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랍에미리트의 국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에미리트의 국기는 범아랍색인 빨강, 초록, 하양, 검정 4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색상은 아랍에미리트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며, 국기 디자인은 아랍에미리트의 통일과 정체성을 나타낸다. 1820년 이전에는 각 토후국이 고유한 깃발을 사용했으나, 영국과의 조약 체결 이후 흰색을 추가한 깃발을 사용했다. 현재는 아랍에미리트 연합의 국기를 공식적으로 사용하며, 각 토후국은 고유한 깃발을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에미리트의 상징 - 아랍에미리트의 국장
    아랍에미리트의 국장은 국가의 역사와 정체성을 상징하는 공식 문장으로, 1971년 연방 결성 후 팔콘과 다우를 묘사한 국장을 사용하다 1970년대 말 현재 디자인과 유사하게 변경되었으며, 7개 토후국과 연합군 또한 고유한 상징을 사용한다.
  • 아랍에미리트의 상징 - 아랍에미리트의 국가
    아랍에미리트의 국가는 1971년 연방 결성 후 제정되었으며, 아리프 알 셰이크가 가사를 쓰고 사드 압델 와합 또는 알한 아함메드가 멜로디를 작곡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국민의 단결과 번영을 기원하는 아랍 문화의 상징이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 아시아 -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슬람 술탄국으로 독립하여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기반으로 높은 국민 소득을 유지하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입헌 군주국이다.
  • 아시아 -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의 역사, 그리고 지정학적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아랍에미리트의 국기
기본 정보
아랍에미리트의 국기
국기
비율1:2
제정일1971년 12월 2일
사용 색상빨강
녹색
하양
검정
디자인
설명가로 삼색기 (녹색, 흰색, 검은색)이며 깃대 쪽에 세로 1/4 폭의 빨간색 막대가 있음
디자이너압둘라 모하메드 알 마이나
기타 정보
FIAV

2. 색상

(#FF0000)0–115–47
(#00732F)255–255–255
(#FFFFFF)0–0–0
(#000000)



1971년 12월 2일 두바이의 유니언 하우스에서 아랍에미리트의 통치자들이 아랍에미리트 국기를 처음 게양하는 모습을 담은 역사적인 사진.


에미레이트 항공은 자사 항공기 외장에 아랍에미리트 국기를 포함하고 있다.


배색직물 색상
[3]
[4]
[5]
[6]


2. 1. 색상 배합

(#FF0000)0–115–47
(#00732F)255–255–255
(#FFFFFF)0–0–0
(#000000)



배색직물 색상
녹색 아랍 에미리트의 평원[3]
[4]
검정 아랍 에미리트의 전투와 암흑기[5]
빨강 아랍 에미리트의 칼[6]



녹색 흰색검은색빨간색
팬톤 색상PANTONE® 348n/aPANTONE® BLACKPANTONE® 186
CMYK100/0/100/150/0/0/010/0/0/1000/100/100/0
RGB0/115/47255/255/2550/0/0255/0/0
16진수#00843D#FFFFFF#000000#FF0000


3. 역사

1820년-1971년

1820년부터 1971년까지 휴전 오만의 국기로 사용되었다.

1820년 이전 히나위(바니 야스 - 아부다비와 두바이, 푸자이라)와 가피리(움알쿠와인과 아지만) 부족 연합의 국기는 빨간색이었다.

알 카와심의 국기는 1820년 이전 샤르자와 라스알카이마에서 사용되었다.

1921년부터 1952년까지 칼바 토후국의 국기가 사용되었다.

1973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아랍에미리트 대통령기가 있었다.

종횡비 2:3의 다른 타입의 아랍에미리트 국기가 있다.

3. 1. 고대 국기

1820년-1971년

3. 2. 역사적인 국기

1820년부터 1971년까지 휴전 오만의 국기로 사용되었다.

