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니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니타는 기원전 1740년에서 1725년경에 재위한 인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히타이트어 텍스트인 ''아니타 텍스트''의 저자이다. 쿠샤라 왕국의 왕 피트하나의 아들로, 아나톨리아 지역의 소왕국을 물려받아 확장했다. 아니타는 잘푸와의 마지막 왕 후지야와 하티 왕 피유스티를 격파하고 히타이트의 수도가 될 하투사를 정복한 뒤 파괴하고 저주를 내렸다. 1400명의 병사와 40대의 전차를 이끌었으며, 철로 만든 홀과 옥좌를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풀루샨다의 왕을 복속시키며 아나톨리아에서의 히타이트 패권을 확립했지만, 그 이후 2세기 동안 히타이트의 동향은 문헌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사라 - 하투실리 1세
    하투실리 1세는 기원전 16세기경 히타이트 왕국의 왕으로, 수도를 네사에서 하투사로 옮기고 정복 활동을 통해 히타이트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그의 통치는 "하투실리 연대기"를 통해 상세히 알려져 있고 말년에는 손자인 무르실리 1세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 쿠사라 - 퀼테페
    퀼테페는 청동기 시대부터 로마 제국 시대까지 존속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특히 기원전 21세기에서 18세기에는 아시리아 상인들의 카룸이 번성하여 아나톨리아 전체 아시리아 상업 식민지망의 중심지였으며, 퀼테페 텍스트는 아나톨리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문서이자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평가받는다.
  • 기원전 17세기 통치자 - 탕 (상나라)
    탕(상나라)은 하나라 걸왕을 몰아내고 상나라를 건국하여 백성들을 위한 애민 정책을 펼쳐 안정과 번영을 이룩한 인물이다.
  • 기원전 17세기 통치자 - 태정
    태정은 상나라의 인물로, 사기와 갑골문 기록에서 탕왕의 아들이자 왕위에 오르지 못했다는 설과 상나라의 두 번째 왕이라는 설로 나뉘며, 그의 아들인 태갑과 외병이 왕위를 계승했다.
  • 히타이트의 왕 - 하투실리 3세
    하투실리 3세는 히타이트 왕국의 왕으로, 조카의 왕위를 찬탈하고 이집트의 람세스 2세와 평화 조약을 맺어 시리아 지역의 안정을 도모했으며, 다양한 기록과 외교 문서를 남겼다.
  • 히타이트의 왕 - 무와탈리 2세
    무와탈리 2세는 기원전 13세기 히타이트 제국의 왕으로, 수도를 하투사에서 타르훈타사로 이전하고 카데시 전투에서 람세스 2세와 대결하였으며, 윌루사(트로이)와의 조약을 통해 히타이트의 영향력을 유지하려 했다.
아니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니타 왕의 청동 단검
아니타 왕의 청동 단검
본명아니타
부모피트하나
전임자피트하나
통치
군주 칭호히타이트
재위기원전 17세기
기타
다른 호칭히타이트 왕

2. 생애

아니타는 쿠샤라의 왕 피트하나의 아들로, 아버지가 건국한 아나톨리아의 소왕국을 물려받아 그 영역을 넓혔다. 그는 "제왕들의 왕"을 의미하는 "대왕"을 칭했고, 이 칭호는 후대 히타이트 제국의 역대 왕들에게 계승되었다.

아니타는 로 만든 홀(笏)과 옥좌를 가지고 원정에 나섰다고 한다. 당시 철은 보다 더 비싼 귀금속이었다. 퀼테페에서는 "아니타"의 이름이 새겨진 청동 촉(잘못하여 "단검"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많다)이 출토되어, 그의 실존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여겨지고 있다.

풀루샨다의 왕도 히타이트에 종속되어 히타이트인의 아나톨리아 패권이 확립되었다. 다만 아니타 이후 2세기 동안, 문헌 자료에서는 히타이트인의 동향이 전해지지 않는다.

