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다 베네라빌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다 베네라빌리스(Bede Venerabilis)는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에 활동한 잉글랜드의 수도사이자 학자이다. 그는 672년 또는 673년에 태어나 735년에 사망했으며, 생애 대부분을 타인 강 하구의 자로에서 보냈다. 베다는 잉글랜드 교회의 역사, 과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731년에 완성한 《잉글랜드 교회사》는 잉글랜드 초기 기독교 발달과 앵글로색슨족의 역사를 기록한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경(敬) 베데"라는 칭호로 불리며, 1899년 교회 박사로 선언되었으며, 현재 가톨릭, 성공회 등에서 성인으로 기념되고 있다.

2. 생애 및 경력

베다는 북잉글랜드의 노섬브리아 지역 웨어 강 하구에서 태어나 평생 타인 강 하구의 마을 자로에서 수도 생활을 하였다. 731년경에 완성된 그의 저서 ''영국 민족 교회사''의 마지막 장에 따르면, 59세에 ''교회사''를 완성했다고 스스로 적었으며, 교정 작업은 731년경으로 추정되므로 그의 출생 연도는 672년 또는 673년경으로 여겨진다.[2][3][4][5] 그의 이름은 웨스트 색슨 ''Bīeda'' (앵글리언 ''Bēda'')를 반영하며, "명령하다, 지시하다"라는 뜻의 ''bēodan''의 어근을 기반으로 한 고대 영어 약칭이다.[12]

7세에 그의 가족에 의해 ''푸에르 오블라투스''로[14] 위어머스(Wearmouth)의 성 베드로 수도원에 들어가 베네딕트 비스코프와 키올프리드에게 교육을 받았다.[15] 682년부터 자로 수도원에서 지내며, 노섬브리아 귀족 출신인 수도사 베네딕토 비스코프와 그의 후계자 체오프리드에게 그리스어라틴어, 시 짓기, 로마의 성가를 배웠다.

692년경 19세에 헥섬 주교였던 존에 의해 부제로 서품되었고,[17] 702년경 30세에 다시 존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품되었다.[5] 701년경에는 교실에서 사용하기 위한 ''De Arte Metrica''와 ''De Schematibus et Tropis''를 썼다.[20]

베다가 필사자에게 받아쓰기를 하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 글로스터 대성당의 스테인드 글라스


708년 헥섬의 일부 수도사들이 베다의 저서 ''De Temporibus''에서 이단을 저질렀다고 비난하였으나,[26] 며칠 안에 그 수도사에게 답장을 보내 자신의 변론을 제시했다.[26] 733년에는 요크 주교였던 에그베르트를 방문하기 위해 요크로 여행했고, 735년 요크 교구가 대주교로 승격될 때 논의를 하였을 가능성이 있다.[28] 린디스판 수도원으로 여행을 가기도 하였고, 라는 수도사를 방문하기도 하였다.[29]

베다는 예수 승천 대축일인 735년 5월 26일 목요일에 사망했으며,[33] 재로에 묻혔다.[5] 그의 유해는 11세기에 더럼 대성당으로 옮겨졌을 수 있으며,[5] 1541년에 무덤이 약탈되었지만, 그 내용은 아마도 대성당의 갈릴리 예배당에 다시 묻혔을 것이다.[5]

그는 음악, 음악의 미터법, 성경 주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저술 활동을 보여주는 과학, 역사, 신학 작품을 저술했다. 교부 문헌뿐만 아니라 플리니우스, 베르길리우스, 루크레티우스, 오비디우스, 호라티우스 및 기타 고전 작가들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으며, 약간의 그리스어를 알고 있었다.[42] 그의 시대에는 문법, 연대기, 성경 연구에 대한 그의 저술이 그의 역사 및 성인전 작품만큼 중요했고, 비역사적 저술은 카롤링거 르네상스에 크게 기여했다.[44]

2. 1. 출생 및 초기 생애

베다라는 이름은 웨스트 색슨 ''Bīeda'' (앵글리언 ''Bēda'')를 반영한다.[11] 이것은 "명령하다, 지시하다"라는 뜻의 ''bēodan''의 어근을 기반으로 한 고대 영어 약칭이다.[12] 이 이름은 또한 ''앵글로색슨 연대기'' 서기 501년에 포츠머스의 색슨족 설립자의 아들 중 한 명인 ''Bieda''로 등장한다. 더럼 생명서에는 이 이름을 가진 두 명의 사제가 언급되어 있는데, 그중 한 명은 아마도 베다 자신일 것이다. 베다의 작품 중 하나인 ''커트버트의 생애''의 일부 필사본에는 커트버트 자신의 사제가 베다라는 이름이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이 사제가 ''생명서''에 나열된 또 다른 이름일 가능성이 있다.[39][13]

베다의 생애에 대해 알려진 거의 모든 정보는 731년경에 완성된 그의 저서 ''영국 민족 교회사''의 마지막 장에 담겨 있다.[2] 베다는 당시 59세였다고 암시하는데, 이는 672년 또는 673년에 태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3][4][5] 베다의 죽음을 이야기하는 그의 제자 커트버트(베다의 작품에 언급된 성인 커트버트와 혼동하지 말 것)의 편지도 작은 정보원이다.[143] 베다는 ''역사''에서 자신의 출생지를 "이 수도원의 땅에서"라고 밝히고 있다.[7] 그는 현재의 위어사이드와 타인사이드에 각각 위치한 몽크웨어머스 및 재로의 쌍둥이 수도원을 언급하고 있다.[8] 또한 재로 수도원이 나중에 세워진 곳에서 2마일 떨어진 몽크턴에서 태어났다는 전통도 있다.[3][9] 베다는 자신의 출생에 대해 아무것도 말하지 않지만, 고귀한 가문의 사람들과의 연관성을 볼 때 그의 가족도 부유했을 것으로 보인다.[10] 베다의 첫 번째 수도원장은 베네딕트 비스코프였으며, "비스코프"와 "베다"라는 이름은 800년경의 린지 왕 목록에도 나타나 베다가 고귀한 가문 출신임을 더욱 시사한다.[5]

