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궁화속은 수백 종의 식물을 포함하며, 주요 종으로는 한국의 국화인 무궁화, 해변부용, 사키시마부용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부상화, 로젤, 케나프 등 다양한 종이 있으며, 각 종은 관상용, 식용, 섬유용, 약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무궁화속 식물은 잎, 꽃, 열매 등 식물학적 특징을 가지며, 특히 꽃은 크고 화려한 나팔 모양으로 다양한 색상을 띤다. 또한, 여러 문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특히 한국에서는 무궁화가 국화로 지정되어 강인함과 민주주의를 상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궁화족 - 부용
부용은 8~10월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의 큰 꽃을 피우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무궁화와 비슷하지만 꽃과 잎이 더 크고 시간에 따라 꽃 색깔이 변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과거에는 섬유 자원으로도 이용되었다. - 무궁화족 - 로젤
로젤은 붉은색 줄기와 잎을 가진 열대 지역 원산의 식물로, 꽃받침은 히비스커스 차의 재료로, 잎은 채소로, 줄기는 섬유로 사용된다. - 아이티의 상징 - 프리기아 모자
프리기아 모자는 뾰족하게 굽은 형태의 모자로, 고대 이란 민족이 착용하고 헬레니즘 시대 아티스와 연관되었으며 로마 시대 여러 민족에게 확장 적용되어 자유, 공화주의, 혁명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현재까지도 여러 국가의 문장이나 국기에 등장한다. - 아이티의 상징 - 자유, 평등, 우애
자유, 평등, 우애는 프랑스 혁명의 정신을 담은 표어로서 프랑스 공화국의 공식 표어로 채택되었으나 정치적 변동을 겪으며 그 가치가 변화해 왔고, 현재는 세계 여러 국가에서 추구하는 보편적인 가치로 여겨진다. - 꽃 - 무궁화
무궁화는 한국의 국화로 여겨지는 낙엽 관목으로, 여름 동안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강한 생명력을 지닌 역사적으로 중요한 식물이다. - 꽃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무궁화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학명 | Hibiscus L. |
명명자 | L. |
유형 종 | Hibiscus syriacus |
이명 | Bombix Medik. Bombycella Lindl. Bombyx Moench Brockmania W.Fitzg. Canhamo Perini Cotyloplecta Alef. Erebennus Alef. Fioria Mattei Furcaria Kostel. Gourmania A.Chev. Humbertianthus Hochr. Ketmia Mill. Laguna Cav. Macrostelia Hochr. Marconia Mattei Muenchhusia Heist. ex Fabr. Munchusia Heist. ex Raf. Petitia Neck., opus utique oppr. Sabdariffa Kostel. Solandra Murray, nom. illeg. Symphyochlamys Gürke Talipariti Fryxell Triguera Cav., nom. rej. Trionaea Medik. Trionum L. Triplochiton Alef., nom. rej. Wilhelminia Hochr. |
속 | 아욱과 |
목 | 아욱목 |
하위 분류 | 히비스커스 종 참고 |
영어 이름 | Hibiscus |
![]() |
2. 주요 종
무궁화속에는 수백 종의 식물이 속한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세하게 다루고 있는 한국 자생종 및 재배종 외에 기타 주요 종들은 다음과 같다.
