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르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시는 우즈베키스탄 카슈카다리야주의 도시로, 역사적으로 소그드인, 이슬람, 차가타이 칸국의 도시였다. 부하라 에미르국의 두 번째 도시로 발전했으며, 14세기부터 꾸준히 성장하여 셰이바니 왕조 시대에 번성했다. 18세기에는 부하라 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으며, 이후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지배를 받았다. 현재는 카르시 주립대학교 등 교육기관과 가스 투 리퀴드(GTL) 공장 등 산업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도시 - 페르가나
    페르가나는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았고, 1875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석유 생산과 섬유 제조업이 주요 산업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도시 - 나보이
    나보이는 우즈베키스탄 나보이주에 위치한 도시로 알리셰르 나보이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실크로드의 중요한 지점이었고, 나보이광산제련콤비나트와 나보이아조트 같은 산업 시설과 자유산업경제구역, 역사 유적지, 국제공항, 철도 역 등을 갖춘, 2024년 기준 약 161,300명이 거주하는 도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카르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카르시
다른 이름카르시, Карши, Nakhshab, Харш-хот
로마자 표기Karshi
우즈베크어 표기Қарши
페르시아어 표기نخشب
러시아어 표기Карши
몽골어 표기Харш-хот
위치우즈베키스탄 카슈카다리야 주
설치1926년
면적75.92 제곱킬로미터
해발고도374 미터
시간대UTC+5
우편 번호180100-180120
지역 번호(+998) 75
인구
2021년 인구278,300명
2012년 인구230,772명
2014년 인구254,600명
행정
시장(정보 없음)
행정 구역
기타
웹사이트(정보 없음)
일본어 표기カルシ
영어 발음IPA-en|k|ɑːr|ˈ|ʃ|iː
로마자 발음kar-SHEE
우즈베크어 발음qarˈʃɨ
이미지
카르시 시 로고
카르시 기념비
카르시 코크 굼바즈 모스크와 저수조
카르시 코크 굼바즈 모스크 정면
카르시 코크 굼바즈 모스크 내부
카르시 코크 굼바즈 모스크
카르시 코크 굼바즈 모스크 북동쪽 조망

2. 역사

카르시는 원래 소그디아나의 도시 나흐샤브(Nakhshab)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시대에는 유크라티데이아(Eucratideia)로 불렸을 가능성이 있음)와 이슬람(튀르크계) 도시인 나사프(Nasaf), 그리고 차가타이 칸국 도시인 카르시(Qarshi) (Kharsh라고 발음됨)를 거치며 발전했다.[3] 비옥한 오아시스 중심에 위치하여 밀, 목화, 비단을 생산했으며, 발흐부하라 사이 11일 소요되는 낙타 대상 루트의 중간 기착지였다. 몽골 차가타이 칸국의 칸 케벡과 카잔은 칭기즈 칸의 여름 목장 자리에 궁궐을 건설했다.[4] 1364년 티무르는 현재 도시 남부에 해자를 갖춘 요새 궁궐을 건설했다. "카르시(Qarshi)"라는 명칭은 요새를 의미한다.[17]

14세기부터 꾸준히 발전한 카르시는 셰이바니 왕조 시대(16세기)에 급격히 성장했으며, 18세기에는 부하라 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다. 이 시대에 많은 웅장한 건축 기념물이 건설되었다.[5] 18세기에 샤흐리사브즈가 쇠퇴하면서 카르시의 중요성이 커졌고, 부하라 에미르국 황태자의 거주지가 되었다. 당시 도시에는 이중 성벽, 10개의 카라반사라이, 4개의 마드라사가 있었다. 1868년 러시아는 자라프샨 계곡을 합병했고, 1873년 부하라를 러시아 보호령으로 만드는 조약이 카르시에서 체결되었는데, 이는 에미르의 아들 압둘 말릭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970년대 초, 투르크메니스탄의 아무다리야 강에서 우즈베키스탄 동쪽으로 물을 돌려 카르시 주변 지역에 관개하기 위한 주요 관개 프로젝트의 첫 번째 구간이 완료되었다. 카르시 주변의 거의 모든 관개 지역에는 목화가 재배된다.

