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자이라 토후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자이라 토후국은 아랍에미리트 연합의 토후국 중 하나로, 샤르키인 부족이 지배했으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무역로인 와디 함의 입구에 위치해 있었다. 1901년 샤르자에서 독립을 선언했으나, 영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1952년 영국과 조약 관계를 맺고 트루셜 주에 가입했으며, 1971년 아랍에미리트 연합국에 가입했다. 푸자이라에는 4,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아랍에미리트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인 알 바디야 모스크가 위치해 있다. 현재 셰이크 하마드 빈 모하메드 알 샤르키가 통치하는 절대 군주제이며, 경제는 보조금과 지역 산업, 자유 무역 지대에 기반하고 있다. 주요 교통 수단은 도로이며, 두바이와 연결되는 고속도로와 푸자이라 국제공항이 있다. 문화는 이슬람과 아랍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교육 및 의료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자이라 토후국 - 2019년 5월 오만만 사건
2019년 5월 오만만 사건은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서 발생한 상선 사보타주 공격으로, 미국의 이란 핵 합의 탈퇴와 이란 제재, 호르무즈 해협 봉쇄 위협 등 고조된 긴장 속에서 발생했으며, 미국은 이란의 배후 가능성을 제기했다. -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 - 아부다비 토후국
아부다비 토후국은 아랍에미리트 최대 규모의 토후국으로, 풍부한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다각화를 추진하며 아랍에미리트의 정치, 경제를 주도한다. -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 - 라스알카이마 토후국
라스알카이마 토후국은 7000년의 거주 역사를 지닌 아랍에미리트 구성국으로, 고대 문명 유적과 중세 항구 도시 줄파르의 번영, 알 카시미 가문의 해상 활동, 그리고 현재는 다변화된 경제와 급성장하는 관광 산업을 특징으로 한다. - 오만만 - 차바하르
차바하르는 이란 남동부에 위치한 온화한 기후의 항구 도시로, 고대부터 무역항으로 기능했으며 현대에는 자유 무역 지대로 지정되어 인도와 협력하여 중앙아시아 및 아프가니스탄과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있다. - 오만만 - 푸자이라
푸자이라는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으로 인도양과 접하며, 항만, 자유무역지대, 석유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이 활발하고, 푸자이라 항과 자유무역지대는 국제 무역과 투자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고, 재난 대비 체계 개선과 철도망 건설을 통해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푸자이라 토후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위치 | 아랍에미리트 |
수도 | 푸자이라 |
정부 형태 | 이슬람 절대 군주제 (연방 내) |
통치자 | 셰이크 하마드 빈 무함마드 알 샤르키 |
왕세자 | 셰이크 무함마드 빈 하마드 빈 무함마드 알 샤르키 |
면적 | 1166 km² |
면적 순위 | 5위 |
인구 (2009년 추정) | 317,000명 |
인구 순위 | 6위 |
GDP (2023년) | US$ 68억 달러 |
1인당 GDP (2023년) | US$ 23,500 달러 |
시간대 | 아랍에미리트 표준시 |
UTC 오프셋 | +4 |
웹사이트 | 푸자이라 공식 웹사이트 |
행정 구역 | |
자치체 수 | 2개 |
자치체 1 | 푸자이라 자치체 |
자치체 2 | 디바 알푸자이라 자치체 |
기타 | |
ISO 3166-2 | AE-FU |
2. 역사
푸자이라 토후국은 최소 4,000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무역을 해온 역사를 갖고 있다. 와디 수크 (기원전 2,000년 ~ 1,300년) 시대의 매장지가 비스나와 키드파 오아시스에서 발견되었고,[9] 기원전 3,000년의 탑은 비디야에 있는 포르투갈 요새 건설에 사용되었다.[10] 이 요새는 1450~1670년 사이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10]
알 바디야 모스크는 1446년에 진흙과 벽돌로 지어졌으며, 아랍에미리트 연합국에서 가장 오래 사용되는 모스크이다.[11] 이 모스크는 예멘, 동부 오만, 카타르에 있는 모스크들과 유사하며, 4개의 돔을 가지고 있고 미나렛은 없다.