7세에 베다는 그의 가족에 의해 ''푸에르 오블라투스''로[14] 몽크웨어머스 수도원에 보내져 베네딕트 비스코프와 나중에는 키올프리드에게 교육을 받았다.[15] 베다는 그 시점에서 이미 수도사가 될 의도였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16] 이 시기에는 젊은 소년들, 특히 고귀한 출신들은 오블라투스로 위탁되는 경우가 아일랜드에서 흔했고, 잉글랜드의 게르만 민족 사이에서도 이 관행이 흔했을 가능성이 높다.[17] 몽크웨어머스의 자매 수도원인 재로는 682년에 키올프리드에 의해 세워졌으며, 베다는 그 해에 키올프리드와 함께 재로로 옮겨갔을 것이다.[8]

베다가 19세인 692년경, 베다는 교구 주교인 존에 의해 부제로 서품되었는데, 존은 헥섬 주교였다. 부제 서품에 대한 정식 연령은 25세였으며, 베다의 조기 서품은 그의 능력이 예외적으로 여겨졌음을 의미할 수 있지만,[17] 최소 연령 요건이 자주 무시되었을 수도 있다.[20] 베다의 30세(702년경)에 그는 다시 존 주교에 의해 서품을 받아 사제가 되었다.[5]

2. 2. 수도원 생활

베다는 오늘날의 선덜랜드 지방에 속한 위어머스(Wearmouth)의 성 베드로 수도원과 재로의 성 바오로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하였다. 7세에 그의 가족에 의해 ''푸에르 오블라투스''로[14] 몽크웨어머스 수도원에 보내져 베네딕트 비스코프와 나중에는 키올프리드에게 교육을 받았다.[15] 베다는 그 시점에서 이미 수도사가 될 의도였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16]

682년에 키올프리드에 의해 재로에 몽크웨어머스의 자매 수도원이 세워졌으며, 베다는 그 해에 키올프리드와 함께 재로로 옮겨갔을 것으로 보인다.[8] 686년, 재로에 역병이 발생했는데, 당시 14세 정도였을 베다는 살아남은 두 명의 수도사 중 한 명으로, 전례를 온전히 수행할 수 있었다.[15][18]

베다는 19세인 692년경 헥섬 주교였던 존에 의해 부제로 서품되었고,[17] 30세(702년경)에 다시 존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품되었다.[5]

701년경 베다는 교실에서 사용하기 위한 ''De Arte Metrica''와 ''De Schematibus et Tropis''를 썼다.[20] 그는 평생 글을 계속 써서 결국 60권이 넘는 책을 완성했으며, 그중 대부분이 보존되었다.[5][20]

708년, 헥섬의 일부 수도사들은 베다의 저서인 ''De Temporibus''에서 이단을 저질렀다고 비난했다.[26] 이 비난은 헥섬의 주교인 윌프리드 앞에서 일어났으며, 베다는 며칠 안에 그 수도사에게 답장을 보내 자신의 변론을 제시했다.[26]

733년, 베다는 당시 요크 주교였던 에그베르트를 방문하기 위해 요크로 여행했고, 735년 요크 교구가 대주교로 승격될 때 논의를 하였을 가능성이 있다.[28] 린디스판 수도원으로 여행을 가기도 하였고, 라는 수도사를 방문하기도 하였다.[29]

베다는 예수 승천 대축일인 735년 5월 26일 목요일에 사망했으며,[33] 재로에 묻혔다.[5] 그의 유해는 11세기에 더럼 대성당으로 옮겨졌을 수 있다.[5] 그의 무덤은 1541년에 약탈되었지만, 그 내용은 아마도 대성당의 갈릴리 예배당에 다시 묻혔을 것이다.[5]

2. 3. 학문 및 저술 활동

베다는 음악과 음악의 미터법에서 성경 주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저술 활동을 보여주는 과학, 역사, 신학 작품을 저술했다. 그는 교부 문헌뿐만 아니라 플리니우스, 베르길리우스, 루크레티우스, 오비디우스, 호라티우스 및 기타 고전 작가들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다. 그는 약간의 그리스어를 알고 있었다.[42] 베다의 성경 주석은 알레고리적 해석 방법을 사용했으며,[42] 그의 역사에는 기적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현대 역사가들에게 그의 역사적 자료에 대한 비판적 접근 방식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였다. 현대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개념이 중세 초기 학자들의 세계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 밝혀졌다.[43] 비록 베다가 현재는 주로 역사가로 연구되고 있지만, 그의 시대에는 문법, 연대기, 성경 연구에 대한 그의 저술이 그의 역사 및 성인전 작품만큼 중요했다. 비역사적 저술은 카롤링거 르네상스에 크게 기여했다.[44] 그는 참회록을 저술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 작품의 저자에 대한 논쟁이 있다.[45]

베다는 《교회사의 역사(Historia Ecclesiastica)》를 저술한 주된 의도는 잉글랜드 전역에 걸쳐 통일된 교회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로마의 철수 이후에도 기독교 교회를 유지했던 원주민 브리튼족은 앵글로색슨족의 개종을 돕기를 거부하여 베다의 분노를 샀다. 《교회사의 역사》가 끝날 무렵에는 잉글랜드와 잉글랜드 교회가 브리튼족보다 우위를 점하게 된다.[75] 이러한 통일로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목표는 베다가 부활절 계산법에 대한 브리튼족의 방식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교회사의 역사》의 많은 부분이 이 논쟁의 역사, 특히 664년 위트비 종교회의에서의 최종적인 해결을 포함하여 할애되어 있다.[71] 베다는 또한 글을 쓰는 당시에도 여전히 존재했던 분열된 왕국들에도 불구하고 잉글랜드인들의 통일성을 보여주고자 했다. 그는 또한 독자들에게 영적인 모범을 통해 교훈을 주고 즐거움을 선사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자신이 쓴 장소와 사람들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덧붙였다.[75]

N. J. 하이엄은 베다가 노섬브리아의 왕 케올울프에게 자신의 개혁 의제를 홍보하기 위해 이 작품을 설계했다고 주장한다. 베다는 자신의 사적인 편지에서 나타나는 더 비관적인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당시 교회의 상황을 매우 낙관적으로 묘사했다.