- ''Hibiscus acapulcensis'' [10]
- ''Hibiscus acetosella'' [11] – 가짜 로젤
- ''Hibiscus aculeatus'' — 컴포트루트
- ''Hibiscus aethiopicus''
- ''Hibiscus aponeurus'' [12]
- ''Hibiscus arnottianus'' — ''kokiʻo Keʻokeʻo(하와이)
- ''Hibiscus bifurcatus'' — 포크브랙티드 로즈맬로우
- ''Hibiscus biseptus'' — 애리조나 로즈맬로우
- ''Hibiscus boryanus'' — 풀사파테 마론 (모리셔스와 레위니옹)
- ''Hibiscus brackenridgei'' — 하와이 무궁화 ''마오 하우 헬레''
- ''Hibiscus caesius'' — 다크 아이드 무궁화 (남서 탄자니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 ''Hibiscus calyphyllus'' — 레모니옐로우 로즈맬로우 (열대 아프리카)
- ''Hibiscus cameronii'' — 카메론 무궁화, 핑크 무궁화
- ''Hibiscus cannabinus'' — 케나프
- ''Hibiscus clayi'' — 하와이 붉은 무궁화 (하와이)
- ''Hibiscus clypeatus'' — 콩고 마호
- ''Hibiscus coccineus'' — 스칼렛 로즈맬로우
- ''Hibiscus columnaris'' — 마호트 렘파르트
- ''Hibiscus cooperi''
- ''Hibiscus coulteri'' — 사막 로즈맬로우
- ''Hibiscus dasycalyx'' — 네체스 강 로즈맬로우
- ''Hibiscus denudatus'' — 옅은 얼굴 (미국 남서부, 북서 멕시코)
- ''Hibiscus dioscorides'' (예멘)
- ''Hibiscus diriffan'' (예멘)
- ''Hibiscus diversifolius''— 늪 무궁화
- ''Hibiscus elatus'' – 마호
- ''Hibiscus engleri'' – 야생 무궁화
- ''Hibiscus erlangeri''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
- ''Hibiscus escobariae''
- ''Hibiscus fragilis'' —만드리네트 (마스카렌 제도)
- ''Hibiscus furcellatus'' —린덴잎 로즈맬로우 (카리브해, 플로리다,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하와이)
- ''Hibiscus genevei'' (모리셔스)
- ''Hibiscus grandiflorus'' — 늪 로즈맬로우 (미국 남동부)
- ''Hibiscus grewiifolius''
- ''Hibiscus hamabo''
- ''Hibiscus hastatus''
- ''Hibiscus heterophyllus'' — 네이티브 로젤라
- ''Hibiscus hirtus'' — 레서 맬로우
- ''Hibiscus hispidissimus''
- ''Hibiscus hybridus''
- ''Hibiscus insularis'' — 필립 아일랜드 무궁화 (필립 아일랜드)
- ''Hibiscus kaute''
- ''Hibiscus kokio''—붉은 로즈맬로우
- ''Hibiscus laevis'' (= ''H. militaris'') — 할버드잎 로즈맬로우 (중부 및 동부 북아메리카)
- ''Hibiscus lasiocarpos'' — 울리 로즈맬로우
- ''Hibiscus leptocladus'' (호주 북서부)
- ''Hibiscus lilacinus'' — 라일락 무궁화
- ''Hibiscus liliiflorus'' — 로드리게스 나무 무궁화
- ''Hibiscus lunariifolius''
- ''Hibiscus macilwraithensis'' (오스트레일리아)
- ''Hibiscus macrophyllus'' — 대형잎 로즈맬로우
- ''Hibiscus macropodus''
- ''Hibiscus makinoi'' — 오키나와 무궁화
- ''Hibiscus malacophyllus'' (예멘)
- ''Hibiscus martianus''— 하트잎 로즈맬로우
- ''Hibiscus mesnyi'' (베트남 고유종)
- ''Hibiscus moscheutos'' — 크림슨아이드 로즈맬로우 (중부 및 동부 북아메리카)
- ''Hibiscus mutabilis'' — 목화 로즈맬로우, 남부연합 장미 (동아시아)
- ''Hibiscus paramutabilis''
- ''Hibiscus phoeniceus'' — 브라질 로즈맬로우
- ''Hibiscus platanifolius''
- ''Hibiscus pusillus'' - 방광풀
- ''Hibiscus quattenensis''
- ''Hibiscus poeppigii'' — 푀피히 로즈맬로우
- ''Hibiscus radiatus'' — 군주 로즈맬로우
- ''Hibiscus'' × ''rosa-sinensis'' — 중국 무궁화 (동아시아)
- ''Hibiscus sabdariffa'' — 로젤, 오무테테 또는 쏘렐
- ''Hibiscus schizopetalus'' — 술 로즈맬로우
- ''Hibiscus scottii''
- ''Hibiscus socotranus''
- ''Hibiscus sinosyriacus''
- ''Hibiscus splendens''
- ''Hibiscus stenanthus'' (예멘)
- ''Hibiscus striatus'' — 줄무늬 로즈맬로우
- ''Hibiscus sturtii'' (오스트레일리아)
- ''무궁화'' (기준종) — 샤론의 장미 (아시아)
- ''Hibiscus taiwanensis''
- ''Hibiscus tiliaceus'' — 바다 무궁화 (오스트레일리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 ''Hibiscus tozerensis'' (오스트레일리아)
- ''Hibiscus trilobus''—세잎 로즈맬로우
- ''Hibiscus trionum'' — 꽃피는 한 시간
- ''Hibiscus vitifolius'' — 열대 로즈 맬로우
- ''Hibiscus waimeae'' — ''kokiʻo keʻokeʻo'' (하와이)
2. 1. 한국 자생 및 주요 재배종
- 무궁화(`H. syriacus`) - 정원수로 흔히 심으며, 3m 이상 자란다. 대한민국의 국화이다.
