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둘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둘리스는 고대 도시이자 홍해 연안의 항구로, 현재 에리트레아에 위치해 있었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악숨 왕국 시대까지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상아, 가죽, 노예 등을 거래했다. 6세기에는 악숨 왕국이 이 항구를 장악하여 홍해의 주요 강국으로 부상했으나, 7세기 이후 이슬람 세력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아둘리스는 여러 차례 발굴 조사를 통해 비잔틴 시대의 건물 기초, 악숨 주화, 토기 등이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간의 유물 반환 문제로 논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리트레아의 유적 - 낙파 (도시)
    낙파는 에리트레아 북부 도시로, 독립 전쟁 당시 에리트레아 인민 해방 전선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독립 후 사헬 주의 주도가 되었고, 에리트레아 독립 투쟁의 상징이자 통화 '나크파'의 명칭이 되었으며, 현재 2개의 하위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 에리트레아의 역사 - 악숨 왕국
    악숨 왕국은 기원전 1000년경 에티오피아 고원에 세워져 국제 무역과 군사력을 통해 번성하고 기독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이슬람의 부상과 무역로 변화 등으로 쇠퇴하여 11세기 또는 12세기에 멸망한 고대 왕국이다.
  • 에리트레아의 역사 -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연방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연방은 유엔 주도하에 에리트레아 자치권을 보장하며 에티오피아와 결합한 정치 체제였으나, 에티오피아의 강제 병합으로 해체되어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아둘리스
위치 정보
1914년에 발굴된 아둘리스의 5세기 비잔틴 기독교 바실리카
1914년에 발굴된 아둘리스의 5세기 비잔틴 기독교 바실리카
기본 정보
이름아둘리스
로마자 표기Adulis
원어 이름𐩱 𐩵 𐩡 𐩪, ኣዱሊስ, Ἄδουλις
위치에리트레아
지역북부 홍해 지역
길이840 m
너비430 m
역사적 맥락
관련 위치홍해
위치 설명에리트레아 해안에서 약 떨어진 곳에 위치
초기 기록스테파노스 비잔티오스, '민족지'에 언급

2. 역사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는 아둘리스를 언급한 초기 유럽 작가이며, 『에리트레이아해의 항해기』에도 아둘리스가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묘사되어 있다. 로마 상인들은 2세기와 3세기에 이 항구를 이용했다. 악숨 왕국은 아둘리스를 장악함으로써 홍해의 주요 강국이 되었다. 이 항구는 520년경 칼렙이 히미야르 왕국을 침공하는 주요 발진 기지였다. 7세기부터 이슬람 세력이 등장하면서 아둘리스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2. 1. 초기 역사 (기원전 ~ 기원후 4세기)

1세기 『에리트레이아해의 항해기』에 묘사된 아둘리스.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는 아둘리스를 언급한 가장 초기 유럽 작가이다.[4] 그는 지명의 의미를 오해하여 이곳이 탈출한 이집트 노예들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생각했다. 플리니우스는 또한 아둘리스가 "트로그로디타이(Troglodytae)와 에티오피아(Aethiopia) 사람들의 주요 시장"이라고 말했다. 아둘리스는 홍해와 인도양을 안내하는 책인 『에리트레이아해의 항해기』에도 언급되어 있다. 이 안내서에서는 아둘리스를 내륙의 상아, 가죽, 노예 및 기타 수출품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묘사하고 있다. 로마 상인들은 서기 2세기와 3세기에 이 항구를 이용했다.

코스마스 인디코플레스테스는 6세기에 이곳에서 발견한 두 개의 비문을 기록했다. 첫 번째 비문은 프톨레마이오스 에우에르게테스(기원전 247~222년)가 이 지역에서 포획한 전쟁 코끼리를 이용하여 해외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4][5] 두 번째 비문은 '아두리스 기념비'로 알려져 있으며, 악숨의 왕(다른 학자들은 악숨 왕 GDRT라고 추정)[6]의 즉위 27년차에 새겨졌으며, 아라비아와 에티오피아 북부에서 거둔 그의 승리를 자랑하고 있다.[7]

전통적으로(하지만 아마도 잘못되게) 갈라티아의 팔라디우스에게 귀속되는 4세기 작품은 브라만 철학을 조사하기 위해 익명의 이집트 변호사가 인도로 여행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그는 아두리스의 주교인 모이세(Moise) 또는 모세(Moses)와 일정 부분 동행했다.

