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에로플로트 7425편 추락 사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에로플로트 7425편 추락 사고는 1985년 7월 10일, 카르시에서 레닌그라드로 향하던 아에로플로트 소속 투폴레프 Tu-154B-2 여객기가 우즈베키스탄 우치쿠두크 인근에서 추락한 사고이다. 이 사고로 승객 191명과 승무원 9명 등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 사고기는 고도 11,600m에서 실속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 중, 조종사들이 엔진 서지로 오인하여 엔진 출력을 줄이면서 속도가 더욱 감소하여 실속에 빠져 추락했다. 조종사들의 피로와 부적절한 규정이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며, 소련 및 우즈베키스탄 항공 역사상 최악의 사고이자 Tu-154 기종 사고 중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사고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에로플로트의 항공 사고 - 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 사고
    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 사고는 1994년 에어버스 A310 여객기가 러시아 산맥에 추락하여 탑승자 전원이 사망한 사고로, 교대 기장의 아들이 조종간을 잡게 한 것이 원인이 되어 자동 조종 장치 해제와 조종사 미숙 대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항공 안전 규정 준수의 중요성과 안전 관리 시스템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 아에로플로트의 항공 사고 - 1979년 드니프로제르진스크 공중 충돌 사고
    1979년 드니프로제르진스크 공중 충돌 사고는 1979년 8월 11일 소련 드니프로제르진스크 상공에서 투폴레프 Tu-134 2대가 항공 교통 관제사의 과실로 충돌하여 탑승자 178명 전원이 사망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특히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선수단 17명의 사망으로 안타까움을 더했다.
  • 1985년 항공 사고 - 에어 인디아 182편 폭파 사건
    1985년 아일랜드 해상에서 발생한 에어 인디아 182편 폭파 사건은 캐나다 시크교 극단주의자들의 테러로 329명 전원이 사망한 캐나다 역사상 최악의 테러 사건으로, 정보 부족과 부실한 대응이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 속에 진상 규명이 미완으로 남아있다.
  • 1985년 항공 사고 - 이스턴 항공 980편 추락 사고
    이스턴 항공 980편 추락 사고는 1985년 1월 1일 일리마니 산에 추락한 사고로, 악천후 속에서 조종사의 항로 이탈과 지형 미확인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 투폴레프 Tu-154 기종의 항공 사고 - 카스피안 항공 7908편
  • 투폴레프 Tu-154 기종의 항공 사고 - 폴란드 공군 Tu-154 추락 사고
    2010년 4월 10일, 스몰렌스크 북부 공항 인근에서 폴란드 공군 소속 투폴레프 Tu-154M 항공기가 추락하여 레흐 카친스키 폴란드 대통령을 포함한 탑승자 96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조종사 과실, 공항 관제 미흡, 기상 조건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나 논쟁과 음모론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아에로플로트 7425편 추락 사고
사고 개요
사고 종류항공 사고
발생 날짜1985년 7월 10일
요약고고도 실속 후 추락
위치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우츠쿠두크
좌표42°9′24″N 63°33′20″E
항공편 정보
항공기 종류Tu-154B-2
항공사아에로플로트
등록 기호CCCP-85311
출발지카르시 공항, 카르시
경유지우파 국제공항, 우파
목적지풀코보 공항, 레닌그라드
승객191명
승무원9명
사망자200명
생존자0명
원인
원인조종사 과실
사고 조사 및 보고서
Aviation Safety Network ID19850710-0
기타 정보
CCCP-85311의 잔해
CCCP-85311의 잔해

2. 사고 항공기

사고 항공기와 유사한 아에로플로트 Tu-154B-2


사고기는 투폴레프 Tu-154B-2 기종으로, 등록 번호는 CCCP-85311, 일련 번호는 78A311이며, 1978년 아비아코르에서 생산되어 사고 당시 우즈베크 민간 항공국 소속으로 운항 중이었다.[2]

2. 1. 항공기 정보



사고기는 투폴레프 Tu-154B-2 기종으로, 등록 번호는 CCCP-85311, 일련 번호는 78A311이며, 1978년 아비아코르에서 생산되었다. 사고 당시 항공기는 우즈베크 민간 항공국 소속이었으며, 비행 시간은 12,443시간, 비행 사이클은 5,660회였다.[2]

항목내용
기종투폴레프 Tu-154B-2
등록 번호CCCP-85311
일련 번호78A311
제작사아비아코르
제작 연도1978년
소속우즈베크 민간 항공국
총 비행 시간12,443 시간
총 비행 사이클5,660 회


3. 승무원

5143편에는 조종사, 부조종사, 항법사, 항공 기관사 외에 5명의 객실 승무원이 탑승했다.[2]

3. 1. 조종사

기장 올레그 파블로비치 벨리소프(48세)는 총 12,283시간을 비행했으며, 이 중 3,390시간은 Tu-154 기종으로 비행했다. 부기장 아나톨리 티모페예비치 포줌스키(48세)는 총 12,323시간을 비행했으며, 이 중 1,629시간은 Tu-154 기종으로 비행했다.[2]

3. 2. 기타 승무원

항법사 가리 니콜라예비치 아르게예프(41세)와 항공 기관사 압두바히트 술타노비치 만수 로프(32세)가 기타 승무원에 포함되었다.[2]

4. 사고 경위

아에로플로트 7425편(기종: Tu-154B-2, 기체 등록 번호: CCCP-85311)은 카르시에서 우파를 거쳐 레닌그라드로 가는 국내선 정기 여객기였다. 이 항공기는 아에로플로트 항공의 우즈베키스탄 담당 부서에서 운행했다.[5] 사고 당시 7425편은 11600m 상공에서 실속 속도에 가까운 400km의 속도로 순항하고 있었다.