- 부용(`H. mutabilis`) - 서일본에서 오키나와현에 걸쳐 흔히 보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된다.
- 사키시마부용(`H. makinoi`) - 가고시마현 서부 섬에서 타이완에 걸쳐 분포한다.
- 부상화(`H. rosa-sinensis`) - 보통 ''하이비스커스''라고 하면 이 종을 가리킨다. 말레이시아의 국화이다.
- 단풍잎부용(`H. coccineus`) - 북미 원산으로, 여름 정원에서 자주 볼 수 있다.
- 황근(`H. hamabo`) - 서일본 각지의 해안가에 자생한다.
- 대왕황근(`H. tiliaceus`) - 아마미 제도 이남에 분포하며, '유우나'라고도 불린다.
- 로젤(`H. sabdariffa`) - 허브티의 일종인 하이비스커스 티에 사용되는 종이다.
- 케나프(`H. cannabinus`) - 남아시아 원산으로, 환경 친화적인 식물로 알려져 한때 일본 전국에서 재배가 유행했다.
- 수박풀(`H. trionum`) - 엷은 황색 꽃과 둥근 모양을 가졌다. 아침 8시에 개화하여 9시에 시들어 영어로는 "Flower of an hour(1시간의 꽃)"라고 불린다.
2. 2. 기타 주요 종
수백 종이 알려져 있으며,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이름 | 학명 | 특징 및 분포 지역 |
---|---|---|
목부용 | Hibiscus mutabilis | 서일본에서 오키나와현에 걸쳐서 자주 보이며,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경우가 많다. |
사키시마부용 | Hibiscus makinoi | 가고시마현 서부의 섬에서 타이완에 걸쳐 분포한다. |
무궁화 | Hibiscus syriacus | 정원수로 친숙하며 3m를 넘는 높이로 성장한다. 대한민국의 국화. |
부용 | Hibiscus rosa-sinensis | 하이비스커스라는 말은 이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영어로는 Chinese hibiscus. 말레이시아의 국화. |
모미지아오이 | Hibiscus coccineus | 여름 정원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
해변부용 | Hibiscus hamabo | 서일본 각지의 연안부에 자생한다. |
대왕해변부용 | Hibiscus tiliaceus | 아마미 제도 이남에 분포하며, 별명은 유우나이다. |
로젤 | Hibiscus sabdariffa | 이른바 하이비스커스 티에 사용되는 종이다. |
케나프 | Hibiscus cannabinus | 환경 친화적인 식물로서 한때 일본 전국에서 재배가 유행했으며, 남아시아 원산이다. |
은전화 | Hibiscus trionum | 엷은 황색을 띤 꽃 색깔과 둥근 모습을 가지고 있다. 아침 8시에 개화하여 9시에는 시들어 버리기 때문에, 영어명은 "Flower of an hour(1시간의 꽃)"이다. |
- ''Hibiscus acapulcensis'' [10]
- ''Hibiscus acetosella'' [11] – 가짜 로젤
- ''Hibiscus aculeatus'' — 컴포트루트
- ''Hibiscus aethiopicus''
- ''Hibiscus aponeurus'' [12]
- ''Hibiscus arnottianus'' — ''kokiʻo Keʻokeʻo(하와이)
- ''Hibiscus bifurcatus'' — 포크브랙티드 로즈맬로우
- ''Hibiscus biseptus'' — 애리조나 로즈맬로우
- ''Hibiscus boryanus'' — 풀사파테 마론 (모리셔스와 레위니옹)
- ''Hibiscus brackenridgei'' — 하와이 무궁화 ''마오 하우 헬레''
- ''Hibiscus caesius'' — 다크 아이드 무궁화 (남서 탄자니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 ''Hibiscus calyphyllus'' — 레모니옐로우 로즈맬로우 (열대 아프리카)
- ''Hibiscus cameronii'' — 카메론 무궁화, 핑크 무궁화
- ''Hibiscus cannabinus'' — 케나프
- ''Hibiscus clayi'' — 하와이 붉은 무궁화 (하와이)
- ''Hibiscus clypeatus'' — 콩고 마호