2. 1. 아니타 문서

아니타는 중기 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1740년에서 1725년경에 재위했으며,[4] 또는 기원전 1730년에서 1715년경(낮은 중기 연대기)에 재위했다. 히타이트어로 작성된 가장 오래된 텍스트인 ''아니타 텍스트''(CTH 1.A, StBoT 18, 1974에 편집됨)[5][6]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7] 이 텍스트는 "쿠션 모양" 태블릿 KBo 3.22로도 분류되며,[8] 이는 전체 인도유럽어 언어로 된 가장 오래된 텍스트이기도 하다.

''아니타의 업적''으로도 알려진 이 텍스트는 알폰소 아르키에 의해 아니타가 카네쉬에서 통치하던 시기에 고대 아시리아 식민지가 아나톨리아에 남아 있었을 때, 아카드어와 고대 아시리아 문자로 원래 작성된 것으로 여겨진다.[9] 이 텍스트는 아니타의 카네쉬 비문을 설형 문자로 기록한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하투실리 1세에 의해 편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하투사의 초기 히타이트 왕 중 한 명이었다.

''아니타 텍스트''는 아니타의 아버지가 네샤(카네쉬, 퀼테페)를 정복했으며, 이곳이 쿠샤라 왕국의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10] 아니타는 자신의 통치 기간 동안 잘푸와의 마지막 기록된 왕인 후지야와 하티 왕 피유스티를 물리치고 미래 히타이트 수도인 하투사를 정복했다. 그는 그 후 도시를 파괴하고 땅에 잡초를 뿌렸으며,[11] 그 장소에 저주를 내렸다.[12]

아니타의 이름은 퀼테페에서 발견된 단검의 비문에 나타나며, 그의 아버지의 이름과 함께 여러 퀼테페 텍스트와 후기 히타이트 전통에도 등장한다. 그의 업적은 점토판에 새겨진 "아니타 문서"에 기록되어 있다. 이 문서는 현재까지 가장 오래된 히타이트어 문서이며, 인도유럽어족에서는 가장 오래된 문자 자료이다. 이 점토판은 아마도 후대의 하투실리 1세가 필사하게 한 것으로, 하투샤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아니타가 거느렸다는 "왕"은 "마을의 왕"이었을 수도 있으며, 그의 "왕국"이 어느 정도 규모였는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1400명의 병사와 40대의 전차를 이끌었다"''라고 자랑스럽게 기록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히타이트인은 종교적인 이유로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와는 대조적으로) 기록에 과장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숫자는 거의 정확하다고 생각된다.

아니타는 비교적 소규모의 군세를 이끌고 원정을 계속하여, 후에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가 되는 하투샤를 공략하여 선주민 하티인의 왕 피유슈티를 굴복시키고, 이 도시를 불태웠다. ''"밤중에 도시를 공략하여, 그곳에 풀 한 포기 나지 않도록 하였다. 나의 뒤를 이은 왕으로서 여기에 사는 자가 있다면, 하늘의 천후신의 노여움에 접할 것이다."''라고 기록했다.

아니타는 그 원정에 로 만든 홀(笏)과 옥좌를 가지고 다녔다고 한다. 당시 철은 귀금속이었으며, 보다 더 비쌌다. 또한 당시 히타이트의 거점 카네슈시의 유적인 퀼테페에서는 "아니타"의 이름이 새겨진 청동으로 만든 의 촉 (잘못하여 "단검"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많다)이 출토되어, 그 실존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여겨지고 있다.

2. 2. 군사 활동

아니타는 잘푸와의 왕 후지야와 하티 왕 피유스티를 물리치고 히타이트의 수도 하투사를 정복했다. 그는 도시를 파괴하고 땅에 잡초를 뿌렸으며,[11] 그곳에 저주를 내렸다.[12]

아니타는 소규모 군대를 이끌고 원정을 계속하여 하투샤를 공략하고 하티인의 왕 피유슈티를 굴복시킨 뒤 도시를 불태웠다. 그는 ''"밤중에 도시를 공략하여, 그곳에 풀 한 포기 나지 않도록 하였다. 나의 뒤를 이은 왕으로서 여기에 사는 자가 있다면, 하늘의 천후신의 노여움에 접할 것이다."''라고 기록했다.

