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욱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욱아과는 아욱과의 아과로, 78개의 속과 약 1,670종을 포함하며 열대에서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쿠비츠키와 바이어의 분류에 따르면, 아욱아과는 아욱족, 목화족, 무궁화족, 키디아족의 4개 족으로 나뉜다. 주요 속으로는 어저귀속, 목화속, 무궁화속 등이 있으며, 계통 분류상 아욱과는 여러 아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욱아과 - 접시꽃
    접시꽃은 최대 2.4m까지 자라는 식물로, 다양한 색상의 큰 꽃을 피우며,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기도 하고 문학 작품에 등장한다.
  • 아욱아과 - 접시꽃속
    접시꽃속은 유라시아 원산의 아욱과 속하는 한해살이,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다양한 색상의 꽃과 별 모양 털이 덮인 잎을 가지며 관상용, 약용, 식용으로 활용된다.
  • 1835년 기재된 식물 - 뽕나무과
    뽕나무과는 벵골보리수와 같은 거대한 나무부터 다육식물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뽕나무, 무화과 등을 포함하고 식용, 약용, 목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식물 과이다.
  • 1835년 기재된 식물 - 빈도리
    빈도리는 일본과 중국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 관목으로, 5~7월에 흰색 꽃이 피어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거나 토지 경계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일본에서는 초여름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아욱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Malva neglecta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장미군
아욱목
아욱과
아과아욱아과 (Malvoideae)
아과 명명Burnett, 1835
모식속아욱속 (Malva Tourn. ex L.)
하위 분류
하위 분류군Malveae
Gossypieae
Hibisceae
Matiseae

2. 분류

아욱아과는 크게 4개의 족(tribe)으로 나뉜다.[3]

아욱족 (Malveae)어저귀속, 접시꽃속, 아욱속, 나비접시꽃속, 삼잎접시꽃속
목화족 (Gossypieae)목화속
무궁화족 (Hibisceae)무궁화속
키디아족 (Kydieae)키디아속
미분류 속Jumelleanthus, Howittia



아욱아과에 속하는 속의 일부 목록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 자생하는 속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공단풀속 (Sida)국화잎아욱속 (Modiola)나도어저귀속 (Anoda)나비접시꽃속 (Sidalcea)닥풀속 (Abelmoschus)
목화속 (Gossypium)무궁화속 (Hibiscus)삼잎접시꽃속 (Althaea)아욱속 (Malva)어저귀속 (Abutilon)
접시꽃속 (Alcea)AcaulimalvaAkrosidaAllosidastrumAllowissadula
AlyogyneAndeimalvaAnisodonteaAnoteaAsterotrichion
AzanzaBakeridesiaBastardiastrumBatesimalvaBillieturnera
BombycidendronBordasiaBriquetiaCalliantheCallirhoe
CalyculogygasCalyptraemalvaCenocentrumCephalohibiscusChiranthodendron
CienfuegosiaCorynabutilonCristariaDecaschistiaDendrosida
DicellostylesDirhamphisEremalcheErioxylumFremontodendron
FryxelliaFuertesimalvaGayaGossypioidesGynatrix
HampeaHelicteropsisHerissantiaHibiscadelphusHochreutinera
HoheriaHorsfordiaHowittiaHumbertiellaIliamna
IndagatorJulostylisJumelleanthusKearnemalvastrumKitaibelia
KokiaKosteletzkyaKrapovickasiaKydiaLagunaria
LawrenciaLebronneciaLecanophoraMacrosteliaMalachra
MalacothamnusMalope× MalvalthaeaMalvastrumMalvaviscusMalvella
MaxwelliaMegistostegiumMeximalvaModiolastrumMonteiroa
NapaeaNayariophytonNeobacleaNeobrittoniaNototriche
PalauaPapuodendronPavoniaPeltaeaPeriptera
PerrierophytumPhragmocarpidiumPhymosiaPlagianthusPseudabutilon
RadyeraRhynchosidaRipariosidaRobinsonellaRoifia
RojasimalvaSenraSidasodesSidastrumSphaeralcea
SpirabutilonTarasaTetrasidaThepparatiaThespesia
UrenaUrocarpidiumWerckleaWissadula


