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알라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인알라미는 궁수자리 누¹에 부여된 고유 명칭으로, 아랍어 '아인 알-라미'에서 유래되었으며 '궁수의 눈'을 의미한다. 국제천문연맹(IAU)은 2017년 9월 5일 이 명칭을 공식적으로 지정했다. 궁수자리 누¹은 분광형 K1의 밝은 거성이며, 극소변광성으로 밝기가 변동한다. B9 분광형의 반성 궁수자리 누¹ B와 겉보기 등급 +11.2의 반성 궁수자리 누¹ C를 가지고 있으며, A와 B는 질량 중심을 약 370일 주기로 공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B형 항성 - 헬륨성
헬륨성은 과거 B형 별과 같은 의미로 쓰였지만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 용어로, 헬륨 핵융합을 하는 가상의 별이거나 헬륨 백색 왜성들의 합병으로 생겨나며, 헬륨을 축적하여 수소 주계열성보다 뜨겁고 밝고, 초신성 폭발이나 백색 왜성과의 상호작용으로 폭발을 일으키거나 적색 거성으로 진화할 수 있다. - K형 초거성 - 고물자리 파이
고물자리 파이는 호시 별자리의 별 중 하나로, 적색 초거성으로 진화했으며 태양 질량의 2.5배에 달하는 반성을 가지고 있고, 산개 성단 콜린더 135에 속해 성단 내 다른 별들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 K형 초거성 - 궁수자리 뉴2
- K형 밝은 거성 - 알파드
알파드는 바다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외로운 자'라는 아랍어에서 유래했으며, 거성이자 바륨이 과잉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며, 동아시아 별자리, 브라질 국기, 토요타 미니밴 이름 등으로 사용되는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K형 밝은 거성 - 다비흐
다비흐는 '살육자'라는 뜻의 아랍어에서 유래한 염소자리 베타별로, 기에디라고도 불리며 최소 5개 이상의 별로 이루어진 복잡한 항성계이자 다비흐 메이저, 다비흐 마이너로 나뉘고 동양에서는 소 별자리에 해당한다.
아인알라미 | |
---|---|
개요 | |
이름 | Nu¹ Sagittarii |
다른 이름 | 아이날라미 궁수자리 ν¹ 별 궁수자리 32 B=ν¹ Sgr F=32 Sgr BD=−22°4907 HD=174974 HIP=92761 HR=7116 SAO=187426 WDS=J18542-2245 |
별자리 | 궁수자리 |
![]() |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0 |
겉보기 등급 | +4.86 |
특징 | |
분광형 | G2/K1 Ib/II + B9.2p |
B-V 색지수 | +1.43 |
U-B 색지수 | +1.34 |
변광성 여부 | 확인 필요 |
운동 정보 | |
시선 속도 | −11.57 km/s |
고유 운동 (적경) | +4.291 mas/yr |
고유 운동 (적위) | −7.786 mas/yr |
연주 시차 | 2.3170 mas |
연주 시차 오차 | 0.2139 mas |
절대 등급 | −3.91 |
물리적 특성 | |
반지름 | 101 R☉ |
광도 | 3,464 L☉ |
표면 온도 | 4,401 K |
나이 | 확인 필요 |
2. 명명법
'''궁수자리 누¹'''(ν¹ Sagittarii)은 이 항성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시한 이름이다.
궁수자리 누¹(ν¹ Sgr)은 분광형 K1의 밝은 거성으로, 겉보기등급은 +4.86이다. 이 별은 밝기가 미세하게 변하는 변광성의 일종인 극소변광성(microvariable)으로, 2.3043일을 주기로 0.0078 등급의 밝기 변화를 보인다.
[1]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7-12-16
궁수자리 누¹과 궁수자리 누²(ν² Sagittarii)는 함께 '궁수자리 누'(ν Sgr)로 표기되며, 전통적으로 '아인 알 라미'라고 불려 왔다. 이 명칭은 아랍어 عين الرامي|아인 알-라미ara('궁수의 눈')에서 유래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 명칭을 정리하고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결성했다.[4] WGSN은 고유 명칭을 계 전체가 아닌, 계를 구성하는 개별 별에 부여하는 규칙을 세웠다.[5] 이 규칙에 따라 IAU는 2017년 9월 5일, 고유 명칭 '''아인알라미'''(Ainalrami)를 궁수자리 누¹의 주성(A)에 부여했으며, 이 이름은 현재 IAU 인증 항성명칭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
궁수자리 누¹과 누²는 궁수자리 타우, 궁수자리 프시, 궁수자리 오메가, 궁수자리 60, 궁수자리 제타와 함께 '알 우드히'(Al Udḥiyy, '타조들의 둥지')라는 성군을 이룬다.
3. 속성
1982년에는 주성보다 더 뜨거운 동반성인 궁수자리 누¹ B가 발견되었다. 이 동반성은 분광형 B9형 별이며 빠르게 자전하고 있다. 주성 A와 동반성 B는 약 370일을 주기로 서로의 질량 중심 주위를 공전한다.
겉보기 등급 +11.2의 또 다른 동반성인 궁수자리 누¹ C도 존재한다. 이 별은 A-B 쌍성계로부터 2.5 각초 떨어져서 이들을 공전하고 있다.
참조
[2]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3]
웹사이트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https://www.iau.org/[...]
2018-07-14
[4]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5]
웹인용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https://www.iau.org/[...]
2018-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