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빌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빌라는 스페인 중부 고원지대에 위치한 도시로, 해발 1,132m의 높은 고도에 자리 잡고 있다. 스페인 주도 중 가장 높은 곳이며, 주변은 황량한 고원과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아빌라는 따뜻한 여름 지중해성 기후와 차가운 반건조 기후의 경계에 있으며, 겨울은 춥고 눈이 내린다. 주요 랜드마크는 11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건설된 웅장한 아빌라 성벽으로, 1985년 구시가지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주요 건축물로는 아빌라 대성당, 산 비센테 성당, 산호세 수녀원 등이 있으며, 매년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아빌라 기차역은 마드리드 등 주요 도시와 연결되며, 가장 가까운 공항은 아돌포 수아레스 마드리드-바라하스 공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세계유산 - 사그라다 파밀리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건설 중인 사그라다 파밀리아는 안토니 가우디가 설계한 가톨루냐 모더니즘 건축의 대표작으로, 예수의 탄생, 수난, 영광을 상징하는 파사드와 첨탑으로 구성될 가톨릭 대성당이며, 관광객 입장료와 기부금으로 건설되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바르셀로나의 상징이다.
  • 스페인의 세계유산 - 구엘 공원
    구엘 공원은 에우세비 구엘 백작의 후원으로 시작되어 안토니 가우디의 자연주의 건축 양식이 돋보이는 건축물과 조형물들을 갖춘,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마드리드
    마드리드는 스페인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메세타 고원에 위치하여 풍부한 역사와 문화, 밤문화, 미술관, 스포츠 클럽으로 유명하며 국제기구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도시 - 비야레알
    비야레알은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세라믹 타일 제조업이 발달하고 프리메라리가 축구팀 비야레알 CF의 연고지이며, 산 파스콸 바실리카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 스페인의 도시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아빌라 - [지명]에 관한 문서

2. 지리



아빌라는 스페인 중부 고원지대에 위치하며, 아다하 강(두에로 강의 지류) 우측 기슭의 바위 언덕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스페인에서 가장 높은 주도(해발 1,132m)이며,[6] 주변은 황량하고 건조한 고원과 높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다.[6]

아빌라는 거대한 황무지 한가운데 갑자기 솟아오른 바위 언덕의 평평한 정상에 세워져 있다.[6] 주변에는 큰 회색 바위들이 흩어져 있고 높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다.[6]

해발 1,117m 고도에 위치하며, 스페인 주도 중 가장 높은 곳에 있고,[26][29][34] 유럽의 주교 관할구역 중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32] 황야 한가운데 갑자기 솟아오른 바위산의 평평한 꼭대기에 세워져 있다. 바위산은 갈색의 건조한 민둥산이며, 큰 회색 둥근 돌이 굴러다니고, 험준한 산악 지대에 둘러싸여 있다. [26]

자연이 풍부하며, 스키, 등산, 사냥, 낚시 등의 레저를 1년 내내 즐길 수 있다.[34]

```

아빌라 기후표 (1981-2010년 평균, 1983-현재 극값)[47], (1991-2020년 평균, 1983-현재 극값)[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9.619.822.626.630.635.637.637.436.029.222.419.437.6
평균 최고 기온 °C7.69.412.614.318.524.628.527.923.416.911.28.417.0
일 평균 기온 °C3.04.36.78.512.517.420.620.216.511.46.44.011.0
평균 최저 기온 °C-1.6-0.80.82.76.410.212.612.49.65.91.7-0.45.0
최저 기온 기록 °C-16.0-12.0-13.2-8.6-4.6-1.01.01.4-3.0-5.4-14.0-13.4-16.0
평균 강수량 mm342423405533121930534842416
평균 강수일수 (≥ 1 mm)65489523487767
평균 강설일수54220000002320
평균 상대 습도 (%)78726363595143455669787963
평균 월간 일조시간1331542122232533123533222441821311172636



```

아빌라는 따뜻한 여름 지중해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sb'')와 차가운 반건조 기후(''BSk'')의 경계에 위치한다.[7] 여름은 따뜻하고 겨울은 춥고 눈이 내린다. 7월 평균 기온은 20.6°C이고, 1월 평균 기온은 3.0°C이다.[7] 연평균 강수량은 416mm로 주변 지역보다 적어 강우 그림자 지역에 해당한다.[7] 아다하 강은 1년 중 몇 달 동안 건조하며, 도시는 역사적으로 물 공급 문제를 겪어왔다.

