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 미술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데미 미술상은 아카데미상 시상 부문 중 하나로, 영화의 미술 디자인을 평가하여 수여된다. 1927/28년 제1회 시상식부터 시작되었으며, 세트 디자인, 의상, 시각 효과 등 영화의 시각적 요소 전반을 아우른다. 흑백 영화와 컬러 영화로 구분하여 시상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통합되었다. 최다 수상 및 최다 후보 지명 기록은 세드릭 기번스가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술상 -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은 2000년 에르메스 코리아 미술상으로 시작하여 2008년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격년제 미술상으로, 수상자에게는 개인전 개최와 파리 레지던시 프로그램 참여 기회가 주어진다. - 미술상 - 다카마쓰노미야 전하기념 세계문화상
다카마쓰노미야 전하기념 세계문화상은 후지산케이 그룹이 주최하며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89년 창설되어 회화, 조각, 건축, 음악, 연극/영화 5개 분야에서 뛰어난 예술적 성취를 이룬 인물에게 매년 수여되는 국제적인 상이다. - 아카데미상 - 아카데미 작품상
아카데미 작품상은 매년 최고의 영화에 수여되는 아카데미상의 주요 부문으로, 1927/28년 시작되어 명칭과 수여 대상, 후보작 수의 변화를 거쳐 현재 제작자에게 수여되며, 감독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 아카데미상 - 돌비 극장
돌비 극장은 캘리포니아 할리우드에 위치하며 아카데미 시상식의 주요 개최지이고, 2001년 완공 후 코닥 극장으로 불리다 2012년 돌비 연구소의 명명권 획득으로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TV 중계에 최적화된 설계와 첨단 기술을 갖춰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아카데미 미술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카데미 미술상 |
영어 이름 | Academy Award for Best Production Design |
일본어 이름 | アカデミー賞美術賞 |
주최 |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AMPAS) |
국가 | 미국 |
시작 연도 | 1927년 |
최근 수상자 | 제임스 프라이스 쇼나 히스 주자 미할레크 '가여운 것들' (2023년) |
웹사이트 |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이전 이름 | 미술상 (Best Art Direction) |
2. 역사
Academy Award for Best Production Design|아카데미 미술상영어은 1929년 제1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윌리엄 캐머런 멘지스가 《붉은 비둘기》와 《템페스트》로 처음 받았다.[5] 이후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에도 계속해서 미술상이 수여되었다.
1940년대부터 1966년까지는 흑백 영화와 컬러 영화 부문으로 나뉘어 시상되었다. 1940년 제1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흑백 영화 부문에 세드릭 기븐스와 폴 그로세가 《오만과 편견》으로, 컬러 영화 부문에 빈센트 코르다가 《바그다드의 도둑》으로 수상했다. 1950년 제2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흑백 영화 부문에 한스 드레이어와 존 미한이 《선셋 대로》로, 컬러 영화 부문에 한스 드레이어와 월터 H. 타일러가 《삼손과 데릴라》로 수상했다. 1960년 제33회 아카데미상 흑백 부문에서는 알렉상드르 트로네와 에드워드 G. 보일이 《아파트》로, 컬러 부문에서는 알렉산더 골리친, 에릭 오르봄, 러셀 A. 가우스먼, 줄리아 헤런이 《스파르타쿠스》로 미술상을 수상했다.[1]
1967년 제40회 아카데미상부터는 흑백, 컬러 구분 없이 통합되어 시상되었다. 1970년 제43회 아카데미상에서는 우리 맥클리어와 길 파론도가 《패튼》으로 수상했다.
