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28년은 원나라, 일본, 쩐 왕조 등의 연호가 사용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1월 루트비히 4세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즉위, 5월 스코틀랜드의 독립 승인, 프랑스 필리프 6세의 즉위 및 발루아 왕조 성립, 카셀 전투 등이 있었다. 주요 탄생 인물로는 명나라 초대 황제 홍무제, 흑태자 에드워드의 배우자인 조안 켄트, 그리고 사망 인물로는 프랑스 국왕 샤를 4세, 원나라 황제 예순 테무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28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년도 | 1328년 |
기원 | 서기 1328년 |
달력 | |
간지 | 무진년(戊辰年) |
일본 기년 | 가키쓰 2년(嘉暦二年) |
서력 기원 | 1328년 |
단기 | 3661년 |
불기 | 1872년 |
회력 | 727년 |
2. 연호
3. 기년
지역 | 내용 |
---|---|
원(元) | 태정제(泰定帝) 5년 / 천순제(天順帝) 원년 / 문종(文宗) 원년 |
고려(高麗) | 충숙왕(忠肅王) 15년 |
쩐 왕조(陳朝) | 명종(明宗) 15년 |
간지 | 무진 |
일본 | 가력 3년 / 황기 1988년 |
중국 | 원 예순 템르: 태정 5년, 지화 원년 2월 27일 - 음력 9월 / 알기바: 천순 원년 음력 9월 - 음력 10월 / 토크 템르: 천력 원년 9월 13일 - |
조선 | 고려 충숙왕 15년 / 단기 3661년 |
베트남 | 진 개태 5년 |
불멸기원 | 1870년 - 1871년 |
이슬람력 | 728년 - 729년 |
유대력 | 5088년 - 5089년 |
4. 주요 사건
- 5월 1일 -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의 결과로 에딘버러-노스햄프턴 조약이 체결되어 잉글랜드가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승인했다.
- 5월 12일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 (신성 로마 황제)가 아비뇽의 교황 교황 요한 22세와 갈등하면서 로마에서 니콜라오 5세를 대립교황으로 내세웠다.
- 5월 26일 - 오컴의 윌리엄이 교황 요한 22세의 위협을 피해 아비뇽을 비밀리에 떠났다.
- 5월 29일 - 프랑스에서 필리프 6세가 발루아 왕조의 첫 프랑스의 군주로 즉위했다.
- 8월 23일 - 카셀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플랑드르 농민 반군을 격파했다.
- 모스크바 대공국이 건국되었다.
- 일본에서 안동씨의 난이 진정되었다.
4. 1. 유럽
- 1월 17일 – 루트비히 바이에른 공작이 로마의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서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하였다. 교황에게 파문당한 상태였기에, 이 식은 세 명의 이탈리아 주교에 의해 거행되었다.
- 1월 24일 – 헤이노의 필리파가 즉위 1년 후 잉글랜드의 왕 에드워드 3세와 결혼하였다.[1] 이 결혼으로 10명의 자녀가 태어났는데, 그 중 장남이 흑태자 에드워드이다.
- 5월 1일 – 에든버러-노섬프턴 조약: 잉글랜드가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이후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인정하였다.[2]
- 5월 12일 – 대립교황 니콜라스 5세가 베네치아의 주교에 의해 로마의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서 서품받았다.
- 5월 26일 – 윌리엄 오컴이 교황 요한 22세의 위협을 받아 아비뇽을 몰래 떠났다.
- 5월 27일 - 프랑스에서 필리프 6세가 즉위하면서 발루아 왕조가 성립되었다.
- 5월 29일 – 아들이 없이 사망한 프랑스의 샤를 4세를 계승하여 발루아 왕가를 창립한 프랑스의 필리프 6세가 즉위하였다.
- 8월 23일 – 카셀 전투: 프랑스군이 플랑드르 농민들의 봉기를 진압하였다.