아빌라는 해발 1,132m의 높은 고도에 위치하여 스페인 주도 중 가장 추운 겨울 최저 기온을 기록한다.[26][29][34] 또한 유럽의 주교 관할구역 중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32] 황야 한가운데 갑자기 솟아오른 바위산의 평평한 꼭대기에 세워져 있으며, 주변은 갈색의 건조한 민둥산과 큰 회색 둥근 돌, 험준한 산악 지대로 둘러싸여 있다.[26]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겨울은 길고 혹독하며, 여름은 짧은 극단적인 기후가 나타난다.[26]

2. 1. 기후

아빌라는 따뜻한 여름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b'')와 차가운 반건조 기후(''BSk'')의 경계에 위치한다.[7] 여름은 따뜻하고 겨울은 춥고 눈이 내린다. 7월 평균 기온은 20.6°C이고, 1월 평균 기온은 3.0°C이다.[7] 연평균 강수량은 416mm로 주변 지역보다 적어 강우 그림자 지역에 해당한다.[7] 아다하 강은 1년 중 몇 달 동안 건조하며, 도시는 역사적으로 물 공급 문제를 겪어왔다.

아빌라는 해발 1,132m의 높은 고도에 위치하여 스페인 주도 중 가장 추운 겨울 최저 기온을 기록한다.[26][29][34] 또한 유럽의 주교 관할구역 중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32] 황야 한가운데 갑자기 솟아오른 바위산의 평평한 꼭대기에 세워져 있으며, 주변은 갈색의 건조한 민둥산과 큰 회색 둥근 돌, 험준한 산악 지대로 둘러싸여 있다.[26]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겨울은 길고 혹독하며, 여름은 짧은 극단적인 기후가 나타난다.[26]

아빌라에서는 자연을 활용한 스키, 등산, 사냥, 낚시 등의 레저 활동을 1년 내내 즐길 수 있다.[34]

아빌라 기후표 (1981-2010년 평균, 1983-현재 극값)[47], (1991-2020년 평균, 1983-현재 극값)[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 (°F)19.619.822.626.630.635.637.637.436.029.222.419.437.6
평균 최고 기온 °C (°F)7.69.412.614.318.524.628.527.923.416.911.28.417.0
일 평균 기온 °C (°F)3.04.36.78.512.517.420.620.216.511.46.44.011.0
평균 최저 기온 °C (°F)-1.6-0.80.82.76.410.212.612.49.65.91.7-0.45.0
최저 기온 기록 °C (°F)-16.0-12.0-13.2-8.6-4.6-1.01.01.4-3.0-5.4-14.0-13.4-16.0
평균 강수량 mm (인치)342423405533121930534842416
평균 강수일수 (≥ 1 mm)65489523487767
평균 강설일수54220000002320
평균 상대 습도 (%)78726363595143455669787963
평균 월간 일조시간1331542122232533123533222441821311172636


3. 역사

기원전 5세기경, 켈트계 베토네스족이 이곳에 거주하며 '오빌라'(Obila, 높은 산)라고 불렀고, 그들의 가장 강력한 요새 중 하나를 건설했다.[9] 인근에서는 청동기 시대 멧돼지 돌상(베라시오)이 발견되었다.

산 비센테 문 근처 로마 시대 유적


로마 제국 시대에는 '아빌라'(Abila) 또는 '아벨라'(Abela)로 불렸다. 도시 계획은 전형적인 로마식으로, 직사각형 모양에 두 개의 주요 거리(카르도와 데쿠마누스)가 중앙의 포룸에서 교차하는 형태였다. 동쪽과 남쪽 입구(현재 알카사르 문과 라스트로 문)의 성벽에 박혀 있는 로마 유적은 석재 제단석으로 보인다.[11]

전승에 따르면, 1세기에 세쿤두스가 로마 속주 히스파니아 바에티카를 경유하여 아빌라에 복음을 전파하고 첫 번째 주교가 되었다.[12]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아빌라는 서고트족의 거점이 되었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아빌라는 서고트족의 거점이 되었다.[13] 이후 무어인(아랍인)에게 정복되었으나, 북쪽 이베리아 기독교 왕국의 공격을 받아 사실상 무인지대가 되었다.[13] 1088년경 레온과 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의 사위인 부르고뉴의 레이몽이 이 지역을 완전히 재정복하고 재개척하였다.[13] 그는 카산드로 로마노와 플로린 드 피투엔가를 고용하여 돌로 된 국경 도시를 건설하고 현재까지 남아 있는 성벽을 건설했다.[13]

