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트나다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트나다라는 원나라 순제의 아들로, 툭 테무르의 장남이다. 1328년 아버지 툭 테무르가 자야아투 카안으로 즉위한 후 연왕에 봉해졌고, 1330년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이듬해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툭 테무르의 가계 단절로 이어졌으며, 원나라 황위 계승에 혼란을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31년 사망 - 스테판 우로시 3세 데찬스키
스테판 우로시 3세 데찬스키는 네마니치 왕조 출신으로, 1321년부터 1331년까지 세르비아를 통치하며 불가리아를 격파하는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아들 스테판 두샨에 의해 폐위되어 즈베찬 요새에서 사망한 후 세르비아 정교회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1331년 사망 - 오도릭
오도릭은 13세기 후반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로, 14세기 초 아시아를 여행하며 다양한 지역을 탐험했고,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 등을 거쳐 고향으로 돌아온 후 복자로 시복되었다. - 몽골 제국의 황족 - 두아
두아는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반 차가타이 칸국의 칸으로, 카이두의 지원으로 칸위에 올랐으나 카이두 사후 원나라와의 갈등 속에서 차가타이 칸국을 카이두 세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했으며, 그의 통치는 모굴리스탄 칸국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 - 몽골 제국의 황족 - 오굴 카미시 카툰
오굴 카이미시는 13세기 몽골 제국 귀유크 칸의 황후이자 섭정이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과 몽케 칸과의 대립으로 암살 음모 혐의를 받아 처형당하며 오고타이 가문과 툴루이 가문의 권력 다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아라트나다라 | |
|---|---|
| 지도 | |
| 정보 | |
| 칸국 | 아유르바르와다 칸 |
| 칸 | 1316년 ~ 1320년 |
| 이름 | 아라트나다라 |
| 로마자 표기 | Aratnadara |
| 씨족 | 옹기라트 씨족 |
2. 생애
아라트나다라는 툭 테무르의 아들로, 엘 테구스, 타이핑누와 형제였다.[12]
1328년 아버지 툭 테무르가 천력지변으로 자야아투 카안에 즉위하면서 역사에 처음 등장한다. 1330년 2월, 어머니 부다시리와 함께 불계를 받았고, 3월에는 쿠빌라이의 황태자 친킴이 받았던 '연왕(燕王)'에 봉해졌다.
1330년 12월, 툭 테무르는 아라트나다라를 황태자로 책봉하고, 1331년 1월 21일 조서를 내려 이를 알렸다. 그러나 아라트나다라는 황태자에 책봉된 지 한 달 만인 1331년 2월 22일 사망했다.[11]
2. 1. 초기 생애와 연왕 책봉
툭 테무르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동생으로 엘 테구스와 타이핑누가 있었다.1328년 천력지변을 통해 아버지 툭 테무르가 자야아투 카안으로 즉위하면서 사료에 처음 등장한다. 같은 해, 툭 테무르는 즉위 전 자신이 고용했던 공장 150명을 아라트나다라에게 하사했다.[7]
1330년 2월, 어머니 부다시리와 함께 불교 계율을 받았다. 3월에는 쿠빌라이의 황태자 친킴이 받았던 '연왕(燕王)' 작위를 받았다. 이와 함께 정2품 궁상부(宮相府)가 창설되었으나, 이는 툭 테무르를 허수아비로 만든 실권자 엘 테무르가 이끌었다.[8]
2. 2. 황태자 책봉과 죽음
1330년 8월, 수도 대도에서 쿠빌라이의 탄생을 축하하는 불교 행사가 열렸을 때, 어사대 신하들은 아라트나다라를 황태자로 세울 것을 툭 테무르에게 요청했다. 그러나 툭 테무르는 아들이 아직 어리다는 이유로 처음에는 이를 거절했다. 같은 해 10월 왕들과 대신들이 다시 요청했을 때도 같은 이유로 거절했다.[9]1330년 12월, 툭 테무르는 방침을 바꾸어 아라트나다라를 황태자로 책봉했다. 12월 2일(양력 1331년 1월 18일)에 종묘에 제사를 지내고, 12월 5일(양력 1월 21일)에 조서를 내려 정식으로 황태자 책봉을 알렸다.[10] 감찰어사는 쿠빌라이가 친킴에게 요수 등 노신을 보좌로 붙여준 것처럼 아라트나다라에게도 보좌를 붙여줄 것을 건의했고, 툭 테무르는 이를 따랐다.[10]
그러나 아라트나다라는 황태자에 책봉된 지 한 달 만인 1331년 1월 15일(양력 2월 22일)에 요절했다.[11]
2. 3. 사후
아라트나다라는 황태자에 책봉된 지 1개월 후인 지순 2년 1월 15일(양력 1331년 2월 22일) 사망했다.[11] 이 때문에 동생 엘 테구스가 다음 황태자가 되었지만, 메르키트 바얀(Merkid Bayan)의 책략으로 명종 코실라의 아들들인 린친발과 토곤 테무르가 제위에 오르게 되었고, 툭 테무르의 아들들은 즉위하지 못했다.『원사(元史)』 권107 「표(表)2·종실세계표(宗室世系表)」에는 동생 엘 테구스와 타이핑누와 함께 자손이 없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12] 툭 테무르의 가계는 단절되었다.
3. 가계
4. 평가
아라트나다라는 짧은 생애 동안 연왕과 황태자에 책봉되는 등 중요한 위치에 올랐지만, 어린 나이에 요절하여 원나라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5] 그의 죽음은 원나라 황위 계승에 혼란을 야기했고, 결국 툭 테무르 가계의 단절로 이어졌다.[6]
참조
[1]
서적
元史巻32文宗本紀1
[2]
서적
元史巻34文宗本紀3
[3]
서적
元史巻34文宗本紀3
[4]
서적
元史巻34文宗本紀3
[5]
서적
元史巻35文宗本紀4
[6]
서적
元史巻107表2宗室世系表
[7]
서적
元史 卷32 文宗本紀1
[8]
서적
元史 卷34 文宗本紀3
[9]
서적
元史 卷34 文宗本紀3
[10]
서적
元史 卷34 文宗本紀3
[11]
서적
元史 卷35 文宗本紀4
[12]
서적
元史 卷107 表2·宗室世系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