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인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인의 역사는 여러 필사본으로 존재하며, 그중 더발타크 맥 휘르비시히와 에드워드 루이드가 소장했던 것이 중요하며,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소장 Ms. H.2.7 필사본은 14세기에 루카스 오 달라인이 편집했다. 주요 내용은 Dál Riata 왕들의 계보를 담고 있는 Genelaig Albanensium이 첨부되어 있으며, Dál Riata 기원에 대한 신화를 따르고 있다. Senchus는 Dál Riata의 Cenél nGabráin, Cenél Loairn, Cenél nÓengusa로의 분할과 군사적 의무를 나열하며, 영국 제도에서 해상 전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세기 책 - 수다
10세기 후반에 편찬된 비잔틴 백과사전인 수다는 문법 사전과 백과사전의 중간 형태로서 고대 및 비잔틴 역사와 생활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담고 있어 문헌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고전 작품 및 역사 자료를 활용하여 20세기에는 표준 인쇄본이 편집되었고 현대 영어 번역본이 2014년에 완성되었다. - 10세기 책 - 화명류취초
화명류취초는 10세기 중엽 미나모토노 시타고가 편찬한 일본 자서로,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20권본은 고대 일본 율령제 하의 행정 구역 명칭을 망라하여 일본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 스코틀랜드의 중세사 -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은 1296년부터 1357년까지 잉글랜드의 지배 시도에 맞서 스코틀랜드가 벌인 독립 투쟁으로, 윌리엄 월레스와 로버트 1세 등의 지도 아래 스털링 브리지 전투와 배넉번 전투에서 승리하여 독립을 쟁취하고 스튜어트 왕조를 개창했다. - 스코틀랜드의 중세사 - 알바 왕국
알바 왕국은 9세기 초 케네스 맥알핀에 의해 건국되어 바이킹 침입에 맞서 왕국의 기틀을 다졌으며, 11세기 캔모어 왕조 시대에 잉글랜드와의 갈등을 겪고 독립 전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했다.
알바인의 역사 |
---|
2. 문서의 형태와 역사
''Senchus fer n-Alban''은 여러 필사본 형태로 전해지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과거 더발타크 맥 휘르비시히(Dubhaltach Mac Fhirbhisigh)와 에드워드 루이드(Edward Lhuyd)가 소장했던 것으로, 현재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에 보관된 Ms. H.2.7이다. 이 필사본은 14세기에 루카스 오 달라인(Lucas Ó Dalláin)이 편집했으며, Uí Maine의 수석 시인이자 역사가였던 숀 모르 오 두바게인(Seán Mór Ó Dubhagáin, 1372년 사망)과 함께 작업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때 이 필사본이 ''Uí Maine 서''(Book of Uí Maine)의 일부였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으나, 현재는 그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 외에도 ''밸리모트 서''(Book of Ballymote, 1384년–1406년 작성 추정), ''레칸 서''(Book of Lecan, 1418년 이전 작성 추정), 그리고 맥 휘르비시히가 17세기에 편집한 계보 모음집 등에서도 ''Senchus''의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1]
이 문서는 7세기에 작성된 더 오래된 문서들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원본 문서들은 라틴어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
''Senchus''는 비교적 짧은 문서로, 판본에 따라 70행에서 80행 정도의 분량이다. 여기에는 Máel Coluim mac Cináeda와 Causantín mac Cuilén 같은 Alba의 왕들, 그리고 Ainbcellach mac Ferchair를 비롯한 달 리아타 왕들의 계보를 담은 ''Genelaig Albanensium''이 부록처럼 첨부되어 있다.