2. 1. 고대와 중세

카르시는 원래 소그디아나의 도시 나흐샤브(Nakhshab) (그레코-박트리아 왕국 시대에는 유크라티데이아(Eucratideia)로 불렸을 가능성이 있음)와 이슬람 우즈베크(튀르크계) 도시인 나사프(Nasaf), 그리고 차가타이 칸국 도시인 카르시(Qarshi) (Kharsh라고 발음됨)는 부하라 에미르국의 두 번째 도시였다.[3] 비옥한 오아시스 중심에 위치하여 밀, 목화, 비단을 생산했으며, 발흐부하라 사이 11일 소요되는 낙타 대상(Camel train) 루트의 중간 기착지였다. 몽골 차가타이 칸국의 칸 케벡과 카잔은 칭기즈 칸의 여름 목장 자리에 궁궐을 건설했다.[4] 1364년 티무르 또한 현재 도시 남부에 해자를 갖춘 요새 궁궐을 건설했다. 현대 명칭 "카르시(Qarshi)"는 요새를 의미한다.[17]

카르시는 14세기부터 꾸준히 발전했다. 셰이바니 왕조 시대(16세기)에 도시는 급격히 성장했다. 18세기에 샤흐리사브즈가 쇠퇴하면서 카르시의 중요성이 커졌고, 부하라 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부하라 에미르국 황태자의 거주지가 되었다. 당시 이 도시에는 이중 성벽, 10개의 카라반사라이, 4개의 마드라사가 있었다.[5]

2. 2. 셰이바니 왕조와 부하라 칸국 시대

카르시는 14세기부터 꾸준히 발전했습니다. 셰이바니 왕조 시대(16세기)에 도시는 급격히 성장했습니다. 18세기에는 부하라 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습니다. 이 시기에 도시의 많은 웅장한 건축 기념물이 건설되었습니다.[5] 샤흐리사브즈가 쇠퇴하면서 카르시의 중요성이 커졌고, 부하라 에미르국 황태자의 거주지가 되었습니다. 당시 이 도시에는 이중 성벽, 10개의 카라반사라이, 4개의 마드라사가 있었습니다.

2. 3.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 시대

카르시는 소그드인의 도시 나흐샤브(Nakhshab) (그레코-박트리아 왕국 시대에는 유크라티데이아(Eucratideia)로 불렸을 가능성이 있음), 이슬람 우즈베크(튀르크계) 도시 나사프(Nasaf), 차가타이 칸국 도시 카르시(Qarshi) (Kharsh라고 발음됨)를 거치며 발전했다.[3] 비옥한 오아시스 중심에 위치하여 밀, 목화, 비단을 생산했으며, 발흐부하라 사이 낙타 대상 루트의 중간 기착지였다. 몽골 차가타이 칸국의 칸 케벡과 카잔은 칭기즈 칸의 여름 목장 자리에 궁궐을 건설했다.[4] 1364년 티무르는 현재 도시 남부에 해자를 갖춘 요새 궁궐을 건설했다. "카르시"라는 명칭은 요새를 의미한다.

카르시는 14세기부터 꾸준히 발전했다. 셰이바니 왕조 시대(16세기)에 급격히 성장했으며, 18세기에는 부하라 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다. 이 시대에 많은 웅장한 건축 기념물이 건설되었다.[5] 18세기에 샤흐리사브즈가 쇠퇴하면서 카르시의 중요성이 커졌고, 부하라 에미르국의 황태자 거주지가 되었다. 당시 도시에는 이중 성벽, 10개의 카라반사라이, 4개의 마드라사가 있었다. 1868년 러시아는 자라프샨 계곡을 합병했고, 1873년 부하라를 러시아 보호령으로 만드는 조약이 카르시에서 체결되었는데, 이는 에미르의 아들 압둘 말릭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970년대 초, 투르크메니스탄의 아무다리야 강에서 우즈베키스탄 동쪽으로 물을 돌려 카르시 주변 지역에 관개하기 위한 주요 관개 프로젝트의 첫 번째 구간이 완료되었다. 카르시 주변의 거의 모든 관개 지역에는 목화가 재배된다.

2. 4. 독립 우즈베키스탄

카르시는 14세기부터 꾸준히 발전했으며, 셰이바니 왕조 시대(16세기)에 급격히 성장했다. 18세기에는 부하라 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다. 이 시기에 도시의 많은 웅장한 건축 기념물이 건설되었다.[5] 18세기에 샤흐리사브즈가 쇠퇴하면서 카르시의 중요성이 커졌고, 부하라 에미르국 황태자의 거주지가 되었다. 당시 이 도시에는 이중 성벽, 10개의 카라반사라이, 4개의 마드라사가 있었다. 1868년 러시아는 자라프샨 계곡을 합병했고, 1873년 부하라를 러시아 보호령으로 만드는 조약이 카르시에서 체결되었는데, 이는 에미르의 아들인 압둘 말릭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그는 반란을 일으키며 산으로 피신했다.

1970년대 초, 투르크메니스탄의 아무다리야 강에서 우즈베키스탄 동쪽으로 물을 돌려 카르시 주변 지역에 관개하기 위한 주요 관개 프로젝트의 첫 번째 구간이 완료되었다. 카르시 주변의 거의 모든 관개 지역에는 목화가 재배된다.