1902년 영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보호국이 되었고, 1971년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2. 1. 초기 역사
푸자이라 토후국은 샤르키인 부족이 지배하며, 산맥을 거쳐 내륙과 페르시아만 해안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무역로인 와디 함(샤르키인 알 비스나 요새가 지킴)의 입구에 위치해 있다. 현재 아랍에미리트 동해안으로 알려진 샤말리야는 1850년까지 무스카트의 지배를 받았으며, 당시 셰이크 술탄 빈 사크르 알 카시미와 무스카트 술탄 간의 합의에 따라 샤르자의 알 카시미에 병합되었다.[4] 샤말리야는 칼바의 알 카시미 왈리에 의해 통치되었지만, 자주 분리되었고, 1901년 샤르키인의 지도자인 하마드 빈 압둘라 알 샤르키 셰이크가 샤르자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 독립은 여러 트루셜 셰이크와 무스카트에 의해 인정되었지만, 독립적인 통치를 하는 지도자에게 자주 반감을 가졌던 영국은 인정하지 않았다.[5] 당시 푸자이라 토후국은 약 150채의 가옥과 3,000그루의 대추야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주민들은 주로 진주 채취와 대추야자 재배를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6] 1952년 샤르자가 칼바를 흡수한 이후, 샤말리야는 푸자이라와 샤르자 토후국이 공유하고 있다.[7]1952년, 푸자이라 토후국은 영국과 조약 관계를 맺어 트루셜 주에 가입한 마지막 토후국이 되었다. 영국 정부는 50년 이상 이 인정을 미루다가, 석유 탐사 회사인 석유 양보 제한 회사(PCL)가 공식적인 통치자와 양보 계약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자 인정을 부여했다.[8] 1971년 12월 2일, 푸자이라 토후국은 아랍에미리트 연합국에 가입했다.
푸자이라 토후국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발견물들은 최소 4,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인간 거주와 무역 관계의 역사를 보여주며, 와디 수크 (기원전 2,000년 ~ 1,300년) 매장지가 비스나와 키드파 오아시스에 위치해 있다.[9] 기원전 3,000년의 탑은 포르투갈 요새인 비디야에 건설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드 레젠데의 1646년 지도에 기록된 포르투갈의 '리베디아'로 확인되었고, 요새 자체는 탄소 연대 측정 결과 1450~1670년으로 밝혀졌다.[10]
푸자이라 토후국은 이슬람 시대 후기의 요새가 풍부하며, 또한 아랍에미리트 연합국에서 가장 오래 사용되는 모스크인 알 바디야 모스크가 위치해 있으며, 이는 1446년에 진흙과 벽돌로 지어졌다.[11] 알 바디야 모스크는 4개의 돔을 가지고 있으며 미나렛이 없다.
2. 2. 샤르키인 부족의 지배와 독립
푸자이라 토후국은 샤르키인 부족이 지배하며, 와디 함(샤르키인 알 비스나 요새가 지킴)이라는 중요한 무역로 입구에 위치해 있다. 이 무역로는 산맥을 거쳐 내륙과 페르시아만 해안으로 이어진다. 현재 아랍에미리트 동해안으로 알려진 샤말리야는 1850년까지 무스카트의 지배를 받았다. 당시 셰이크 술탄 빈 사크르 알 카시미와 무스카트 술탄 간의 합의에 따라 샤르자의 알 카시미에 병합되었다.[4] 샤말리야는 칼바의 알 카시미 왈리에 의해 통치되었지만, 자주 분리되었다. 1901년 샤르키인의 지도자인 하마드 빈 압둘라 알 샤르키 셰이크가 샤르자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 독립은 여러 트루셜 셰이크와 무스카트에 의해 인정되었지만, 영국은 인정하지 않았다.[5] 당시 푸자이라 토후국 주민들은 주로 진주 채취와 대추야자 재배로 생계를 유지했으며, 약 150채의 가옥과 3,000그루의 대추야자가 있었다.[6]
1952년, 푸자이라 토후국은 영국과 조약 관계를 맺어 트루셜 주에 가입한 마지막 토후국이 되었다. 영국 정부는 석유 탐사 회사인 석유 양보 제한 회사(PCL)가 공식적인 통치자와 양보 계약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자 50년 이상 미루던 인정을 부여했다.[8] 1971년 12월 2일, 푸자이라 토후국은 아랍에미리트 연합국에 가입했다.