1820년 이전 히나위(바니 야스 - 아부다비와 두바이, 푸자이라)와 가피리(움알쿠와인과 아지만) 부족 연합의 국기는 빨간색이었다.

알 카와심의 국기는 1820년 이전 샤르자와 라스알카이마에서 사용되었다.

1921년부터 1952년까지 칼바 토후국의 국기가 사용되었다.

1973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아랍에미리트 대통령기가 있었다.

종횡비 2:3의 다른 타입의 아랍에미리트 국기가 있다.

4. 토후국별 국기



아랍에미리트 내 7개 토후국은 히나위 부족 연맹 또는 가피리 부족 연맹에 속해 있었다. 두 부족 모두 하심 왕조와 예언자 무함마드에 대한 충성을 나타내는 빨간색 깃발을 사용했다. Qawasim 부족은 가피리에 속했지만, 해상 강국임을 나타내는 자체 깃발(녹색, 흰색, 빨간색 가로 줄무늬 깃발)을 가지고 있었다. 1820년 영국의 라스 알 카이마 원정 이후, 7개 토후국 중 6곳이 영국 제국과의 일반 해상 조약에 서명하여 이 지역에서 영국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 각 토후국의 깃발에는 흰색 부분이 추가되었다. 당시 영국이 토후국으로 인정하지 않아 1820년 일반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던 푸자이라는 계속해서 순수한 빨간색 깃발을 사용했다.[7]

1975년 11월 6일, 술탄 빈 무하마드 알 카시미 셰이크는 샤르자에서 영국이 강요한 흰색이 뚫린 빨간색 깃발을 내리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알 카시미 부족을 물리친 후, 영국 점령군은 알 카시미 부족에게 자체 깃발을 대체할 이 깃발을 주었다. 알 카시미 부족의 깃발은 원래 녹색, 흰색, 빨간색의 세 가지 가로 줄무늬로 되어 있었고, 흰색 부분에는 '알라로부터의 승리와 임박한 정복'이라는 코란 구절이 적혀 있었다. 우리 국기의 상실은 1820년 1월 8일 토요일에 발생했다. 그래서 나는 이제 샤르자 시민들과 과거의 샤르자 시민들에게 존엄성을 회복하고자 한다. 과거의 샤르자 시민들은 우리 깃발을 빼앗아 간 바로 그 침략자들의 깃발에 경례를 강요받았고, 그 깃발은 알 카시미 부족의 투쟁을 상징했다.[8]

1975년 11월 15일, 아지만, 움 알 쿠와인, 푸자이라도 이에 따라 연방 깃발로 깃발을 교체했다. 곧 다른 토후국의 깃발도 내려지고 아랍에미리트 깃발이 게양되었다.

4. 1. 아부다비 토후국

아부다비 국기
1967년 아부다비 우표에 그려진 아부다비 국기


'''아부다비의 국기'''는 왼쪽 상단에 흰색 직사각형이 있는 붉은색 깃발이다. 1820년 영국과의 일반 해양 조약에 따르면, 전쟁 시에는 바니 야스(아부다비와 두바이)가 전체 붉은색 깃발을 사용했다.[9]

조약에 따라 아부다비는 흰색이 관통된 붉은색 트루셜 스테이트 깃발을 게양해야 했지만, 실제로는 단순한 붉은색 깃발을 계속 게양했다. 중동의 영국 식민부 행정관 퍼시 콕스는 자예드 빈 할리파 알 나흐얀에게 트루셜 스테이트 깃발을 채택하도록 설득하는 데 실패했는데, 자예드는 이 깃발이 알 카와심 부족 연합을 대표한다고 주장했다.[10] 아부다비는 나중에 주변 토후국과 구별하기 위해 왼쪽 상단에 흰색 직사각형이 있는 붉은색 깃발을 채택했다.

