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카이오케라톱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카이오케라톱스는 백악기에 아시아에서 살았던 각룡류 공룡의 한 속이다. 뿔이 없고 머리 뒤에 짧은 프릴이 있으며, 뾰족한 부리와 부리에 이빨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1997년 둥즈밍과 아즈마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며, 현재까지 A. oshimai와 A. yujingziensis의 두 종이 알려져 있다. 아르카이오케라톱스는 아르카이오케라톱스과에 속하며,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호모 안테세소르
호모 안테세소르는 약 120만 년 전에서 80만 년 전 유럽에 살았던 호모 속의 멸종된 종으로, 스페인 아타푸에르카 산맥의 화석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단순한 석기 도구 사용, 동물 사냥, 식인 풍습 등의 특징을 보인다. - 199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
약 250만 년 전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는 450cc 정도의 뇌 용적과 큰 어금니, 소구치를 가지며, 초기 도구 사용 흔적과 함께 발견되어 도구 사용과의 연관성이 제시되고, 종명은 아파르어로 "놀라움"을 뜻한다. - 백악기 전기 아시아의 공룡 - 시노사우롭테릭스
시노사우롭테릭스는 초기 백악기 압트절에 살았던 작은 이족 보행 수각류 공룡으로, 깃털 화석이 발견된 최초의 공룡이며, 꼬리의 띠 색깔과 콤프소그나투스와 유사한 구조, 긴 꼬리가 특징이다. - 백악기 전기 아시아의 공룡 - 프시타코사우루스
프시타코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앵무새 부리 모양의 특징을 가진 조반류 공룡 속으로, 다양한 종과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생태 및 진화 연구에 기여한다. - 각룡하목 - 바가케라톱스
바가케라톱스는 백악기에 몽골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작은 크기의 원시각룡 공룡으로, 부리와 뿔이 없고 어금니와 비슷한 이빨을 가졌으며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각룡하목 - 프시타코사우루스
프시타코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앵무새 부리 모양의 특징을 가진 조반류 공룡 속으로, 다양한 종과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생태 및 진화 연구에 기여한다.
아르카이오케라톱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rchaeoceratops |
명명자 | Dong & Azuma, 1997년 |
속 | 아르카이오케라톱스속 |
종 | †A. oshimai †A. yujingziensis |
형태 | |
크기 | 약 0.9m |
무게 | 약 10kg |
생존 시기 | |
시기 | 전기 백악기, |
분류 | |
상목 | 공룡상목 |
목 | †조반목 |
목 계급 없음 | 각각류 |
아목 | 주식두아목 |
하목 | 각룡하목 |
과 | 아르카이오케라톱스과 |
2. 발견 및 종
두 개의 표본이 중국 북중부 간쑤성 마종산 지역의 공포취안 분지에 있는 신민바오 그룹의 중회색층에서 발견되었다.[3] 모식종인 ''A. oshimai''는 1997년 둥즈밍과 아즈마에 의해 명명되었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최초의 기초 신각룡류이다.
모식 표본인 IVPP V11114는 두개골, 꼬리뼈, 골반, 그리고 뒷발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완전한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표본(공식표본)인 IVPP V11115는 비교적 잘 보존된 꼬리뼈, 부분적인 뒷다리, 그리고 완전히 보존된 발을 가진 불완전한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모식표본보다 약간 작다.
2. 1. 아르카이오케라톱스 오시마이 (''A. oshimai'')
모식종인 ''A. oshimai''는 1997년에 둥즈밍과 아즈마에 의해 명명되었다.[12] 이 종은 중국 북중부 간쑤성 마종산 지역의 공포취안 분지에 있는 신민바오 그룹의 중회색층에서 발견된 최초의 기초 신각룡류이다.[3]
모식 표본인 IVPP V11114는 두개골, 꼬리뼈, 골반, 그리고 뒷발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완전한 골격이다. 두 번째 표본(공식표본)인 IVPP V11115는 비교적 잘 보존된 꼬리뼈, 부분적인 뒷다리, 그리고 완전히 보존된 발을 가진 불완전한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식표본보다 약간 작다.
종명인 "오시마이"(oshimai)는 중일 실크로드 발굴 조사를 지원한 주니치 신문의 오시마 히로히코 고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2. 2. 아르카이오케라톱스 유진지엔시스 (''A. yujingziensis'')
2010년에 기재된 아르카이오케라톱스 유진지엔시스(''A. yujingziensis'')는 부모식표본 IVPP V11115를 기준으로 하며, 불완전한 골격, 상대적으로 잘 보존된 꼬리 부분과 뒷다리 일부, 그리고 잘 보존된 발로 구성되어 있다.[12][3] 모식표본보다는 조금 작다.[12][3]3. 특징
아르카이오케라톱스는 뿔이 없고 머리 뒤에 짧은 프릴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6] 조류와 같이 뾰족한 부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부리에는 이빨이 있었다.[7] 원시적인 특징으로 입 앞쪽에 이빨이 있었으며,[6] 위턱과 아래턱의 이빨 모양이 서로 달랐다. 위턱의 이빨은 프로토케라톱스와 유사하고, 아래턱의 이빨은 프시타코사우루스와 유사하다. 몸은 전체적으로 가늘고 네 발로 걷는 것도 가능했지만, 각룡류로서는 드물게 미크로케라투스와 마찬가지로 두 발로 걸었다.[8]
4. 분류
아르카이오케라톱스는 백악기에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 번성했던 초식성 공룡으로 앵무새같은 부리를 가지고 있었던 각룡류(케라톱시아 Ceratopsia: 뿔이 있는 얼굴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에 속한다.[4] 1997년에 동과 아주마는 아르카이오케라톱스를 새로운 과인 '''아르카이오케라톱스과'''(Archaeoceratopsidae)로 분류했다.[4] 헬리오케라톱스와 아마도 야마케라톱스도 아르카이오케라톱스과의 구성원으로 밝혀졌다.[4]
5. 식성
아르카이오케라톱스는 다른 각룡류와 마찬가지로 초식성이었다. 백악기에는 속씨식물이 지리적으로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당시 주된 식물이었던 양치류, 소철 및 구과 식물을 먹었던 것으로 보인다. 날카로운 부리를 이용해 나무의 잎을 잘라내어 삼켰을 것이다.
참조
[1]
서적
New Perspectives on Horned Dinosaurs: The Royal Tyrrell Museum Ceratopsian Symposium
Indiana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논문
Biostratigraphy and palaeoenvironment of the dinosaur-bearing sediments in Lower Cretaceous of Mazongshan area, Gansu Province, China
http://doc.rero.ch/r[...]
[4]
논문
A New Basal Neo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Middle Cretaceous of Jilin Province, China
[5]
문서
『恐竜 新版』
[6]
문서
『恐竜 新訂版』
[7]
웹사이트
福井県立恐竜博物館 標本データベース『アーケオケラトプス・オオシマイ』
http://www.dinosaur.[...]
[8]
문서
『恐竜』
[9]
문서
『恐竜』
[10]
웹사이트
Dinosauria Translation and Pronunciation Guide A
http://www.dinosauri[...]
[11]
서적
New Perspectives on Horned Dinosaurs: The Royal Tyrrell Museum Ceratopsian Symposium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2]
간행물
Biostratigraphy and palaeoenvironment of the dinosaur-bearing sediments in Lower Cretaceous of Mazongshan area, Gansu Province,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