베다가 기적을 광범위하게 사용한 것은 그를 다소 신뢰할 수 있는 역사가로 여기지만 기적의 가능성을 받아들이지 않는 독자들에게는 어려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적들은 역사적 사건과 지속되는 기독교 신앙의 전통이라는 측면에서 표현된 정확성과 진실성에 대한 불가분의 완전성과 존경심을 반영한다. 베다는 《교회사의 역사》에서 이 주제에 대해 인용하고 있는 그레고리 대교황처럼, 기적에 의해 생겨난 믿음은 더 높고 진실된 믿음으로 가는 발판이며, 결과적으로 기적은 교훈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작품에서 그 자리를 차지한다고 생각했다.[76]

베다의 제자 커스버트에 따르면, 베다는 "우리 노래에 정통했다"(doctus in nostris carminibus)고 한다. 커스버트의 베다의 죽음에 대한 편지, 즉 "베다의 죽음에 대한 커스버트의 서한"(Epistola Cuthberti de obitu Bedae)은 베다가 현대 학자들에게 "베다의 죽음의 노래"(Bede's Death Song)로 알려진 5행의 자국어 시를 지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오플랜드가 지적했듯이, 커스버트가 이 텍스트를 베다에게 귀속시키고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대부분의 후기 원고들은 베다가 그 노래를 발표하는 것을 묘사하기 위해 유한 동사를 사용하지 않았고, 그 주제는 고대 영어와 앵글로-라틴 문학에서 비교적 흔했다. 커스버트의 묘사가 고대 영어 시의 공연을 성경 구절에서 인용된 일련의 구절의 맥락에 배치한다는 사실은 베다가 유사한 자국어 텍스트도 인용했다는 증거로 단순하게 간주될 수 있다.[129]

반면에, 커스버트의 라틴어 편지에 시의 고대 영어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 베다가 "우리 노래에 정통했다"는 관찰, 그리고 베다가 같은 주제에 대한 라틴어 시를 지었다는 사실은 그가 그것을 썼을 가능성을 모두 가리킨다. 커스버트는 시를 직접 인용함으로써, 그것이 세속적인 오락을 싫어했던 학자가 지지한 자국어 시이거나,[130] 베다의 마지막 독창적인 작품의 직접적인 인용이기 때문에 그 특정한 표현이 어떠한 방식으로든 중요했음을 암시하는 것처럼 보인다.[131]

성서의 라틴어 불가타(Vulgata) 번역을 한 권으로 묶어 재편집한 베다의 역본은 종교 개혁 때까지 서방 교회 세계를 통틀어서 쓰인 공식 역본이었고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1966년까지 쓰였다. 성서의 일부를 고대 영어(앵글로색슨어)로 번역하였지만 전해지지 않는다. 임종의 자리에서 끝마친 마지막 저작은 요한복음서의 고대 영어 번역본과 고대 영어로 쓴 최후의 심판에 관한 라고 한다. 오늘날의 학자들에게 〈베다의 임종시〉로 알려진 이 5행시는 베다의 제자인 린디스판의 커스버트(Cuthbert of Lindisfarne)가 쓴 편지에 전해지는데 그 내용만으로는 베다의 자작시인지 확실하지 않지만 라틴어로 쓴 편지에 고대 영어로 시를 인용한 점과 베다가 같은 주제로 라틴어 시를 지었던 점, 또 베다가 “우리의 시에 대한 학식을 갖추었다”라는 커스버트의 주장에 비추어 베다의 자작시일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는 그리스·로마의 고전을 인용하고, 천문·기상·물리·음악·철학·문법·수사학·수학·의학에 관해 당시 영국에서 수집할 수 있는 모든 문헌을 섭렵했다. 베다가 인용한 문헌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세네카, 키케로, 루크레티우스, 오비디우스, 베르길리우스 등이다.

2. 4. 사망

베다는 예수 승천 대축일인 735년 5월 26일 목요일에 자신의 방 바닥에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께 영광을" 노래하며 죽었고,[33] 재로에 묻혔다.[5] 베다의 제자인 커트버트는 커트윈(다른 알려진 바 없음)에게 편지를 써서 베다의 마지막 날과 그의 죽음을 묘사했다. 커트버트에 따르면 베다는 부활절 전에 "잦은 호흡 곤란 발작과 거의 고통 없이" 병에 걸렸다. 베다가 죽기 이틀 전 화요일에 그의 호흡이 악화되고 발이 부어올랐다. 그러나 그는 필사자에게 계속 받아쓰기를 했고, 밤을 기도하며 깨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날 다시 받아쓰기를 했다.[34]

커트버트에 따르면, 베다는 3시에 상자를 가져와 수도원의 사제들에게 그의 "작은 보물"인 "후추, 냅킨, 향"을 나누어 달라고 요청했다. 그날 밤 그는 윌버트라는 소년인 필사자에게 마지막 문장을 받아쓰고 곧 죽었다.[34] 커트버트의 이야기는 베다가 자정 전에 죽었는지 후에 죽었는지 완전히 명확하게 밝히지 않는다. 그러나 베다의 시간으로 계산하면 옛날에서 새날로의 전환은 자정이 아닌 해 질 때 일어났고, 커트버트는 그가 해 질 후에 죽었다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 따라서 그의 상자는 5월 25일 수요일 오후 3시에 가져왔지만, 마지막 받아쓰기 시간에는 5월 26일로 간주되었으며, 현대적인 사용법에서는 여전히 5월 25일이었을 수도 있다.[35]