아빌라에는 중세 시대에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으며, 1144년에 처음으로 그 존재가 기록되었다.[14] 13세기 말까지 아빌라의 유대인 인구는 카스티야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였다.[14] 1375년 아빌라의 유대인들은 발라돌리드의 후안과 토르데시야스의 모세 하-코헨 사이의 종교 논쟁을 지켜봐야 했다.[14] 그러나 1492년 스페인 유대인 추방령 이후 유대인 공동체는 사라졌다.[14]

16세기에 성녀 테레사 등의 수도원 개혁의 중심지가 되어, "성자들의 아빌라"라는 별칭으로 불렸다.[30] 동시대에 일어난 콤네로스의 난에서는, 도시는 스페인 왕 카를로스 1세에 적대하는 입장에 섰다.[30] 1520년 8월 1일, 코무네로스 봉기 동안 이 도시는 산타 후이타(Santa junta)(성스러운 통치 위원회)의 첫 번째 회의 장소가 되었다.[15] 아빌라 후이타는 1520년 여름 아빌라 대성당에서 '프로젝토 데 레이 페르페투아'(Proyecto de Ley Perpetua)를 작성하여 왕실의 승인이나 참석 없이 3년마다 도시가 모여 세금을 결정하고 정부 활동에 대한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도록 했다.[16][17]

17세기 초, 도시에 살던 모리스코(가톨릭으로 개종한 이슬람교도)가 추방된 후 경제 활동이 쇠퇴했다.[30][32]

16세기 초, 아빌라는 가톨릭 군주 치하에서 번영기를 맞이했다.[15] 1520년 코무네로스 봉기 당시, 산타 후이타(성스러운 통치 위원회)Santa junta의 첫 회의가 아빌라에서 열렸다.[15] 아빌라 후이타는 아빌라 대성당에서 '프로젝토 데 레이 페르페투아'(Proyecto de Ley Perpetua)를 작성했는데, 이는 왕권 견제를 위한 일종의 헌법 초안이었다.[16][17] 이 초안은 왕실의 승인이나 참석 없이 3년마다 도시가 모여 세금을 결정하고 정부 활동에 대한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6][17]

같은 시기, 아빌라의 테레사(1515년-1582년)는 카르멜회 수도원 개혁을 주도했다.[30] 그녀의 활동으로 아빌라는 '성자들의 아빌라'라는 별칭을 얻었으며,[30] 가톨릭 신앙의 거점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1] 성벽 밖에는 테레사가 전반생을 보낸 엥카르나시온 수도원과 테레사가 처음으로 건립한 산 호세(라스 마드레스) 수도원이 있다. 엥카르나시온 수도원에는 박물관이 병설되어 테레사와 관련된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다. 그녀가 태어났다고 하는 곳에는 산타 테레사라는 이름의 수도원과 교회가 세워졌으며, 수도원에는 테레사의 손가락이 안치되어 있다.[26]

17세기 초, 아빌라는 모리스코(가톨릭으로 개종한 이슬람교도) 추방으로 인해 경제 활동이 쇠퇴했다.[30][32] 1807년 대학이 폐지되면서 도시의 쇠퇴는 가속화되었다.[33]

19세기 마드리드-이룬 간 철도 건설로 아빌라의 인구가 증가했다.[13] 1936년 스페인 내전 발발 당시, 이 도시는 반군 부대에 의해 점령되었다.[13] 프랑코 통치하에서 아빌라는 더딘 성장을 보였으나, 아돌포 수아레스와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같은 정치인을 배출했다.[13] 아스나르는 코르테스에서 아빌라를 대표했지만, 아빌라 출신은 아니었다.[13]