2. 3. 아랍에미리트 연방 가입
1902년 영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보호국이 되었고, 1971년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4] 1952년, 푸자이라 토후국은 영국과 조약 관계를 맺어 트루셜 주에 가입한 마지막 토후국이 되었다. 영국 정부는 석유 탐사 회사인 석유 양보 제한 회사(PCL)가 공식적인 통치자와 양보 계약을 체결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자 50년 이상 이 인정을 미루다가 부여했다.[8] 1971년 12월 2일, 푸자이라 토후국은 아랍에미리트 연합국에 가입했다.[9]3. 지리
푸자이라 토후국은 약 1166km2 면적으로 아랍에미리트(UAE) 면적의 약 1.5%를 차지하며, 아랍에미리트에서 다섯 번째로 큰 토후국이다.
날씨는 계절성이 있지만, 연중 대부분 따뜻하다. 12월에서 3월까지가 일반적으로 가장 서늘하며, 낮 기온은 평균 25°C 정도이고, 30°C를 넘는 경우는 드물다. 여름에는 기온이 40°C 이상으로 올라간다. 겨울철은 우기와 일치하며, 푸자이라 토후국 강수량의 대부분이 이때 발생한다. 강수량은 아랍에미리트의 다른 지역보다 높은데, 이는 토후국을 둘러싼 산의 영향과 편서풍이 따뜻한 인도양에서 물을 머금은 구름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동부 해안 기후의 변동성은 부분적으로 하자르 산맥의 존재 때문이다. 다른 산악 지역과 마찬가지로 강수량이 더 많으며, 이는 해당 지역에서 더 다양한 미기후를 가능하게 한다.
푸자이라 국제공항 (1990-2016)의 기상 자료는 다음과 같다.[14]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최고 기온 (°C) | 31.0 | 35.6 | 38.6 | 44.1 | 50.2 | 49.5 | 49.0 | 48.3 | 45.2 | 41.5 | 38.7 | 32.8 | 50.2 |
평균 최고 기온 (°C) | 24.6 | 25.8 | 28.6 | 33.7 | 38.4 | 39.2 | 37.5 | 36.2 | 35.7 | 34.2 | 30.3 | 26.7 | - |
평균 기온 (°C) | 20.7 | 21.7 | 24.2 | 28.9 | 33.5 | 34.8 | 34.0 | 32.9 | 32.0 | 30.2 | 26.2 | 22.6 | - |
평균 최저 기온 (°C) | 17.0 | 18.0 | 20.3 | 24.7 | 29.2 | 31.2 | 31.5 | 30.5 | 29.1 | 26.4 | 22.5 | 18.9 | - |
최저 기온 (°C) | 10.8 | 11.0 | 14.8 | 17.0 | 20.5 | 24.6 | 26.7 | 26.0 | 24.4 | 18.5 | 16.8 | 12.1 | 10.8 |
강수량 (mm) | 20.4 | 10.2 | 23.9 | 6.3 | 0.8 | 0.5 | 1.7 | 0.1 | 0.1 | 3.8 | 7.3 | 22.6 | - |
상대 습도 (%) | 62 | 63 | 60 | 51 | 47 | 56 | 68 | 72 | 69 | 59 | 60 | 62 | - |
2015년 추산 인구는 약 21만 명[30]이며, 면적은 1684km2이다. 국토의 서쪽 끝은 사막 지대이며, 대부분은 해발 300m 정도의 산악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와디가 해안선 앞에 형성한 선상지는 폭이 수 km에 달하는 좁고 긴 평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에 유일한 도시가 위치해 있다. 북부는 무산담 반도의 오만 영토에 접해 있다.