- ''Hibiscus coccineus'' — 스칼렛 로즈맬로우
- ''Hibiscus columnaris'' — 마호트 렘파르트
- ''Hibiscus cooperi''
- ''Hibiscus coulteri'' — 사막 로즈맬로우
- ''Hibiscus dasycalyx'' — 네체스 강 로즈맬로우
- ''Hibiscus denudatus'' — 옅은 얼굴 (미국 남서부, 북서 멕시코)
- ''Hibiscus dioscorides'' (예멘)
- ''Hibiscus diriffan'' (예멘)
- ''Hibiscus diversifolius''— 늪 무궁화
- ''Hibiscus elatus'' – 마호
- ''Hibiscus engleri'' – 야생 무궁화
- ''Hibiscus erlangeri''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
- ''Hibiscus escobariae''
- ''Hibiscus fragilis'' —만드리네트 (마스카렌 제도)
- ''Hibiscus furcellatus'' —린덴잎 로즈맬로우 (카리브해, 플로리다,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하와이)
- ''Hibiscus genevei'' (모리셔스)
- ''Hibiscus grandiflorus'' — 늪 로즈맬로우 (미국 남동부)
- ''Hibiscus grewiifolius''
- ''Hibiscus hamabo''
- ''Hibiscus hastatus''
- ''Hibiscus heterophyllus'' — 네이티브 로젤라
- ''Hibiscus hirtus'' — 레서 맬로우
- ''Hibiscus hispidissimus''
- ''Hibiscus hybridus''
- ''Hibiscus insularis'' — 필립 아일랜드 무궁화 (필립 아일랜드)
- ''Hibiscus kaute''
- ''Hibiscus kokio''—붉은 로즈맬로우
- ''Hibiscus laevis'' (= ''H. militaris'') — 할버드잎 로즈맬로우 (중부 및 동부 북아메리카)
- ''Hibiscus lasiocarpos'' — 울리 로즈맬로우
- ''Hibiscus leptocladus'' (호주 북서부)
- ''Hibiscus lilacinus'' — 라일락 무궁화
- ''Hibiscus liliiflorus'' — 로드리게스 나무 무궁화
- ''Hibiscus lunariifolius''
- ''Hibiscus macilwraithensis'' (오스트레일리아)
- ''Hibiscus macrophyllus'' — 대형잎 로즈맬로우
- ''Hibiscus macropodus''
- ''Hibiscus makinoi'' — 오키나와 무궁화
- ''Hibiscus malacophyllus'' (예멘)
- ''Hibiscus martianus''— 하트잎 로즈맬로우
- ''Hibiscus mesnyi'' (베트남 고유종)
- ''Hibiscus moscheutos'' — 크림슨아이드 로즈맬로우 (중부 및 동부 북아메리카)
- ''Hibiscus mutabilis'' — 목화 로즈맬로우, 남부연합 장미 (동아시아)
- ''Hibiscus paramutabilis''
- ''Hibiscus phoeniceus'' — 브라질 로즈맬로우
- ''Hibiscus platanifolius''
- ''Hibiscus pusillus'' - 방광풀
- ''Hibiscus quattenensis''
- ''Hibiscus poeppigii'' — 푀피히 로즈맬로우
- ''Hibiscus radiatus'' — 군주 로즈맬로우
- ''Hibiscus'' × ''rosa-sinensis'' — 중국 무궁화 (동아시아)
- ''Hibiscus sabdariffa'' — 로젤, 오무테테 또는 쏘렐
- ''Hibiscus schizopetalus'' — 술 로즈맬로우
- ''Hibiscus scottii''
- ''Hibiscus socotranus''
- ''Hibiscus sinosyriacus''
- ''Hibiscus splendens''
- ''Hibiscus stenanthus'' (예멘)
- ''Hibiscus striatus'' — 줄무늬 로즈맬로우
- ''Hibiscus sturtii'' (오스트레일리아)
- ''무궁화'' (기준종) — 샤론의 장미 (아시아)