2. 1. 하위 분류

아욱아과는 크게 4개의 족(tribe)으로 나뉜다.[3]

  • 아욱족 (Malveae) - 어저귀속, 접시꽃속, 아욱속, 나비접시꽃속, 삼잎접시꽃속 등을 포함한다.
  • 목화족 (Gossypieae) - 목화속 등을 포함한다.
  • 무궁화족 (Hibisceae) - 무궁화속 등을 포함한다.
  • 키디아족 (Kydieae) - 키디아속을 포함한다.
  • 미분류 속
  • * ''Jumelleanthus''
  • * ''Howittia''


하위 속은 다음과 같다.

공단풀속 (Sida)국화잎아욱속 (Modiola)나도어저귀속 (Anoda)나비접시꽃속 (Sidalcea)닥풀속 (Abelmoschus)
목화속 (Gossypium)무궁화속 (Hibiscus)삼잎접시꽃속 (Althaea)아욱속 (Malva)어저귀속 (Abutilon)
접시꽃속 (Alcea)AcaulimalvaAkrosidaAllosidastrumAllowissadula
AlyogyneAndeimalvaAnisodonteaAnoteaAsterotrichion
AzanzaBakeridesiaBastardiastrumBatesimalvaBillieturnera
BombycidendronBordasiaBriquetiaCalliantheCallirhoe
CalyculogygasCalyptraemalvaCenocentrumCephalohibiscusChiranthodendron
CienfuegosiaCorynabutilonCristariaDecaschistiaDendrosida
DicellostylesDirhamphisEremalcheErioxylumFremontodendron
FryxelliaFuertesimalvaGayaGossypioidesGynatrix
HampeaHelicteropsisHerissantiaHibiscadelphusHochreutinera
HoheriaHorsfordiaHowittiaHumbertiellaIliamna
IndagatorJulostylisJumelleanthusKearnemalvastrumKitaibelia
KokiaKosteletzkyaKrapovickasiaKydiaLagunaria
LawrenciaLebronneciaLecanophoraMacrosteliaMalachra
MalacothamnusMalope× MalvalthaeaMalvastrumMalvaviscus
MalvellaMaxwelliaMegistostegiumMeximalvaModiolastrum
MonteiroaNapaeaNayariophytonNeobacleaNeobrittonia
NototrichePalauaPapuodendronPavoniaPeltaea
PeripteraPerrierophytumPhragmocarpidiumPhymosiaPlagianthus
PseudabutilonRadyeraRhynchosidaRipariosidaRobinsonella
RoifiaRojasimalvaSenraSidasodesSidastrum
SphaeralceaSpirabutilonTarasaTetrasidaThepparatia
ThespesiaUrenaUrocarpidiumWerckleaWissadula