2. 2. 악숨 왕국 시기 (4세기 ~ 7세기)



6세기, 코스마스 인디코플레스테스(Cosmas Indicopleustes)는 아둘리스에서 발견한 두 개의 비문을 기록했다. 첫 번째 비문은 프톨레마이오스 에우에르게테스(Ptolemy Euergetes)(기원전 247~222년)가 이 지역에서 포획한 전쟁 코끼리를 이용하여 해외 전쟁에서 승리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4][5] 두 번째 비문은 '아둘리스 기념비(Monumentum Adulitanum)'로 알려져 있으며, 악숨(Axum)의 왕(셈브로우테스(Sembrouthes) 또는 GDRT)[6]의 즉위 27년차에 새겨졌으며, 아라비아와 에티오피아 북부에서 거둔 승리를 자랑하고 있다.[7]

갈라티아의 팔라디우스(Palladius of Galatia)에게 귀속되는 4세기 작품에는 익명의 이집트 변호사가 인도 여행을 하며 아둘리스의 주교 모이세(Moise)와 동행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악숨 왕국(Kingdom of Axum)은 아둘리스를 장악함으로써 홍해의 주요 강국이 되었다. 이 항구는 520년경 칼렙(Kaleb of Axum) 왕이 히미야르(Himyarite) 왕국을 침공하는 주요 발진 기지였다. 학자 유리 코비슈차노프(Yuri Kobishchanov)는 악숨인들이 아라비아 해안에서 여러 차례 습격을 가했으며, 702년에는 제다(Jeddah) 항구를 점령하기도 했다고 설명한다. 그는 아둘리스가 나중에 무슬림들에게 점령당해 악숨의 해군력이 끝나고 비잔티움 제국(Byzantine Empire) 및 기타 동맹국들과의 고립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아둘리스의 마지막 세월은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무슬림 작가들은 가끔 아둘리스와 인근 다흘락 제도(Dahlak Archipelago)를 유배지로 언급한다. 증거는 악숨이 홍해에 대한 접근권을 유지했지만 7세기부터 운명이 쇠퇴했음을 시사한다.

2. 3. 이슬람 세력의 영향 (7세기 이후)

7세기부터 이슬람 세력이 등장하면서 아둘리스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무슬림 작가들은 아둘리스와 인근 다흘락 제도를 유배지로 언급하기도 했다.[3] 악숨 왕국이 홍해에 대한 접근권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7세기부터 쇠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악숨의 해양 세력은 약화되었고, 홍해의 안보는 다른 세력에게 넘어갔다.[3] 학자 유리 코비슈차노프는 악숨인들이 아라비아 해안에서 여러 차례 습격을 감행했으나(가장 최근은 702년 제다 항구 점령), 결국 아둘리스가 무슬림에게 점령당하면서 악숨의 해군력이 종식되고 비잔티움 제국 등 전통적인 동맹국들과의 고립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3]

3. 고고학적 발굴

1840년 프랑스의 비냐드와 쁘띠가 이끄는 에리트레아 탐사대가 아둘리스를 최초로 조사한 이래, 19세기부터 현재까지 아둘리스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9세기에는 네이피어의 원정대원들이 비잔티움식 교회의 기초를 발굴하였다.

20세기에는 1906년 리처드 순드스트롬이 "아둘리스 궁전"을 발굴하였고, 1907년 로베르토 파리베니는 주택 및 토기를 발굴하였으며, 1961~1962년 프랑시스 안프레이는 악숨 왕국 관련 유물 및 파괴층을 발굴하였다. 특히, 이집트 제18왕조 시대의 유리 용기 파편과 메나스 플라스크는 아둘리스의 국제적인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최근에는 에리트레아 국립 박물관이 에티오피아 정부에 발굴 유물 반환을 요청하고 있으며, 아둘리스가 악숨 왕국 이전부터 존재했던 중심지였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3. 1. 19세기 발굴

1840년 프랑스의 비냐드(Vignaud)와 쁘띠(Petit)가 이끄는 에리트레아 탐사대가 아둘리스를 최초로 조사하고, 세 개의 건물이 사원이라고 여겨지는 위치를 표시한 지도를 작성하면서 아둘리스는 최초로 발굴이 이루어진 악숨 유적지 중 하나가 되었다.[8] 1868년에는 네이피어의 테오드로스 2세에 대한 원정에 참여한 근로자들이 아둘리스를 방문하여 비잔티움식 교회의 기초를 포함한 여러 건물을 발굴하였다.