- ''Hibiscus taiwanensis''
- ''Hibiscus tiliaceus'' — 바다 무궁화 (오스트레일리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 ''Hibiscus tozerensis'' (오스트레일리아)
- ''Hibiscus trilobus''—세잎 로즈맬로우
- ''Hibiscus trionum'' — 꽃피는 한 시간
- ''Hibiscus vitifolius'' — 열대 로즈 맬로우
- ''Hibiscus waimeae'' — ''kokiʻo keʻokeʻo'' (하와이)
3. 식물학적 특징
무궁화속은 아욱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으로, 약 200종이 알려져 있다. 꽃은 양성화이며 방사대칭을 이루고,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시드는 방식으로 개화한다. 꽃잎은 5장이다. 잎의 모양은 변화가 풍부하다. 부용속에 속하는 관상 식물에는 무궁화, 부용(Hibiscus rosa-sinensis), 부용 등이 있으며, 이모티콘으로는 🌺로 표시된다.
3. 1. 잎
잎은 잎차례를 보이며,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 또는 갈라진 모양(톱니 모양)을 갖는 경우가 많다.3. 2. 꽃
꽃은 크고 눈에 띄며, 나팔 모양으로 5개 이상의 꽃잎을 가진다. 흰색, 분홍색, 빨간색, 파란색, 주황색, 복숭아색, 노란색, 보라색 등 다양한 색을 띠며, 폭은 4cm–18cm이다.[7][21] 부용(Hibiscus mutabilis) 및 해홍나물(Hibiscus tiliaceus)과 같은 특정 종은 꽃 색깔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변한다.[8]
3. 3. 열매
열매는 삭과(蒴果)로, 마르면 5개로 갈라지는 열매껍질을 가지고 있다. 각 열매껍질 안에는 여러 개의 씨앗이 들어 있으며, 열매가 익어 껍질이 개열(갈라질 때) 씨앗이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빨간색이나 흰색을 띤다.4. 용도
무궁화속 식물은 관상용, 식용, 섬유용, 약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케나프(*Hibiscus cannabinus*)는 제지에 널리 사용된다. 황근(*Hibiscus tiliaceus*)의 속껍질은 폴리네시아에서 밧줄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나무는 카누 부표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선교선 평화의 메신저의 밧줄은 황근 나무의 섬유로 만들어졌다.[15]
로젤(Hibiscus sabdariffa)의 꽃받침으로 만든 차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제공된다. 이 음료는 붉은색, 신맛, 독특한 풍미로 잘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C가 풍부하다.
- 서아프리카: ''비사프''(bissap)
- 우르두어 및 페르시아어: "굴 에 카트미"(Gul e Khatmi)
- 멕시코 및 중앙 아메리카: ''아구아 데 자마이카''(agua de jamaica, 꽃은 ''플로르 데 자마이카''flor de jamaica)
- 인도: ''오르훌''(Orhul)
-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및 카리브해: ''소렐''(sorrel, ''Hibiscus sabdariffa''; ''Rumex acetosa''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 가나: ''수볼로''(soobolo)
- 캄보디아: 꽃잎을 뜨거운 물에 담가 우려낸 후, 라임 주스, 감미료(설탕/꿀), 찬물/얼음을 넣어 차가운 음료를 만든다.
- 이집트와 수단: ''카르카데''(karkadé, كركديه)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제공)
- 스리랑카: 생 과즙, 아이스 티, 시럽 (스리랑카인들 사이에서 유명한 청량 음료)
로젤은 채소로도 사용된다.