커트버트의 편지에는 또한 베다가 임종 시에 작곡한 5행의 토착어 시, "베다의 죽음의 노래"가 실려 있다. 이 시는 가장 널리 복사된 고대 영어 시이며 45개의 필사본에 나타나지만, 베다에게 귀속되는 것은 확실하지 않다. 모든 필사본이 베다를 저자로 명명하지 않고, 그렇게 하는 필사본은 그렇지 않은 필사본보다 늦게 만들어졌다.[36][37][38] 베다의 유해는 11세기에 더럼 대성당으로 옮겨졌을 수 있다. 그의 무덤은 1541년에 약탈되었지만, 그 내용은 아마도 대성당의 갈릴리 예배당에 다시 묻혔을 것이다.[5]

3. 주요 저작

베다는 《교회사가》를 저술할 당시 날짜 표기에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가 발명한 서기 방식을 채택했다.[83] 베다가 이 방식을 발명한 것은 아니지만, 그가 이 방식을 널리 알린 덕분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83][84]

오늘날 베다의 주저(主著)로 알려진 것은 『잉글랜드 교회사(잉글랜드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la'',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영어'', 5권)이다. 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잉글랜드의 통사(通史)이자, 베다는 영국 최초의 역사가로 알려져 있다.[150]

베다는 브리타니아의 지리·주민과 로마의 지배를 개괄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성인들의 업적과 수도원의 역사를 세로 줄로 삼고, 잉글랜드 각 왕국의 성쇠를 가로 줄로 삼아, 그 사이에 몇몇 기적과 교회 내부의 문제를 기록하고, 마지막으로 사건을 연대기식으로 정리하여 자신의 약력과 저작을 기록하여 끝맺었다. 이때 베다가 모범으로 삼은 것은 요세푸스의 고대 유대사를 다룬 역사서, 그리고 에우세비우스의 교회사였다.[151]

『잉글랜드 교회 역사』는 잉글랜드 초기 기독교의 발달뿐만 아니라, 7세기 초부터 8세기 전반에 걸친 신뢰할 수 있는 사료가 되고 있다. 로마 지배 하의 브리타니아,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전도, 테오도르, 채드, 윌프리드 등 위대한 주교들의 사적과, 색슨인과 주트인의 침입, 스코틀랜드·아일랜드의 당시 상황에 대해 평이한 라틴어로 상세하고 박력 있게 서술하여 문학으로서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3. 1. 《잉글랜드 교회사》 (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

베다 베네라빌리스가 12세기의 코덱스인 스위스 엥겔베르크 수도원에서 ''잉글랜드 민족 교회 역사''를 집필하는 모습


베다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la, 즉 ''잉글랜드 민족 교회 역사''[46]로, 약 731년에 완성되었다. 베다는 이 책을 쓰는 데 세인트 오거스틴 수도원의 수도원장인 알비누스의 도움을 받았다.[47] 다섯 권으로 구성된 이 책의 첫 번째 권은 지리적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여 기원전 55년 카이사르의 침략으로 시작하는 잉글랜드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48] 성 알반의 순교를 포함한 로마 시대 브리튼의 기독교에 대한 간략한 설명에 이어 597년 아우구스티누스의 잉글랜드 선교 이야기, 즉 기독교가 앵글로색슨족에게 전파된 이야기가 이어진다.[5]

두 번째 권은 604년 그레고리오 1세의 죽음으로 시작하여 켄트에서 기독교의 추가적인 발전과 노섬브리아를 개종시키려는 최초의 시도를 따른다.[49] 이 시도는 이교도 머시아 왕 펜다가 632년경 해트필드 체이스 전투에서 새롭게 기독교로 개종한 에드윈을 살해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49] 하지만 이러한 실패는 일시적이었으며, 세 번째 권에서는 노섬브리아의 오스왈드와 오스위 왕 아래에서 노섬브리아의 기독교 성장을 설명한다.[50] 세 번째 권의 절정은 잉글랜드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지는 위트비 종교회의에 대한 설명이다.[51] 네 번째 권은 테오도르의 캔터베리 대주교 임명으로 시작하여 윌프리드가 서식스 왕국에 기독교를 전파하려는 노력을 설명한다.[52]

다섯 번째 권은 베다 시대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프리시아에서의 선교 활동과 부활절 날짜를 올바르게 계산하는 문제에 대한 켈트 기독교와의 갈등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52] 베다는 이 작품에 서문을 써서 노섬브리아의 왕 세올울프에게 헌정했다.[53] 서문에서는 세올울프가 책의 초고를 받았다는 언급이 있는데, 아마도 세올울프는 라틴어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했고 심지어 읽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5][48] 서문은 세올울프가 초고를 요청했고 베다가 세올울프의 승인을 구했음을 명시하고 있는데, 이 왕과의 서신 교환은 베다의 수도원이 노섬브리아 귀족들 사이에 연줄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5]

''교회사''는 중세 시대에 자주 필사되었으며, 이를 포함하는 160개 정도의 필사본이 현존한다. 이 중 약 절반은 영국 제도보다는 유럽 대륙에 위치해 있다.[86] 베다의 ''교회사'' 8세기와 9세기의 텍스트 대부분은 카롤링거 제국의 북부 지역에서 유래되었다.[85] 이 총계에는 작품의 일부만 포함된 필사본은 포함되지 않으며, 이들 또한 약 100개 정도가 남아있다. 이 책은 1474년과 1482년 사이에 처음으로 인쇄되었으며, 아마도 스트라스부르에서 인쇄되었을 것이다.[86]

