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근대5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근대5종은 아시안 게임에서 진행되는 근대5종 경기를 의미한다. 1994년 일본 히로시마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2022년 중국 항저우 대회까지 총 6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은 역대 아시안 게임 근대5종에서 금메달 7개, 은메달 6개, 동메달 6개로 총 19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근대5종 - 2018년 아시안 게임 근대5종
    2018년 아시안 게임 근대5종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팔렘방에서 8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남자 개인전과 여자 개인전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근대5종 - 2002년 아시안 게임 근대5종
    2002년 부산과 창원에서 개최된 아시안 게임 근대5종은 대한민국이 남녀 개인전, 단체전,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고, 8개국 48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육상·사격, 수영, 승마, 펜싱 순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근대5종
기본 정보
종목근대5종
영어 종목Modern pentathlon
픽토그램Modern pentathlon pictogram (pre-2025).svg
경기 단체국제 근대5종 연맹
단체 약자IPF
세부 종목6
남자 종목3
여자 종목3

2. 역대 대회

아시안 게임 근대5종은 1994년 히로시마 대회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었으며, 이후 2002년 부산 대회, 2010년 광저우 대회, 2014년 인천 대회,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 2022년 항저우 대회까지 총 6번의 대회가 열렸다.

2. 1. 대회 목록


2. 2. 세부 종목

종목1994년2002년2010년2014년2018년2022년개최 횟수
남자 개인XXXXXX6
남자 단체XXXXX5
남자 계주X1
여자 개인XXXXX5
여자 단체XXXX4
여자 계주X1
총계264424


3.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 대한민국76619
2 중국66315
3 카자흐스탄3137
4 일본0235
5 키르기스스탄0112
합계16161648


3. 1. 총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 대한민국76619
2 중국66315
3 카자흐스탄3137
4 일본0235
5 키르기스스탄0112
합계16161648


3. 2. 세부 종목별 메달리스트

아시안 게임 근대5종의 세부 종목별 메달리스트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아시안 게임 근대5종은 다음과 같이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목199420022010201420182022개최 횟수
남자 개인XXXXXX6
남자 단체XXXXX5
남자 계주X1
여자 개인XXXXX5
여자 단체XXXX4
여자 계주X1


3. 2. 1. 남자

김미섭
양준호
김덕봉
한도령 중국
차오 종롱
텅 즈강
류 옌리
첸 전화 일본
쿠로우스 쇼지
무라카미 요시히로
사이토 히데유키
미조우치 게이지2010광저우 대한민국
김기현
정훤호
이춘헌
김인홍 중국
차오 종롱
쉬 윈치
류 옌리
왕관 일본
노구치 하야토
토미이 신이치
미구치 토모야
후지이 신야2014인천 중국
궈 지앤리
한 지아하오
쑤 하이항
장 린빈 일본
토미이 신이치
이와모토 캇페이
미구치 토모야
오쿠보 조 대한민국
황우진
정훤호
정진화
이우진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02부산 대한민국
한도령
정태남
김미섭
키르기스스탄
안드레이 하나데예프
파벨 우바로프
미르사잇 미르잘리에프
카자흐스탄
데니스 스타로두브체프
안드레이 스킬라르
누르잔 쿠스몰다노프


3. 2. 2. 여자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02부산 라다 지옌발라노바 둥러안 천쥔메이
2010광저우 먀오 이 우옌옌 양수진
2014인천 천첸 양수진 최민지
2018자카르타 장밍위 김세희 김선우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02부산 카자흐스탄
갈리나 돌구시나
나탈리아 우바로바
라다 지옌발라노바
류드밀라 슈밀로바
중국
량차이샤
천쥔메이
위야좐
둥러안
대한민국
고애리
신은미
정창순
박정빈
2010광저우 중국
천첸
먀오이카
장예
우옌옌
대한민국
양수진
김은별
문예린
최민지
카자흐스탄
갈리나 돌구시나
안나 손디나
세니야 알렉산드로바
라다 지옌발라노바
2014인천 대한민국
최민지
정민아
김선우
양수진
일본
이타니 아츠코
쿠로스 나루미
시마즈 레이나
야마나카 시노
중국
볜위페이
천첸
량완샤
왕웨이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02부산 대한민국
박정빈
정창순
신은미
중화인민공화국
둥러안
왕옌
천쥔메이
카자흐스탄
나탈리아 우바로바
라다 지옌발라노바
류드밀라 슈밀로바


4. 참가국

국가199420022010201420182022참가 횟수
바레인41
중화인민공화국31188486
중화 타이베이31
인도11
인도네시아422
일본3468466
카자흐스탄3848486
키르기스스탄3558356
몽골112
싱가포르11
대한민국3988486
태국442
우즈베키스탄142345
참가 국가 수6866811
선수 수16483343284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