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아코끼리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코끼리속(Elephas)은 장비목 코끼리과에 속하는 속으로, 1758년 칼 린네에 의해 명명되었다. 현존하는 종으로는 아시아코끼리(Elephas maximus)가 있으며, 인도코끼리, 스리랑카코끼리, 수마트라코끼리, 보르네오코끼리 등이 아종으로 분류된다. 멸종된 종으로는 베이어리코끼리, 술라웨시난쟁이코끼리, 에코렌시스코끼리 등이 있다. 아시아코끼리는 아프리카코끼리보다 매머드와 더 가까운 계통 관계를 가지며, 가장 오래된 종은 에코렌시스코끼리로 추정된다. 아시아코끼리속 종들은 두개골에 독특한 돌출부가 있고, 상악골 뼈가 가늘어지는 형태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끼리 -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귀가 작으며 코 끝에 돌기가 있고,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코끼리 - 인도코끼리
    인도코끼리는 인도 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아시아코끼리의 아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볼록한 등, 회색 피부, 넓은 발, 큰 귀, 긴 코를 가지며, 초원과 숲에서 가족 무리를 이루어 사회생활을 하고, 서식지 침범과 밀렵으로 인해 보호 노력이 필요한 멸종위기종이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아시아코끼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
학명Elephas
명명자Linnaeus, 1758
모식종Elephas maximus
모식종 명명자Linnaeus, 1758
이명Hypselephas
화석 범위플라이오세 ~ 현재
하위 분류
Elephas maximus
†Elephas hysudricus (멸종)
†Elephas hysudrindicus (멸종)
†Elephas ekorensis? (멸종)
†Elephas planifrons (멸종)

2. 분류

스웨덴의 생물학자 칼 린네는 1758년 코끼리속(''Elephas'')이라는 학명을 처음 제안하고 실론(Ceylon)의 코끼리를 이 속에 포함시켰다.[12][29] 아시아코끼리속은 장비목(Proboscidea) 코끼리과(Elephantidae)에 속하며, 현재는 1종의 현존하는 종과 여러 멸종한 종으로 구성된다.[13][30]

현존하는 유일한 종은 아시아코끼리(*Elephas maximus*)이며, 이 종은 다시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1][27] 또한, 아시아코끼리속에는 여러 멸종된 종들이 포함되어 있다.

과거에는 레키코끼리 (''Elephas recki''), 나마디쿠스코끼리 (''Elephas namadicus''), 직선 상아 코끼리(''Elephas antiquus''), 팔코네리코끼리 (''Elephas falconeri''), 키프리오테스코끼리 (''Elephas cypriotes'') 등도 아시아코끼리속으로 분류되었으나, 이들은 현재 아프리카코끼리와 더 가까운 별개의 속인 팔레올록소돈 (''Palaeoloxodon'')으로 재분류되었다.[23] 마찬가지로 술라웨시난쟁이코끼리 (''Elephas celebensis'')는 현재 스테골록소돈 (''Stegoloxodon'') 속으로 분류된다.[25]

2. 1. 현존 종

아시아코끼리(''Elephas maximus'')는 현재 아시아코끼리속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종이다.[1][27] 아시아코끼리는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

아종학명비고
인도코끼리Elephas maximus indicus
스리랑카코끼리Elephas maximus maximus
수마트라코끼리Elephas maximus sumatranus
보르네오코끼리Elephas maximus borneensis제안되었지만 아직 유효한 아종으로 인정받지 못함[14][31]



다음은 과거에 아시아코끼리의 멸종된 아종으로 제안되었으나, 현재는 인도코끼리와 동일한 종(이명)으로 간주되는 아종들이다.[1][27]


  • 자바코끼리 (''Elephas maximus sondaicus'') †
  • 중국코끼리 (''Elephas maximus rubridens'') †
  • 시리아코끼리 (''Elephas maximus asurus'') †

2. 2. 멸종 종

다음은 아시아코끼리속(''Elephas'')에 속했거나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멸종된 종들이다.