4. 기후
푸자이라 토후국의 날씨는 계절에 따라 다르지만, 연중 대부분 따뜻하다. 12월에서 3월 사이가 가장 서늘하며, 낮 기온은 평균 25°C이고, 30°C를 넘는 경우는 드물다. 여름철에는 기온이 40°C 이상으로 올라간다. 겨울철은 우기와 겹치는데, 푸자이라 토후국의 강수량은 대부분 이 시기에 발생한다. 강수량은 아랍에미리트의 다른 지역보다 많은데, 이는 토후국을 둘러싼 산의 영향과 인도양에서 불어오는 따뜻한 편서풍이 물을 머금은 구름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동부 해안의 기후 변동성은 하자르 산맥의 존재로 인해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다른 산악 지역과 마찬가지로 강수량이 더 많아, 이 지역에서 더 다양한 미기후가 나타난다. 관광객 수는 학교 여름 방학 직전에 가장 많다.
다음은 푸자이라 국제공항 (1990-2016)의 기후 자료이다.[34]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31.0 | 35.6 | 38.6 | 44.1 | 50.2 | 49.5 | 49.0 | 48.3 | 45.2 | 41.5 | 38.7 | 32.8 | 50.2 |
평균 최고 기온 (°C) | 24.6 | 25.8 | 28.6 | 33.7 | 38.4 | 39.2 | 37.5 | 36.2 | 35.7 | 34.2 | 30.3 | 26.7 | |
평균 기온 (°C) | 20.7 | 21.7 | 24.2 | 28.9 | 33.5 | 34.8 | 34.0 | 32.9 | 32.0 | 30.2 | 26.2 | 22.6 | |
평균 최저 기온 (°C) | 17.0 | 18.0 | 20.3 | 24.7 | 29.2 | 31.2 | 31.5 | 30.5 | 29.1 | 26.4 | 22.5 | 18.9 | |
최저 기온 기록 (°C) | 10.8 | 11.0 | 14.8 | 17.0 | 20.5 | 24.6 | 26.7 | 26.0 | 24.4 | 18.5 | 16.8 | 12.1 | 10.8 |
강수량 (mm) | 20.4 | 10.2 | 23.9 | 6.3 | 0.8 | 0.5 | 1.7 | 0.1 | 0.1 | 3.8 | 7.3 | 22.6 | |
상대 습도 (%) | 62 | 63 | 60 | 51 | 47 | 56 | 68 | 72 | 69 | 59 | 60 | 62 |
5. 인구
연도 | 인구 |
---|---|
1980 | 32,189 |
1985 | 43,753 |
1995 | 76,180 |
2005 | 125,698 |
2010 | 163,751 |
2017 | 236,811 |
2019 | 256,256 |
푸자이라 토후국의 인구는 2005년 마지막 인구 조사에서 125,698명이었다. 2016년 기준으로 약 225,360명의 주민이 있으며,[17] 움알쿠와인 토후국만이 이보다 더 적은 인구를 가지고 있다. 2019년 인구 추정치는 256,256명이다.[18] 2015년 추산으로는 약 21만 명이다.[30]
6. 정치
푸자이라 토후국은 셰이크 하마드 빈 모하메드 알 샤르키가 통치하는 절대 군주제이다. 셰이크는 푸자이라 토후국의 내각을 이끌며, 토후국의 존경받는 지역 가문의 몇몇 구성원이 자문 위원회를 구성한다. 셰이크는 내각의 모든 결정을 비준해야 하며, 비준 후에는 법으로 제정될 수 있다.