3. 1. 고대

기원전 5세기경, 켈트계 베토네스족이 이곳에 거주하며 '오빌라'(Obila, 높은 산)라고 불렀고, 그들의 가장 강력한 요새 중 하나를 건설했다.[9] 인근에서는 청동기 시대 멧돼지 돌상(베라시오)이 발견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아빌라'(Abila) 또는 '아벨라'(Abela)로 불렸다. 도시 계획은 전형적인 로마식으로, 직사각형 모양에 두 개의 주요 거리(카르도와 데쿠마누스)가 중앙의 포룸에서 교차하는 형태였다. 동쪽과 남쪽 입구(현재 알카사르 문과 라스트로 문)의 성벽에 박혀 있는 로마 유적은 석재 제단석으로 보인다.[11]

전승에 따르면, 1세기에 세쿤두스가 로마 속주 히스파니아 바에티카를 경유하여 아빌라에 복음을 전파하고 첫 번째 주교가 되었다.[12]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아빌라는 서고트족의 거점이 되었다.

3. 2. 중세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아빌라는 서고트족의 거점이 되었다.[13] 이후 무어인(아랍인)에게 정복되었으나, 북쪽 이베리아 기독교 왕국의 공격을 받아 사실상 무인지대가 되었다.[13] 1088년경 레온과 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의 사위인 부르고뉴의 레이몽이 이 지역을 완전히 재정복하고 재개척하였다.[13] 그는 카산드로 로마노와 플로린 드 피투엔가를 고용하여 돌로 된 국경 도시를 건설하고 현재까지 남아 있는 성벽을 건설했다.[13]

아빌라에는 중세 시대에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으며, 1144년에 처음으로 그 존재가 기록되었다.[14] 13세기 말까지 아빌라의 유대인 인구는 카스티야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였다.[14] 1375년 아빌라의 유대인들은 발라돌리드의 후안과 토르데시야스의 모세 하-코헨 사이의 종교 논쟁을 지켜봐야 했다.[14] 그러나 1492년 스페인 유대인 추방령 이후 유대인 공동체는 사라졌다.[14]

16세기에 성녀 테레사 등의 수도원 개혁의 중심지가 되어, "성자들의 아빌라"라는 별칭으로 불렸다.[30] 동시대에 일어난 콤네로스의 난에서는, 도시는 스페인 왕 카를로스 1세에 적대하는 입장에 섰다.[30] 1520년 8월 1일, 코무네로스 봉기 동안 이 도시는 산타 후이타(Santa junta)(성스러운 통치 위원회)의 첫 번째 회의 장소가 되었다.[15] 아빌라 후이타는 1520년 여름 아빌라 대성당에서 '프로젝토 데 레이 페르페투아'(Proyecto de Ley Perpetua)를 작성하여 왕실의 승인이나 참석 없이 3년마다 도시가 모여 세금을 결정하고 정부 활동에 대한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도록 했다.[16][17]

17세기 초, 도시에 살던 모리스코(가톨릭으로 개종한 이슬람교도)가 추방된 후 경제 활동이 쇠퇴했다.[30][32]

3. 3. 근세

16세기 초, 아빌라는 가톨릭 군주 치하에서 번영기를 맞이했다.[15] 1520년 코무네로스 봉기 당시, 산타 후이타(성스러운 통치 위원회)Santa junta의 첫 회의가 아빌라에서 열렸다.[15] 아빌라 후이타는 아빌라 대성당에서 '프로젝토 데 레이 페르페투아'(Proyecto de Ley Perpetua)를 작성했는데, 이는 왕권 견제를 위한 일종의 헌법 초안이었다.[16][17] 이 초안은 왕실의 승인이나 참석 없이 3년마다 도시가 모여 세금을 결정하고 정부 활동에 대한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6][17]

같은 시기, 아빌라의 테레사(1515년-1582년)는 카르멜회 수도원 개혁을 주도했다.[30] 그녀의 활동으로 아빌라는 '성자들의 아빌라'라는 별칭을 얻었으며,[30] 가톨릭 신앙의 거점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1] 성벽 밖에는 테레사가 전반생을 보낸 엥카르나시온 수도원과 테레사가 처음으로 건립한 산 호세(라스 마드레스) 수도원이 있다. 엥카르나시온 수도원에는 박물관이 병설되어 테레사와 관련된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다. 그녀가 태어났다고 하는 곳에는 산타 테레사라는 이름의 수도원과 교회가 세워졌으며, 수도원에는 테레사의 손가락이 안치되어 있다.[26]