''무궁화'' × ''사철나무''는 인도 아유르베다에서 여러 의학적 용도로 사용된다고 설명된다.[18] 무궁화(Hibiscus sabdariffa)에서 추출한 새콤한 차가 혈압을 낮출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9][20]
''히비스커스'' 종은 나비목 유충(애벌레)을 포함한 일부 나비목 종, 예를 들어 ''Chionodes hibiscella'', ''Hypercompe hambletoni'', 육두구 나방, 그리고 무 나방의 먹이 식물로 사용된다.
4. 1. 관상용
무궁화속의 다양한 종들은 화려한 꽃으로 인해 재배되거나 조경용 관목으로 사용되며, 나비, 꿀벌, 벌새를 유인하는 데 사용된다.[14]무궁화는 매우 튼튼하고 다재다능한 식물이며 열대 지역에서는 정원의 아름다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빽빽한 도시 공간의 발코니 정원에도 쉽게 적응하며, 덩굴 식물이나 행잉 화분으로도 재배할 수 있다. 다년생 식물이며 일년 내내 꽃을 피운다. 다양한 색상으로 나오기 때문에 어떤 정원에도 생동감을 더할 수 있는 식물이다.
정원사가 경계해야 할 유일한 해충은 깍지벌레이다. 깍지벌레는 싹, 잎 또는 줄기에 뚜렷한 흰색 솜털 덩어리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4. 2. 식용
로젤(Hibiscus sabdariffa)의 꽃받침은 차, 잼, 젤리 등의 재료로 사용된다.[16][17] 히비스커스 차 문서를 참조하라. 로젤은 채소로도 사용되는데, 필리핀의 비사야 제도에서는 ''Hibiscus suratensis''를 거의 모든 현지 채소 요리와 메뉴에 신맛을 내는 재료로 사용한다. 비사야 지역에서는 라보그(labog), 타갈로그어로는 라부아그(labuag)/사피니트(sapinit)라고 불리는 이 종은 토종 닭고기 수프를 요리하는 데 사용된다.일부 종의 잎과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마른 히비스커스는 식용이 가능하며, 멕시코에서는 별미로 여겨지기도 한다. 설탕에 절여 장식용, 주로 디저트에 사용된다.[16]
4. 3. 섬유용
케나프는 제지에 널리 사용된다.[15] 황근의 속껍질은 폴리네시아에서 밧줄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나무는 카누 부표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선교선 평화의 메신저의 밧줄은 황근 나무의 섬유로 만들어졌다.[15]4. 4. 약용
인도 아유르베다에서는 무궁화 × 사철나무를 여러 의학적 용도로 사용한다고 설명한다.[18] 무궁화(Hibiscus sabdariffa)에서 추출한 새콤한 차는 혈압을 낮출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9][20]5. 문화적 상징성
무궁화는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 힌두교에서는 칼리 여신을 붉은 무궁화로 묘사하며, 필리핀에서는 거품 놀이에, 태평양 섬에서는 장식으로 사용된다. 에어 폴리네시아는 무궁화 이미지를 로고로 사용했으며, 나이지리아 작가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는 소설 제목을 ''보라색 무궁화''로 짓기도 했다. 무궁화 나무 껍질에서는 강한 인피를 얻을 수 있고, 뉴질랜드 오클랜드의 해안 지역은 무궁화 해안으로 불린다. 아이티, 솔로몬 제도, 니우에 등 여러 국가에서 국화로 지정되어 있다.[32][33][34][35]
5. 1. 한국
무궁화는 대한민국의 국화이다. 무궁화는 오랜 역사 동안 한국인의 사랑을 받아왔으며, 강인한 생명력과 끊임없이 피고 지는 특성을 통해 역경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민주주의를 향해 나아가는 대한민국의 정신을 상징한다.5. 2. 기타 국가
힌두교의 여신 칼리는 붉은 무궁화로 묘사되며, 벵골 미술에서 자주 등장한다. 칼리와 가네샤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무궁화를 사용한다.[29][30]필리핀에서는 ''구마멜라''(무궁화의 현지 이름)를 아이들이 거품 놀이에 사용한다. 꽃과 잎을 으깨 즙을 내고, 속이 빈 파파야 줄기를 이용해 거품을 불어낸다. 무궁화 즙에 비누를 섞으면 더 많은 거품이 생긴다. 동사마르 주에서는 와라이어로 "타루강가"라고도 한다.