6. 1. 역대 통치자
7. 경제
푸자이라 토후국의 경제는 아부다비 정부(아랍에미리트 연합의 권력 중심)에서 분배되는 보조금과 연방 정부 보조금에 기반을 두고 있다. 지역 산업은 시멘트, 석재 파쇄 및 채광으로 구성되며, 건설 활동의 부활은 지역 산업에 도움을 주었다. 두바이 자유 무역 지대(Dubai Free Zone Authority)의 성공을 모방한 번성하는 자유 무역 지대가 제벨 알리 항구 주변에 설립되었다.[21][22]
연방 정부는 자국 원주민 및 지역 인력의 대다수를 고용하고 있으며, 자영업을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많은 지역 주민들은 서비스 부문에서 일한다. 푸자이라 토후국 정부는 외국인이 어떤 사업체의 49% 이상을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지만, 자유 구역에서는 이러한 금지가 완화되어 외국인 완전 소유가 허용되면서 부분적으로 번창했다. 통치자의 동생인 셰이크 살레 알 샤르키는 경제의 상업화를 이끄는 원동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푸자이라 토후국 정부는 아랍에미리트 연합의 현지 은행인 푸자이라 국립 은행의 주요 주주이다. 1982년에 설립된 푸자이라 국립 은행(NBF)은 기업 및 상업 은행, 무역 금융 및 재무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개인 은행 옵션 및 샤리아 준수 서비스도 포함하도록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NBF는 석유 및 해운에서 서비스, 제조업, 건설, 교육 및 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을 지원한다.
7. 1. 벙커링 항구와 해운 산업
푸자이라 토후국은 매일 대규모 해운 활동이 이루어지는 작은 벙커링 항구이다. 해운 및 선박 관련 서비스는 이 도시에서 번창하는 사업이다. 친기업적인 환경과 쉬운 물류 지원 덕분에 페르시아만에서 무역하는 선박은 장거리 항해를 시작하기 전에 식량, 벙커, 수리 및 기술 지원, 예비 부품 및 창고를 위해 이곳에 정박한다. 이 도시는 또한 이러한 선박 서비스 관련 활동에 지리적으로 적합하다.푸자이라 시 북부에는 푸자이라 항이 있으며, 항구 외부의 선박과 항구를 연결하는 교통선과 여러 기의 갠트리 크레인을 갖춘 컨테이너 야드가 있다. 아부다비에서 생산된 원유를 푸자이라까지 운송하는 파이프라인이 건설되었으며, 정유소도 계획되어 호르무즈 해협을 우회하는 원유의 대규모 수출 기지로 변모하고 있다.
2001년에는 일본의 자위대 인도양 파견 부대의 보급 기지로 선정되었다. 항구 외부에서는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 페르시아만으로 들어가는 많은 유조선이 닻을 내리고 보급을 받고 있다. 항구에 관계자 이외의 출입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7. 2. 토지 소유
외국인이나 방문객은 토지를 구매할 수 없다. 아랍에미리트 국민은 국적을 증명한 후 정부로부터 토지를 구매할 수 있다. 공식 정부 기관을 통해 적합한 토지를 구할 수 없는 경우, 사적 구매도 가능하며 최종 가격은 시장과 개인 간의 합의에 따라 결정된다.8. 교통
1971년 독립 이후 현대적인 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푸자이라 토후국과 주변 도시인 코르 파칸, 칼바, 마사피를 여행하는 것이 쉬워졌다. 고속도로는 연방 정부에서 직접 자금을 지원하며, 계약은 중앙에서 입찰하여 계약의 품질과 이행을 보장하고 부패로 인해 건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푸자이라 토후국은 대중교통이 매우 제한적이며, 토후국 내에서 운행되는 버스 노선이 하나 있고 두바이로 운행되는 노선이 있다. 개인 교통 수단 외에도, 정부 소유의 푸자이라 교통 공사(FTC)에서 운영하는 여러 대의 택시가 있다.[26]
두바이와 푸자이라를 연결하는 새로운 셰이크 칼리파 고속도로는 2011년 12월 4일에 공식 개통되었는데, 원래 2011년 7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지연되었다. 이 도로는 거리를 20km에서 30km 단축한다. 셰이크 칼리파 빈 자예드 고속도로(E 11 road (United Arab Emirates))라고 불리는 45km의 고속도로는 다른 토후국과 연결되어 있으며, 두바이와 샤르자를 푸자이라와 30분 이내 거리에 연결한다. 이 도로는 푸자이라 입구에서 시작하여 알 가지르미, 와디 사함, 아스피니, 맘두, 라스 알 카이마의 카드라 계곡과 쇼카 계곡을 지나 샤르자의 함다 지역에 있는 말리하 도로에서 끝난다.[27]
8. 1. 항공
푸자이라 국제공항은 시내 근처에 있으며, 공항 로터리에는 커다란 매 조각상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아부다비로 가는 아랍에미리트 국내선만 운항하고 있다.푸자이라 국제공항(FJR, OMFJ)은 화물 전용이며, 여객은 취급하지 않는다.