17세기 초, 아빌라는 모리스코(가톨릭으로 개종한 이슬람교도) 추방으로 인해 경제 활동이 쇠퇴했다.[30][32] 1807년 대학이 폐지되면서 도시의 쇠퇴는 가속화되었다.[33]

3. 4. 근현대

19세기 마드리드-이룬 간 철도 건설로 아빌라의 인구가 증가했다.[13] 1936년 스페인 내전 발발 당시, 이 도시는 반군 부대에 의해 점령되었다.[13] 프랑코 통치하에서 아빌라는 더딘 성장을 보였으나, 아돌포 수아레스와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같은 정치인을 배출했다.[13] 아스나르는 코르테스에서 아빌라를 대표했지만, 아빌라 출신은 아니었다.[13]

4. 건축

아비라는 “아비라 구시가지와 시벽 외부의 교회군”으로 1985년에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구시가지의 는 로마 시대부터 마을의 중심지였으며, 시청이 있다.[38] 비토리아 광장은 “승리의 광장”을 의미하며,[39] 비토리아 광장에서 알카사르 문 사이에는 많은 상점과 음식점이 늘어서 있으며, 근처에는 신선 식료품을 취급하는 시장이 있다.[38]

아비라에는 이슬람교도에 의한 성(알카사르)과 그 이름을 딴 성문도 있으며, 군의 숙영지, 고아원, 병원, 사관학교, 사범학교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1482년부터 1807년에는 대학교도 있었다. 알카사르 문 근처에 있는 카르보 소테로 광장에는 베톤족에 의한 동물의 석상이 있다.

마을에는 중세·르네상스 시대에 지어진 저택이 많이 남아 있으며, 마을 남쪽에는 13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건설된 7개의 주택군 “다비라의 저택”이 있다. 르네상스 양식의 파사드와 고딕 양식의 중정 아치가 특징적인 데아네스의 저택은 미술관이 되어 있다.[33]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 가구류는 옛 귀족들의 화려한 생활을 떠올리게 한다.[33]

아비라의 시벽은 갈색 화강암과 로마 제국, 서고트 왕국 시대의 성벽으로 만들어졌으며,[29] 위에는 흉벽이 나란히 있다. 88개의 탑과 9개의 문이 있으며, 시가의 대부분은 시벽 밖으로 펼쳐져 있다. 성벽은 여러 차례의 개축과 수리를 거쳐 잘 보존되어 있다.[29] 총 길이 약 2.5km, 평균 높이 12m, 두께 약 3m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26] 성벽은 로마 제국 시대에 건설된 돌담의 흔적을 따라 세워졌다.[36] 이슬람교도로부터 아비라를 탈환한 카스티야-레온 왕 알폰소 6세는, 마을의 방어를 신속하게 정비하기 위해 로마 시대의 성벽, 성문, 탑의 범위를 이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37]

4. 1. 아빌라 성벽

아빌라의 주요 랜드마크는 웅장한 아빌라 성벽이다.[18] 1090년에 착공되어 11세기~14세기에 건설되었다.[18] 성벽 안의 면적은 31ha이며, 둘레는 2,516m, 반원형 탑 88개, 2,500개의 머즐릿(머티언), 두께 3m, 평균 높이 12m의 성벽과 9개의 문이 있다.[18] 성벽은 로마 제국 시대에 건설된 돌담의 흔적을 따라 세워졌으며,[36] 갈색 화강암과 로마 제국, 서고트 왕국 시대의 성벽으로 만들어졌다.[29] 위에는 흉벽이 나란히 있다. 성벽은 여러 차례의 개축과 수리를 거쳐 잘 보존되어 있다.[29]

이 성벽은 세계에서 가장 크게 조명된 기념물이다. 성벽의 약 절반은 걸어서 돌아볼 수 있다.

아빌라 성벽


4. 2. 아빌라 대성당

아빌라 대성당 전경


아빌라 대성당 건설은 1107년 알바르 가르시아 데 에스트렐라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전해지나, 12세기에 석공 프루켈의 작품이라고도 알려져 있다.[40] 이는 부르고뉴의 라몬이 이끈 도시 재건과 일치한다. 도시 성벽의 일부를 이루는 동쪽 후진은 절반은 교회, 절반은 요새이며, 충성스러운 시민들이 바로 이곳에서 알폰소 7세를 왕으로 추대했기 때문에 "델 레이(왕의)"라는 이름이 붙었다. 1350년 산초 데 아빌라 주교에 의해 트랜셉트가 완공되었다.[40] 초기 로마네스크 양식 부분은 눈에 띄는 빨강과 흰색의 "피"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지만 고딕 양식 부분은 순수한 흰색 돌로 지어졌다.