현대 역사가들은 ''교회사''를 광범위하게 연구했으며, 여러 판본이 제작되었다.[145] 수년 동안 초기 앵글로색슨 역사는 본질적으로 ''교회사''의 재현이었지만, 최근의 연구는 베다가 무엇을 썼는지 뿐만 아니라 무엇을 쓰지 않았는지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과거 역사가들 사이에서는 ''교회사''가 베다의 작품의 절정이며 그의 모든 학문의 목표라는 믿음이 흔했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더 이상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87]

현대 역사가들과 베다의 편집자들은 ''교회사''에서의 그의 업적에 대해 아낌없는 찬사를 보냈다. 스텐턴은 이 책을 "시간과 장소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만을 초월하는 소수의 책" 중 하나로 간주하며, 그 품질이 베다의 "전통, 친구 관계 또는 문서 증거를 통해 그에게 전달된 정보 조각들을 조율하는 놀라운 능력 ... 사실의 기록 이상은 시도되지 않던 시대에 그는 역사의 개념에 도달했다"에 달려있다고 여겼다.[88] 패트릭 워몰드는 그를 "영국의 최초이자 가장 위대한 역사가"라고 묘사한다.[89]

''교회사''는 베다에게 높은 명성을 안겨주었지만, 그의 관심사는 현대 역사 작가의 그것과는 달랐다.[5] 그는 잉글랜드 교회의 조직 역사, 이단, 그리고 그것들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에 집중했기 때문에, 도덕적 교훈을 얻을 수 있거나 교회의 사건들을 조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왕과 왕국의 세속 역사를 제외했다.[5] 중세 작가 윌리엄 오브 말름즈버리, 헨리 오브 헌팅던, 제프리 오브 몬머스는 ''앵글로색슨 연대기'' 외에도 그의 작품을 자료와 영감으로 사용했다.[90] 폴리도르 베르길과 앨리자베스 시대의 캔터베리 대주교 매튜 파커와 같은 초기 근대 작가들도 ''교회사''를 활용했으며, 그의 작품은 유럽 종교 전쟁에서 개신교와 가톨릭 양측 모두에 의해 사용되었다.[91]

일부 역사가들은 베다의 몇몇 기록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해 왔다. 샬롯 베어라는 한 역사가에 따르면, 게르만 침략자들이 켄트에 도착했다는 ''교회사''의 기록은 실제 일어난 일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베다 시대에 켄트에서 유행하던 신화를 전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92] 베다의 작품은 매우 널리 필사되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역사를 쓰는 것을 억제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심지어 오래된 역사적 작품을 담고 있는 필사본의 소멸로 이어졌을 수도 있다.[93]

오늘날 베다의 주저로 알려진 것은 『잉글랜드 교회 역사(잉글랜드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la'',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영어'', 5권)이다. 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잉글랜드의 통사이자, 베다는 영국 최초의 역사가로 알려져 있다.[150]

베다는 브리타니아의 지리·주민과 로마의 지배를 개괄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성인들의 업적과 수도원의 역사를 세로 줄로 삼고, 잉글랜드 각 왕국의 성쇠를 가로 줄로 삼아, 그 사이에 몇몇 기적(화재나 난치병 치료에 대한)과 교회 내부의 문제를 기록하고, 마지막으로 사건을 연대기식으로 정리하여, 자신의 약력과 저작을 기록하여 끝맺는다. 이 때 베다가 모범으로 삼은 것은 요세푸스의 고대 유대사를 다룬 역사서, 그리고 에우세비우스의 교회사였다.[151]

『잉글랜드 교회 역사』는 잉글랜드 초기 기독교의 발달뿐만 아니라, 7세기 초부터 8세기 전반에 걸친 신뢰할 수 있는 사료가 되고 있다. 로마 지배 하의 브리타니아, 캔터베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전도, 테오도르, 채드, 윌프리드 등 위대한 주교들의 사적과, 색슨인과 주트인의 침입, 스코틀랜드·아일랜드의 당시 상황에 대해 평이한 라틴어로 상세하고 박력 있게 서술하여, 문학으로서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3. 2. 기타 역사 저술


3. 3. 신학 저술

베다는 당대에 성서 주석가이자 신학 저술가로 널리 알려졌다. 그의 저작 대부분은 성경의 구약과 신약을 다루는 신학 저술이었으며, 대부분 중세를 거쳐 전해졌지만 일부는 소실되었다.[97] 그는 신학 저술을 통해 '앵글로룸의 박사'(Doctor Anglorum)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성인으로 선포된 이유이기도 하다.[98]

베다는 선배들의 지식을 종합하고 전파했을 뿐만 아니라, 신학적 함의를 지닌 지식에 대한 신중하고 현명한 혁신을 이루었다. 예를 들어 지구의 연대를 재계산하여 이단 혐의를 받기 전에 비난을 받았으나, 결국 16세기에 그의 견해가 옹호되었다. 그는 그리스어를 배우고 히브리어 습득을 시도했으며, 구약과 신약 성경을 읽고 또 읽었다. 그는 자신의 텍스트가 히브리어 본문에서 유래한 제롬의 불가타 성경에서 나왔다고 언급했다.[62][98]

그는 라틴 교부들과 그리스 교부들을 모두 연구했다. 자로 수도원 도서관에는 바실, 카시아누스, 크리소스토무스, 이시도르, 오리게네스, 그레고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제롬, 교황 그레고리오 1세, 암브로시우스, 카시오도루스, 키프리아누스를 포함한 수많은 신학자들의 책이 있었다.[62][98] 그는 이 책들을 성경 본문과 함께 사용하여 자신의 주석 및 기타 신학 저술을 썼다.[98]

그는 에바그리우스가 번역한 아타나시우스의 '안토니우스의 생애'와 술피키우스 세베루스의 '성 마르티누스의 생애' 사본을 가지고 있었다.[62] 그는 또한 풀겐티우스, 율리아누스, 티코니우스, 프로스페르와 같은 덜 알려진 작가들도 사용했다. 베다는 제롬, 아우구스티누스, 교황 그레고리오, 암브로시우스를 4대 라틴 교부로 처음 언급했다.[99] 베다는 자신의 소명이 교회 교부들의 신학과 사상을 학생들과 독자들에게 설명하는 것이라고 느꼈다.[100]