4. 2. 아지만 토후국과 두바이 토후국

아지만 국기


두바이 국기


아지만 박물관에 그려진 아지만 국기


'''아지만'''과 '''두바이'''의 국기는 동일하다. 두 국기는 깃대 쪽에 흰색 가로줄이 있는 붉은색 바탕이다.[11] 이 국기는 '''흰색-빨강색 이분할'''로 알려져 있으며, 1820년 영국과의 일반 해양 조약에 묶여 알 카와심에 대항하여 두바이와 아지만 토후국이 샤르자와 라스 알 카이마의 흰색 관통 붉은색의 대안으로 채택하여 그들의 권위를 나타냈다.[12] 영국에게 이 국기는 트루셜 코스트 국기 1호로 명명되었으며 아부다비와 움 알 쿠와인도 이를 채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3] 조약에 따르면 전쟁 시에는 바니 야스 (아부다비와 두바이)는 완전한 붉은색 국기를, 아지만은 완전한 흰색 국기를 사용했다.[14]

무산담 반도 (루스 알 지발)의 쉬후도 이와 유사한 국기를 사용했다.[15]

4. 3. 푸자이라 토후국

1952년 이전, '''푸자이라의 국기'''는 단색의 붉은색이었다. 푸자이라는 1820년 영국과 일반 조약을 체결하지 않았고, 따라서 붉은색의 단색 국기를 계속 사용했다.[7] 1952년부터 1961년까지 토후국의 이름이 국기에 추가되었고, 토후국의 이름이 al-Fujayra/الفجيرةar로 흰색으로 쓰인 붉은색 국기가 주변 토후국들과 구별하기 위한 기치로 채택되었다. 1975년에는 붉은색 단색 국기가 폐지되었고, 현재는 아랍에미리트 연합의 국기가 공식 목적으로 사용된다.

1952년 이전, 1961-1975년의 푸자이라 국기


1952–1961년의 푸자이라 국기


푸자이라는 현재 아랍에미리트 연합의 국기를 사용한다.

4. 3. 1. 푸자이라 토후국의 옛 국기

1952년 이전, '''푸자이라의 국기'''는 단색의 붉은색이었다. 푸자이라는 1820년 영국과 일반 조약을 체결하지 않았고, 따라서 붉은색의 단색 국기를 계속 사용했다.[7] 1952년부터 1961년까지 토후국의 이름이 국기에 추가되었고, 토후국의 이름이 al-Fujayra/الفجيرةar로 흰색으로 쓰인 붉은색 국기가 주변 토후국들과 구별하기 위한 기치로 채택되었다. 1975년에는 붉은색 단색 국기가 폐지되었고, 현재는 아랍에미리트 연합의 국기가 공식 목적으로 사용된다.

4. 4. 라스알카이마 토후국과 샤르자 토후국



1963년 샤르자 우표에 묘사된 샤르자 국기


'''라스 알 카이마'''와''' 샤르자'''의 국기는 동일하며, 이는 두 토후국이 동일 가문의 분파에 의해 통치되기 때문이다. 국기는 흰색 배경에 큰 빨간색 직사각형이 있는 형태이다. '''백색 관통 적기'''로 알려진 이 국기는 1820년 영국과의 해상 조약에 따라 모든 휴전 국가를 위한 국기였다.[16] 이는 알 카와심 부족 연합에 널리 귀속되었다. 중동 지역의 영국 식민지부 행정관인 퍼시 콕스는 나머지 토후국의 셰이크들에게 이 국기를 채택하도록 설득하는 데 실패했다.[16] 영국에게 이 국기는 휴전 해안 기 No. 2로 명명되었다.[13] 조약에 따르면, 전쟁 시에는 원래 알 카시미 국기 (녹색, 흰색 및 빨간색 국기)가 카와심에 의해 사용되었다.[17]

4. 5. 움알쿠와인 토후국

움알쿠와인 토후국의 기


'''움알쿠와인의 기'''는 붉은색 바탕에, 아지만 토후국과 두바이 토후국의 기와 유사하게 깃대 쪽에 흰색 줄무늬가 있다. 중앙에는 큰 흰색 별과 초승달이 있는데, 이는 이슬람의 상징으로서 이슬람 세계에 대한 충성을 나타낸다.[11] 움알쿠와인 기는 원래 두바이 토후국과 아지만 토후국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흰색과 빨간색 반쪽 기였으나, 다른 토후국과 구별하기 위해 별과 초승달이 추가되었다.

