.

스코트의 봉쇄 제안은 전략이라기보다는 방향 제시에 가까웠다. 분리된 주들의 에 달하는 해안선을 방어하는 데 필요한 병력, 자원 할당, 타임라인, 특별히 우려되는 지점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는 해군부의 요청으로 소집된 봉쇄 전략 위원회에서 육군과 재무부 (해안 측량) 대표자들의 참여 하에 해결되었다. 1861년 여름, 위원회는 해안 지형, 남부 항구들의 장단점, 예상되는 저항, 양측 함선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봉쇄 유지 방안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걸프만 해안에 대한 권고는 대체로 무시되었지만, 대서양 해안 봉쇄는 위원회의 계획을 따랐다.[18]

모든 당사자들은 봉쇄 함선이 증기 동력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점에 동의했다.

2. 3. 1. 대서양 봉쇄

증기선의 제한된 항속 거리로 인해, 남쪽 끝 근처에 석탄 공급 기지 역할을 할 항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다. 그렇지 않으면 봉쇄선들은 보급을 위해 고향 항구를 오가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했다. 그러나 체서피크 만 남쪽에 있는 모든 적합한 항구는 분리된 주들이 점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봉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그 중 하나는 연방군에 의해 점령되어야 했다. 이로 인해 봉쇄는 순수한 공해 작전에서 적어도 적의 영토를 제한적으로 점령하는 작전으로 변모했다.[19]

이사회가 봉쇄의 남쪽 거점으로 플로리다주 페르난디나를 점령할 것을 권고했지만, 페르난디나보다 먼저 다른 두 곳이 점령되었다. 1861년 8월 28~29일 연방군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케이프 해터러스 인근의 노스캐롤라이나 외곽 뱅크스에 있는 작은 요새 두 곳을 점령했고,[19] 11월 7일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로열에서 대규모 함대 작전이 벌어져 사바나와 찰스턴 중간 지점에 있는 깊은 수심의 항구를 점령했다.[20] 해터러스 원정은 습격으로 계획되었지만, 침략으로 변모했고 이듬해 초에는 번사이드 원정이라고 불리는 완전한 침략으로 이어져 로어노크 섬을 점령하고 연방군을 노스캐롤라이나 동부에 영구적으로 주둔시켰다. 포트 로열은 곧 사바나 봉쇄를 거의 완벽하게 만들기 위한 기지로 사용되었지만, 찰스턴은 쉽게 봉쇄되지 않았다. 봉쇄 돌파선의 항구 이용은 줄었지만, 완전히 봉쇄하기 위해서는 전쟁에서 가장 치열하고 끈질긴 지상전이 필요했다.[21]

1862년 3월 초 페르난디나가 점령되었을 때, 전쟁은 거의 1년이 되었고 테네시주 헨리 요새와 도넬슨 요새, 노스캐롤라이나주 로어노크 섬에서 남부군이 패배한 후, 리치먼드 전쟁부는 군대를 주요 내륙 지역에 집중시키고 해안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소수의 주요 항구만 방어하기로 하였고,[22] 이 중 대서양 연안에 있는 항구는 윌밍턴, 찰스턴, 사바나였다. 처음 두 곳만 중요했는데, 전쟁 전체 기간 동안 증기 동력 봉쇄 돌파선이 조지아 또는 플로리다 북부 항구에 들어간 것은 불과 8척뿐이었다.[23]

찰스턴에 대한 봉쇄는 육군과 해군이 모두 수행한 도시에 대한 캠페인과 병합되었고, 전쟁의 마지막 날까지 완료되지 않았다. (''섬터 요새에 성조기 게양'' 참조.) 전쟁 초기에 연방 해군은 채널에 밸러스트가 실린 스톤 함대를 침몰시켜 항구 입구를 봉쇄하려 했지만, 이는 효과가 없거나 더 나빴다.[24] 나중에 봉쇄에 사용된 함선은 1863년 4월 7일 섬터 요새에 대한 실패한 공격에 사용되었다.[25] 또한 1863년 7월 11일과 7월 18일에 와그너 요새에 대한 보병 공격에 포병 지원을 제공했다. 이 요새를 점령하려는 두 번의 시도가 실패한 후, 함선은 결국 점령으로 이어진 그 후의 포위 공격에서 활동을 유지했다.[26] 그러자 연방군은 항구 입구에 대포를 설치할 수 있었고, 도시는 계속 저항했지만 더 이상 봉쇄 돌파선이 선호하는 종착지는 아니었다.