2. 2. 속 목록

Genus영어는 식물 분류학에서 의 상위 단계를 의미한다. 다음은 아욱아과에 속하는 속의 일부 목록이다. 한국에 자생하는 속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 '''공단풀속'''(''Sida'')
  • '''국화잎아욱속'''(''Modiola'')
  • '''나도어저귀속'''(''Anoda'')
  • '''나비접시꽃속'''(''Sidalcea'')
  • '''닥풀속'''(''Abelmoschus'')
  • '''목화속'''(''Gossypium'')
  • '''무궁화속'''(''Hibiscus'')
  • '''삼잎접시꽃속'''(''Althaea'')
  • '''아욱속'''(''Malva'')
  • '''어저귀속'''(''Abutilon'')
  • '''접시꽃속'''(''Alcea'')
  • ''Acaulimalva''
  • ''Akrosida''
  • ''Allosidastrum''
  • ''Allowissadula''
  • ''Alyogyne''
  • ''Andeimalva''
  • ''Anisodontea''
  • ''Anotea''
  • ''Asterotrichion''
  • ''Azanza''
  • ''Bakeridesia''
  • ''Bastardiastrum''
  • ''Batesimalva''
  • ''Billieturnera''
  • ''Bombycidendron''
  • ''Bordasia''
  • ''Briquetia''
  • ''Callianthe''
  • ''Callirhoe''
  • ''Calyculogygas''
  • ''Calyptraemalva''
  • ''Cenocentrum''
  • ''Cephalohibiscus''
  • ''Chiranthodendron''
  • ''Cienfuegosia''
  • ''Corynabutilon''
  • ''Cristaria''
  • ''Decaschistia''
  • ''Dendrosida''
  • ''Dicellostyles''
  • ''Dirhamphis''
  • ''Eremalche''
  • ''Erioxylum''
  • ''Fremontodendron''
  • ''Fryxellia''
  • ''Fuertesimalva''
  • ''Gaya''
  • ''Gossypioides''
  • ''Gynatrix''
  • ''Hampea''
  • ''Helicteropsis''
  • ''Herissantia''
  • ''Hibiscadelphus''
  • ''Hochreutinera''
  • ''Hoheria''
  • ''Horsfordia''
  • ''Howittia''
  • ''Humbertiella''
  • ''Iliamna''
  • ''Indagator''
  • ''Julostylis''
  • ''Jumelleanthus''
  • ''Kearnemalvastrum''
  • ''Kitaibelia''
  • ''Kokia''
  • ''Kosteletzkya''
  • ''Krapovickasia''
  • ''Kydia''
  • ''Lagunaria''
  • ''Lawrencia''
  • ''Lebronnecia''
  • ''Lecanophora''
  • ''Macrostelia''
  • ''Malachra''
  • ''Malacothamnus''
  • ''Malope''
  • × ''Malvalthaea''
  • ''Malvastrum''
  • ''Malvaviscus''
  • ''Malvella''
  • ''Maxwellia''
  • ''Megistostegium''
  • ''Meximalva''
  • ''Modiolastrum''
  • ''Monteiroa''
  • ''Napaea''
  • ''Nayariophyton''
  • ''Neobaclea''
  • ''Neobrittonia''
  • ''Nototriche''
  • ''Palaua''
  • ''Papuodendron''
  • ''Pavonia''
  • ''Peltaea''
  • ''Periptera''
  • ''Perrierophytum''
  • ''Phragmocarpidium''
  • ''Phymosia''
  • ''Plagianthus''
  • ''Pseudabutilon''
  • ''Radyera''
  • ''Rhynchosida''
  • ''Ripariosida''
  • ''Robinsonella''
  • ''Roifia''
  • ''Rojasimalva''
  • ''Senra''
  • ''Sidasodes''
  • ''Sidastrum''
  • ''Sphaeralcea''
  • ''Spirabutilon''
  • ''Tarasa''
  • ''Tetrasida''
  • ''Thepparatia''
  • ''Thespesia''
  • ''Urena''
  • ''Urocarpidium''
  • ''Wercklea''
  • ''Wissadula''


쿠비츠키(Kubitzki)와 바이어(Bayer)는 아욱아과를 다음의 4개 족으로 분류한다.[3]

아욱족 (Malveae)어저귀속, 접시꽃속, 아욱속, 나비접시꽃속, 삼잎접시꽃속
목화족 (Gossypieae)목화속
무궁화족 (Hibisceae)무궁화속
키디아족 (Kydieae)키디아속


  • 미분류 속
  • * ''Jumelleanthus''
  • * ''Howittia''

3. 계통

아욱과피나무아과, 벽오동아과 등과 가까운 관계를 맺고 있다.[4]

3. 1. 계통 분류

현재 아욱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계통 분류


참조

[1] 서적 Outlines of Botany
[2] 저널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Malvatheca (Bombacoideae and Malvoideae; Malvaceae sensu lato) as inferred from plastid DNA sequences http://www.amjbot.or[...]
[3] 서적 Malvaceae
[4] 웹인용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2014-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