8. 2. 해운
푸자이라 시 북부에 푸자이라 항이 있으며, 항구 외부의 선박과 항구를 연결하는 교통선과 여러 기의 갠트리 크레인을 갖춘 컨테이너 야드가 있다. 아부다비에서 생산된 원유를 푸자이라까지 운송하는 파이프라인이 건설되었으며, 정유소도 계획되어 호르무즈 해협을 우회하는 원유의 대규모 수출 기지로 변모하고 있다.[26]2001년에는 일본의 자위대 인도양 파견 부대의 보급 기지로 선정되었다. 항구 외부에서는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 페르시아만으로 들어가는 많은 유조선이 닻을 내리고 보급을 받고 있다. 항구에 관계자 이외의 출입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26]
8. 3. 철도
2020년대에 푸자이라에서 아부다비 서부의 구와이파트를 잇는 총 연장 1200km의 철도 건설 계획이 있다.[31]8. 4. 도로
1971년 독립 이후 현대적인 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푸자이라 토후국과 주변 도시인 코르 파칸, 칼바, 마사피를 여행하는 것이 쉬워졌다. 고속도로는 연방 정부에서 직접 자금을 지원하며, 계약은 중앙에서 입찰한다. 이는 계약의 품질과 이행을 보장하고 부패로 인해 건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푸자이라 토후국은 대중교통이 매우 제한적이며, 토후국 내에서 운행되는 버스 노선이 하나 있고 두바이로 운행되는 노선이 있다. 개인 교통 수단 외에도, 정부 소유의 푸자이라 교통 공사(FTC)에서 운영하는 여러 대의 택시가 있다.[26]
두바이와 푸자이라를 연결하는 새로운 셰이크 칼리파 고속도로는 2011년 12월 4일 토요일에 공식 개통되었다. 원래 2011년 7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지연되었다. 이 도로는 거리를 20km에서 30km 단축한다. 푸자이라 국제공항은 시내 근처에 있으며, 공항 로터리에는 커다란 매 조각상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아랍에미리트 내 국내선인 아부다비로만 상업 운항을 제공한다.
푸자이라 토후국은 셰이크 칼리파 빈 자예드 고속도로(E 11 road (United Arab Emirates))라고 불리는 45km의 고속도로로 다른 토후국과 연결되어 있으며, 두바이와 샤르자를 푸자이라와 30분 이내 거리에 연결한다. 이 도로는 푸자이라 입구에서 시작하여 알 가지르미, 와디 사함, 아스피니, 맘두, 라스 알 카이마의 카드라 계곡과 쇼카 계곡을 지나 샤르자의 함다 지역에 있는 말리하 도로에서 끝난다.[27]
9. 문화
아랍에미리트 문화는 주로 이슬람교와 전통적인 아랍 문화를 중심으로 한다. 이슬람 문화와 아랍 문화는 건축, 음악, 복장, 요리, 생활 방식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하루 다섯 번, 무슬림들은 전국에 흩어져 있는 모스크의 미나렛에서 기도하라는 부름을 받는다. 2006년부터 주말은 무슬림에게 신성한 금요일과 서구식 주말인 토요일-일요일 사이의 절충안으로 금요일-토요일이었다.[28] 그러나 2021년 1월부터는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을 쉽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세계 나머지 국가들과 일치하도록 토요일-일요일로 변경되었다.[29]
술은 지정된 호텔에서 허용되며, 2000년부터는 일부 바에서도 허용된다. 1998년까지는 특정 호텔에서 슬롯 머신 형태의 도박이 허용되었지만, 현지인들이 셰이크에게 개인적으로 청원하여 이 활동이 금지되었다. 일부 도박꾼들은 슬롯 머신에 한 달치 임금을 모두 잃어 가족을 부양할 돈이 없었다.