이 모든 일이 진행되는 동안, 현지 방어군은 수동적이지 않았다. 봉쇄를 돌파하려는 광범위한 노력에는 어뢰(기뢰)와 장갑 함선을 사용하여 연방 선박을 침몰시키거나 작동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포함되었다. CSS H. L. 헌리와 어뢰정을 개발하고 배치하는 데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독창적인 방법이 사용되었다.[27]

반대로 윌밍턴의 봉쇄는 상당히 전통적이었고 봉쇄의 효능에 대한 대부분의 논쟁의 초점이 되고 있다. 1863년 7월 중순 이후, 찰스턴이 대부분 봉쇄되면서 남부 연합과 북유럽 간의 교역은 대부분 윌밍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항구는 1865년 1월 연방군이 케이프 피어 강 어귀에 있는 피셔 요새를 점령할 때까지 주도권을 유지했다.[28]

2. 3. 2. 멕시코 만 봉쇄

멕시코 만에 있는 남부 동맹 항구 봉쇄는 대서양의 봉쇄보다 덜 중요했다. 이 항구들은 버뮤다와 나소에 있는 봉쇄 돌파 활동 중심지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었고, Most of the trade out of the Gulf ports was with Havana.영어 대서양에서 이 항구에 도달하려는 선박은 전쟁 기간 내내 연방 통제 하에 있었고 걸프 봉쇄 전대의 기지로 사용된 플로리다 키를 지나야 했다.[29] 남부 동맹 전쟁부는 주요 항구를 제외한 대서양 연안의 대부분을 포기하기로 결정했고, 이는 걸프에도 적용되어 모빌, 뉴올리언스, 갤버스턴만 방어되었다. 갤버스턴은 1862년 10월 4일 연방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다음 해 새해 첫날 남부 반군에 의해 탈환되었다. 갤버스턴은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봉쇄 돌파 선박이 접근할 수 있었지만, 빅스버그의 함락으로 연방군이 미시시피 강을 완전히 통제하게 되면서 트랜스-미시시피와 마찬가지로 반란에 아무런 가치가 없게 되었다.[31]

봉쇄 전략 위원회는 모빌과 뉴올리언스 사이에 있는 걸프에 있는 쉽 아일랜드를 점령하여 (서부) 걸프 봉쇄 전대의 기지로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이는 쉽게 이루어졌는데, 1861년 9월 16일, 반군 수비대가 본토로부터 고립될 것을 우려하여 섬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우려는 정당했다. 다음 날, USS 매사추세츠가 도착하여 연방군을 하선시켜 점령했다.[32] 그러나 거의 즉시 섬은 기지 및 석탄 공급 기지에서 더 중요한 기능으로 바뀌었다. 즉, 뉴올리언스를 보호하는 미시시피 강 요새에 대한 다가오는 공격의 발사 기지가 된 것이다. 1862년 초, 걸프 봉쇄 전대는 제임스 L. 라드너 기함이 지휘하는 동 걸프 봉쇄 전대(EGBS)와 데이비드 G. 패러것 기함이 지휘하는 서 걸프 봉쇄 전대(WGBS)로 재편되었다.[33]

1862년 4월 29일, 데이비드 글래스고 패러것 휘하의 연방 함대가 뉴올리언스를 함락시킨 후, 모빌은 봉쇄의 유일한 심각한 문제였다. 모빌은 윌밍턴과 마찬가지로 전쟁 말까지 그러했다. 1864년 8월, 패러것은 해군부의 허가와 육군부의 병력을 받아 모빌 만 입구의 요새를 점령했다. 그의 유명한 "어뢰 따위는 엿이나 먹어라"라는 말과 함께 요새를 통과한 후 요새는 함락되었고 연방 군인에 의해 점령되었다. 모빌 자체는 남부 동맹 통제 하에 있었지만 더 이상 항구로서 유용하지 않았다.[34] 1862년 7월, 미국 해군 장관 기디온 웰스는 두 걸프 봉쇄 전대 사령관에게 노동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해방된 흑인들을 모집해야 할 것이라고 편지를 썼다.

3. 아나콘다 계획에 대한 평가

남북 전쟁이 끝난 지 150년이 지났지만, 아나콘다 계획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 전쟁은 윈필드 스콧 장군이 처음 제안에서 약속했던 것만큼 피를 덜 흘리는 사건이 아니었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이를 사건 진행 과정에서 기본 전략이 수정된 것이라고 간주한다.[35] 그러나, 로웨나 리드는 워싱턴의 중앙 정부가 현장 지휘관들에게 자신의 의지를 관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전쟁은 일련의 독립적인 캠페인이었고, 각 캠페인은 지휘를 맡은 장군의 변덕에 따라 진행되었다고 주장하며, 아나콘다는 당시 존재하지 않았던 사건에 대한 사후 개념이라고 주장한다.[35]

합리적인 계획이 존재했다고 주장하는 역사가들에게 논쟁은 계획 자체와 마찬가지로 두 부분으로 나뉜다. 미시시피 강을 점령하여 트랜스미시시피를 분단하는 작전의 중요성은 인정되지만, 연합 해상 봉쇄의 가치는 여전히 논쟁거리이다.