2. 1. 1920년대
제1회 아카데미상 미술상은 윌리엄 캐머런 멘지스가 The Dove (1927 film)|붉은 비둘기영어와 Tempest (1928 film)|템페스트영어로,[5] 제2회 아카데미상 미술상은 세드릭 기번스가 산 루이스 레이의 다리로 수상했다.2. 2. 1930년대
연도 | 영화 | 미술 감독 |
---|---|---|
1929/1930 (제3회) | 재즈의 왕 | 허먼 로스 |
1930/1931 (제4회) | '시마론' | 맥스 레이 |
1931/1932 (제5회) | '대서양 횡단' | 고든 와일스 |
1932/1933 (제6회) | '카발케이드' | 윌리엄 S. 달링 |
1934 (제7회) | '메리 위도우' | 세드릭 기번스와 프레드릭 호프 |
1935 (제8회) | '어둠의 천사' | 리처드 데이 |
1936 (제9회) | '도즈워스' | 리처드 데이 |
1937 (제10회) | '잃어버린 지평선' | 스테판 구슨 |
1938 (제11회) | '로빈 후드의 모험' | 칼 줄스 웨일 |
1939 (제12회)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라일 R. 휠러 |
2. 3. 1940년대
1940년대 아카데미 미술상은 영화 산업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진 시기였다. 특히 흑백 영화와 컬러 영화 부문으로 나뉘어 시상이 진행되었는데, 이는 당시 영화 제작 기술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1940년 (제13회 아카데미 시상식)'''
- '''1941년 (제14회 아카데미 시상식)'''
부문 | 미술 감독 | 실내 장식 | 작품 |
---|---|---|---|
흑백 | 리처드 데이, 네이선 주란 | 토마스 리틀 |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 |
컬러 | 세드릭 기븐스, 우리 맥클리어리 | 에드윈 B. 윌리스 | 먼지 속의 꽃 |
- '''1942년 (제15회 아카데미 시상식)'''
부문 | 미술 감독 | 실내 장식 | 작품 |
---|---|---|---|
흑백 | 리처드 데이, 조셉 C. 라이트 | 토마스 리틀 | 무엇보다 이 |
컬러 | 리처드 데이, 조셉 C. 라이트 | 토마스 리틀 | 내 갈 샐 |
- '''1943년 (제16회 아카데미 시상식)'''
부문 | 미술 감독 | 실내 장식 | 작품 |
---|---|---|---|
흑백 | 제임스 베이스비, 윌리엄 S. 달링 | 토마스 리틀 | 베르나데트의 노래 |
컬러 | 알렉산더 골리친, 존 B. 굿맨 | 러셀 A. 가우스만, 이라 S. 웹 | 오페라의 유령 |
- '''1944년 (제17회 아카데미 시상식)'''
- '''1945년 (제18회 아카데미 시상식)'''
부문 | 미술 감독 | 실내 장식 | 작품 |
---|---|---|---|
흑백 | 위아드 이헨 | A. 롤랜드 필즈 | 태양을 향한 피 |
컬러 | 한스 드라이어, 에른스트 페게테 | 사무엘 M. 코머 | 프렌치맨스 크리크 |
- '''1946년 (제19회 아카데미 시상식)'''
부문 | 미술 감독 | 실내 장식 | 작품 |
---|---|---|---|
흑백 | 윌리엄 S. 달링, 라일 R. 휠러 | 토마스 리틀, 프랭크 E. 휴즈 | 안나와 시암의 왕 |
컬러 | 세드릭 기븐스, 폴 그로세 | 에드윈 B. 윌리스 | 해럴링 |
- '''1947년 (제20회 아카데미 시상식)'''
부문 | 수상자 | 작품 |
---|---|---|
흑백 | 존 브라이언, 윌프레드 쉥글턴 | 위대한 유산 |
컬러 | 알프레드 융게 | 블랙 나르시서스 |
- '''1948년 (제21회 아카데미 시상식)'''
부문 | 수상자 | 작품 |
---|---|---|
흑백 | 로저 K. 퓨스, 카르멘 딜론 | 햄릿 |
컬러 | 하인 헤크로스, 아서 로슨 | 붉은 구두 |
- '''1949년 (제22회 아카데미 시상식)'''
부문 | 미술 감독 | 실내 장식 | 작품 |
---|---|---|---|
흑백 | 해리 호너, 존 미한 | 에밀 쿠리 | 상속녀 |
컬러 | 세드릭 기븐스, 폴 그로세 | 에드윈 B. 윌리스, 잭 D. 무어 | 작은 아씨들 |
2. 4. 1950년대
1950년(제23회 아카데미 시상식)흑백 | 컬러 |
---|---|
1951년(제24회 아카데미 시상식)