- 날짜 미상 – 아우구스티너-브라우가 뮌헨의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의 양조장으로 처음 기록되었다.[3]
4. 2. 아시아
4. 3. 기타
5. 탄생
- 4월 1일 - 블랑슈 드 프랑스(~ 1393년)
- 5월 7일 - 루트비히 6세(~ 1365년)
- 6월 25일 - 윌리엄 드 몽타규(~ 1397년)
- 9월 29일 - 조안 켄트(~ 1385년)
- 10월 9일 - 페트로스 1세(~ 1369년)
- 10월 21일 - 홍무제(~ 1398년)
- 11월 11일 - 로저 모티머(~ 1360년)
- 11월 25일 - 베네딕토 13세(~ 1423년)
- 고무라카미 천황 (~ 1368년)
- 아치볼드 더글러스 (~ 1400년)
- 시마즈 우지히사 (~ 1387년)
- 야마시나 노리토키 (~ 1411년)
- 사사키 타카히데 (~ 1391년)
- 야마나 시게요시 (~ 1376년)
- 이색 (~1396년)
5. 1. 실존 인물
- 이색 (~1396년)
- 4월 1일 - 블랑슈 드 프랑스, 오를레앙 공작 부인 (d. 1393년)
- 5월 7일 - 루이 6세, 바이에른 공작이자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d. 1365년)
- 6월 25일 - 윌리엄 드 몽타규, 솔즈베리 백작, 잉글랜드 군 지휘관 (d. 1397년)
- 9월 29일 - 조안 켄트, 웨일스 공주이자 흑태자 에드워드의 배우자 (d. 1385년)
- 10월 9일 - 페트로스 1세, 키프로스 왕 (d. 1369년)
- 10월 21일 - 홍무제, 중국 명나라의 초대 황제 (d. 1398년)
- 11월 11일 - 로저 모티머, 잉글랜드 군 지휘관 (d. 1360년)
- 11월 25일 - 베네딕토 13세, 대립 교황 (d. 1423년)
- 고무라카미 천황 (d. 1368년)
- 아치볼드 더글러스, 스코틀랜드의 귀족 (d. 1400년)
- 시마즈 우지히사 (+ 1387년)
- 야마시나 노리토키 (+ 1411년)
- 사사키 타카히데 (+ 1391년)
- 야마나 시게요시 (+ 1376년)
6. 사망
- 2월 1일 - 샤를 4세, 프랑스의 국왕[4]
- 8월 15일 - 예순테무르, 원나라의 황제
- 8월 23일 - 니콜라스 자네킨(Nicolaas Zannekin), 플랑드르 농민 지도자 (카셀 전투에서 사망)[5]
- 9월 26일 - 이븐 타이미야(Ibn Taymiyyah), 하란 출신 이슬람 학자이자 철학자[6]
- 10월 12일 (혹은 10월 13일) - 클레멘티아(Clementia of Hungary), 프랑스와 나바라의 왕비[7]
- 11월 16일 - 히사아키 친왕(Prince Hisaaki), 일본 쇼군
- 날짜 미상
-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독일 신학자
- * 안드로니코스 앤젤로스 팔라이올로고스(Andronikos Angelos Palaiologos), 비잔티움 귀족이자 총독
6. 1. 실존 인물
- 1월 1일 - 샤를 4세, 프랑스의 국왕 (생년 1294년)[4]
- 2월 1일 - 샤를 4세, 프랑스 왕 (생년 1294년)
- 8월 6일 - 갈레아초 1세 비스콘티(Galeazzo I Visconti), 밀라노의 참주 (생년 1277년)
- 8월 15일 - 예순테무르 (원나라의 황제, 생년 1293년)
- 8월 22일 - 냉천위상(冷泉為相),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가인, 냉천가의 조상 (생년 1263년)
- 8월 23일 - 니콜라스 자네킨(Nicolaas Zannekin), 플랑드르 농민 지도자 (카셀 전투에서 사망)[5]
- 9월 26일 - 이븐 타이미야(Ibn Taymiyyah), 하란 출신 이슬람 학자이자 철학자 (생년 1263년)[6]
- 10월 12일 - 클레망스 드 온그르(Clémence de Hongrie), 프랑스 왕 루이 10세의 두 번째 왕비 (생년 1293년)
- 10월 12일 (혹은 10월 13일) - 클레멘티아(Clementia of Hungary), 프랑스와 나바라의 왕비 (생년 1293년)[7]
- 11월 9일 - 카를로(Carlo), 칼라브리아 공 (생년 1298년)
- 11월 14일 - 알리기바(Alighiba), 원나라의 황제 (생년 1320년)
- 11월 16일 - 쿠아쿠 신왕(久明親王), 가마쿠라 막부 정夷대장군 (생년 1276년)
- 11월 16일 - 히사아키 친왕(Prince Hisaaki), 일본 쇼군 (생년 1276년)
- 12월 9일 - 냉천위수(冷泉為守), 가마쿠라 시대의 공가, 가인 (생년 1265년)
- 날짜 미상
-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독일 신학자 (생년 1260년)
- * 안드로니코스 앤젤로스 팔라이올로고스(Andronikos Angelos Palaiologos), 비잔티움 귀족이자 총독 (생년 약 1282년)
- * 이븐 타이미야(Ibn Taymiyyah), 시리아의 한발파 이슬람 법학자 (생년 1263년)
- * 다울랏 샤(Daulat Shah), 예순테무르를 섬긴 무슬림 관료 (생년 미상)
- * 조반니 다 몬테콜비노(Giovanni da Montecorvino), 이탈리아의 프란치스코회 사제, 선교사 (생년 1246년)
참조
[1]
서적
The World's Progress: A Dictionary of Dates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2]
웹사이트
Chapter III; King Robert the Bruce, 1314-1329, 15 years, pp.26-32.
https://randomscotti[...]
2024-01-07
[3]
웹사이트
Historie
https://www.augustin[...]
Augustiner-Bräu München
2019-04-13
[4]
서적
The Hundred Years War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5]
서적
A Plague of Insurrection: Popular Politics and Peasant Revolt in Flanders, 1323-1328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
서적
Kitab Al-Iman: Book of Faith
https://books.google[...]
The Other Press
[7]
서적
Plantagenet Ancestry: A Study In Colonial And Medieval Families, 2nd Edition, 2011
https://books.google[...]
Douglas Richard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