대부분의 ''Senchus'' 판본은 에르크(Erc)의 아들들, 특히 Fergus Mór로부터 시작하는 후대의 달 리아타 기원 신화를 따른다.[3] 하지만 맥 휘르비시히가 편집한 판본은 달 리아타의 기원을 Síl Conairi와 Conaire Mór 또는 Conaire Cóem의 아들인 카르브러 리어터(Cairpre Riata, Rígfhota)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베다의 ''앵글로인의 교회사''에 등장하는 '레우다'(Reuda)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4] ''Genelaig Albanensium''과 Rawlinson B 502 필사본에 수록된 유사한 계보들은 카르브러 리어터를 Fergus Mór mac Eirc보다 10대 또는 15대 앞선 조상으로 기록하고 있다.[5]
''Senchus''의 역사적 가치는 주로 후반부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 부분에는 달 리아타의 실존했던 왕들에 대한 기록이 담겨 있다. 신화적인 내용은 6세기 중반 Conall mac Comgaill의 통치 시기를 기점으로 끝나고 역사적 서술이 시작되는 것으로 보인다.[6] ''Senchus'' 자체에 포함된 계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마지막 왕은 660년경에 사망한 Conall Crandomna이다.[7]
''Senchus''는 달 리아타를 Cenél nGabráin, Cenél Loairn, Cenél nÓengusa의 세 주요 분파(cenél)로 나누고 각 분파가 부담해야 할 군사적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이는 Cenél Comgaill이 아직 Cenél nGabráin의 일부로 간주되던 시기의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8] 이러한 분파 구분은 아주 오래된 것은 아니며,[9] 제시된 군사력 목록 자체에도 일부 문제점이 지적된다.[10] ''Senchus''는 달 리아타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있는 아일랜드 영토에 대한 친족 관계나 군사적 의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흥미로운 점은 Cenél Loairn의 영토 내에 Airgíalla가 존재한다고 언급된 부분인데, 이것이 아일랜드에서 건너온 정착민 집단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추가적인 복속민"을 지칭하는 용어인지는 명확하지 않다.[11]
''Senchus''에는 영국 제도에서 해상 전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지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719년에 있었던 경쟁 관계에 있던 달 리아타 집단 간의 해상 교전에 대한 간략한 기록이 그것이다.[12]
2. 1. 기타 필사본
''Senchus fer n-Alban''은 여러 필사본으로 전해지는데, 주요 필사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중요한 사본들이 존재한다. ''밸리모트 서''(Book of Ballymote, 1384년–1406년 작성 추정), ''레칸 서''(Book of Lecan, 1418년 이전 작성 추정), 그리고 더발타크 맥 휘르비시히(Dubhaltach Mac Fhirbhisigh)가 17세기에 편집한 계보 모음집에서도 그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1]3. 내용
Senchus fer n-Alban|센쿠스 페르 너 알반sga은 초기 중세 게일어로 작성된 문서로, 스코틀랜드 서부의 초기 왕국인 달 리어타(Dál Riata)의 역사를 다룬다. 이 문서는 여러 필사본으로 전해지며, 그중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소장 Ms. H.2.7 필사본이 대표적으로 꼽힌다.[1] 7세기경 라틴어로 작성된 더 오래된 문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2] 분량은 판본에 따라 약 70~80행 정도이다.
문서에는 달 리어타의 기원에 대한 신화적 설명과 함께[3][4][5], 6세기 중반 이후의 역사적 기록이 담겨 있다.[6] 특히 달 리어타 왕국의 주요 씨족인 케넬 느가브란(Cenél nGabráin), 케넬 로아른(Cenél Loairn), 케넬 노엥구사(Cenél nÓengusa)의 구분과 각 씨족이 부담해야 할 군사적 의무를 명시하고 있으며,[8] 영국 제도 역사상 가장 오래된 해상 전투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지는 719년의 사건도 간략히 언급한다.[12] 마지막으로 기록된 왕은 660년경 사망한 코날 크란돔나(Conall Crandomna)이다.[7] 종종 ''Genelaig Albanensium''이라는 계보 문서가 함께 발견되기도 한다.
3. 1. 주요 내용
''Senchus fer n-Alban''은 여러 필사본으로 전해지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더발타크 맥 휘르비시히와 에드워드 루이드가 소장했던 것이다. 현재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가 소장한 Ms. H.2.7 필사본이 대표적인데, 14세기에 루카스 오 달라인이 숀 모르 오 두바게인(1372년 사망)과 함께 편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외에도 ''밸리모트 서''(1384x1406), ''레칸 서''(1418년 이전), 맥 휘르비시히의 17세기 계보 편집본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 이 문서는 7세기경 라틴어로 작성된 더 오래된 문서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2] 분량은 판본에 따라 약 70~80행 정도이다.''Senchus''에는 종종 ''Genelaig Albanensium''이라는 문서가 첨부되는데, 여기에는 알바(Alba)의 왕인 Máel Coluim mac Cináeda와 Causantín mac Cuilén, 그리고 달 리아타(Dál Riata)의 왕인 Ainbcellach mac Ferchair를 비롯한 여러 왕들의 계보가 담겨 있다.