베다는 강림절, 사순절 또는 부활절과 같은 주요 기독교 절기에 대한 설교집뿐만 아니라 중요한 사건의 기념일과 같은 다른 주제에 대한 설교집도 썼다.[98]

베다의 성경 주석은 11세기의 성경 주석집인 '글로사 오르디나리아'에 포함되었으며, 그의 일부 설교집은 바울로 집사에 의해 수집되어 수도원 사무실에서 사용되었다. 성 보니파시오는 대륙에서 그의 선교 활동에 베다의 설교집을 사용했다.[98]

베다는 때때로 자신의 신학 서적에 참고한 작품의 선배들에 대한 감사를 포함시켰다. 두 경우에 그는 자신의 출처에 대한 세부 사항을 제공하는 여백 주석을 필사자가 보존하도록 지시했으며, 아마도 다른 작품에도 자신의 출처에 대한 여백 주석을 추가했을 것이다. 그가 명시하지 않은 경우에도 그가 사용한 인용문을 통해 그가 접근했을 것이 틀림없는 책들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도원에 있는 베다가 이용할 수 있었던 도서관의 전체 목록을 재구성할 수는 없지만, 예를 들어 베다가 베르길리우스의 작품에 매우 익숙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다른 이교도 라틴 작가들의 작품에 접근할 수 있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그는 이러한 작가들을 많이 인용했지만, 그 인용문은 거의 항상 그 시대에 흔했던 라틴어 문법에서 발견되며, 하나 이상은 확실히 수도원에 있었을 것이다. 또 다른 어려움은 초기 작가들의 필사본이 종종 불완전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베다는 플리니우스의 '백과사전'에 접근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가 가진 버전에는 책 XVIII이 누락된 것으로 보이며, 그는 'De temporum ratione'에서 그것을 인용하지 않았다.

J. Doyle Penrose의 ''The Last Chapter''(1902년경)에서 발췌한 삽화로, 베다가 임종 자리에서 요한복음 번역을 끝마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베다의 작품에는 '요한계시록 주석',[101] '가톨릭 서간 주석',[102] '사도행전 주석', '사도행전 재고찰',[103] '마가복음', '누가복음', '복음서 설교집'이 포함되었다.[104] 그는 죽기 전에 요한복음을 영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105][106] 그는 생애 마지막 40일 동안 이 작업을 했다. 마지막 구절이 번역되었을 때 그는 "모든 것이 끝났다"고 말했다.[33] 구약에 관한 작품으로는 '사무엘기 주석',[107] '창세기 주석',[108] '에스라 및 느헤미야 주석', '성전', '성막',[109] '토빗 주석', '잠언 주석',[110] '아가 주석', '하박국 주석'이 있다.[111] 에스라, 성막 및 성전에 대한 작품은 대 그레고리오의 저술의 영향을 특히 많이 받았다.[112]

3. 4. 과학 및 교육 저술

725년, 베다는 《시간 계산에 관하여》(De temporum rationela)의 66장에서 《대 연대기》(chronica maiora)를 저술했다. 《연대기》는 교황 세르지오 1세 재임기(687~701)까지의 《교황 연대기》(Liber Pontificalis) 판본 등 여러 자료에 의존했다. 이전 사건에 대해서는 유세비우스의 《연대기 연표》(Chronikoi Kanones)를 참고했다. 《연대기》의 사건 연대기는 세계력(Anno Mundi)을 사용한다.[96]

''De natura rerum'', 1529


703년경, ''De temporibus'' 또는 ''On Time''은 부활절 계산법의 원리에 대한 소개를 제공한다.[113] 이 책은 세비야의 이시도르의 ''어원(Etymologiae)''의 일부를 기반으로 하며, 베다는 유세비우스에서 파생된 세계 연대기를 포함했다.[5] 723년경,[5] 베다는 같은 주제에 대해 더 긴 저작인 ''시간 계산에 관하여(On the Reckoning of Time)''를 썼는데, 이는 중세 시대 전체에 걸쳐 영향력이 있었다.[114]

''시간 계산에 관하여''(''De temporum ratione'')에는 코스모스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에 대한 소개와 구형 지구가 낮의 길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계절에 따른 태양과 달의 움직임이 초승달의 변화하는 모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었다.[115] 베다는 달이 조수에 미치는 영향을 기록하며, 조수의 하루 두 번의 시간적 흐름과 달의 한 달 주기인 사리 및 조금의 조수가 달의 위치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는 조수의 시간이 동일한 해안을 따라 다르며, 물의 움직임이 다른 곳에서 만조일 때 한 곳에서 간조를 일으킨다는 점에 주목한다. 베다는 부활절 날짜를 계산하는 방법, 파스칼 보름달의 날짜에서 시작하여 황도대를 통한 태양과 달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앵글로-색슨 달력의 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116]

베다의 부활절 표는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의 파스칼 표를 확장한 것으로, 서기 532년에서 1063년까지의 기간을 다룬다.[117] 테오필루스가 제안하고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에 의해 채택된 안니아누스의 19년 달 주기의 변형을 기반으로 한다.[118][119] 이는 아나톨리우스가 발명한 메톤 19년 달 주기의 선구자를 기반으로 한다.[120]

베다는 창조 이후의 세계의 연대를 기원전 3952년으로 추정했다. 그의 혁신적인 방법 때문에 빌프리드 주교의 테이블에서 이단으로 고발되었으며, 베다는 "플레그윈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이를 반박했다.[121]