  • 베이어리코끼리 (''Elephas beyeri'') – 1911년 구스타프 하인리히 랄프 폰 케니히스발트가 필리핀 루손섬에서 발견한 화석 유해를 바탕으로 기술된 왜소 코끼리 종이다.[15][32]
  • 에코렌시스코끼리 (''Elephas ekorensis'') – 케냐 투르카나(Turkana)의 쿠비 알기 지층(Kubi Algi Formation)에서 발견되었으며,[13][30] 초기 플리오세 시대에 서식했던 아시아코끼리속에서 가장 오래된 종 중 하나이다.[16]
  • 히수드리쿠스코끼리 (''Elephas hysudricus'') – 1845년 휴 팔코너와 프로비 코틀리가 인도 아대륙 북부 시왈리크 구릉에서 발견한 화석 유해를 바탕으로 기술되었으며,[17][34] 현존하는 아시아코끼리의 조상으로 여겨진다.[18]
  • 히수드린디쿠스코끼리 (''Elephas hysudrindicus'') – 자바섬의 플라이스토세 시대 화석 코끼리로, 자바코끼리 (''Elephas maximus sondaicus'')와는 다른 종이다.[19][35]
  • 플라니프론스코끼리 (''Elephas planifrons'') – 인도 아대륙의 후기 플리오세-초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살았던 가장 오래된 종 중 하나이다.[20]
  • 플라티케팔루스코끼리 (''Elephas platycephalus'') – 때때로 인도플라이스토세 시대 종으로 인정된다.[36]
  • 키앙난엔시스코끼리 (''Elephas kiangnanensis'') – 때때로 중국의 초기-중기 플라이스토세 시대 종으로 인정된다.[21][22]
  • 나와타엔시스코끼리 (''Elephas nawataensis'') – 케냐의 후기 마이오세-초기 플리오세 시대에 살았던 코끼리 종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 종이 ''Primelephas korotorensis''의 동의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5]
  • 아타부스코끼리 (''Elephas atavus'')? – 아프리카의 초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살았던 종으로, 전통적으로 ''Palaeoloxodon recki''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Palaeoloxodon''보다는 아시아코끼리속(''Elephas'')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24]
  • ''Elephas iolensis''[36]

과거 아시아코끼리속으로 분류되었으나 재분류된 종:

  • 술라웨시난쟁이코끼리 (''Elephas celebensis'') – 1949년 술라웨시섬에서 발견되었으나,[33] 현재는 ''Stegoloxodon'' 속으로 분류된다.[25]
  • 과거 아시아코끼리속으로 여겨졌던 레키코끼리 (''Elephas recki''), 나마디쿠스코끼리 (''Elephas namadicus''), 직선 상아 코끼리(''E. antiquus''), 팔코네리코끼리 (''Elephas falconeri''), 키프리오테스코끼리 (''Elephas cypriotes'') 등은 현재 아프리카코끼리와 더 가까운 별개의 속인 팔레올록소돈 (''Palaeoloxodon'')으로 분류된다.[23]

3. 진화 역사

DNA 연구에 따르면, 아시아코끼리는 아프리카코끼리(Loxodonta속)보다 매머드(Mammuthus속)와 더 가까운 공통 조상을 공유한다.[4] 아시아코끼리속(Elephas)에 속하는 가장 오래된 종은 케냐의 후기 마이오세-초기 플라이오세 지층에서 발견된 ''E. nawataensis''이지만, 이 종의 유효성과 아시아코끼리속과의 관계는 의문시되어 왔다.[5] 일반적으로 아시아코끼리속에 속하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장 오래된 종은 동아프리카의 초기-중기 플라이오세(500만~420만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엘레파스 에코렌시스''이다.[6] 하지만, 후대 아시아코끼리속 종들과 공유하는 형태학적 특징이 부족하여 이 종을 아시아코끼리속으로 분류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었다.[7] 아프리카 이외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아시아코끼리속 화석은 인도 아대륙의 후기 플라이오세 지층에서 발견된 ''엘레파스 플라니프론스''로 약 360만 년 전의 것이다.[8] 그러나 ''엘레파스 플라니프론스''를 아시아코끼리속에 포함시키는 것 또한 의문시되어 왔다.[9] 현대 아시아코끼리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엘레파스 히수드리쿠스''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약 260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초기의 인도 아대륙에서 발견되었다.[10] 현대 아시아코끼리(''Elephas maximus'')는 후기 플라이스토세에 ''E. hysudricus''로부터 진화했다.[11]

4. 형태

''Elephas maximus''의 두개골


성체 수컷 아시아코끼리의 골격


아시아코끼리속(''Elephas'')의 종들은 두개골의 두정-후두부 영역에 독특한 돌출부가 있다. 상악골(premaxilla) 뼈는 상아를 포함하며 가늘어진다.[2]