태평양 섬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무궁화를 착용한다. 왼쪽 귀 뒤에 꽃을 꽂으면 결혼했거나 남자친구가 있다는 의미이고, 오른쪽에 꽂으면 싱글이거나 연애가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분홍색 무궁화는 아시아와 태평양 섬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름다움, 여성성, 젊은 사랑을 상징한다. 하와이 문화와 알로하 정신과 연관되어 사랑, 행복, 평화를 기념한다.[31]
에어 폴리네시아는 무궁화 이미지를 로고로 사용했다.
나이지리아 작가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는 첫 소설 제목을 ''보라색 무궁화''라고 지었다.
무궁화 나무 껍질에는 강한 인피가 있다. 껍질을 벗긴 나무 껍질을 바다에 담가 유기 물질을 썩게 하여 얻을 수 있다.
뉴질랜드 오클랜드의 해안 지역은 무궁화 해안으로 알려져 있다.
무궁화는 아이티의 국화이며,[32] 솔로몬 제도와 니우에 등 여러 국가의 국화이다.[33] 무궁화(Hibiscus syriacus)는 대한민국의 국화이고,[34] ''무궁화'' × ''로사-시넨시스''(Hibiscus × rosa-sinensis)는 말레이시아의 국화이며,[33] ''무궁화 브라켄리지''(Hibiscus brackenridgei)는 하와이의 주화이다.[35]
6. 하와이 무궁화
하와이 제도는 "하이비스커스" 개량의 중심지이며, 9종의 야생종이 있다. 야생종 외에 부용이나 푸우린부소게(フウリンブッソウゲ) 등 도입된 하이비스커스류가 20세기 초부터 서로 교배되어 5,000종에 달하는 다수의 품종이 탄생했다.[37]
7. 히비스커스 차
로젤(`Hibiscus sabdariffa`)의 꽃받침으로 만든 차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마실 수 있다. 이 음료는 붉은색과 신맛, 독특한 풍미로 잘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C가 풍부하다.
히비스커스 차는 나라마다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지역 | 이름 |
---|---|
서아프리카 | 비사프(bissap) |
우르두어 및 페르시아어 | 굴 에 카트미(Gul e Khatmi) |
멕시코 및 중앙 아메리카 | 아구아 데 자마이카(agua de jamaica, 꽃은 플로르 데 자마이카(flor de jamaica)) |
인도 | 오르훌(Orhul) |
일부 지역 | 로젤(roselle) |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및 카리브해의 다른 많은 섬 | 소렐(sorrel) |
가나 | 수볼로(soobolo) |
이집트와 수단 | 카르카데(karkadé, كركديه) |
스리랑카 | 사파트투 말라(සපත්තු මල) 또는 바다 말라(වද මල) |
캄보디아에서는 꽃잎을 뜨거운 물에 담가 색깔이 빠질 때까지 우려낸 다음, 라임 주스(음료의 색깔이 짙은 갈색/빨간색에서 밝은 빨간색으로 바뀜), 감미료(설탕/꿀) 및 마지막으로 찬물/얼음을 넣어 차가운 음료를 만들기도 한다.
스리랑카에서는 히비스커스 꽃으로 만든 생 과즙, 아이스 티, 시럽이 유명한 청량 음료이다.
아프리카 원산의 로젤은 꽃과 열매(정확히는 비대해진 꽃받침)를 허브차(히비스커스 티)로 이용한다. 다른 허브와 섞어 마시는 경우도 많다. 히비스커스 티는 붉은색을 띠며, 신맛이 있고, 비타민 C가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ibiscus L.
https://powo.science[...]
2023-06-19
[2]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3]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1995
[4]
서적
Hibiscus: Hardy and Tropical Plants for the Garden
https://books.google[...]