그가 거느린 "왕"은 "마을의 왕" 정도였을 수 있으며, "왕국"의 규모는 불분명하다. 그는 ''"1400명의 병사와 40대의 전차를 이끌었다"''라고 기록했는데, 히타이트인은 종교적인 이유로 기록에 과장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이 숫자는 거의 정확하다고 생각된다.

3. 평가

피트하나의 아들 아니타는 아버지가 건국한 아나톨리아의 소왕국을 물려받아 그 영역을 넓혔다. 그는 "제왕들의 왕"을 의미하는 "대왕"을 칭했고, 이 칭호는 후대 히타이트 제국 왕들에게 계승되었다. 그의 업적은 점토판에 새겨진 "아니타 문서"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 문서는 현재까지 가장 오래된 히타이트어 문서이자, 인도유럽어족에서 가장 오래된 문자 자료이다. 이 점토판은 아마도 후대의 하투실리 1세가 필사하게 한 것으로, 하투샤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아니타가 거느렸다는 "왕"은 "마을의 왕"이었을 수도 있으며, 그가 다스린 "왕국"의 규모는 불분명하다. 다만, 그가 ''"1400명의 병사와 40대의 전차를 이끌었다"''라고 자랑스럽게 기록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히타이트인은 종교적인 이유로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와는 대조적으로) 기록에 과장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숫자는 거의 정확하다고 생각된다. 아니타는 (후세의 시각에서 보면) 비교적 소규모의 군세를 이끌고 원정을 계속하여, 후에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가 되는 하투샤를 공략하여 선주민 하티인의 왕 피유슈티를 굴복시키고, 이 도시를 불태웠다. 그는 ''"밤중에 도시를 공략하여, 그곳에 풀 한 포기 나지 않도록 하였다. 나의 뒤를 이은 왕으로서 여기에 사는 자가 있다면, 하늘의 천후신의 노여움에 접할 것이다."''라고 기록했다.

아니타는 원정에 로 만든 홀(笏)과 옥좌를 가지고 다녔다고 한다. 당시 철은 귀금속이었으며, 보다 더 비쌌다. 또한 당시 히타이트의 거점 카네슈시의 유적인 퀼테페에서는 "아니타"의 이름이 새겨진 청동으로 만든 의 촉 (잘못하여 "단검"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많다)이 출토되어, 그 실존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여겨지고 있다.

풀루샨다의 왕도 히타이트에 종속되어, 히타이트인의 아나톨리아에서의 패권이 확립되었다. 다만 아니타 이후 2세기 동안, 문헌 자료에서는 히타이트인의 동향이 전해지지 않는다.

참조

[1] Citation Hittites http://www.hittites.[...]
[2] 간행물 "Anitta, CTH 1-30 (Proclamation of Anitta of Kussar) - CTH 1" https://libdigitalco[...] Koc Universitesi Digital Collections 2015
[3] 서적 Mesopotamia: The Old Assyrian Period Vandenhoeck & Ruprecht
[4] 간행물 "The Authorship of the Old Hittite Palace Chronicle (CTH 8): A Case for Anitta" https://www.journals[...] 2020
[5] Citation Didact http://titus.uni-fra[...] Uni. Frankfurt
[6] 간행물 "Anitta, CTH 1-30 (Proclamation of Anitta of Kussar) - CTH 1" https://libdigitalco[...] Koc Universitesi Digital Collections 2015
[7] 간행물 "A Hittite scribal tradition predating the tablet collections of Ḫattuša?: The origin of the ‘cushion-shaped’ tablets KBo 3.22, KBo 17.21+, KBo 22.1, and KBo 22.2." https://scholarlypub[...] 2019
[8] 간행물 "The Luwian Title of the Great King" https://books.opened[...] 2017
[9] 간행물 "Encounters between Scripts in Bronze Age Asia Minor" https://books.google[...] 2023
[10]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Volume I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5
[11] 논문 Anatolian marashanha and the many uses of Fennel
[12] 서적 Warfare in the Ancient Near East to 1600 BC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