  • '''북쪽 파사드''': 왼쪽은 고딕 양식, 오른쪽은 추가된 르네상스 양식. 사도들의 현관.
  • '''서쪽 정면''': 부르고뉴 양식, 두 개의 탑이 지붕이 있는 현관을 형성한다.
  • '''내부''': 라틴 십자가 형태의 세 개의 신랑, 교차부 및 회랑.
  • '''주제단 예배당''': 페드로 베루게테의 기념비적인 제단화를 특징으로 한다.
  • '''산 세군도 예배당''': 첫 번째 주교. 순례의 기둥에 붙어 있다. 르네상스 양식.
  • '''산타 카탈리나 예배당''': 석고로 만들어졌다.
  • '''합창단과 로드 스크린''': 르네상스 양식으로, 성인들의 장면을 묘사하는 부조로 장식되어 있으며, 석회암으로 조각되어 있다. 1499년 주교였던 알론소 토스타도 데 마드리가의 석고 무덤은 글을 쓰는 모습으로 회랑에 있다.
  • '''회랑''': 남쪽 통로의 문을 통해 로마네스크 대성당에서 접근할 수 있다. 고딕 양식.


대성당 내부에는 많은 조각과 회화가 있으며, 1571년 후안 데 알페가 제작한 은으로 된 성체 용기 옆에 놓여 있다.[41] 대성당에는 조각가 바스코 데 라 로사가 만든 묘비와 성궤가 안치되어 있는데, 예술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41]

4. 3. 산 비센테 성당

산 비센테 성당


산 비센테 성당은 12세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14세기까지 이어진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당이다.[42] 설계는 프랑스의 거장 지랄 프루셸(Giral Fruchel)에게 돌려졌으며, 그는 스페인 고딕 양식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 성당은 라틴 십자형 평면에 세 개의 신랑, 돔, 트리뷴, 세 개의 앱스, 아트리움, 두 개의 탑, 그리고 지하 납골당을 갖추고 있다. 모든 정면과 그 주변 환경은 높은 예술적 가치를 지닌다.[42]

내부는 세 개의 신랑을 가진 라틴 십자형 공간이며, 기둥은 그리스 십자형이고 머리 부분에 반원형 기둥이 있다. 지하 납골당은 세 개의 예배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회의 세 개의 앱스는 주로 로마네스크 양식이며, 가장 뛰어난 주두를 가지고 있다.

성당의 중심에 있는 성 아빌라의 비센테(San Vicente de Ávila)와 그의 자매들인 성녀 사비나(Sabina)와 성녀 크리스테타(Cristeta)의 순교를 보여주는 성인 형제 순교자들의 묘비(Cenotafio de los santos Vicente, Sabina y Cristeta)는 스페인 로마네스크 조각의 걸작 중 하나로 꼽힌다.[42] 성당에는 다윗 왕과 성녀 사비나의 조각상이 있는데, 알폰소 6세와 그의 딸 우라카를 모델로 했다고 알려져 있다.[43] 성당에 세워진 후기 로마네스크 양식의 문은 사도들의 작은 조각상으로 장식되어 있다.

4. 4. 산호세 수녀원

산호세 수녀원


산호세 수녀원(Convento de San José)은 예수의 성녀 데레사가 세운 최초의 맨발 카르멜회 수녀 수도원이다. 이 수녀원은 1562년에 건립되었지만, 가장 중요한 건축 요소인 교회는 1607년에 건립되었다. 교회는 건축가 프란시스코 데 모라(1553–1610)가 설계하였다. 1968년부터 국가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4. 5. 기타 건축물