3. 2. 20세기 발굴

1906년 리처드 순드스트롬(Richard Sundström)의 감독하에 아둘리스에서 최초의 과학적 발굴이 이루어졌다. 순드스트롬은 유적지 북쪽 지역에서 작업하여 "아둘리스 궁전"이라고 명명한 대형 건물을 발굴하고 악숨 주화의 일부를 발견하였다.[8]

1907년 이탈리아의 로베르토 파리베니가 실시한 아둘리스 발굴 작업


이듬해 이탈리아의 로베르토 파리베니(Roberto Paribeni)는 아둘리스를 발굴하여 순드스트롬이 이전에 발견한 것과 유사한 많은 구조물과 여러 일반 주택을 발견했다. 그는 많은 토기를 발견했는데, 아카바 지역에서 수입된 와인 항아리조차도 이탈리아 에리트레아 식민지 시대 수십 년 동안 여기서 발견되었다.[9] 이러한 유형은 현재 아일라-악숨 항아리로 불리며, 블랙 아사르카 섬을 포함한 에리트레아의 다른 유적지에서도 발견되었다.

1961년과 1962년에는 에티오피아 고고학 연구소가 프랑시스 안프레이(Francis Anfray)가 이끄는 탐사대를 후원하여 발굴 작업을 진행했다. 이 발굴에서는 후기 악숨 왕국과 강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유물뿐만 아니라 파괴층도 발견되었다.

아둘리스의 최하층에서 발견된 유리 용기 파편 2개는 이집트 제18왕조의 표본과 유사하다.[10] 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매우 특수한 수입 용기는 메나스 플라스크였다. 무릎을 꿇은 두 마리의 낙타 사이에 이집트의 성 메나스(St. Menas)를 보여주는 디자인이 새겨져 있었다. 이러한 용기는 이집트 성인의 무덤 근처 샘에서 가져온 물을 담았던 것으로 여겨지며, 특히 이 용기는 순례자가 아둘리스로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다.

3. 3. 최근 연구 동향

에리트레아 독립 이후, 에리트레아 국립 박물관은 아둘리스 발굴 유물의 반환을 에티오피아 정부에 요청했지만, 현재까지 거부당하고 있다.[11]

이전 식민지 시대의 연구는 오래된 에티오피아 서사에 기반을 두었다. 이러한 연대기 대부분은 아둘리스를 악숨 왕국의 한가운데에 위치시키고 악숨 왕국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하여, 지역 학자 대부분이 아둘리스를 악숨 왕국의 일부로 연구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역사적/고고학적 자료들은 악숨이 출현하기 이전 시기에 아둘리스가 악숨 왕국의 구성 요소가 아닌 왕국의 중심지였다는 점에서 아비시니아 패러다임에 이의를 제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tephanus of Byzantium, Ethnica, §A26.18 https://topostext.or[...] 2020-01-19
[2] 서적 Stories of Globalisation: The Red Sea and the Persian Gulf from Late Prehistory to Early Modernity: Selected Papers of Red Sea Project VII https://books.google[...] BRILL 2018-11-26
[3] 웹사이트 Cosmas Indicopleustes, Christian Topography (1897) pp. 389-392. Explanation of the plates https://www.tertulli[...] 2024-06-26
[4] 서적 Griechische und lateinische Inschriften zum Ptolemäerreich und zur römischen Provinz Aegyptus Lit 2015
[5] 학술지 Iscrizione trionfale di Tolomeo III ad Aduli https://edizionicafo[...] 2021-12
[6] 서적 The throne of Adulis: Red Sea wars on the eve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7] 서적 Gates of Horn
[8] 간행물 Preliminary Report of the Princeton University Expedition to Abyssinia with a contribution by Richard Sundström https://menadoc.bibl[...] 1907
[9] 웹사이트 Paribeni in Adulis
[10] 서적 Sesto Congresso internazionale di egittologia: atti, Volume 2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gyptologists 1993
[11] 뉴스 Eritrea wants artefacts back https://web.archive.[...] 2005-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