3. 1. 긍정적 평가

미시시피 강을 점령하여 트랜스미시시피를 차단하는 캠페인의 중요성은 인정된다. 현재 거의 모든 역사가들은 연합군의 서부 전역이 동부 전역만큼 중요했다고 평가한다. 1863년 중반 이전 서부에서의 전투가 빅스버그 점령을 준비하거나 절정에 이르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아나콘다 계획은 타당성을 얻었다.[35]

연합 해상 봉쇄의 가치는 여전히 논쟁거리다. 봉쇄만으로 북부가 전쟁에서 승리했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봉쇄가 남부 군대의 힘을 결정적인 지점 이상으로 약화시키지 않았다면 남부가 버텨냈을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존재한다.[35]

봉쇄의 중요성을 부정하는 측은 두 가지 주장을 제시한다. 첫째, 봉쇄는 결코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전쟁 기간 동안 봉쇄를 피하려는 시도의 4분의 3 이상이 성공했다. 둘째, 남부 군대가 봉쇄로 인해 물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는 것이다. 남부 군대가 직면한 보급 문제는 대부분 남부 연합 철도의 열악한 상태 때문이었다. 그러나 남부 철도의 악화는 봉쇄로 인해 정상적인 연안 해상 교통이 방해받고 연합 해군에 의한 내륙 수로 통제가 이루어지면서 과부하가 걸렸기 때문이라는 반론도 있다.[36]

반면, 봉쇄가 결정적이었다고 믿는 사람들은 남부 세력이 결국 억압되었다고 주장한다. 1865년 북버지니아군의 붕괴가 윌밍턴이 연합군에 상실된 직후에 일어났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 시기가 단순한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고 말한다. 또한, 군대의 패배는 남부가 잃은 유일한 방법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봉쇄는 봉쇄선을 나포할 뿐만 아니라 다른 선박을 단념시키는 효과도 있었다. 봉쇄선은 많았을지 모르지만 화물 운반 능력보다는 속도를 위해 건조되었고, 일반적인 화물선과 넓은 화물창은 다른 곳으로 갔다. 그 결과, 남부의 면화 수출은 전쟁 전 수준에서 95% 감소하여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고 경제를 망가뜨렸다. 또한, 봉쇄는 연안 무역을 방해하여 변두리 남부 철도에 과부하를 주고, 식량 보존과 가죽 태닝에 필요한 소금 수입을 막았다. 상품(특히 면화)을 세계 시장에서 판매할 수 없게 되면서 남부 연합 정부는 1862년 초부터 재정적으로 압박을 받았다. 경제가 꾸준히 악화되면서 시민들의 전반적인 신뢰를 잃었다.[37]

그러나 봉쇄는 리버풀[38]글래스고[39][40]를 중심으로 주로 영국 조선소에서 건조되고 운영되는 경량의 얕은 흘수 증기선으로 구성된 봉쇄선에 의해 무기와 돈이 남부 항구로 밀반입되는 것을 막는 데는 덜 성공적이었다. 역사가들은 봉쇄를 회피하려는 시도가 2,500~2,800번 이루어졌으며, 성공률이 최소 80%라고 추정했다. 남부 연합군은 영국 봉쇄선으로부터 수천 톤의 화약, 50만 정의 소총, 수백 문의 대포를 받았다고 추정된다.[41] 그 결과, 영국에서 운영되는 봉쇄선은 전쟁을 2년 더 연장하여 양측에서 40만 명의 추가 병사와 민간인을 죽였다.[42][43][44]

3. 2. 부정적 평가

아나콘다 계획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남북 전쟁이 끝난 지 15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 전쟁은 스콧 장군이 처음 제안했던 것만큼 피를 적게 흘리는 전쟁이 아니었고,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이 계획이 전쟁 진행 과정에서 기본적인 전략이 수정된 것으로 보고 있다.[35] 그러나 로웨나 리드는 중앙 정부가 현장 지휘관들에게 자신의 의지를 강요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전쟁은 일련의 독립적인 작전이었고, 각 작전은 지휘관의 변덕에 따라 진행되었다고 주장하며, 아나콘다는 당시 존재하지 않았던 사건에 대한 사후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계획이 존재했다고 주장하는 역사가들 사이에서도 논쟁은 두 가지로 나뉜다. 미시시피 강을 점령하여 트랜스미시시피를 분단하는 작전의 중요성은 인정되지만, 연합 해상 봉쇄의 가치는 여전히 논쟁거리이다.