흑백 | 컬러 |
---|---|
1952년(제25회 아카데미 시상식)
흑백 | 컬러 |
---|---|
1953년(제26회 아카데미 시상식)
흑백 | 컬러 |
---|---|
1954년(제27회 아카데미 시상식)
흑백 | 컬러 |
---|---|
1955년(제28회 아카데미 시상식)
흑백 | 컬러 |
---|---|
1956년(제29회 아카데미 시상식)
흑백 | 컬러 |
---|---|
- '''사요나라''' - 테드 호워스 (미술); 로버트 프리슬리 (세트)
- 퍼니 페이스 - 할 페레이라와 조지 W. 데이비스 (미술); 새뮤얼 M. 코머와 레이 모이어 (세트)
- 레 걸스 - 윌리엄 A. 호닝과 진 앨런 (미술); 에드윈 B. 윌리스와 리처드 페퍼레 (세트)
- 팔 조이 - 월터 홀셔 (미술); 윌리엄 키어난과 루이스 디에이 (세트)
- 레인트리 카운티 - 윌리엄 A. 호닝과 우리 맥클리어리 (미술); 에드윈 B. 윌리스와 휴 헌트 (세트)
1958년(제31회 아카데미 시상식)[11]
- '''지지''' - 윌리엄 A. 호닝 (사후 수상)과 E. 프레스턴 에임스 (미술); 헨리 그레이스와 F. 키오 글리슨 (세트)
- 오, 마이 마미 - 말콤 C. 버트 (미술); 조지 제임스 홉킨스 (세트)
- 벨, 북 앤드 캔들 - 캐리 오델 (미술); 루이스 디에이 (세트)
- 어떤 미소 - 라일 R. 휠러와 존 드큐어 (미술); 월터 M. 스콧과 폴 S. 폭스 (세트)
- 현기증 - 할 페레이라와 헨리 범스테드 (미술); 새뮤얼 M. 코머와 프랭크 R. 맥켈비 (세트)
1959년(제32회 아카데미 시상식)
흑백 | 컬러 |
---|---|
2. 5. 1960년대
1960년(제33회 아카데미상) 흑백 부문에서는 알렉상드르 트로네와 에드워드 G. 보일이 ''아파트''로, 컬러 부문에서는 알렉산더 골리친, 에릭 오르봄, 러셀 A. 가우스먼, 줄리아 헤런이 ''스파르타쿠스''로 미술상을 수상했다.[1]1961년(제34회 아카데미상) 흑백 부문에서는 해리 호너와 진 캘러핸이 ''허슬러''로, 컬러 부문에서는 보리스 레벤과 빅터 A. 갱젤린이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로 미술상을 수상했다.[2]
1962년(제35회 아카데미상) 흑백 부문에서는 알렉산더 골리친, 헨리 범스테드, 올리버 에머트가 ''앵무새 죽이기''로, 컬러 부문에서는 존 박스, 존 스톨, 다리오 시모니가 ''아라비아의 로렌스''로 미술상을 수상했다.[3]
1963년(제36회 아카데미상) 흑백 부문에서는 진 캘러핸이 ''아메리카 아메리카''로, 컬러 부문에서는 존 드퀴어, 잭 마틴 스미스, 힐리어드 M. 브라운, 허먼 A. 블루멘탈, 엘벤 웹, 모리스 펠링, 보리스 유라가, 월터 M. 스콧, 폴 S. 폭스, 레이 모이어가 ''클레오파트라''로 미술상을 수상했다.[4]
1964년(제37회 아카데미상) 흑백 부문에서는 바실리스 포토풀로스가 ''그리스인 조르바''로, 컬러 부문에서는 진 앨런, 세실 비턴, 조지 제임스 홉킨스가 ''마이 페어 레이디''로 미술상을 수상했다.[5]
1965년(제38회 아카데미상) 흑백 부문에서는 로버트 클라토워시와 조셉 키시가 ''바보들의 배''로, 컬러 부문에서는 존 박스, 테렌스 마시, 다리오 시모니가 ''닥터 지바고''로 미술상을 수상했다.[6]
1966년(제39회 아카데미상) 흑백 부문에서는 리처드 실버트와 조지 제임스 홉킨스가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로, 컬러 부문에서는 잭 마틴 스미스, 데일 헤네시, 월터 M. 스콧, 스튜어트 A. 레이스가 ''환상 여행''으로 미술상을 수상했다.[7]
1967년(제40회 아카데미상)에는 존 트루스콧, 에드워드 카레르, 존 W. 브라운이 ''카멜롯''으로 미술상을 수상했다.[8]
1968년(제41회 아카데미상)에는 존 박스, 테렌스 마시, 버논 딕슨, 켄 머글스턴이 ''올리버!''로 미술상을 수상했다.[9]
1969년(제42회 아카데미상)에는 존 드퀴어, 잭 마틴 스미스, 허먼 A. 블루멘탈, 월터 M. 스콧, 조지 제임스 홉킨스, 라파엘 브레턴이 ''헬로, 돌리!''로 미술상을 수상했다.[10]
2. 6. 1970년대
(43회)(44회)
(45회)
(46회)
(47회)
(48회)
(49회)
(50회)
(51회)
(52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