1972년 여권에 있는 움알쿠와인 기

5. 그 외의 기



참조

[1] 뉴스 Meet the Emirati diplomat who designed UAE's flag as a teenager https://www.khaleejt[...] 2021-10-28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ited Arab Emirates Flag https://flagdom.com/[...] 2019-02-19
[3] 웹사이트 THE UNITED ARAB EMIRATES FLAG https://www.protocol[...] 2024-03-08
[4] 웹사이트 THE UNITED ARAB EMIRATES FLAG https://www.protocol[...] 2024-03-08
[5] 웹사이트 THE UNITED ARAB EMIRATES FLAG https://www.protocol[...] 2024-03-08
[6] 웹사이트 THE UNITED ARAB EMIRATES FLAG https://www.protocol[...] 2024-03-08
[7] 서적 Complete Flag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Smithsonian Handbooks 2007
[8] 서적 Taking the Reins: The Critical Years, 1971-1977 A & C Black Business Information and Development 2012
[9] 서적 Coll 30/15 'Anthems and Flags of Various States. Bahrein [Bahrain], Koweit [Kuwait], Muscat, Asir, Yemen, Qatar, Trucial, Oman' [61r] (107/261) https://www.qdl.qa/e[...] British Library: India Office Records and Private Papers 2019-04-12
[10] 서적 Coll 30/15 'Anthems and Flags of Various States. Bahrein [Bahrain], Koweit [Kuwait], Muscat, Asir, Yemen, Qatar, Trucial, Oman' [61r] (103/261) https://www.qdl.qa/e[...] British Library: India Office Records and Private Papers 2019-04-12
[11] 서적 The Trucial States Twayne Publishers, New York 1970
[12] 서적 Coll 30/15 'Anthems and Flags of Various States. Bahrein [Bahrain], Koweit [Kuwait], Muscat, Asir, Yemen, Qatar, Trucial, Oman' [61r] (151/261) https://www.qdl.qa/e[...] British Library: India Office Records and Private Papers 2019-04-12
[13] 서적 Coll 30/15 'Anthems and Flags of Various States. Bahrein [Bahrain], Koweit [Kuwait], Muscat, Asir, Yemen, Qatar, Trucial, Oman' [61r] (57/261) https://www.qdl.qa/e[...] British Library: India Office Records and Private Papers 2019-04-12
[14] 서적 Coll 30/15 'Anthems and Flags of Various States. Bahrein [Bahrain], Koweit [Kuwait], Muscat, Asir, Yemen, Qatar, Trucial, Oman' [61r] (111/261) https://www.qdl.qa/e[...] British Library: India Office Records and Private Papers 2020-04-18
[15] 서적 Arabian Boundaries: Primary Documents Archive Editions 1988
[16] 서적 Coll 30/15 'Anthems and Flags of Various States. Bahrein [Bahrain], Koweit [Kuwait], Muscat, Asir, Yemen, Qatar, Trucial, Oman' [61r] (121/261) https://www.qdl.qa/e[...] British Library: India Office Records and Private Papers 2019-04-12
[17] 서적 Coll 30/15 'Anthems and Flags of Various States. Bahrein [Bahrain], Koweit [Kuwait], Muscat, Asir, Yemen, Qatar, Trucial, Oman' [61r] (113/261) https://www.qdl.qa/e[...] British Library: India Office Records and Private Papers 2019-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