대부분의 ''Senchus'' 버전은 달 리아타(Dál Riata)의 기원을 Eochaid Muinremar와 Erc의 아들들, 특히 Fergus Mór에서 찾는 후대의 신화를 따른다.[3] 반면, 맥 휘르비시히가 편집한 버전은 달 리아타를 Síl Conairi와 Conaire Mór 또는 Conaire Cóem의 아들인 Cairpre Riata (Rígfhota)와 연결 짓는다. 이 Cairpre Riata는 베다의 ''앵글로족 교회 역사''에 등장하는 ''Reuda''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된다.[4] ''Genelaig Albanensium''과 Rawlinson B 502 필사본에 실린 유사한 계보는 Cairpre Riata를 Fergus Mór mac Eirc의 10대 혹은 15대 조상으로 기록하고 있다.[5]
''Senchus''의 역사적 가치는 주로 후반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신화적인 내용은 6세기 중반 Conall mac Comgaill의 통치 시기에 끝나고 실제 역사 기록으로 이어진다고 여겨진다.[6] 문서 자체에 기록된 마지막 왕은 660년경 사망한 Conall Crandomna이다.[7]
''Senchus''는 달 리아타(Dál Riata) 왕국이 크게 세 분파, 즉 Cenél nGabráin, Cenél Loairn, Cenél nÓengusa로 나뉘어 있었음을 보여주며, 각 분파가 부담해야 할 군사적 의무도 명시하고 있다. 당시 Cenél Comgaill은 아직 Cenél nGabráin의 일부로 간주되었던 것으로 보인다.[8] 이러한 분할 방식은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며,[9] 기록된 목록 자체에도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된다.[10] ''Senchus''는 달 리아타의 일부였을 수 있는 아일랜드 영토에 대한 친족 관계나 군사적 의무는 언급하지 않는다. 흥미로운 점은 Cenél Loairn의 영토 내에 Airgíalla가 존재했다는 기록인데, 이것이 아일랜드에서 온 정착민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추가 복속민"을 지칭하는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11]
또한 ''Senchus''에는 719년 달 리아타 내부의 경쟁 집단 간에 벌어진 해상 교전에 대한 간략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영국 제도에서 해상 전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 중 하나로 여겨진다.[12]
3. 2. 역사적 가치
센쿠스(Senchus fer n-Alban|센쿠스 페르 너 알반sga)의 역사적 가치는 주로 후반부에 있으며, 여기에는 달 리어타(Dál Riata)의 역사적 왕들에 대한 기록이 포함된다. 신화적 내용은 6세기 중반 코날 막 코말(Conall mac Comgaill)의 통치 시기에 끝나고, 이때부터 역사적 기록으로 간주될 수 있다.[6] 센쿠스 자체에 포함된 계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마지막 왕은 660년경 사망한 코날 크란돔나(Conall Crandomna)이다.[7]센쿠스는 달 리어타의 주요 씨족인 케넬 느가브란(Cenél nGabráin), 케넬 로아른(Cenél Loairn), 케넬 노엥구사(Cenél nÓengusa)로의 분할과 각 씨족의 군사적 의무를 상세히 나열한다. 이 기록은 케넬 컴갈(Cenél Comgaill)이 아직 케넬 느가브란의 일부로 여겨지던 시점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8] 그러나 이러한 분할 자체가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며,[9] 제공된 목록에도 일부 문제점이 지적된다.[10] 또한 센쿠스는 달 리어타 왕국의 일부였을 수 있는 아일랜드 영토에 대한 친족 관계나 군사적 의무는 기록하지 않았다. 흥미로운 점은 케넬 로아른의 영토 내에 아르길라(Airgíalla)의 존재가 언급된다는 것인데, 이것이 아일랜드에서 온 정착민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추가적인 복속민"을 지칭하는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11]
특히 센쿠스는 영국 제도에서 해상 전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719년에 있었던 달 리어타 내 경쟁 집단 간의 해상 교전에 대한 간략한 기록이 바로 그것이다.[12]
4.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관계
Senchus fer n-Alban|센쿠스 페르 너 알반sga은 달 리아타 왕국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이 왕국이 오늘날의 스코틀랜드 지역뿐만 아니라 아일랜드와도 관련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센쿠스는 달 리아타 왕국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있는 아일랜드 지역과의 구체적인 친족 관계나 군사적 의무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기록하지 않았다.[11] 그러나 센쿠스에는 Cenél Loairn|케넬 로아른sga의 영토 내에 Airgíalla|아르길라sga가 존재했다는 흥미로운 기록이 있다. 이 'Airgíalla'가 아일랜드에서 건너온 정착민 집단을 가리키는지, 아니면 단순히 '추가적인 복속민'이나 '고객'을 의미하는 꼬리표인지는 명확하지 않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록은 당시 스코틀랜드 지역의 달 리아타와 아일랜드 사이에 어떤 형태의 관계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단서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Studies
[2]
서적
Studies in the History of Dalriada
Edinburgh
1974
[3]
서적
Studies
[4]
서적
Studies
[5]
서적
Studies
[6]
간행물
"The thriving of Dalriada"
[7]
서적
Studies
[8]
서적
Studies
[9]
간행물
"The thriving of Dalriada"
[10]
서적
Studies
[11]
서적
Studies
[12]
서적
1997
[13]
서적
Studies
[14]
서적
Studies
[15]
서적
Studies
[16]
간행물
"The thriving of Dalriada"
[17]
서적
Studies
[18]
서적
Studies
[19]
서적
Studies
[20]
서적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