봉쇄의 중요성을 부정하는 사람들은 두 가지 주장을 제시한다. 첫째, 봉쇄는 결코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전쟁 기간 동안 봉쇄를 뚫으려는 시도의 4분의 3 이상이 성공했다. 둘째, 남부 군대가 봉쇄로 인해 물자 부족에 시달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들이 직면한 보급 문제는 대부분 남부 연합 철도의 열악한 상태 때문이었다. 그러나 남부 철도의 악화는 봉쇄로 인해 정상적인 연안 해상 교통이 방해받고 연합 해군에 의한 내륙 수로 통제가 이루어지면서 과부하가 걸렸기 때문이기도 하다.

반면, 봉쇄가 결정적이었다고 믿는 사람들은 남부 세력이 결국 억압되었다고 주장한다. 1865년 북버지니아군의 붕괴는 윌밍턴이 연합군에게 상실된 직후에 일어났으며, 이는 단순한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또한, 봉쇄는 면화 수출을 전쟁 전 수준에서 95% 감소시켜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고 경제를 망가뜨렸다.[37] 상품, 특히 면화를 세계 시장에 판매할 수 없게 되면서 남부 연합 정부는 1862년 초부터 재정적으로 압박을 받았다.

그러나 봉쇄는 리버풀,[38] 글래스고[39][40] 등 주로 영국 조선소에서 건조되고 운영되는 봉쇄선을 통해 무기와 돈이 남부 항구로 밀반입되는 것을 막는 데는 덜 성공적이었다. 역사가들은 봉쇄를 뚫으려는 시도가 2,500~2,800번 이루어졌으며, 성공률은 최소 80%라고 추정한다. 남부 연합군은 영국 봉쇄선으로부터 수천 톤의 화약, 50만 정의 소총, 수백 문의 대포를 받았다고 추정되며,[41] 그 결과, 영국에서 운영되는 봉쇄선은 전쟁을 2년 더 연장시켜 양측에서 40만 명의 추가 병사와 민간인을 죽였다.[42][43][44]

참조

[1] 웹사이트 Anaconda Plan http://www.Encyclope[...] 2011-05-09
[2] 간행물 ORA I, v. 51/1, pp. 369–370, 387
[3] 간행물 ORN I, v. 4, pp. 156–157, 340
[4] 문서 Virginia, also a border state, had already seceded by the time the Anaconda was proposed
[5] 간행물 ORA I, V. 51/1, pp. 338–339
[6] 간행물 ORA I, v. 51/1, p. 339
[7] 간행물 ORN I, v. 22, pp. 700–701
[8] 간행물 ORA I, v. 10, p. 24
[9] 간행물 Admiral Farragut and New Orleans: with an account of the origin and command of the first three naval expeditions of the war 1871-11
[10] 서적 The night the war was lost
[11] 간행물 ORN I, v. 23, pp. 118–140
[12] 서적 Vicksburg is the key
[13] 서적 Vicksburg is the key
[14] 서적 Vicksburg is the key
[15] 서적 Vicksburg is the key
[16] 간행물 ORA I, 51/1, 369, 387
[17] 서적 Combined operations in the Civil War
[18] 간행물 ORN I, v. 12, pp, 195–198, 198–201, 201–206; v. 16, pp. 618–630, 651–655, 680–681
[19] 서적 From Cape Charles to Cape Fear
[20] 서적 Success is all that was expected
[21] 서적 Lifeline of the Confederacy
[22] 간행물 ORA I, v. 6, p. 398
[23] 서적 Lifeline of the Confederacy
[24] 서적 Naval strategies of the Civil War.
[25] 서적 Success is all that was expected
[26] 서적 Success is all that was expected
[27] 서적 Blue and gray navies.
[28] 서적 From Cape Charles to Cape Fear
[29] 서적 Lifeline of the Confederacy
[30] 서적 By sea and by river
[31] 서적 Blue and gray navies.
[32] 서적 Blue and gray navies
[33] 논문 Race and Civil War in South Florida https://www.jstor.or[...] 1999
[34] 서적 Blue and gray navies
[35] 서적 Combined operations in the Civil War.
[36] 서적 Lifeline of the Confederacy
[37] 서적 By sea and by river
[38] 웹사이트 Liverpool's Abercromby Square and the Confederacy During the U.S. Civil War https://ldhi.library[...] Low Country Digital History Initiative
[39] 뉴스 Running the blockade – How Clyde shipyards supported Confederacy and slavery in the American Civil War https://www.glasgowl[...] Glasgow Live 2020-09-24
[40] 웹사이트 Legacies of Slavery in Glasgow Museums and Collections https://glasgowmuseu[...] 2018-08-14
[41]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Smuggling Taylor & Francis 2021-12-21
[42] 웹사이트 Alabama Claims, 1862-1872 https://www.globalse[...]
[43] 뉴스 Historians reveal secrets of UK gun-running which lengthened the American civil war by two year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4-06-24
[44] 웹사이트 The Confederate Blockade Runners https://www.usni.org[...]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193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