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팔라치오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팔라치오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앨라배마에서 발견된 티라노사우루스상과에 속하는 공룡이다. 1982년 발견되었으며, 2005년 '아팔라치오사우루스 몽고메리엔시스'라는 학명이 부여되었다. 두개골은 티라노사우루스과에 비해 얇고 가늘며, 코 위에 6개의 낮은 볏이 있다. 몸길이는 약 6.5m, 몸무게는 약 623kg으로 추정된다. 앞발은 두 개의 짧은 손가락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꼬리 척추뼈가 융합된 흔적이 발견되기도 했다. 초기에는 티라노사우루스과의 알베르토사우루스아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에오티라노사우리아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라노사우루스과 - 다스플레토사우루스
다스플레토사우루스는 후기 백악기 캄파니아절 북아메리카 서부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으로, 튼튼한 두개골과 강력한 턱을 가진 대형 포식자이며, 고르고사우루스와 생태적 지위를 놓고 경쟁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현재까지 세 종이 명명되어 진화적 관계와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티라노사우루스과 - 알리오라무스
알리오라무스는 후기 백악기 몽골에서 서식한 티라노사우루스과의 한 속으로, 길고 낮은 두개골과 코 위의 뼈 볏이 특징이며, *Alioramus remotus*와 *Alioramus altai* 두 종이 알려져 있고, 다른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 200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필리드로사우루스
필리드로사우루스는 백악기 초 중국에서 서식했던 멸종된 초리스토데란의 한 속으로, 두개골 융기와 뼈로 닫힌 하측 측두 페네스트라가 특징이며, 부모 양육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 200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레페노마무스
레페노마무스는 백악기 전기에 살았던 세첨치아목 트라이코노돈트 포유류로, 랴오닝성 이셴 층에서 발견되었으며, 특히 R. robustus 화석에서 어린 프시타코사우루스 골격이 발견되어 중생대 포유류가 육식성이었음을 보여준다. 
| 아팔라치오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Appalachiosaurus montgomeriensis | 
| 속 | Appalachiosaurus | 
| 명명자 | Carr et al., 2005 | 
| 시대 | 백악기 후기 캄파니아절, 8200만 년 전 ~ 7790만 년 전 | 
| 몸길이 | 약 6.5 m | 
| 몸무게 | 약 623 kg | 
| 생물학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룡강 | 
| 상목 | 공룡상목 | 
| 목 | 용반목 (Saurischia) | 
| 아목 | 수각아목 (Theropoda) | 
| 아목 계통군 | 아베로스트라 (Averostra) | 
| 하목 | 테타누라 (Tetanurae) | 
| 하목 계통군 | 코엘루로사우루스류 (Coelurosauria) | 
| 소목 계통군 | 티라노랍토라 (Tyrannoraptora) | 
| 상과 | 티라노사우루스상과 (Tyrannosauroidea) | 
| 상과 계통군 | 에우티라노사우리아 (Eutyrannosauria) | 
| 학술 정보 | |
| 저널 |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 
| 권 | 25 | 
| 호 | 1 | 
| 페이지 | 119–143 | 
| DOI | 10.1671/0272-4634(2005)025[0119:ANGASO]2.0.CO;2 | 
| ISSN | 1094-8074 | 
2. 연구사
1982년 7월, 오번 대학교 지질학자 데이비드 킹이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 카운티에서 애팔래치오사우루스의 모식 표본을 발견했다.[3][12] 2005년, 고생물학자 토마스 카, 토마스 윌리엄슨 등이 '애팔래치오사우루스 몽고메리엔시스(Appalachiosaurus montgomeriensi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13] 속명은 애팔래치아 산맥의 이름을 따서 '애팔래치아의 도마뱀'이라는 뜻이며, 종명은 발견지인 '몽고메리 카운티'를 의미한다. 초기에는 앞발가락이 3개인 것으로 복원되었으나, 추가 연구를 통해 2개로 수정되었다. 
아성체 기준 몸길이는 약 6.5m, 몸무게는 약 623kg으로 추정된다.[1][4] 두개골은 티라노사우루스와 비교했을 때 얇고 가늘며, 코 위에 6개의 낮은 볏이 있는데, 이는 아시아의 알리오라무스와 유사하다. 대부분의 티라노사우루스상과 공룡들은 코와 눈썹 윗부분에 다양한 장식을 가지고 있다. 
애팔래치오사우루스는 티라노사우루스상과에 속하며, 초기에는 티라노사우루스과의 알베르토사우루스아과(Albertosaurinae)로 분류되기도 했다.[8][16]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에오티라노사우리아라는 분류군에 속하며, 드립토사우루스, 테라토포네우스, 피스타히에베르소르와 함께 독자적인 분류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9][17] 
Appalachiosaurus영어는 고생물학적으로 연구 가치가 높은 공룡이다. 특히 꼬리 척추뼈 두 개가 융합된 채로 발견되었는데, 이는 경미하거나 외상적인 부상 이후의 새로운 골 치유 결과일 수 있다.[1]
티라노사우루스와 윗턱뼈를 비교해 보면 두꺼운 티라노사우루스에 비해 얇고 가늘어, 두꺼운 윗턱으로 진화하기 전의 단계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이며, 딜롱이나 에오티라누스에 비해 티라노사우루스에 가깝게 진화해 왔다는 걸 알 수 있다. 2022년 에오티라누스 연구로 인해 티라노사우루스과에서 제외된 후 에우티라노사우리아에 속하게 되었다.
3. 특징