천문학적 시간 측정에 관한 저작 외에도, 세비야의 이시도르의 저작을 모델로 한 ''자연에 관하여(De natura rerum)'' 또는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를 썼다.[122] 9세기 후반, 노트케르 더 스태머러는 "자연을 다스리는 신은 창조의 넷째 날에 동쪽에서 태양을 떠오르게 하였고, 세계의 여섯째 날에 베다를 새로운 태양으로 서쪽에서 떠오르게 하여 온 세상을 밝히게 하였다"고 기록했다.[123]

베다는 수도원 학교에서 문법을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되도록 ''De arte metrica''를 썼다. 이는 도나투스의 ''De pedibus''와 세르비우스의 ''De finalibus''를 기반으로 했으며, 베르길리우스뿐만 아니라 기독교 시인들의 예시를 사용했다. 이는 다음 몇 세기 동안 라틴어 시를 가르치는 표준 텍스트가 되었다. 베다는 이 작품을 커스버트에게 헌정했으며, "나는 당신을 신성한 서신과 교회 법규로 교육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라고 말한다.[124] ''De orthographia''는 철자법에 관한 작품으로, 라틴어를 처음 접하는 중세 독자가 고전 라틴 작품의 익숙하지 않은 약어와 단어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설계되었다. 교과서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참고 자료로 의도된 것으로 보인다. 이 두 작품의 작곡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125]

''De schematibus et tropis sacrae scripturae''는 성경의 수사학 사용에 대해 논의한다.[5] 베다는 베르길리우스와 같은 이교도 작가에 익숙했지만, 그러한 텍스트에서 성경 문법을 가르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여겨졌으며, 기독교 문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기독교 텍스트의 우월성을 주장한다.[5][126] 그의 운율에 관한 텍스트는 예시로 기독교 시만 사용한다.[5]

베다에게는 'Versus de die iudicii'(“심판의 날에 대한 시”), 운문으로 된 'Vita Sancti Cudbercti'(“성 커스버트의 생애”), 'Historia ecclesiastica' V.24.2에 언급된 두 개의 시 모음집 등이 귀속되었다.

4. 베다에 대한 평가 및 영향

베다는 《교회사의 역사(Historia Ecclesiastica)》를 통해 잉글랜드 전역에 통일된 교회의 성장을 보여주고자 했다. 로마 철수 이후에도 기독교를 유지했던 원주민 브리튼족이 앵글로색슨족의 개종을 돕지 않자 베다는 분노했다. 《교회사의 역사》가 끝날 무렵 잉글랜드와 잉글랜드 교회는 브리튼족보다 우위를 점하게 된다.[75] 베다는 부활절 계산법에 대한 브리튼족의 방식에 적대적이었는데, 이는 통일로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목표로 설명된다. 《교회사의 역사》의 많은 부분은 이 논쟁의 역사, 특히 664년 위트비 종교회의에서의 최종적인 해결을 다룬다.[71] 베다는 분열된 왕국들에도 불구하고 잉글랜드인들의 통일성을 보여주고, 독자들에게 영적인 모범을 통해 교훈을 주고자 했다.[75]

N. J. 하이엄은 베다가 노섬브리아의 왕 케올울프에게 개혁 의제를 홍보하기 위해 이 작품을 설계했다고 주장한다. 베다는 사적인 편지에서 보이는 비관적인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당시 교회의 상황을 매우 낙관적으로 묘사했다.

베다가 기적을 광범위하게 사용한 것은 일부 독자들에게는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적들은 역사적 사건과 지속되는 기독교 신앙 전통의 정확성과 진실성에 대한 존경심을 반영한다. 베다는 그레고리 대교황처럼 기적을 통해 생겨난 믿음은 더 높고 진실된 믿음으로 가는 발판이며, 기적은 교훈을 주기 위한 작품에서 그 자리를 차지한다고 생각했다.[76]

체나이의 성 베데 학교에 묘사된 베데


8세기 잉글랜드에서 베데에 대한 숭배 증거는 없지만, 이후 잉글랜드에서 존경을 받게 되었고, 5월 26일에 아우구스티누스 다음으로 기념되거나, 그의 축일이 5월 27일로 변경되었다. 잉글랜드 밖에서는 보니파시오와 알쿠인의 노력으로 존경받았으며, 보니파시오는 선교 활동 중 베데의 신학 작품 사본을 요청했다.[132] 알쿠인은 베데를 수도자들이 따라야 할 모범으로 칭찬하고 그의 작품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33] 베데 숭배는 10세기 수도원 부흥기에 잉글랜드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14세기에는 잉글랜드의 많은 대성당으로 퍼져나갔다. 우스터의 주교 울프스탄은 베데의 열렬한 추종자였으며, 1062년 주교 서임 후 처음으로 그에게 교회를 헌정했다.[134]

1020년경 베데의 유해는 야로우에서 더럼 대성당으로 '이장'되어 성 커트버트와 함께 안치되었다. 이후 1370년 더럼 대성당의 갈릴리 예배당에 있는 제단으로 옮겨졌으나 영국 종교 개혁 동안 파괴되었다. 1831년에 뼈가 파내어져 현재까지 남아있는 새로운 무덤에 다시 묻혔다.[135] 다른 유물들은 요크 민스터, 글래스턴베리 수도원[8]풀다에서 주장되었다.[136]

1899년 바티칸은 베다를 교회 박사로 선언하면서 그의 학문적 업적과 가톨릭에 대한 중요성을 인정했다.[5][137] 그는 교회 박사로 명명된 유일한 잉글랜드인이다.[33][86] 단테의 ''천국''(''천국'' X.130)에서 세비야의 이시도르 및 성 빅토르의 리처드와 함께 언급된 유일한 잉글랜드인이기도 하다.