Timber Press
[5]
문서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6]
서적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7]
웹사이트
Hibiscus (National Gardening Association)
http://www.garden.or[...]
2016-10-26
[8]
서적
Nature's Palette: the Science of Plant Colo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간행물
2014-10-17
[10]
웹사이트
Hibiscus acapulcensis Fryxell — The Plant List
http://www.theplantl[...]
2016-10-26
[11]
웹사이트
Hibiscus acetosella Welw. ex Hiern — The Plant List
http://www.theplantl[...]
2016-10-26
[12]
논문
Plant use of the Maasai of Sekenani Valley, Maasai Mara, Kenya
[13]
웹사이트
GRIN Species Records of Hibiscus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1-02-10
[14]
웹사이트
Floridata Master Plant List
http://www.floridata[...]
2016-10-26
[15]
논문
Missionary Ships
https://www.shipping[...]
1937-01-26
[1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nrn.com/pento[...]
2016-10-26
[17]
웹사이트
Health Benefits of Hibiscus Tea, According to a Dietitian
https://www.eatingwe[...]
2024-05-09
[18]
웹사이트
Plants for a Future: Hibiscus rosa-sinensis
http://www.pfaf.org/[...]
2009-05-07
[19]
논문
The effect of sour tea (Hibiscus sabdariffa) on essential hypertension
[20]
논문
Hibiscus sabdariffa L. – A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21]
논문
Inhibitory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Hibiscus sabdariffa on contractility of the rat bladder and uterus
2007
[22]
논문
Post-Coital Antifertility Activity of Hibiscus rosa-sinensis Linn. roots
2008
[23]
논문
Medicinal plants for women's healthcare in Southeast Asia: a meta-analysis of their traditional use, chemical constituents, and pharmacology
2014
[24]
논문
Phyt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aspects of Hibiscus sabdariffa L.: a review
2005
[25]
논문
Herbal medicinal products during pregnancy: are they safe?
2002
[26]
논문
Effects of Water Extract of Hibiscus sabdariffa, Linn (Malvaceae) 'Roselle' on Excretion of a Diclofenac Formulation
2007
[27]
논문
Significant reduction in chloroquine bioavailability following coadministration with the Sudanese beverages Aradaib, Karkadi and Lemon
1994
[28]
논문
Effect of Zobo drink (Hibiscus sabdariffa water extract) on the pharmacokinetics of acetaminophen in human volunteers
2004
[29]
웹사이트
Kali Puja 2018: Date, Puja time, Significance And Foods to Celebrate the Festival
https://www.ndtv.com[...]
NDTV.com
2018-11-05
[30]
웹사이트
Ganesh Chaturthi 2020: Quotes, wishes and messages which you can send to your family and friends on Vinayaka Chaturthi
https://timesofindia[...]
[31]
웹사이트
Pink Hibiscus Flower Meaning, Symbolism & Spiritual Significance - Foliage Friend - Learn About Different Types of Plants
https://foliagefrien[...]
2023-05-19
[32]
웹사이트
National Symbols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6-10-26
[33]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National Symbols and Emblems
ABC-CLIO
2009
[34]
웹사이트
What you didn't know about Korea's national flower
http://www.korea.net[...]
Korea.net
[35]
웹사이트
Hawaii State Flower - Yellow Hibiscus
https://statesymbols[...]
statesymbolsusa.org
2014-09-21
[36]
문서
園芸上でいう「ハイビスカス」は、ブッソウゲのほか数種と、これらの複雑な[[交配]]により育成された多数の品種をさしている。
[37]
문서
[38]
웹사이트
http://www.garden.or[...]
[39]
논문
Inhibitory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Hibiscus sabdariffa on contractility of the rat bladder and uterus
2007
[40]
서적
Nature's Palette: the Science of Plant Colo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1]
간행물
Hibiscus Acid as an Inhibitor of Starch Digestion inthe Caco-2 Cell Model System
http://www.tandfonli[...]
[42]
간행물
Effect of Hibiscus sabdariffa L. Dried Calyx Ethanol Extract on Fat Absorption-Excretion, and Body Weight Implication in Ra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