에미라티 청년들은 거리와 카페, 게임 아케이드, 영화관, 미니 몰 밖에서 함께 어울리는 경향이 있다. 에미라티 사회의 성별 분리 때문에 이성 혼합 그룹을 보기 어렵다.
휴가철에는 많은 푸자이라 주민들이 엔터테인먼트와 쇼핑을 위해 두바이 및 아부다비와 같은 서부 토후국으로 여행을 간다. 또한 캠핑과 하이킹 여행을 위해 토후국 주변의 와디를 방문한다. 동시에 다른 토후국의 주민들은 휴식을 취하고 사막의 무더위를 피하기 위해 푸자이라 토후국을 방문한다. 수상 스포츠인 제트스키, 윈드서핑, 수상스키, 다이빙은 현지인과 관광객 모두에게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전문 운전 강사는 르 메르디앙 또는 로열 비치 호텔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곳에서 요금을 내고 국제 운전 면허증을 취득할 수 있다.
10. 교육
푸자이라 토후국에는 다수의 공립 학교가 있으며, 주로 아랍 거주민 외에 아랍에미리트 국민을 위한 학교이다. 공립 학교 외에도 사립 학교가 있으며, 인도 아대륙 출신이 많은 이 토후국의 인구로 인해, 대부분의 사립 학교는 인도의 중앙 중등 교육 위원회(CBSE)에서 인증한 인도 중앙 중등 교육 위원회(CBSE) 커리큘럼을 따른다.
- 푸자이라 우리 고유 영어 고등학교(국제 중등 교육 일반 자격(IGCSE) 제공), 알 파세일 지역.
- 푸자이라 성 마리아 가톨릭 고등학교(일반 교육 자격(GCE) A 레벨 제공), 사캄캄 지역.
- 푸자이라 디야르 국제 사립 학교, 디바 분교. 푸자이라 및 디바 지역 사캄캄에 위치해 있다.
- 푸자이라 인도 학교, 알 파세일 지역.
- 푸자이라 사립 아카데미, 또한 국제 중등 교육 일반 자격(IGCSE), A 레벨, AS 레벨을 제공한다.
- 푸자이라 파키스탄 이슬람 학교, 또한 알 파세일 지역.
- 응용 기술 고등학교, 푸자이라
- GEMS 윈체스터, 푸자이라(국제 중등 교육 일반 자격(IGCSE) 제공), 알 파세일 지역.
푸자이라 몬테소리(Montessori) 유치원은 푸자이라 토후국에서 가장 오래된 유치원이다. 만 2세부터 입학이 가능하다. 알 파세일 지역에 위치해 있다. 푸자이라 토후국에는 여러 유치원 및 유아원이 있다. 'Superbaby' in Al Faseel, 'Smart kids', 'Mom and Kids'와 'Little Stars'는 외국인 가족들이 이용한다.
11. 보건 의료
푸자이라 토후국은 공공 및 민간 혼합 시스템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지인들은 연방 정부 병원에서 무료로 치료를 받지만, 외국인들은 의료 서비스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국가 정부는 연방 병원에 자금을 지원하고 오일 달러 수입으로 의료 서비스를 보조한다. 정부가 저소득층에게 충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 이들이 스스로 심각한 치료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비판이 있다.
푸자이라 토후국 정부는 현지에서 "의료 주택"으로 알려진 진료소를 건설했다. 이 진료소는 예약 없이 방문이 가능하고 부속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요 푸자이라 병원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 진료소는 현지 주민들이 많이 방문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다.[25]
참조
[1]
웹아카이브
GIS Initiatives for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The Emirate of Fujayrah
http://www.megf.org/[...]