산 페드로 교회는 알카사르 문 앞, 메르카도 그란데 광장(광장) 밖 성벽 바깥에 위치해 있으며, 산 비센테 교회와 유사한 구조를 지녔다. 산 세군도 예배당은 아빌라 서쪽, 시 외곽 아다하 강 오른쪽 강둑에 위치하며, 후안 데 후니(Juan de Juni)의 알라바스터상이 있다. 16세기에 지어진 돈 디에고 델 아길라 궁전은 성벽 방어 역할을 했다. 산토 토마스 왕립 수도원(Real Monasterio de Santo Tomás)은 15세기 후반에 지어진 도미니크 수도회 수도원으로, 아빌라에서 가장 중요한 기념물 중 하나이다.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쏜솔레스 성소(Santuario de Nuestra Señora de Sonsoles)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손솔레스 성소에는 아빌라의 공동 수호 성인인 손솔레스 성모 조각상이 있다. 주목할 만한 세속 건축물로는 발데라바노스 궁전(15세기), 데아네스 가(家) 저택(16세기, 현재 미술관), 구즈만네스 망루, 베르두고스 궁전(15-16세기) 등이 있다.

컨벤션 센터 Lienzo Norte는 2009년 완공된 현대적인 스타일의 건물이다.

5. 문화

5. 1. 박물관

아빌라 박물관, 라 엔카르나시온 박물관, 산타 테레사 박물관, 대성당 박물관, 산토 토마스 박물관, 동양 미술 박물관, 자연 과학 박물관이 있다.[19] 카프로티 박물관은 1916년부터 아빌라에 거주했던 이탈리아 화가 과이도 카프로티(1887-1966)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19] 라 엔카르나시온 박물관과 산타 테레사 박물관은 카르멜회의 개혁자 아빌라의 테레사(1515년-1582년)와 관련된 전시물을 전시하고 있다.[26][46]

5. 2. 축제

겨울 추위 이후 첫 번째 공개 축제는 성주간이다. 아빌라의 성주간은 국제적인 관광 명소로 여겨지며, 수많은 행렬이 아빌라 시내 성벽을 따라 진행된다. 성주간 행렬에는 15개 또는 12개의 수도회가 참여한다.

아빌라의 축일은 10월 15일(성녀 테레사 축일)과 5월 2일(산 세군도 축일)이다. 산타 테레사 축제는 10월 한 달 내내 이어지는데, 시장이 마요르 광장에서 유명인사와 함께 선포식을 거행하고, 같은 장소에서 유명 가수들의 음악 공연이 열린다. 축제 프로그램에는 여러 음악회, 놀이공원, 투우, 파사칼리아, 팬 그룹의 행렬, 초콜릿과 츄로스, 그리고 10월 15일 수호성인의 날에 집중되는 종교 행사가 포함된다. 주교가 주례하는 대규모 미사가 거행되고, 산타 테레사 성상과 라 카리다드 성모상을 앞세운 대규모 행렬이 이어진다. 아빌라 시민 및 군 관계자와 여러 군악대가 행렬에 참여하며, 행렬은 아빌라 대성당과 산타 테레사 교회 사이에서 진행된다. 전날에는 산타 테레사 교회에서 대성당으로 "소녀 행렬"이 이루어진다.

산타 테레사 축제 (행렬, 2007)

5. 3. 음식

아빌라 지역의 대표적인 요리로는 바르코 지역의 콩 요리인 후디아스 델 바르코, 아빌레냐-네그라 이베리카(Avileña-Negra ibérica) 토착 흑우로 만들어 육질이 뛰어난 아빌라의 추레톤(아빌라의 추레톤/Chuletón de Ávilaes), 파타타스 레볼코나스 (으깬 감자 요리), 산타 테레사의 계란과자 등이 있다.[46] 수도와 아레발로에서는 호르나소, 소시지, 베이컨, 스테이크, 계란이 들어간 번, 몰레하스 데 테르네라 또는 코치니요도 맛볼 수 있다. 산타 테레사의 계란과자는 계란 노른자와 설탕을 사용한 공 모양의 과자로, 아빌라의 명물로 알려져 있다.[46] 전통 제과점 "라 플로르 데 카스티야(La Flor de Castilla)"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다른 제과점에서는 "예마스 데 아빌라(Yemas de Ávila)" 또는 "예마스(Yemas)"라는 이름으로 생산된다.

6. 교통

아빌라 기차역


아빌라 기차역(Ávila Railway Station)은 마드리드 등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29] 가장 가까운 공항은 아돌포 수아레스 마드리드-바라하스 공항이다.[29] 마드리드에서는 A-6 고속도로를 통해 아빌라에 접근할 수 있다.