그의 축일은 1899년 로마 일반 전례력에 포함되어 5월 27일에 기념하게 되었는데, 이는 캔터베리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축일 때문이었다. 그는 가톨릭 교회,[86] 잉글랜드 교회[138] 및 미국 성공회[139]에서 5월 25일에, 동방 정교회에서는 5월 27일(Βεδέα του Ομολογητού)에 축일로 존경받고 있다.[140]

베다는 9세기부터 ''경(敬) 베데''(라틴어: Beda Venerabilisla)로 알려지게 되었지만,[141] 이는 가톨릭 교회의 성인 고려와 관련이 없었다. 전설에 따르면, 이 칭호는 천사에 의해 기적적으로 제공되어 그의 미완성 묘비를 완성했다고 한다.[142] 이는 9세기에 베데와 관련하여 처음 사용되었고, 816년과 836년 아헨에서 열린 두 번의 교회 회의에서 "경(敬)"이라고 불렸다. 그 후 바울로 집사는 그를 일관되게 경(敬)이라고 칭했고, 11세기와 12세기에는 흔한 일이 되었다.[143]

베다 베네라빌리스의 묘사(CLVIIIv), 1493년 ''뉘른베르크 연대기''


베다는 ''교회사''에 기반하여 역사학자로서의 명성을 굳건히 하고 있다.[88][89] 토머스 칼라일은 그를 "헤로도토스 이후 최고의 역사 작가"라고 칭했다.[144] 월터 고파트는 베다에 대해 "그는 기독교 유럽의 초기 역사가들 중에서 특권적이고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라고 말한다.[145] 그는 로마의 베다 대학교의 수호성인이며, 이 대학은 로마 가톨릭 사제를 준비하는 고령의 남성들을 위한 곳이다. 그의 생애와 업적은 1958년부터 세인트 폴 교회, 재로에서 열리는 연례 자로우 강연회를 통해 기념되고 있다.[146]

베다는 동시대 앵글로색슨족들에게 라틴어와 그리스어 교육을 접근 가능하게 한 진보적인 학자로 묘사되어 왔다.[147]

자로 홀(구 베다의 세계)은 베다가 살았던 곳에서 베다와 영국 유산의 역사를 기리는 박물관이다.

베다 지하철역은 타인 앤 웨어 메트로 경전철 네트워크의 일부이며,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48]

참조

[1] 서적 Orthodox Saints of the British Isles. Vol II St. Eadfrith Press
[2] harvnb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간행물 Portesmutha Walter de Gruyter
[12] 서적 Altdeutsches Namenbuch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서적 Bedae Opera Historica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harvnb
[23] 웹사이트 Classical and Medieval MSS http://www.bodleian.[...] Bodleian Library 2010-12-30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서적 Narrators
[28] harvnb
[29] harvnb
[30] harvnb
[31] 서적 Bedae Opera Historica
[32] 웹사이트 Who Was Bede? https://manchistoria[...] 2024-10-15
[33] 서적 My First Book of Saints Sons of Holy Mary Immaculate – Quality Catholic Publications
[34] harvnb
[35] harvnb
[36] 서적 Bede's Death Song
[37] harvnb
[38] 웹사이트 St. Gallen Stiftsbibliothek Cod. Sang. 254. Jerome,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book of Isaiah. Includes the most authentic version of the Old English "Death Song" by the Venerable Bede http://www.europeana[...] 2013-06-05
[39] harvnb
[40] harvnb
[41] harvnb
[42] 서적 Bede: On the Tabernacle Liverpool Univ. Pr.
[43] 서적 The Ecclesiastical History
[44] harvnb
[45] 서적 The Literature of Penance in Anglo-Saxon England Rutgers University Press 1983
[46] harvnb
[47] DNB Cite
[48] harvnb
[49] harvnb
[50] harvnb
[51] harvnb
[52] harvnb
[53]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54] 서적 Monkwearmouth (or Wearmouth) and Jarrow
[55] 서적 Libraries
[56] harvnb
[57] 서적 Bede
[58] 서적 Bede
[59] 서적 Gildas
[60] harvnb
[61] harvnb
[62] harvnb
[63] 서적 Bedae Opera Historic
[64] 서적 Bede
[65] 서적 Nothhelm
[66]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67] harvnb
[68] harvnb
[69] harvnb
[70] harvnb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서적 Bedae Opera Historica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논문
[86] 논문
[87] 논문
[88] 논문
[89]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서적 Bedae Opera Historica
[94] 논문
[95] 서적 The Reckoning of Time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9] 논문
[100]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6] 논문 A Lollard Tract: on Translating the Bible Into English 2023-03-09
[107] harvnb
[108] harvnb
[109] harvnb
[110] harvnb
[111] harvnb
[112] harvnb
[113] harvnb
[114] harvnb
[115] harvnb
[116] harvnb http://www.nabkal.de[...]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harvnb
[122] harvnb
[123] harvnb
[124] harvnb
[125] harvnb
[126] 문서 Desiderius of Vienne
[127] 서평 review of Michael Lapidge, ed. and tr. Bede's Latin Poetry https://scholarworks[...] 2021-04-04
[128] harvnb
[129] harvnb
[130] harvnb
[131] harvnb
[132] harvnb
[133] harvnb
[134] harvnb
[135] harvnb
[136] harvnb
[137] 웹사이트 Acta Sanctae Sedis https://www.vatican.[...] Vatican
[138]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39]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140] 웹사이트 Venerable Bede, the Church Historian https://www.oca.org/[...]
[141] harvard
[14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The Venerable Bede https://www.newadven[...]
[143] harvard
[144] 논문 Dean Stanley's Report of Conversations with Carlyle http://www.jstor.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45] harvard
[146] 웹사이트 The jarrow lecture http://www.stpaulsch[...] stpaulschurchjarrow.com 2009-10-04
[147] 뉴스 How Sunderland became a poster child for Brexit https://www.newstate[...] 2021-11-12
[148] 웹사이트 Bede Metro Station {{!}} Co-Curate https://co-curate.nc[...] 2023-07-16
[149] 웹사이트 Bede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LLC. 2013-04-07
[150] 서적 英国民教会史 講談社学術文庫
[151] 서적 英国民教会史 講談社学術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