2019-07-10
[2]
웹사이트
Fujairah
https://u.ae/en/abou[...]
[3]
웹사이트
TelluBase—UAE Fact Sheet (Tellusant Public Service Series)
https://tellusant.co[...]
Tellusant
2024-01-11
[4]
서적
From Trucial States to United Arab Emirates: a society in transition
Motivate
2005
[5]
서적
From Trucial States to United Arab Emirates
Longman
[6]
서적
Gazetteer of the Persian Gulf, Vol II
British Government, Bombay
[7]
서적
Historical Summary of Events in the Persian Gulf Shaikhdoms and the Sultanate of Muscat and Oman, 1928–1953
https://www.qdl.qa/e[...]
2023-02-06
[8]
서적
From Trucial States to United Arab Emirates
Longman
[9]
서적
United Arab Emirates : a new perspective
Trident Press
2001
[10]
서적
United Arab Emirates : a new perspective
Trident Press
2001
[11]
웹사이트
Oldest UAE mosque holds onto its secrets
http://www.thenation[...]
2011-08-21
[12]
뉴스
Remains of 1,000-year-old mosque reveal a rich past
https://www.emirates[...]
Emirates 24/7
2018-09-10
[13]
뉴스
How a 1,000-year-old mosque in Al Ain anchors the UAE in human history
https://www.thenatio[...]
The National
2018-09-13
[14]
웹사이트
Climate Yearly Period (Data Tabl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Presidential Affairs
2017-03-27
[15]
웹사이트
UAE: Emirates
http://www.citypopul[...]
2022-03-12
[16]
웹사이트
Fujairah - the Official Portal of the UAE Government
https://u.ae/en/abou[...]
2022-05-14
[17]
웹사이트
United Arab Emirates: Emirates & Major Citie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citypopulatio[...]
2018-07-31
[18]
웹사이트
Fujairah - The Official Portal of the UAE Government
https://u.ae/en/abou[...]
2022-05-14
[19]
서적
From Trucial States to United Arab Emirates : a society in transition
Motivate
2005
[20]
서적
The Origins of the United Arab Emirates : a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of the Trucial States.
Taylor and Francis
2016
[21]
웹사이트
Fujairah Freezone
http://www.fujairahf[...]
2006-05-22
[22]
웹사이트
Free Zone Dubai, UAE - Jebel Ali Free Zone (Jafza)
http://www.jafza.ae/
2006-05-22
[23]
뉴스
Habshan-Fujairah pipeline starts pumping crude oil
http://gulfnews.com/[...]
2012-06-21
[24]
뉴스
Abu Dhabi – Fujairah crude pipeline inaugurated
http://www.arabianoi[...]
2012-07-15
[25]
웹사이트
Fujairah Health Insurance
https://www.uae-medi[...]
2019-01-06
[26]
뉴스
Fujairah residents call for better public transport
http://www.thenation[...]
2014-09-14
[27]
뉴스
Mansour bin Zayed opens new Dubai - Fujairah highway
http://www.khaleejti[...]
2011-12-03
[28]
웹사이트
UAE Weekend Switchover
https://web.archive.[...]
AMEinfo
[29]
웹사이트
UAE to move weekend to Saturday and Sunday to align with global markets
https://www.pinsentm[...]
2023-08-28
[30]
웹사이트
Citypopulation.de/UAE
http://citypopulatio[...]
2017-02-03
[31]
웹사이트
湾岸諸国の架け橋に UAEで進む鉄道計画
https://www.afpbb.co[...]
AFP
2021-07-10
[32]
웹인용
UAE: Emirates
http://www.citypopul[...]
2022-03-12
[33]
웹인용
Fujairah - the Official Portal of the UAE Government
https://u.ae/en/abou[...]
2022-05-14
[34]
웹인용
Climate Yearly Period (Data Table)
http://www.ncms.ae/e[...]
Ministry of Presidential Affairs
2017-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