참조

[1] 서적 Genus ''Elephas'' MSW3 Proboscidea
[2] 논문 On the type material of Elephas hysudrindicus Dubois, 1908 (Mammalia, Proboscidea) https://www.tandfonl[...] 2018-01-02
[3] 논문 A comprehensive genomic history of extinct and living elephants 2018
[4] 논문 Phylogeography of the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based on mitochondrial DNA 2001
[5] 논문 Late Middle Pleistocene Elephants from Natodomeri, Kenya and the Disappearance of Elephas (Proboscidea, Mammalia) in Africa http://link.springer[...] 2020-09-00
[6] 논문 A New Assemblage of Mid-Pliocene Proboscideans from the Woranso-Mille Area, Afar Region, Ethiopia: Taxonomic, Evolutionary, and Paleoecological Considerations http://link.springer[...] 2012-06-00
[7] 논문 Proboscidea from Kanapoi, Kenya https://linkinghub.e[...] 2020-03-00
[8] 논문 What Does the "Elephant-Equus" Event Mean Today? Reflections on Mammal Dispersal Events around the Pliocene-Pleistocene Boundary and the Flexible Ambiguity of Biochronology 2023-02-28
[9] Youtube ''Elephas recki'': the wastebasket? https://www.youtube.[...] 2018
[10] 논문 New fossil remains of Elephas from the southern Levant: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Asian elephant https://linkinghub.e[...] 2013-09-00
[11] 논문 Ecological flexibility and differential survival of Pleistocene Stegodon orientalis and Elephas maximus in mainland southeast Asia revealed by stable isotope (C, O) analysis https://linkinghub.e[...] 2019-05-00
[12] 서적 Caroli Linnæi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archive.org/[...] Ioannes Ioachimus Langius 1760
[13] 간행물 Origin and evolution of the Elephantida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Philadelphia 1973
[14] 논문 DNA Analysis Indicates That Asian Elephants Are Native to Borneo and Are Therefore a High Priority for Conservation http://journals.plos[...] 2003
[15] 서적 Fossil mammals from the Philippines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the Philippines 1956
[16] 논문 A New Assemblage of Mid-Pliocene Proboscideans from the Woranso-Mille Area, Afar Region, Ethiopia: Taxonomic, Evolutionary, and Paleoecological Considerations http://link.springer[...] 2012-06-00
[17] 서적 Fauna Antiqua Sivalensis, Being the Fossil Zoology of the Sewalik Hills https://books.google[...] Smith, Elder & Company 1846
[18] 논문 New fossil remains of Elephas from the southern Levant: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Asian elephant https://linkinghub.e[...] 2013-09-00
[19] 간행물 Fossil Proboscidea from the Malay Archipelago and the Punjab http://www.repositor[...] 1955
[20] 논문 What Does the "Elephant-Equus" Event Mean Today? Reflections on Mammal Dispersal Events around the Pliocene-Pleistocene Boundary and the Flexible Ambiguity of Biochronology 2023-02-28
[21] 논문 An examination of feeding ecology in Pleistocene proboscideans from southern China ( Sinomastodon , Stegodon , Elephas ), by means of dental microwear texture analysis 2017-07-00
[22] 간행물 Mammoth and other proboscideans in China during the Late Pleistocene 2003
[23] 논문 A comprehensive genomic history of extinct and living elephants 2018-03-13
[24] 서적 Evolution and Fossil Record of African Proboscidea https://www.taylorfr[...] CRC Press 2023-07-07
[25] 논문 On the validity of Stegoloxodon Kretzoi, 1950 (Mammalia: Proboscidea) https://biotaxa.org/[...] 2008-09-01
[26]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27] 서적 Genus ''Elephas'' MSW3 Proboscidea
[28] 논문 Phylogeography of the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based on mitochondrial DNA 2001
[29] 서적 Caroli Linnæi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archive.org/[...] Ioannes Ioachimus Langius 1760
[30] 간행물 Origin and evolution of the Elephantida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Philadelphia 1973
[31] 논문 DNA Analysis Indicates That Asian Elephants Are Native to Borneo and Are Therefore a High Priority for Conservation http://journals.plos[...] 2003
[32] 서적 Fossil mammals from the Philippines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the Philippines 1956
[33] 간행물 Pleistocene Vertebrates from Celebes. IV. - Archidiskodon celebensis nov spec. http://www.repositor[...] 1949
[34] 서적 Fauna Antiqua Sivalensis, Being the Fossil Zoology of the Sewalik Hills https://books.google[...] Smith, Elder & Company 1846
[35] 간행물 Fossil Proboscidea from the Malay Archipelago and the Punjab http://www.repositor[...] 1955
[36] 서적 Origin and evolution of the Elephantida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