3. 지리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카르시는 냉온대 반건조 기후(BSk)이다.[8]

3. 1.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카르시의 기후는 냉온대 반건조 기후(BSk)이다.[8]

카르시의 기후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1991~2020년 평균)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최고 기온 (°C)9.111.917.924.631.336.738.436.631.424.516.310.524.1
평균 기온 (°C)3.45.611.217.423.628.830.528.122.415.89.24.516.7
최저 기온 (°C)-0.61.05.911.316.420.622.419.914.48.63.80.510.4
강수량 (mm)35.742.146.534.818.81.60.60.21.14.724.427.2237.7
강수일수 (≥ 1.0 mm)111112972101481076
상대 습도 (%)79747264483330333848627866

4. 문화

카르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 유적들이 있다.


  • 호자 아브둘아지즈 마드라사(Hoja Abdul Aziz Madrasa): 칼리컷 최대의 마드라사로, 현재 박물관을 건설 중이다.
  • 라비야 마드라사(Rabiya Madrasa): 19세기 후반에 설립된 여성을 위한 마드라사이다.
  • 코크 궁바즈 모스크(Koc Gumbaz Mosque): 16세기에 건설된 모스크이다.

4. 1. 주요 유적

오디나 모스크(Odina Mosque)는 16세기에 건립되었으며 카르시의 에스키 바자르(Eski Bazaar) 남동쪽에 있다. 이 모스크는 이전에 감옥으로도 사용되었던 몽골 제국 시대 궁궐 자리에 세워졌다.[6] 모스크는 매력적인 돔형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물 공급이 오염되거나 증발하는 것을 막는 돔형 저수조인 사르도바(sardoba)도 갖추고 있다. 현재는 예배당으로 사용되지 않고 카르시 지역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카르시에는 같은 광장에 킬리치보이 마드라사(Qilichboy Madrasa, 칼리즈벡), 베크무로드보이 마드라사(Bekmurodboy Madrasa, 바크미르), 그리고 압둘라지즈호자 마드라사(Abdulazizkhoja Madrasa, 호자예프 압둘 아지즈 마드라사) 세 곳이 있다.[6] 이 마드라사들은 1904년에서 1915년 사이에 지어졌다. 더 이상 종교적 기능을 하지 않고 보존이 필요하지만, 관리인에게 부탁하면 관광객들이 내부를 둘러볼 수 있다.

  • 라비야 마드라사(Rabiya Madrassah) –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여성 마드라사이다.


콕 굼바즈(Kok Gumbaz, "푸른 돔"이라는 뜻)는 카르시의 금요일 사원이다.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사원으로, 16세기 후반 울루그벡 황제가 그의 아버지 샤흐 룩을 위해 건설하였다.[7] 콕 굼바즈는 건축 양식이 티무르 사원들, 특히 샤흐리사브즈의 사원들과 매우 유사하지만, 복원이 덜 이루어져 원래 모습이 더 많이 남아 있다.

카르시 다리(Qarshi Bridge)는 16세기 후반에 건설된, 카쉬카다르야 강(Qashqadaryo River) 위에 세워진 고대 벽돌 다리이다.

  • 호자 아브둘 아지즈 마드라사 – 도시에서 가장 큰 마드라사로, 현재 지역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코크 굼바즈 모스크 – 16세기 건물 단지의 일부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 구 소련에서 가장 기념비적인 기념물 중 하나일 것이다.

4. 2.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카르시의 대조국전쟁 희생자 추모비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소비에트 시대 기념물 중 하나이다. 산책로, 명판, 영원한 불꽃, 그리고 일련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있는 붉은 별이 꼭대기에 있는 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청 시 기념비의 상층부에 접근할 수 있다.[6]

5. 산업

카르시 남쪽 40km 지점에 가스 투 리퀴드(GTL) 공장이 건설 중이다. 이 공장은 사솔(Sasol)의 GTL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GTL 경유, 등유(케로신), 나프타 및 액화석유가스를 생산할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약 40억달러이며, 유라시아 대륙 최초의 GTL 공장이다.[11] 2009년 우즈벡네프트가스(Uzbekneftgas)와 사솔(Sasol)이 각각 44.5%, 말레이시아페트로나스(Petronas)가 11%를 출자하여 합작 회사인 GTL 우즈베키스탄을 설립했고, 슈르탄 가스화학단지에 건설될 예정이다.[11]