이 사고로 탑승객 191명과 승무원 9명 전원이 사망했으며,[5] 이는 소련 및 우즈베키스탄 항공 역사상 최악의 사고이자, Tu-154 기종 관련 사고 중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사고로 기록되었다.[5]

4. 1. 사고 발생 과정

해당 항공기는 비행의 첫 번째 구간을 운행 중이었으며, 고도 11600m에서 대기 속도 400km/h로 순항하고 있었는데, 이는 해당 고도에서의 실속 속도에 근접한 속도였다. 저속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했고, 조종사들은 이를 잘못 엔진 서지 현상으로 추정했다. 조종사들은 스로틀 레버를 사용하여 엔진 출력을 비행 아이들 상태로 줄였고, 이로 인해 대기 속도가 더욱 떨어져 290km/h가 되었다. 항공기는 실속에 들어가 플랫 스핀 상태가 되었고, 당시 소련 영토였던 우즈베키스탄의 우치쿠두크 인근에 추락하여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1]

아에로플로트 7425편(기종: Tu-154B-2, 기체 등록 번호: CCCP-85311)은 카르시 - 우파 - 레닌그라드 간을 비행하는 국내선 정기 여객기였으며, 아에로플로트 항공의 우즈베키스탄 담당 부서가 운행했다. 7425편은 고도 11600m를 실속 속도에 가까운 대기 속도 400km/h로 우파에서 레닌그라드로 향하고 있었다. 저속으로 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체에 진동이 발생했지만 승무원은 엔진 서지가 발생했다고 오해하여 엔진 출력을 플라이트 아이들까지 감속하기 위해 스로틀 레버를 조작했고, 이로 인해 대기 속도가 더욱 저하되어 290km/h가 되었다. 기체는 실속하여 플랫 스핀 상태가 되어 우즈베키스탄(당시는 소련)의 우치쿠두크 부근에 추락했다. 승객 191명과 승무원 9명 전원이 사망했다.[5]

5. 사고 원인

사고의 주요 원인은 조종사 과실과 부적절한 규정으로 밝혀졌다. 7425편의 비행 조종실 음성 녹음 장치는 사고로 인해 파손되었다. 조사단은 심리학자의 협력을 얻어 사고로 이어진 인적 요인을 조사했으며, 7425편의 승무원이 이륙까지 출발지 공항에서 24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사고 당시 그들이 매우 피로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사고로 이어진 다른 요인으로는, 비정상적인 상황에 직면한 승무원에 대한 부적절한 규정이 언급되었다.[3]

5. 1. 조종사 과실

조종사들은 이륙 전 출발 공항에서 24시간을 보낸 탓에 사고 당시 매우 피로한 상태였다.[3] 이들은 기체 진동을 엔진 서지로 오인하고 부적절하게 대응했다.[1] 또한, 고도에서 실속 속도에 가까운 저속으로 비행했다.[1]

사고 원인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원인설명
피로 누적조종사들은 이륙 전 출발 공항에서 24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사고 당시 매우 피로한 상태였다.[3]
엔진 서지 오인기체 진동을 엔진 서지로 오인하고 스로틀 레버를 사용하여 엔진 출력을 비행 아이들 상태로 줄였다.[1]
저속 비행고도에서 실속 속도에 근접한 저속으로 비행하여 진동이 발생했다.[1]


5. 2. 부적절한 규정

7425편의 조종실 음성 녹음 장치는 사고로 인해 파손되었다. 조사단은 심리학자의 협력을 얻어 사고로 이어진 인적 요인을 조사했으며, 7425편의 승무원이 이륙까지 출발지 공항에서 24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사고 당시 그들이 매우 피로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사고로 이어진 다른 요인으로는, 비정상적인 상황에 직면한 승무원에 대한 부적절한 규정이 언급되었다.[3]

참조

[1] ASN accident 2015-02-19
[2] 웹사이트 Катастрофа Ту-154Б-2 Узбекского УГА в районе пос.Учкудук (борт СССР-85311), 10 июля 1985 года. // AirDisaster.ru - авиационные происшествия, инциденты и авиакатастрофы в СССР и России - факты, история, статистика https://airdisaster.[...] 2024-12-04
[3] 서적 Aviation Disasters Second Edition Patrick Stephens Limited
[4] 웹사이트 Accident Description from airdisaster.ru http://www.airdisast[...] 2014-09-28
[5] ASN accident 2015-02-20
[6] 뉴스 ソ連・ウズベクで旅客機墜落 全員死亡か 朝日新聞 1985-07-17
[7] 서적 航空事故 イカロス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