앞발은 완전히 발견되지 않았지만, 대형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들처럼 2개의 짧은 앞발가락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5] 초기의 복원도는 세 개의 큰 손가락이 있는 긴 팔을 보여주었지만, 현재는 훨씬 짧고 두 개의 손가락만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박물관 전시물은 이에 따라 수정되었다.[6]
꼬리 척추뼈 두 개가 융합된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경미한 부상 후의 골 치유 결과로 보인다.[1] 약 32,500 뉴턴 (7,193 파운드/제곱인치)의 뼈를 부수는 물어뜯는 힘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7]
4. 분류와 계통
두개골 형태를 보면 티라노사우루스아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윗턱뼈를 비교했을 때 티라노사우루스에 비해 얇고 가늘어 두꺼운 윗턱으로 진화하기 전 단계를 보여준다. 이는 딜롱이나 에오티라누스에 비해 티라노사우루스에 더 가깝게 진화했음을 나타낸다.
2013년 Loewen 등의 연구에 따른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9]
5. 고생물학
5. 1. 고생태
애팔래치오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미 동부 애팔래치아 대륙의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7700만 년 전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하였을 것이며, 아성체 표본만 발견되었는데, 아성체 기준 몸길이는 6.5m, 몸무게는 623kg 정도였을 것으로 짐작된다.[1] 당시 북미 대륙은 서부 내륙 해로에 의해 서쪽의 라라미디아와 동쪽의 애팔래치아로 나뉘어 있었다. 라라미디아에는 티라노사우루스와 계통상 가까운 종들이 서식했지만, 애팔래치오사우루스가 서식한 애팔래치아에는 티라노사우루스와 가까운 종이나 그 외 최상위 포식자는 없었다. 따라서 라라미디아는 티라노사우루스과가 서식했을 것이고, 애팔래치아는 티라노사우루스과가 아닌 공룡이 서식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애팔래치오사우루스는 그 당시 애팔래치아의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이다.[1]
5. 2. 병리
꼬리 척추뼈 두 개가 서로 융합된 채로 발견되었는데, 이는 경미하거나 외상적인 부상 이후의 새로운 골 치유로 인한 결과일 수 있다.[1]
참조
[1] 
논문
 
A new genus and species of tyrannosauroid from the Late Cretaceous (middle Campanian) Demopolis Formation of Alabama
 
[2] 
논문
 
The biogeography and ecology of the Cretaceous non-avian dinosaurs of Appalachia
 
2018-02-08
 
[3] 
웹사이트
 
Appalachiosaurus montgomeriensis - Australian Museum
 
https://web.archive.[...] 
2014-01-04
 
[4] 
논문
 
First large tyrannosauroid theropod from the Early Cretaceous Jehol Biota in northeastern China
 
http://xa.yimg.com/k[...] 
[5] 
논문
 
Comparison of the Functional Morphology of ''Appalachiosaurus'' and ''Albertosaurus''
 
[6] 
웹사이트
 
The Daily Tribune News - Tellus Appalachiosaurus to receive shorter arms Friday
 
https://web.archive.[...] 
2013-04-26
 
[7] 
논문
 
Comparison of the Functional Morphology of Appalachiosaurus and Albertosaurus
 
2012-09
 
[8] 
서적
 
"Tyrannosauroidea." In: Weishampel, D.A., Dodson, P., & Osmolska, H. (Eds.). ''The Dinosauria'' (2nd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논문
 
Tyrant Dinosaur Evolution Tracks the Rise and Fall of Late Cretaceous Oceans
 
[10] 
논문
 
A new genus and species of tyrannosauroid from the Late Cretaceous (middle Campanian) Demopolis Formation of Alabama
 
[11] 
논문
 
The biogeography and ecology of the Cretaceous non-avian dinosaurs of Appalachia
 
2018-02-08
 
[12] 
웹사이트
 
http://www.australia[...] 
[13] 
논문
 
Comparison of the Functional Morphology of ''Appalachiosaurus'' and ''Albertosaurus''
 
http://benthamscienc[...]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aily-tri[...] 
2013-04-26
 
[15] 
논문
 
Comparison of the Functional Morphology of Appalachiosaurus and Albertosaurus
 
2012-09
 
[16] 
서적
 
"Tyrannosauroidea." In: Weishampel, D.A., Dodson, P., & Osmolska, H. (Eds.). ''The Dinosauria'' (2nd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논문
 
Tyrant Dinosaur Evolution Tracks the Rise and Fall of Late Cretaceous Oceans
 
http://www.plosone.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