5. 1. GTL 플랜트

천연가스를 액체 연료로 전환하는 가스 투 리퀴드(GTL) 플랜트가 카르시 남쪽 40km 지점에 건설 중이다.[11] 이 공장은 사솔(Sasol)의 GTL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며, 연간 140만 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GTL 플랜트에서는 GTL 디젤, 등유(케로신), 나프타, 액화가스 등을 정제한다. 프로젝트 총 비용은 40억달러이며, 중앙아시아 최초의 첨단 공장이 될 것이다.[18]

이 사업은 우즈베키스탄 GTL이라는 합작회사를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우즈벡네프트가스(Uzbekneftgas)와 사솔(Sasol)이 각각 44.5%, 말레이시아페트로나스(Petronas)가 11%를 출자하여 2009년에 설립되었다. 플랜트는 슈르탄 가스 및 화학 공업 단지(콤비나트)를 기반으로 건설될 예정이다.[18]

6. 스포츠

카르시는 1986년에 창단된 나사프 카르시의 연고지이다. 나사프는 2006년에 건설된 마르카지이 스타디움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1] 나사프 카르시는 축구의 국내 최상위 리그인 우즈벡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1]

7. 교육

카르시에는 대학교와 고등교육기관이 각각 하나씩 있다.


  • 카르시 주립대학교(Karshi State University)[12]
  • 카르시 공학경제연구소(Karshi engineering-economics institute)[13]
  • 타슈켄트 정보기술대학교 카르시 분교(Karshi branch of Tashkent University of Information Technologies)
  • 카르시산업경제연구소[19]

8. 교통

카르시는 카르시 공항을 통해 타슈켄트, 나보이 및 러시아 주요 도시들과 연결된다. 현재 국제협력기구(JICA)에 의해 카르시에서 테르메즈까지의 철도 화물 수송을 전철화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20]

카르시 기차역

9. 인물


  • محمد بن أحمد النسفي|무함마드 이븐 아흐마드 알나사피ar(사망 943년), 이스마일파 선교사이자 신학자였다.
  • أبو المعين النسفي|아부 알무인 알나사피ar(사망 1114년)
  • أبو حفص عمر النسفي|아부 하프스 우마르 안나사피ar트란스옥시아나에서 태어난 페르시아 학자로, 무슬림 법학자, 신학자, 코란 주석가(مفسر|무파시르ar), 하디스 학자(محدث|무하디스ar), 역사가였다. 주로 아랍어로 저술했다.
  • أبو البركات النسفي|아부 알바라카트 알나사피ar(사망 1310년)
  • 포욘 라브샨(Poyon Ravshan, 1941-2021)은 우즈베키스탄 역사가이다.[14]
  • Botir Nosirov|보티르 노시로프영어 (1985년 - )는 축구 선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lassification system of territorial unit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https://stat.uz/uplo[...] The State Committee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on statistics 2020-07-01
[2] 웹사이트 Urban and rural population by district https://www.qashstat[...] Qashqadaryo regional department of statistics
[3] 서적 The Encyclopaedia Metropolitana: Or Universal Dictionary of Knowledge, Volume 23 Edward Smedley, Hugh James Rose, Henry John Rose 1923
[4] 논문 Grousset (1970) 1970
[5] 웹사이트 Karshi, Uzbekistan https://samarkandtou[...] 2021-01-29
[6] 서적 Uzbekistan Bradt Guides Ltd
[7] 웹사이트 Kok Gumbaz, Shakhrisabz https://www.advantou[...] 2020-11-01
[8] 웹사이트 Climate: Qarshi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09-02
[9]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Qarshi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20
[10] 웹사이트 Klimatafel von Karshi (Karschi) / Usbekistan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19-12-16
[11] 뉴스 Uzbekistan Launches $4 bn GTL Joint Project with Sasol http://www.satrapia.[...] Satrapia 2012-07-23
[12] 웹사이트 Qarshi Davlat Universiteti :uz:Qarshi Davlat Un[...]
[13] 웹사이트 QMII.uz http://www.qmii.uz
[14] 뉴스 Поён Равшанов (1941-2020) https://ziyouz.uz/oz[...] 2020-10-27
[15] 웹사이트 Postal Code Search - Karshi http://postcodesdb.c[...] 2012-12-04
[16] 논문 Grousset
[17] 일반
[18] 뉴스 Uzbekistan Launches $4 bn GTL Joint Project with Sasol http://www.satrapia.[...] Satrapia 2012-07-23
[19] 웹사이트 Qarshi Muhandislik Iqtisodiyot Instituti http://www.qmii.uz
[20] 웹사이트 ウズベキスタン共和国向け円借款契約の調印 -鉄道輸送力増強を通じてウズベキスタンおよび アフガニスタン等周辺国の開発を支援- http://www.jica.go.j[...] JICA.go.jp 2012-02-28
[21] 웹인용 Climate: Qarshi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