아빌라 시내에는 버스 서비스가 제공되며,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터미널도 있다.[29] 중앙 광장("엘 그란데") 지하에는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구시가지 내에서는 사유차량 통행이 금지되어 있으며, 성벽 외부에는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회전교차로가 많이 설치되어 있다. 순환 도로를 이용하면 자동차나 도보로 30분 안에 도시 전체를 횡단할 수 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대부분의 신호등이 회전교차로로 교체되었지만, 중심 지역에는 여전히 신호등이 남아있다.

아빌라와 마드리드는 기차와 버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두 교통수단 모두 2시간 이내에 아빌라에 도착할 수 있다.[29]

7. 자매 도시

아빌라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20][21][22][23][24]

참조

[1] 사전 Teresa of Ávila, St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9-00
[2] 웹사이트 Ávila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7-01
[3] 웹사이트 Castilla y León https://cvc.cervante[...] Instituto Cervantes|Centro Virtual Cervantes
[4] 웹사이트 What to do in Avila: Romanesque Avila http://www.avilaturi[...] 2022-09-00
[5] Youtube Orson Welles - Avila https://www.youtube.[...] 2021-12-05
[6] 백과사전 Ávila (city)
[7]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 Ávila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ica 2012-10-01
[8] 웹사이트 AEMET OpenData https://www.aemet.es[...] Aemet.es 2024-11-18
[9] 사전 Obila https://www.perseus.[...] 1854
[10] 웹사이트 Abulenses http://centrodeestud[...] Centro de estudios abulenses 2008-12-23
[11] 서적 Apuntes de Ávila http://www.avila.es/[...] Ayuntamiento de Ávila
[12] 서적 The Cathedrals of Northern Spain L.C. Page & Co.
[13] 서적 A handbook for travellers in Spain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4] 웹사이트 ávila https://www.jewishvi[...] 2024-06-25
[15] 학술지 Poderes urbanos y Comunidades de Castilla: la Junta de Salamanca a través de sus actas de sesiones (agosto de 1520-abril de 1521) http://www.lasalina.[...]
[16] 서적 Juana I
[17] 웹사이트 El sueño de una constitución comunera https://www.diariode[...] 2020-07-23
[18] 웹사이트 Qué ver en Ávila en un día https://viajardescub[...]
[19] 웹사이트 Estudio Caprotti http://www.patrimoni[...]
[20] 웹사이트 La capital tendrá otra ciudad hermana https://periodicocor[...] Periódico Correo 2014-10-20
[21] 웹사이트 Why Rhodes http://www.rhodes202[...] Rhodes 2020-06-10
[22] 웹사이트 Villes jumelles https://www.villeder[...] Rueil-Malmaison 2020-06-10
[23] 웹사이트 Useful info https://www.discover[...] Discover Teramo 2020-06-10
[24] 웹사이트 Avila – Espagne http://www.ville-vil[...] Villeneuve-sur-Lot 2020-06-10
[25]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municipios http://www.ine.es/ja[...]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3-08-14
[26] 서적 스페인
[27] 서적 세계유산지명어원사전 古今書院
[28] 서적 세계지명정보사전 東京書籍
[29] 서적 스페인 문화사전
[30] 서적 스페인·포르투갈을 아는 사전
[31] 서적 유네스코 세계유산 10 (남유럽)
[32] 서적 세계지명대사전 朝倉書店
[33] 서적 유네스코 세계유산 10 (남유럽)
[34] 서적 스페인·포르투갈
[35] 서적 添승원 히미츠의 참고서 매혹의 스페인
[36] 서적 ユネスコ世界遺産 10(南ヨーロッパ)
[37] 서적 添乗員ヒミツの参考書 魅惑のスペイン
[38] 서적 添乗員ヒミツの参考書 魅惑のスペイン
[39] 서적 スペイン・ポルトガルの古城 新装版
[40] 서적 ユネスコ世界遺産 10(南ヨーロッパ)
[41] 서적 ユネスコ世界遺産 10(南ヨーロッパ)
[42] 서적 添乗員ヒミツの参考書 魅惑のスペイン
[43] 서적 添乗員ヒミツの参考書 魅惑のスペイン
[44] 서적 ユネスコ世界遺産 10(南ヨーロッパ)
[45] 서적 ユネスコ世界遺産 10(南ヨーロッパ)
[46] 서적 お菓子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05-10
[47] 웹인용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Ávila http://www.aemet.es/[...] Aemet.es 2015-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